KR20030045064A - 볼 게임용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볼 게임용 훈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064A
KR20030045064A KR10-2003-7003479A KR20037003479A KR20030045064A KR 20030045064 A KR20030045064 A KR 20030045064A KR 20037003479 A KR20037003479 A KR 20037003479A KR 20030045064 A KR20030045064 A KR 20030045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device
frame
ball
ground
reb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1625B1 (ko
Inventor
포스토 파이러스
파울로 파이러스
Original Assignee
포스토 파이러스
파울로 파이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토 파이러스, 파울로 파이러스 filed Critical 포스토 파이러스
Publication of KR20030045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7Ball rebound w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5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crick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Toy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볼 게임용 훈련장치(1)은 볼의 최적의 리턴과 현저한 유연성을 가지며, 리바운드 영역을 한정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를 그라운드에 고정하는 고정수단(5)과; 상기 리바운드 영역 위에서 스트레칭된 표면을 한정하는 탄성수단과(6)과; 바람직한 기울기를 위해 상기 프레임(2)을 위치시키는 위치수단(8)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볼 게임용 훈련 장치{TRANING TOOL FOR BALL GAMES}
많은 종류의 스포츠 활동은 그러한 장치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크기를 가진 볼이 배트, 스틱, 또는 라켓에 의해 쳐지는 스포츠로부터 몸의 부분 즉 손, 발, 머리를 사용하는 스포츠, 예를 들면, 축구와 같은 운동에 그러한 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다.
플레이어를 향해 던져진 볼을 플레이어가 타격하거나 멈추도록 하는 다양한 훈련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대개 이러한 장치들은 상당한 수의 볼을 순차적으로 쏘게 만들어지며, 상기 장치들내에는 적절한 콘테이너가 제공된다. 따라서 대개 이런 장치와 이러한 기계의 동작방법은 매우 복잡하다. 그리고 이런 훈련장치는 같은 볼로 몇 번의 슛을 할 수 없게 만드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계이외에도, 종종 대체적인 해결 방법들은 벽을 사용하는 것이다. 볼을 쏜 경기자에게로 볼이 리바운드되거나 다시 되돌아오게 함으로써 벽을 이용하는 것이다.
고정된 벽은 라켓을 사용하는 스포츠, 예를 들면, 테니스, 테이블 테니스,스쿼시 뿐만 아니라 라켓을 사용하지 않는 스포츠, 무엇보다도, 축구와 같은 스포츠에서 경기자의 볼 터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진다.
그러나, 고정된 벽의 사용이 항상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한편으로는 경기자에게 리턴 되어진 볼은 쏘아진 볼의 강도에 의지되어지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볼의 회전효과에 의하여 볼이 각을 가지고 리바운드되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볼 자체에 의하여 발생되어지는 불규칙한 방향을 갖는 샷 또는 킥들, 또는 경기자로부터 멀리 리바운드 되게하는 초과 적인 효과에 의한 샷 또는 킥들의 방향 때문이다.
본 발명은 경기자에 의해 쏘아진 볼의 리바운드효과를 이용하는 싱글 플레이어의 훈련을 허용하기 위한 종류의 볼게임용 훈련 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시 및 첨부도면과 함께 이하에서 서술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훈련장치의 투시도 및 작동장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2a 및 도2b는 도1의 정면도 및 부분도이며,
도3a , 도3b 및 도3c는 도1의 장치의 다른 가능한 3개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및 그것에 의한 다른 가능한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훈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은 리바운드 영역을 한정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그라운드에 지지하는 수단과; 상기 리바운드 영역에서 표면 스트레칭(stretching)을 한정하는 탄성수단과; 바람직한 기울기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장치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훈련장치의 주요장점은 최적의 기울기를 갖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갖도록 볼의 리턴을 얻도록 하는데 있다. 편편한 영역의 스트레치 표면은 볼의 쏘아진 힘을 증폭시킴으로써 볼의 탄성적 리턴을 허용하며, 동시에 적어도 초과적인 효과에 의한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의 부분을 제거한다.
도1에서 훈련장치는 첨부도면 (1)로 표시된다. 상기 훈련장치(1)는 축구 골문과 유사한 배치처럼, 한 쌍의 기둥(3)과 크로스바(4)로 구성된 직사각형의 프레임(2)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제1버전에 따르면, 기둥(3)과 크로스바(4)는 원형 또는 가능한 직사각형 단면의 관기둥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기둥의 폭은 상기 기둥이 볼 샷용 타겟으로로 사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최대에서 최소까지 변경가능하다.
기둥(3)은 직사각형의 짧은 쪽을 형성하고, 크로스 바(4)는 그것의 위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2)는 크로스 바(4)의 위치의 반대쪽에서 회전가능하게 그라운드에 고정되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프레임(2)은 그라운드에서 구동되도록 적용되는 클램프(5)를 포함한다. 이는 슬러지(sledge)의 사용 때문에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직사각형의 프레임(2)은 탄성수단 위치해 있는 평평한 리바운드 영역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리바운드 영역은 탄성적인 표면을 한정하는 6각 메쉬의 네트(6)로 정의된다.
네트(6)는 기둥들과 그라운드 사이에서 펼쳐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네트는 기둥에 고정되어 돌출된 스테이크(stakes)(7)에 고정되어 있거나 후크되어 있다. 만약 네트(6)가 후크되어 있지 않다면, 스트레칭되도록 요구되거나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그 후, 네트의 스트레칭(펴짐)은 네트(6)에 대한 볼 샷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또는 탄력적인 리턴으로 동등한 속력으로 되돌려 보내기 위해 조절되어질 것이다. 상기 네트(6)는 매우 저항력 있는 탄력적인 나일론 철사들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치(1)는 바람직한 기울기로 프레임(2)의 위치시키는 위치수단(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수단은 대각선으로 정열되며, 기둥과 크로스 바(일명 top corner) 그리고 그라운드의 각각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 코너에 고정된 한 쌍의 신장바(9; extensible bar)로 구성된다.
상기 신장바의 연결은 회전가능한 종류인 제1힌지(1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신장바(9)는 그라운드에 대하여 프레임(2)의 기울기를 변화함으로써 바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장바(9)는 소정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풀림으로써 그 길이가 변화되는 망원경처럼 겹쳐지는 바의 종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체적으로 더 높은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장치(1)는 각 기둥(3)의 베이스와 각 신장바(9)의 일측 단부를 연결하는 그라운드 바(11)를 포함한다.
그라운드 바(11)와 신장바(9) 사이의 연결은 회전할 수 있는 종류의 것이고,각각의 제2힌지(12)로 연결된다. 그라운드 바들(11)과 기둥 베이스(3) 사이의 연결은 제3힌지(13)으로 구성된다.
그라운드 바(11)는 변형을 위해 신장될 수 있다. 더 다양한 변형를 위해, 두개의 기둥(3)의 베이스는 보다 스티프한 횡단바(a transversal stiffener bar)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바(11)는 제2힌지(12)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는 또 다른 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클램프(5)는 보다 스티프한 바에 고정된다.
바들, 기둥들, 그리고 크로스 바 사이에서 상기 모든 연결들은 장치(1)가 완벽히 분해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해될 수 있는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리바운드 영역을 한정하는 모든 요소들인, 기둥(3)과 크로스 바(4)는 리바운드 영역의 스트레칭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신장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리바운드 영역의 형상은 반드시 직사각형이 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수의 사이드에 의해서 또는 가능한 커브로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변해질 수 있다. 또한 리바운드 영역은 반드시 편편한 것 뿐 아니라 그것의 다른 사용에 의해서 오목하게 되거나 볼록하게 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들은 위에 언급된 클램프 외에 스테이크, 로프, 그리고 더 많은 것 중에서 다른 고정 수단들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도3a 내지 3c의 도면으로부터 축구연습에서 상기 장치의 사용은 아래와 같이 묘사될 수 있다. 여기서, 평평한 리바운드 영역의 바람직한 형상은 소위 축구 골문에 비례하여 감소된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이다.
축구를 위해 적절한 프레임(2)의 가능한 크기의 예는 높이는 2.00m, 폭은4.00m, 기둥과 크로스 바의 전면두께는 0.06m이며, 따라서, 리바운드 영역의 크기는 1.92×3.88=7.45㎡ 이고 높이 대 폭의 비율은 약 0.50 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둥들과 크로스바의 횡단하는 크기는 증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런 요소들은 경기자에게 커브된 표면보다는 오히려 편편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든 다른 가능한 사용들을 위해 한정되지 않는 예들로서 설명되어진, 장치를 사용하는 세 가지 방법들이 아래와 같이 묘사되어진다. 도3a에 따른 제1경우는 리바운드 영역은 그라운드에 90°의 각을 형성하는 수직이다.
상기 배치에서, 축구 경기자는 리바운드 영역을 상대로 볼을 키킹하며, 다시 규칙적으로 리턴되는 공을 확보하는 연습을 할 것이다. 네트의 스트레칭을 감소시킴으로써, 축구경기자는 매우 강력한 슛을 하더라도 가까운 거리에서 머물 수 있고, 볼의 부드러운 리턴을 얻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스트레칭을 증가시킴으로써, 네트는 볼 터치가 가능한 어렵게 할 것이고, 이는 축구 선수의 볼 테크닉을 향상시키도록 할 것이다.
도 3b에 따른 제2의 경우, 프레임, 즉 리바운드 영역은 수직면에 대하여 경기면(playing side) 쪽으로 30°가 기울어져 있다. 경기면(playing side)이란 경기자가 연습을 위해 위치한 면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배치에서는, 네트를 향한 볼은 그라운드를 향하게 되며, 소정의 네트의 스트레칭에 의해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는 경기자의 슈팅의 파워 연습 즉, 대퇴사두근(quadriceps)을 단련시킬 수 있다. 만일 경기자가 정면보다는 측면 쪽에위치해 있다면, 각도 있는 샷에 사용되어지는 내전근(adductor muscles)을 단련시킬 수 있다.
도 3c에 따른 제3경우에는, 프레임, 즉 리바운드 영역은 수직면에 대하여 경기자 면으로부터 30°가 기울게 된다. 그리하여 수평으로 쏘아진 볼은 위쪽으로 리바운드될 것이다.
이 배치에서는, 네트를 향하여 강력하게 볼을 쏘는 것과 골키퍼가 다이브(dive) 및 도약 자세를 연습할 수 있게 허용하는 궤도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같은 종류의 궤도 위에서, 축구 경기자는 정확한 슛팅 및 에어 슈팅(air shooting)의 리턴, 둘 다 를 연습 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묘사된 장치구조에 의해 허용되어질 수 있는 유연성은 대개의 기술적, 물리적 훈련 방법들 외에 특별한 종류의 훈련용으로 더 나은 배치를 위해 그것의 사용이 허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진다.
특히, 상기 장치는 팔, 다리 및 관절의 일정한 동작을 회복하기 위해 스트레칭된 네트 위에서 활동하는 그들의 노력을 절약하기 위한 기회를 가질려 하는 부상자의 근육 및 힘줄 회복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장치는 학교 및 스포츠 학교들에서 나타나게되는 볼 게임에서의 학습 및 개인의 테크닉적인 기술들을 향상시키는 것에 특별히 유용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같은 유연성은 그 장치가 그러한 볼이 사용되어지는 것 중에서 다른 스포츠를 위한 훈련에 적합하게 허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서 제공되는 본 발명의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한다.

Claims (12)

  1. 리바운드 영역을 한정하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를 그라운드에 고정하는 고정수단(5)과;
    상기 리바운드 영역 위에서 스트레칭된 표면을 한정하는 탄성수단(6)과;
    바람직한 기울기를 위해 상기 프레임(2)을 위치시키는 위치수단(8)을 포함하는 볼 게임용 훈련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운드 영역은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용 훈련장치(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은 회전가능하게 그라운드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용 훈련장치(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은 직사각형이며, 한 쌍의 기둥(3)과 크로스 바(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용 훈련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바운드 영역은 축구 골문에 비례하여 감소된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용 훈련장치(1).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3) 및 크로스 바(4)는 편편한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용 훈련장치(1).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3) 및 크로스 바(4)는 원형 단면의 관 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용 훈련장치(1).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리바운드 영역의 탄성표면을 한정하는 네트(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용 훈련장치(1).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6)의 스트레칭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용 훈련장치(1).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수단(8)은 대각선으로 배열되며, 신장가능한 신장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용 훈련장치(1).
  11. 제4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바(9)는 기둥, 크로스 바 및 그라운드의 각각의 단부에 의해 형성된 각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용 훈련장치(1).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바(9)는 힌지(10, 12)를 통해 기둥, 크로스 바 및 그라운드에 의해 형성된 각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게임용 훈련장치(1).
KR1020037003479A 2000-09-08 2001-03-08 볼 게임용 훈련 장치 KR100751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OR2000U000003 2000-09-08
IT2000OR000003U IT251317Y1 (it) 2000-09-08 2000-09-08 Attrezzo da allenamento per giochi con la palla
PCT/IT2001/000116 WO2002020099A1 (en) 2000-09-08 2001-03-08 Training tool for ball gam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064A true KR20030045064A (ko) 2003-06-09
KR100751625B1 KR100751625B1 (ko) 2007-08-22

Family

ID=1145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479A KR100751625B1 (ko) 2000-09-08 2001-03-08 볼 게임용 훈련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35971B2 (ko)
EP (1) EP1322386A1 (ko)
JP (1) JP2004508112A (ko)
KR (1) KR100751625B1 (ko)
CN (1) CN1254291C (ko)
AU (1) AU2001248734A1 (ko)
BR (1) BR0113726A (ko)
CA (1) CA2453145A1 (ko)
IT (1) IT251317Y1 (ko)
WO (1) WO20020200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0290B1 (fr) * 2003-01-29 2008-10-10 Alphonse Boua Dispositif mono-bloc en plastique dur
US7597558B2 (en) * 2004-09-07 2009-10-06 Soccer Wave, L.L.C. Train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80261727A1 (en) * 2004-10-12 2008-10-23 Snyder Gregory P Indoor/outdoor ball control training device
US20060089213A1 (en) * 2004-10-12 2006-04-27 Snyder Gregory P Ball control training device
FR2887464B1 (fr) * 2005-06-24 2008-06-20 Andre Raymond Miquel Mur d'entrainement pour les gardiens de but
US20080067751A1 (en) * 2006-09-19 2008-03-20 Ryan Hunt Random rebound practice device
GB0713825D0 (en) * 2007-07-17 2007-08-29 Porter Luke L M Rebound sports training apparatus
DE102008015183A1 (de) * 2008-03-20 2009-09-24 Arif Rochman Tor für Feldsportarten
US7914402B2 (en) 2008-07-24 2011-03-29 Ray Gaudin Rebounding soccer practice net
US20100120557A1 (en) * 2008-11-07 2010-05-13 Kent Randall Klein Sports goal including a rebounder for returning a scoring object to a player
US8590901B2 (en) * 2008-11-16 2013-11-26 Brian Goldwitz Foldable sport goals and throwback devices
US20110015002A1 (en) * 2009-07-17 2011-01-20 Jason Brown Sports practice rebound net
US8496546B2 (en) * 2009-08-25 2013-07-30 Ronald C. Bulloch Rebounding apparatus
GB2479545B (en) * 2010-04-13 2014-08-20 Luke Leonard Martin Porter Football training aid
US8079922B1 (en) * 2010-07-28 2011-12-20 Robert Douglas Paterson Free-standing table tennis rebound system
NO332859B1 (no) 2011-04-12 2013-01-28 Hans Borge Pettersen Lien Treningsapparat for bruk ved trening av grunnleggende teknikk i ballspill
US8647221B1 (en) 2011-06-10 2014-02-11 Franklin Sports, Inc. Soccer trainer
US9227123B2 (en) 2011-10-31 2016-01-05 Patrick DeBolt Lacrosse training device
US9283459B2 (en) 2012-06-21 2016-03-15 Procontrol, Inc. Soccer training device, method of use and system
US9272197B2 (en) 2012-06-21 2016-03-01 Procontrol, Inc. Soccer training device, method of use and system
US9278270B2 (en) 2012-06-21 2016-03-08 Procontrol, Inc. Soccer training device, method of use and system
USD689570S1 (en) 2012-08-16 2013-09-10 Wayne P Adema Soccer ball deflection panel
US9573033B2 (en) 2012-10-15 2017-02-21 Scott T. Surbrook Returning goal system
US9908023B1 (en) 2014-01-10 2018-03-06 Michael C. Hamm Retractable garage door ball bounce back system
US9427648B2 (en) 2014-06-13 2016-08-30 James Cingone Dynamic training apparatus
WO2017123979A1 (en) * 2016-01-14 2017-07-20 Becca Moros Soccer, Llc Ball return device and system
CN105854256A (zh) * 2016-05-21 2016-08-17 王惠丽 一种便携式足球挡球装置
USD805591S1 (en) 2016-09-28 2017-12-19 Pro Performance Sports, Llc Ball return training device
USD833547S1 (en) 2016-12-09 2018-11-13 Soccer Advantage, LLC Soccer ball rebounding apparatus
CN108744462B (zh) * 2017-01-11 2020-06-09 吉林大学 一种足球训练装置
US10166453B1 (en) * 2017-07-31 2019-01-01 Rukket, LLC Sports ball rebounder net
CN107519631A (zh) * 2017-09-30 2017-12-29 青岛海硕钢塑制品有限公司 多位足球回球器
US20190336840A1 (en) * 2018-05-01 2019-11-07 Wilson Hunt International, Ltd. Pepper Rebound Screen
KR102021702B1 (ko) 2018-09-18 2019-09-16 최보라 축구공 슈팅 연습용 리바운드 넷
AU2020336465A1 (en) * 2019-08-28 2022-03-24 Implus Footcare, Llc Rebounding device for sports ball
USD1014631S1 (en) * 2020-07-23 2024-02-13 Lark Henders Yard game
EP3981479A1 (en) * 2020-10-07 2022-04-13 Matteo Del Curto Training device to simulate a goal
CN112742013A (zh) * 2020-12-15 2021-05-04 南昌工程学院 一种多用途传统武术用健身推桩
USD1008393S1 (en) * 2021-05-11 2023-12-19 Dechun Wang Football training rebound-wall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4816A (en) * 1960-03-21 1960-07-12 Jack R Dixon Recreational apparatus
BE633978A (ko) * 1962-06-22
US3427026A (en) * 1966-10-10 1969-02-11 Kenneth J Mahoney Projectile return apparatus
US3752476A (en) * 1970-07-29 1973-08-14 Mahoney Inc Projectile return apparatus
US3711092A (en) * 1971-02-23 1973-01-16 Whale Enterprises Inc Ball rebounding means
JPS5146120Y2 (ko) * 1973-03-30 1976-11-08
US3836144A (en) * 1973-11-12 1974-09-17 Mahoney Inc Portable projectile return apparatus
FR2446653A1 (fr) * 1979-01-19 1980-08-14 Cheftel Cyrille Appareil de sport et de jeu pour renvoi de ballons et medecine-balls
JPS5883975A (ja) * 1981-11-12 1983-05-19 渡辺 千鶴 テニス練習器
JPS5988174A (ja) * 1982-11-09 1984-05-22 謝 新「ぎ」 ボ−ル打撃練習用具
US4553751A (en) * 1984-11-02 1985-11-19 Ketchum John L Rebound apparatus
JPH02297385A (ja) * 1989-01-10 1990-12-07 Pan Pacific Kk 球技用具
JPH0380758U (ko) * 1989-12-07 1991-08-19
US5431411A (en) * 1994-10-03 1995-07-11 Padilla; Ronald G. Combination portable sports goal and pitch back assembly
US5556104A (en) * 1995-04-12 1996-09-17 Guillen, Jr.; Jose E. Soccer practice device
US5833234A (en) 1995-05-30 1998-11-10 Vavala; Ralph J. Rebounding apparatus
US5613922A (en) * 1995-08-07 1997-03-25 Hsiang; Hua-Lu Multipurpose athletic training apparatus
US5664784A (en) * 1996-02-27 1997-09-09 Goal Products, Inc. Rebound net system for sports balls
JPH09253259A (ja) * 1996-03-21 1997-09-30 Katsuyoshi Asahara 球技用ネット、屋外球技用ネット及び返球変化方法
US5934679A (en) * 1996-09-20 1999-08-10 Strain; Joseph W. Bounce back sports apparatus
JPH10118234A (ja) * 1996-10-17 1998-05-12 Umex:Kk 球技競技の練習用ゴール
US5772537A (en) 1997-02-04 1998-06-30 Happy Day Sports Company Device for returning a ball at a user determinable speed
US5807193A (en) * 1997-05-09 1998-09-15 Jas D. Easton, Inc. Adjustable ball backstop
US5938546A (en) * 1997-12-17 1999-08-17 Caruso; Anthony Apparatus for rebounding balls
US6209877B1 (en) * 1998-12-23 2001-04-03 Bruce D. Warnick Ball rebound device
US6402631B1 (en) * 1999-05-03 2002-06-11 Mary Jane Gembarowicz Swing set golf net and method for converting a swing set into a golf ball backsto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4291C (zh) 2006-05-03
ITOR20000003U1 (it) 2000-12-08
IT251317Y1 (it) 2003-11-19
US6935971B2 (en) 2005-08-30
KR100751625B1 (ko) 2007-08-22
US20040014537A1 (en) 2004-01-22
AU2001248734A1 (en) 2002-03-22
BR0113726A (pt) 2004-08-17
EP1322386A1 (en) 2003-07-02
CN1452504A (zh) 2003-10-29
CA2453145A1 (en) 2002-03-14
WO2002020099A1 (en) 2002-03-14
JP2004508112A (ja)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625B1 (ko) 볼 게임용 훈련 장치
US20220212078A1 (en) Ball return device and system
US6659892B2 (en) Kickback training goal
US20040242349A1 (en) Soccer practice cage
US4457513A (en) Rebound ball game and apparatus therefor
US6322461B1 (en) Baseball pitching target
US20040132558A1 (en) Multiple-plane or user-enclosing rebound surfaces for practicing soccer or other sports
US8216094B2 (en) Barrier ball game
US3540734A (en) Golfing target
US8827844B2 (en) Footballmaster
WO2007135456A1 (en) Target
US5346228A (en) Soccer goal and gaming apparatus
GB2307646A (en) Equipment for use in a ball game
US6991566B1 (en) Portable sports assembly
US20180126242A1 (en) An Improved Tee for Ball Sports
US202103085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eloping and improving place kicking skills in soccer goal kicking
CA2373866A1 (en) Goaltender training device
WO1996023553A1 (en) Apparatus for ball games
JPH0652862U (ja) 球技用練習用具
JPH01288280A (ja) 野球用の打撃練習装置
AU2015201197A1 (en) An improved tee for ball sports
JPH09669A (ja) 投球・捕球練習ボード
RU1836974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гры в настольный теннис
ITRM20030060U1 (it) Attrezzo da allenamento per giochi con la palla.
JPH0728579U (ja) マルチトレーナーゴ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