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3553A -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 및 그 대책을 시행한정보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 및 그 대책을 시행한정보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3553A
KR20030043553A KR1020010080710A KR20010080710A KR20030043553A KR 20030043553 A KR20030043553 A KR 20030043553A KR 1020010080710 A KR1020010080710 A KR 1020010080710A KR 20010080710 A KR20010080710 A KR 20010080710A KR 20030043553 A KR20030043553 A KR 20030043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y valu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capacity
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0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야마나리카즈
Original Assignee
(주)홈즈커뮤니케이션
이디 콘트라이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홈즈커뮤니케이션, 이디 콘트라이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홈즈커뮤니케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4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5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57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 G11B20/0061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said format change concerning the logical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e.g. the structure of sectors, blocks, o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정복사를 행해도, 그 복사품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정보기록매체(15)의 정상부분이 복사처 정보기록매체(16)에 복사될 경우에, 동시에 정상기록용량치(Ch)가 복사처 정보기록매체(16)에 설치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8b)에 기입되는 구조에 적합하도록, 정보기록매체(15)에 설치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8a)에 정상기록용량치(Ch) 이외의 고유정보(M)를 기록해 둠과 더불어, 고유정보(M)와 동일한 내용의 기준정보를 정보기록매체(15)의 영역(29)에 기록해 두고, 더욱이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된 정보와 기준정보를 독출하여 비교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부정복사된 것으로 판정하는 검사프로그램(30)을 정보기록매체(15)에 기록해 두고, 복사된 정보기록매체(16)를 이 검사프로그램(30)을 이용하여 판정한다.

Description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 및 그 대책을 시행한 정보기록매체{A METHOD FOR PROTECTING USE OF ILLEGAL COPYED RECORDING MEDIA AND AN INFORMATION RECORDING MEDIA PERFORMED COUNTERMEASURE THEREOF}
본 발명은,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 및 그 대책을 시행한 정보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콤팩트디스크(이하, CD라 칭함) 등의 정보기록매체를 대상으로 한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 및 그 대책을 시행한 정보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게임 등의 프로그램은, 전문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간과 비용을 들여 개발되고 있으며, 그 저작권은 법적으로도 보호되고 있다. 이 게임 등의 프로그램이기록된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등의 기록매체는, 일반적으로 유상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대가를 지불함으로써 입수된 CD-ROM 등의 기록매체의 사용에 대해서는, 그 기록매체 그 물건만을 사용하는 한 하등의 문제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 사용자에 의한 기록이 가능한 CD-R(Compact Disk-Recordable) 등의 기록매체에, 이 CD-ROM의 내용을 복사하여 사용하는 부정사용이 행해지고 있으며, 악질인 경우는, 1매의 CD-ROM으로부터 여러매의 CD-R에 복사하여 사용하는 등, 저작권의 보호가 소홀해지고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복사를 방지하기 위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231759호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 등, 많은 기술이 개발되어 실용화 되고 있다.
그런데, CD-ROM의 재생에는, CD-ROM 드라이브가 접속된 퍼스널컴퓨터 등이 이용되고, CD-ROM으로부터 CD-R로의 부정복사는, CD-ROM 드라이브와 CD-R 드라이브가 접속된 퍼스널컴퓨터 등이 이용된다. 도 7은, 이와 같은 퍼스널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있어서, 1은 중앙처리부(CPU), 2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3은 입력제어부, 4는 출력제어부, 5는 키보드, 6은 CD-ROM 드라이브, 7은 CD-R 드라이브, 그리고 8은 디스플레이(CRT)이다.
상술한 부정복사를 방지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이들 CD-ROM 드라이브나 CD-R 드라이브를 접속한 퍼스널컴퓨터 등에서는 독출불가능한 불량부분을 CD-ROM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불량부분이라는 것은, 정보기록매체의 규격으로 정해진 물리특성으로부터 벗어난 결함, 오염, 변질 등의 문자 그대로의 불량뿐만 아니라, 그 부분의 독출신호레벨이 저하된 것이나, 기록된 물리포맷이나 논리포맷이 규격과 다른 것, 또는 기록된 파일형식이 소정의 종류의 것과는 다른 것 등을 더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고, 상기 퍼스널컴퓨터 등으로 정상적으로 독출할 수 없는 것은 모두, 이 불량부분의 개념에 포함된다. 도 8의 (a)는 이와 같은 불량부분(43)을 설치한 정식으로 제작된 CD-ROM(31)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 정보의 일부에는 불량부분을 회피하는 프로그램(41)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예에서는 그 프로그램은 동 도면에 나타낸 불량부분(43)의 직전인 n번지(42)로부터 불량부분(43)의 직후인 n+1번지(44)로 점프하는 내용을 갖고 있다.
이 정식으로 제작된 CD-ROM(31)을 도 7의 퍼스널컴퓨터로 독출, 실행시키면, 불량부분을 회피하는 프로그램(41)에 의해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러면, 이 CD-ROM(31)을 도 7의 퍼스널컴퓨터를 이용하여 CD-R에 복사하면 어떻게 될까. 이와 같은 복사에는, 통상 도 7의 퍼스널컴퓨터 등에 인스톨된 복사도구 소프트웨어가 이용된다. 이 복사도구 소프트웨어는, CD-ROM(31)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하여 CD-R에 기입하는데, CD-ROM(31)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프로그램이든 데이터이든 상관하지 않고 모두 데이터로 취급한다. 그 때문에, 퍼스널컴퓨터는 상기의 불량부분(43)을 독출하려 하지만, 불량부분(43)은 독출되지 않기 때문에, 에러로 되어, CD-ROM(31)의 독출을 중지하기 때문에, CD-R로의 기입은 불가능해지고, 따라서 CD-R로의 복사가 방지된다.
그렇지만, 이 CD-ROM(31)으로부터 CD-R로의 복사시, 독출불가능한 불량부분은 무시하고, 정상적으로 독출할 수 있는 부분만 복사하는 등, 부정복사를 행하는 방법이 생각되어지고 있다. 도 8의 (b)는, 이렇게 하여 복사원인 상기 예의 CD-ROM(31)의 정보가 복사처인 CD-R(32)에 복사된 경우의, 이 CD-R(32)의 정보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서, 이 CD-R(32)은 불량부분(43)을 갖지 않았지만, 불량부분을 회피하는 프로그램(41)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독출,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CD-ROM으로부터 CD-R로의 부정복사를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은 곤란해지고 있다. 그래서, 발상을 전환하여, 거짓으로 부정으로 복사되어도, 이 부정복사에 의해 만들어져 나온 복사품을 사용할 수 없게 하면, 부정복사가 의미를 갖지 못하게 되어, 최종적으로는 사용자가 부정복사를 하지 못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CD-ROM으로부터 CD-R로 부정복사를 행해도, 이 부정복사에 의해 만들어져 나온 복사품의 CD-R을 사용할 수 없게 하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 및 그 대책을 시행한 정보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a)는 정식으로 제작된 CD-ROM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도, (b)는 복사된 CD-R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도,
도 2는 제1실시예의 검사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a)는 정식으로 제작된 CD-ROM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도, (b)는 복사된 CD-R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도,
도 4는 제2실시예의 검사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a)는 정식으로 제작된 CD-ROM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도, (b)는 복사된 CD-R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도,
도 6은 제3실시예의 검사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CD-ROM의 실행이나, CD-ROM으로부터 CD-R로의 부정복사에 이용되는 퍼스널컴퓨터의 구성도,
도 8은 종래예에 있어서의, (a)는 정식으로 제작된 CD-ROM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도, (b)는 복사된 CD-R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부(CPU), 2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3 --- 입력제어부, 4 --- 출력제어부,
5 --- 키보드, 6 --- CD-ROM 드라이브,
7 --- CD-R 드라이브, 8 --- 디스플레이(CRT),
11,13,15,31 --- 정식으로 제작된 CD-ROM,
12,14,16,32 --- 복사처의 CD-R,
20a,20b,28a,28b --- 기록용량치 보존영역,
21,29 --- 기준정보 보존영역, 22,30 --- 검사프로그램,
23,41 --- 불량부분 회피프로그램, 24,42 --- n번지,
25,43 --- 불량부분, 26,44 --- n+1번지,
27 --- 실증기록용량치 생성프로그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보기록매체인 CD-ROM이나 CD-R, CD-RW 등의 CD에 대해서는 규격이 마련되어 있으며, CD-ROM으로의 정보의 기록은, 이 규격에 기초하여 행해지고 있다. 이 규격에서는, CD-ROM의 소정의위치에, 이 CD-ROM에 기록된 정보의 전(全)기록용량치를 수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는, 미기입의 CD-R에 정보를 기입할 경우에도 적용되고, 상술한 복사도구 소프트웨어도 일반적으로는 이 구조를 이용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CD-ROM으로부터 CD-R로 부정하게 복사될 경우에, CD-R의 CD-ROM과 공통의 소정의 위치에, CD-R에 복사되는 정보의 전기록용량치가 기입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정식의 CD-ROM의 해당 소정의 위치에는, 본래 이 전기록용량치가 수용되는 위치를, 예외적으로, 이 전기록용량치 이외의 고유정보를 기록해 두고, 정식의 CD-ROM 또는 이 CD-ROM으로부터 복사된 CD-R의 사용시에, 해당 소정의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하여, 이 정보가 상기의 고유정보인지 아닌지를 검사함으로써, 부정복사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은, 적어도 부정복사가 행해지는 컴퓨터의 가동환경하에서 동작하는 독출부에서 독출할 수 있는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이 상기의 가동환경하에서 동작하는 기입부에서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에 복사될 경우에, 동시에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가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에 설치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입되는 구조에 적합하도록,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와 마찬가지로 정보기록매체에 설치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정상기록용량치 이외의 고유정보를 기록해 둔다. 또한, 이 고유정보와 동일한 내용의 기준정보를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에 기록해 두고, 더욱이 정보기록매체에 설치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된 정보와, 기준정보를 정보기록매체의 사용시에 독출하여 비교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부정복사된 것으로 판정하는 검사프로그램을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에 기록해 둔다. 그리고, 복사시에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에 복사되어 있는 검사프로그램이,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의 사용시에 판정을 행한다. 본 발명의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은 이와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상기의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에 의하면, 정보기록매체가 사용될 경우에,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기준정보가 독출되어 비교된다. 이 때, 정보기록매체가 정식인 것이면,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는 고유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 고유정보와 기준정보는 동일한 내용이기 때문에,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기준정보와의 불일치는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정보기록매체가 부정복사된 것이면,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이다. 그래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기준정보를 비교하면, 기준정보는 고유정보와 동일한 내용이고, 이 고유정보는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 이외의 정보이며,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와는 다른 정보이기 때문에,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기준정보는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정복사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의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에 있어서, 정보기록매체에 불량부분을 설치함과 더불어, 고유정보와 기준정보에, 이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와 불량부분의 용량치인 불량기록용량치를 합산한 합계기록용량치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즉, 상기의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에 있어서, 독출부에서 정상적으로 독출할 수 없는 불량부분을, 정보기록매체에 구비시켜 두고, 이 불량부분의 용량치인 불량기록용량치와,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를 합산한 합계기록용량치를 고유정보로 함과 더불어, 이 합계기록용량치를 기준정보로 하여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을 구성한다.
상기의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에서는, 정보기록매체가 사용될 경우에,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기준정보가 독출되어 비교된다. 이 때, 정보기록매체가 정식인 것이면,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는 정보기록매체의 불량부분의 용량치인 불량기록용량치와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를 합산한 합계기록용량치가 기록되어 있으며, 기준정보에도 이 합계기록용량치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기준정보와의 불일치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부정복사된 것이 아닌, 즉 정식의 정보기록매체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정식의 정보기록매체를 부정하게 복사하려고 해도, 이것에는 불량부분이 구비되어 있어, 일반적으로는 부정복사시에 불량부분은 독출하지 않기 때문에, 에러로 되어 부정복사가 방지된다.
그러나, 무엇인가의 수단으로, 부정복사가 행해진 경우, 이 부정복사된 정보기록매체가 사용될 경우에,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기준정보가 독출되어 비교된다. 그러나, 정보기록매체가 복사된 것이기 때문에,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불량부분의 용량치를 포함하지 않은 정상부분만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 기준정보는 불량기록용량치와 정상기록용량치를 합산한 합계기록용량치이기 때문에,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기준정보와의 불일치가 생겨, 부정복사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상기의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에 있어서, 기준정보 대신에, 실제로,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의 전(全)용량인 정상기록용량치를 조사하고, 그 결과에 불량기록용량치를 더한 실증기록용량치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즉, 상기의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에 있어서, 정보기록매체의 사용시에,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을 실제로 독출하여 정상기록용량치를 조사하고, 이 정상기록용량치와 불량기록용량치를 합산하여 실증기록용량치를 생성하는 실증기록용량치 생성프로그램을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에 기록해 둠과 더불어, 기준정보 대신에, 실증기록용량치 생성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실증기록용량치를 이용하여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을 구성한다.
이 방법은, 실제로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을 독출하여 그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실증기록용량치를 기준정보 대신에 이용하는 점이 다를 뿐, 그 외에는 상기의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과 동일하다. 그리고, 실증기록용량치의 내용은, 정상기록용량치와 불량기록용량치를 합산한 합계기록용량치와 동일하고, 기준정보와 동일한 내용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의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의 각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의 내용을 갖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 대책을 시행한 정보기록매체를 제작할 수 있다. 이들의 정보기록매체는, 다음과 같은 것이다.
우선, 적어도 부정복사가 행해지는 컴퓨터의 가동환경하에서 동작하는 독출부에서 독출할 수 있는 정상부분이 설치된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정상부분이 가동환경하에서 동작하는 기입부에서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에 복사될 경우에, 동시에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가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에 설치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입되는 구조에 적합하도록,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와 마찬가지로 자신에 설치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정상기록용량치 이외의 고유정보가 기록되어 있음과 더불어, 고유정보와 동일한 내용의 기준정보가 자신의 정상부분에 기록되어 있으며, 더욱이 자신에 설치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기준정보를 자신이 사용될 경우에 독출하여 비교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부정복사된 것으로 판정하는 검사프로그램이 자신의 정상부분에 기록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 대책을 시행한 정보기록매체이다.
또한, 상기의 독출부에서 정상적으로 독출할 수 없는 불량부분이 구비되어 있으며, 불량부분의 용량치인 불량기록용량치와,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를 합산한 합계기록용량치가 고유정보로 이용됨과 더불어, 이 합계기록용량치가 기준정보로 이용되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 대책을 시행한 정보기록매체로 해도 된다.
또는, 자신이 사용될 경우에 정상부분을 독출하여 정상기록용량치를 조사하고, 이 정상기록용량치와 불량기록용량치를 합산하여 실증기록용량치를 생성하는 실증기록용량치 생성프로그램이 자신의 정상부분에 기록되어 있음과 더불어, 기준정보 대신에, 실증기록용량치 생성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실증기록용량치가 사용되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 대책을 시행한 정보기록매체로 해도 된다.
더욱이, 이들 정보기록매체를, FD, CD, CD-ROM, CD-R, CD-RW, DVD, DVD-R, DVD-RW, DVD-RAM, MO, MD, HDD, 반도체로 이루어진 기록매체, 또는 컴퓨터 내에 가상적으로 구성된 이들 디바이스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이들의 정보기록매체는, 그 사용시에는 상술한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이 갖는 효과를 갖는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정보기록매체인 CD-ROM에 불량부분을 설치함과 더불어, 이 CD-ROM의 기록용량치를 이용한 검사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를 도모한 것이다. 또한, 제3실시예는, CD-ROM에 불량부분을 설치하지 않고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를 도모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CD-ROM의 재생에는, CD-ROM 드라이브가 접속된 퍼스널컴퓨터 등이 이용되고, CD-ROM으로부터 CD-R로의 부정복사는 CD-ROM 드라이브와 CD-R 드라이브가 접속된 퍼스널컴퓨터 등이 이용된다. 도 7은, 이와 같은 퍼스널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예에 있어서도, CD-ROM의 실행이나, CD-ROM으로부터 CD-R로의 부정복사에는, 도 7의 구성의 퍼스널컴퓨터를 사용한다.
도 1의 (a)는, 제1실시예에 사용되는 정식으로 제작된 CD-ROM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정식으로 제작된 CD-ROM은, 부정복사될 경우의 복사원으로 된다. 도 1의 (a)에 있어서, 11은 이 정식으로 제작된 CD-ROM, 20a는 기록용량치 보존영역, 21은 기준정보 보존영역, 22는 검사프로그램, 23은 불량부분 회피프로그램, 24는 이 CD-ROM(11)의 n번지, 25는 불량부분, 26은 이 CD-ROM(11)의 n+1번지이다. 그리고, 이들의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0a), 기준정보 보존영역(21), 검사프로그램(22), 불량부분 회피프로그램(23), 불량부분(25) 이외의 부분에, 이 CD-ROM(11)의 주프로그램(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기록되어 있다.
불량부분(25)은, 상술한 바와 같이, CD의 규격으로 정해진 물리특성으로부터 벗어난 결함, 오염, 변질 등의 문자 그대로의 불량뿐만 아니라, 그 부분의 독출신호레벨이 저하된 것이나, 기록된 물리포맷이나 논리포맷이 규격과 다른 것, 또는 기록된 파일형식이 소정의 종류의 것과는 다른 것 등을 더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고, 상기의 퍼스널컴퓨터 등으로 정상적으로 독출할 수 없는 것은 모두, 이 불량부분의 개념에 포함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이 불량부분(25)으로서는 무엇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무기록부분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불량부분(25)의 직전은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1)의 n번지이고, 불량부분(25)의 직후는 이 CD-ROM(11)의 n+1번지이다. 이 CD-ROM(11)이 독출, 실행될 경우에는, 불량부분(25)을 독출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불량부분 회피프로그램(23)은 이 불량부분(25)을 회피하기 위한 프로그램이고, 이 CD-ROM(11)의 n번지로부터 n+1번지로의 점프명령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불량부분 회피프로그램(23)은, 주프로그램 실행시에 이용된다.
도 1의 (a)에 있어서, C1은 이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1)에 기록되어 있는정보의 선두로부터 불량부분의 직전까지의 기록용량치이고, C2는 불량부분의 기록용량치, 즉 불량부분(25)에 정상적인 정보를 기록한 경우의 그 기록용량치이고, 그리고 C3은 불량부분의 직후로부터 이 CD-ROM(11)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말미까지의 기록용량치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이 CD-ROM(11)의 불량부분을 포함하지 않은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 Cr=C1+C3이고, 불량부분의 불량기록용량치 Cw=C2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정보기록매체인 CD-ROM(11)이나 CD-R, CD-RW 등의 CD에 대해서는 규격이 마련되어 있으며, CD-ROM(11)으로의 정보의 기록은, 이 규격에 기초하여 행해지고 있다. 이 규격에서는, CD-ROM(11)의 소정의 위치에, 이 CD-ROM(11)에 기록된 정보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를 수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것은, CD-ROM(11) 이외의 CD-R, CD-RW 등의 CD 전반에 적용되고 있다. 도 1의 상술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0a)은, 이 소정의 위치에 상당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이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0a)에는, 이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1)의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Cr)와, 불량부분의 불량기록용량치(Cw)를 합산한 합계기록용량치 Ct=Cr+Cw=C1+C2+C3가 기록되어 있다.
검사프로그램은(22)은, 이 검사프로그램(22)이 기록되어 있는 정보기록매체가, 부정하게 복사된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즉, 기준정보 보존영역(21)에는, 비교기준으로서 이용되는 기준정보로서, 상기의 합계기록용량치(Ct)가 기록되어 있으며, 검사프로그램(22)은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0a)에 기록되어 있는 값과 이 합계기록용량치(Ct)를 독출하여 비교하고,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면 부정복사된 것으로 판정하는 알고리즘을 갖추고 있다. 이 검사프로그램(22)은, 이것이 기록되어 있는 정보기록매체의 독출, 실행시에 주프로그램의 실행에 앞서서 실행된다.
상기의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1)은 그 독출, 실행시에는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다음에, 이 점에 대해 검토한다. 상기의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1)을 도 7의 퍼스널컴퓨터로 독출, 실행하면, 최초에 검사프로그램(22)이 실행된다. 도 2는, 이 검사프로그램(22)에 의한 검사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검사프로그램(22)은, 최초에 이 검사프로그램(22)이 기록되어 있는 매체, 즉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1)의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0a)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한다(S1). 다음에,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Cr)와, 불량부분의 불량기록용량치(Cw)를 합산한 합계기록용량치(Ct)가 기준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기준정보 보존영역(21)으로부터, 이 합계기록용량치(Ct)를 독출한다(S2A). 그리고, 이 독출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0a)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합계기록용량치(Ct)를 비교한다(S3A).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0a)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합계기록용량치(Ct)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의 결과 불일치는 생기지 않는다(S4). 그래서, 검사프로그램(22)은, 이 CD-ROM(11)이 부정복사된 것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S5). 그래서, 다음에 주프로그램의 실행을 행하는데, 이 경우에는 불량부분 회피프로그램(23)이 작용하기 때문에, 불량부분(25)이 독출되지 않고, 주프로그램의 실행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의 퍼스널컴퓨터와 거기에 인스톨된 복사도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상기의 정식으로 제작된 복사원으로 되는 CD-ROM(11)으로부터 복사처의 CD-R로의 복사에 대해 검토한다. 이 복사는, 도 7의 퍼스널컴퓨터의 CD-ROM 드라이브(6)에 상기의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1)을 장전하고, CD-R 드라이브(7)에 미기입만의 CD-R을 장전하여 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복사에 이용되는 복사도구 소프트웨어는, CD-ROM(11)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하여 CD-R에 기입하는데, CD-ROM(11)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프로그램이든 데이터이든 모두 데이터로 취급한다. 그 때문에, 도 7의 퍼스널컴퓨터는 먼저 CD-ROM(11)의 정보를 독출하지만, 이 CD-ROM(11)에는 무기록부분인 불량부분(25)이 존재하고, 도 7의 퍼스널컴퓨터는 이 불량부분을 독출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에러로 되어, 독출을 중지하기 때문에, CD-R로의 기입은 불가능해진다. 즉, 부정복사는 불가능해진다.
통상은, 상기와 같이 CD-R로의 기입은 불가능할 터이지만, 복사도구 소프트웨어에 손을 보는 등, 독출불가능한 불량부분은 무시하고, 정상적으로 독출할 수 있는 부분만 복사하도록 한 것이 출현하고 있다. 이 경우는 CD-R로의 복사가 행해지게 된다. 도 1의 (b)는, 이렇게 하여 복사된 CD-R의 정보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b)에 있어서, 12는 복사된 CD-R이다. 도 1의 (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1)의 불량부분(25)을 무시하여 복사되어 있기 때문에, 복사된 CD-R(12)에는 이 불량부분이 탈락되어 있다. 또한, CD-R(12)로의 기록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CD-R(12)의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0b)에,이 CD-R(12)에 기록되는 정보의 전기록용량치를 수용하는데, 이 경우 CD-ROM(11)으로부터 독출할 수 없는 불량부분의 불량기록용량치(Cw)는 파악불가능하고, 정상적으로 독출된 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Cr)만이 파악된다. 따라서, CD-R(12)에 기록되는 정보의 전기록용량치 Cg=Cr=C1+C3이 CD-R(12)의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0b)에 수용되어 있다.
다음에,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1)으로부터 복사된 상기의 CD-R(12)이 독출, 실행가능한지 아닌지에 대해 검토한다. 상기의 CD-R(12)을 도 6의 퍼스널컴퓨터로 독출, 실행하면, 최초에 상술한 도 1의 (b)의 검사프로그램(22)이 실행되고, 이 CD-R(12)의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0b)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한다(S1). 다음에, 기준정보 보존영역(21)에 기록되어 있는 기준정보인 합계기록용량치(Ct)를 독출하고(S2A),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0b)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한다(S3A).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0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CD-R(12)에 기록된 정보의 전기록용량치(Cg)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 Cg는 정상기록용량치(Cr)와 동일하기 때문에 합계기록용량치(Ct)와는 다르기 때문에, 비교의 결과 불일치가 생긴다(S4). 그래서, 검사프로그램(22)은 이 CD-R이 부정복사된 것으로 판정한다(S6). 따라서, 이 CD-R(12)의 사용을 저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는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3)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고, 또한 도 3의 (b)는 이 CD-ROM(13)으로부터 부정하게 복사된 CD-R(14)의 정보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a)에 있어서,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 사용된 기준정보 보존영역 대신에, 실증기록용량치 생성프로그램(27)이 CD-ROM(13)에 기록되어 있는데, 이 외의 부분은 제1실시예의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1)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모두 동일하다. 도 4는, 제2실시예에서의 검사프로그램(22) 및 실증기록용량치 생성프로그램(27)에 의한 검사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서, 검사프로그램(22)은 최초에 이 검사프로그램(22)이 기록되어 있는 매체인 CD-ROM 13(또는, CD-R 14)의 기록용량치 보존영역 20a(20b)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한다(S1). 다음에, 이 검사프로그램(22)이 기록되어 있는 매체의 전기록용량인 정상기록용량치를 독자적으로 조사하고, 이 조사된 값에 불량기록용량치(Cw)를 합산하여 실증기록용량치(Ce)를 구한다(S2B). 그리고, 합산된 실증기록용량치(Ce)와 기록용량치 보존영역 20a(20b)에 기록되어 있는 값을 비교한다(S3B). 그 후의 처리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러면,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1)의 경우도, 이 CD-ROM(11)으로부터 복사된 CD-R(12)의 경우도, 정상으로 독출할 수 있는 부분으로부터 전기록용량치를 파악하기 때문에, 이 값은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1)의 불량부분을 포함하지 않은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Cr)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실증기록용량치 Ce=Cr+Cw=C1+C2+C3로 되어, Ct와 동일하게 된다. 그 결과, 제2실시예에서의 작용은, 제1실시예와 모두 동일해진다. 따라서, 그 효과도 제1실시예와 모두 동일하게 된다.
다음에,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a)는, 제3실시예에 사용되는 정식으로 제작된 CD-ROM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의(a)에 있어서, 15는 이 정식으로 제작된 CD-ROM, 28a는 기록용량치 보존영역, 29는 기준정보 보존영역, 30은 검사프로그램이다. 이 CD-ROM(15)에는, 제1실시예의 CD-ROM(11)이나 제2실시예의 CD-ROM(13)에 구비되어 있던 불량부분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모두 정상부분이고, 그 전기록용량은 제1실시예의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인 정상기록용량치(Cr)와 동일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8a), 기준정보 보존영역(29), 검사프로그램(30) 이외의 부분에, 이 CD-ROM(15)의 주프로그램(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기록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서는,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5)의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8a)에는, 이 CD-ROM(15)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Cr) 이외의 고유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이 고유정보로서는, CD-ROM(15)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Cr) 이외이면 어떠한 정보여도 좋고, 예컨대 알파벳이나 숫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제3실시예에서는 고유정보로서 알파벳의 M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기준정보 보존영역(29)에는 기준정보가 기록되는데, 이 기준정보의 내용은 고유정보와 모두 동일하고, 알파벳의 M이다.
상기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5)을 도 7의 퍼스널컴퓨터로 독출하여, 실행하면, 최초에 검사프로그램(30)이 실행된다. 도 6은, 이 검사프로그램(30)에 의한 검사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에 있어서, 검사프로그램(30)은, 최초에 이 검사프로그램(30)이 기록되어 있는 매체, 즉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5)의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8a)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한다(S1). 다음에, 기준정보 보존영역(29)에 기록되어 있는 기준정보를 독출한다(S2C). 그리고, 이 독출된기록용량치 보존영역(28a)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기준정보를 비교한다(S3C). CD-ROM(15)에서는,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8a)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고유정보로 알파벳의 M이다. 또한, 기준정보는 고유정보와 동일한 내용으로, 동일하게 알파벳의 M이기 때문에, 비교의 결과 불일치는 생기지 않는다(S4). 그래서, 검사프로그램(22)은, 이 CD-ROM(15)이 부정복사된 것은 아닌 것으로 판정한다(S5). 그래서, 주프로그램의 실행을 허용한다.
다음에, 이 정식으로 제작된 CD-ROM(15)을, 도 7의 퍼스널컴퓨터와 거기에 인스톨된 복사도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CD-R에 복사하면, CD-ROM(15)에는 불량부분이 없기 때문에 복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복사시에, 복사처의 CD-R의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는, 이 CD-R에 기록되는 정보의 전기록용량치(Ch)를 수용한다. 도 5의 (b)는, 이 복사된 CD-R(16)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8b)에는, CD-R(16)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전기록용량치(Ch)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CD-ROM(15)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Cr)와 모두 동일하다.
다음에, 상기의 복사된 CD-R(16)이 독출하여, 실행가능한지 아닌지에 대해 검토한다. 상기의 CD-R(16)을 도 7의 퍼스널컴퓨터로 독출하여, 실행하면, 도 6에서 최초에 상술한 도 5의 (b)의 검사프로그램(30)이 실행되고, 이 CD-R(16)의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8b)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독출한다(S1). 다음에, 기준정보 보존영역(21)에 기록되어 있는 기준정보를 독출하고(S2C), 기록용량치 보존영역(28b)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기준정보를 비교한다(S3C). 기록용량치보존영역(28b)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CD-R(16)에 기록된 정보의 전기록용량치(Ch), 즉 CD-ROM(15)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Cr)이다. 이에 대해, 기준정보는 알파벳의 M이기 때문에, 비교의 결과 불일치가 생긴다(S4). 그래서, 검사프로그램(22)은 이 CD-R이 부정복사된 것으로 판정한다(S6). 따라서, 이 CD-R(16)의 사용을 저지할 수 있다.
상기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하는 고유정보로서는 어떠한 정보를 이용해도 좋지만, CD-ROM(15)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를 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정식으로 제작된 CD-ROM으로부터 복사된 CD-R의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는, CD-ROM의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가 수용되기 때문에, 고유정보로서 정상기록용량치를 이용하면, 부정하게 복사된 경우에, 이 부정하게 복사된 CD-R의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기준정보의 비교를 행해도 불일치 되지 않아, 판정에 오류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CD-ROM이나 CD-R 등의 CD를 정보기록매체로 이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정보기록매체의 규격으로서, 또는 그 정보기록매체에 적용하는 공통의 룰로서, 그 정보기록매체의 소정의 위치에, 그 정보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의 전기록용량치를 수용하는 규정이 존재하는 정보기록매체이면, 어떠한 정보기록매체에도 상기의 실시예의 내용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정보기록매체로서는, CD-ROM, CD-R 이외에 FD, CD-RW, DVD, DVD-R, DVD-RW, DVD-RAM, MO, MD, HDD, 반도체로 이루어진 기록매체, 또는 컴퓨터 내에 가상적으로 구성된 이들의 디바이스 등이 고려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 대책을 시행한, 상기와 같은 정보기록매체의 제작이 가능하고, 이들의 정보기록매체는, 그 사용시에는, 상술한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이 갖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정보기록매체의 독출시에,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수용된 값과, 합계기록용량치와의 조합이 행해진다. 이 때, 정보기록매체가 정식인 것이면,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는 합계기록용량치가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수용된 값과, 합계기록용량치와의 불일치는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정보기록매체가 부정복사된 것이면,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수용된 값은 불량부분의 용량치를 없앤 정상부분만의 정상기록용량치이고,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수용된 값과 합계기록용량치와의 불일치가 생겨, 부정복사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수용되어 있는 값을 이용하는 대신에, 실제로 정보기록매체의 전기록용량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는 점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다를 뿐,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합계기록용량치 대신 고유정보를 이용한 점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다를 뿐이고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청구항 3 내지 7에 기재된 발명의 정보기록매체에는,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발명의 내용을 갖는 대책을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그 사용시에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적어도 부정복사가 행해지는 컴퓨터의 가동환경하에서 동작하는 독출부에서 독출할 수 있는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이 상기 가동환경하에서 동작하는 기입부에서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에 복사될 경우에, 동시에 상기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가 상기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에 설치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입되는 구조에 적합하도록, 상기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설치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상기 정상기록용량치 이외의 고유정보를 기록해 둠과 더불어,
    상기 고유정보와 동일한 내용의 기준정보를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에 기록해 두고, 더욱이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설치된 상기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된 정보와, 상기 기준정보를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사용시에 독출하여 비교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부정복사된 것으로 판정하는 검사프로그램을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에 기록해 두며,
    상기 복사시에 상기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에 복사되어 있는 상기 검사프로그램이, 상기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의 사용시에, 상기 판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부에서 정상적으로 독출할 수 없는 불량부분을 상기 정보기록매체에 구비시켜 두고,
    상기 불량부분의 용량치인 불량기록용량치와,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를 합산한 합계기록용량치를 상기 고유정보로 함과 더불어, 이 합계기록용량치를 상기 기준정보로 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사용시에,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을 독출하여 상기 정상기록용량치를 조사하고, 이 정상기록용량치와 상기 불량기록용량치를 합산하여 실증기록용량치를 생성하는 실증기록용량치 생성프로그램을 상기 정보기록매체의 정상부분에 기록해 둠과 더불어,
    상기 기준정보 대신에, 상기 실증기록용량치 생성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실증기록용량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
  4. 적어도 부정복사가 행해지는 컴퓨터의 가동환경하에서 동작하는 독출부에서 독출할 수 있는 정상부분이 설치된 정보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상부분이 상기 가동환경하에서 동작하는 기입부에서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에 복사될 경우에, 동시에 상기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가 상기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에 설치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입되는 구조에 적합하도록, 상기 복사처 정보기록매체와 마찬가지로 자신에 설치된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상기 정상기록용량치 이외의 고유정보가 기록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고유정보와 동일한 내용의 기준정보가 자신의 정상부분에 기록되어 있으며, 더욱이
    자신에 설치된 상기 기록용량치 보존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와, 상기 기준정보를 자신이 사용될 때에 독출하여 비교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부정복사된 것으로 판정하는 검사프로그램이, 자신의 정상부분에 기록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 대책을 시행한 정보기록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부에서 정상적으로 독출할 수 없는 불량부분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불량부분의 용량치인 불량기록용량치와, 상기 정상부분의 전기록용량치인 정상기록용량치를 합산한 합계기록용량치가 상기 고유정보로 이용됨과 더불어,
    상기 합계기록용량치가 상기 기준정보로 이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 대책을 시행한 정보기록매체.
  6. 제5항에 있어서, 자신이 사용될 때에 상기 정상부분을 독출하여 상기 정상기록용량치를 조사하고, 이 정상기록용량치와 상기 불량기록용량치를 합산하여 실증기록용량치를 생성하는 실증기록용량치 생성프로그램이 자신의 상기 정상부분에 기록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기준정보 대신에, 상기 실증기록용량치 생성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실증기록용량치가 사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 대책을 시행한 정보기록매체.
  7. 제4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FD, CD, CD-ROM, CD-R, CD-RW, DVD, DVD-R, DVD-RW, DVD-RAM, MO, MD, HDD, 반도체로 이루어진 기록매체, 또는 컴퓨터 내에 가상적으로 구성된 이들의 디바이스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 대책을 시행한 정보기록매체.
KR1020010080710A 2001-11-27 2001-12-18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 및 그 대책을 시행한정보기록매체 KR200300435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60830A JP2003162864A (ja) 2001-11-27 2001-11-27 不正コピー記録媒体使用防止方法及びその対策を施した情報記録媒体
JPJP-P-2001-00360830 2001-1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553A true KR20030043553A (ko) 2003-06-02

Family

ID=1917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0710A KR20030043553A (ko) 2001-11-27 2001-12-18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 및 그 대책을 시행한정보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162864A (ko)
KR (1) KR20030043553A (ko)
AU (1) AU2002225405A1 (ko)
WO (1) WO20030469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6375A1 (ja) * 2005-10-20 2007-04-26 Pioneer Corporation 情報記録媒体、データ構造およびデータ再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8454A (ja) * 1996-10-21 1998-07-21 Fujitsu Ltd 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再生方法,その真偽判定方法及びその記録再生装置
KR20000066819A (ko) * 1999-04-21 2000-11-15 윤종용 디지털기록매체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디지털기록매체
KR100283247B1 (ko) * 1998-08-22 2001-03-02 구자홍 광기록매체의 진본감지/복제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100304406B1 (ko) * 1998-08-11 2001-11-30 구자홍 진본판별이가능한광저장매체와이의제작및판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5989B2 (ja) * 1992-03-18 1997-01-29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コピー防止方法及び装置
JPH08153331A (ja) * 1994-09-29 1996-06-11 Applics:Kk コピーcd−rom判別方法および装置
JP3449804B2 (ja) * 1994-10-31 2003-09-22 株式会社ソニー・ディスクテクノロジー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再生方法及びデータの記録媒体
JP3257579B2 (ja) * 1994-11-28 2002-02-1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及びそのチェック装置
JPH09128301A (ja) * 1995-10-30 1997-05-16 Sharp Corp 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11296980A (ja) * 1998-04-09 1999-10-29 Victor Co Of Japan Ltd 光ディスクの複製防止方法及び光ディスク
JP2001155423A (ja) * 1999-11-26 2001-06-08 Toshiba Emi Ltd 不正コピー防止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8454A (ja) * 1996-10-21 1998-07-21 Fujitsu Ltd 情報記録媒体並びにその再生方法,その真偽判定方法及びその記録再生装置
KR100304406B1 (ko) * 1998-08-11 2001-11-30 구자홍 진본판별이가능한광저장매체와이의제작및판별방법
KR100283247B1 (ko) * 1998-08-22 2001-03-02 구자홍 광기록매체의 진본감지/복제방지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66819A (ko) * 1999-04-21 2000-11-15 윤종용 디지털기록매체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디지털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46910A1 (fr) 2003-06-05
JP2003162864A (ja) 2003-06-06
AU2002225405A1 (en) 2003-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3731B2 (en) Recordable optical disk
US6738331B2 (en) Copy-protected optical disk and protection process for such disk
JP2575988B2 (ja) 光ディスクのコピー防止方法、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装置
JPH05266576A (ja) 光ディスクのコピー防止方法及び装置
US6029259A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digital optical media
US7562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authentication
JP2682439B2 (ja) データの不正複写防止方法及び不正複写防止機能を有する情報記録制御装置
US20030145181A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preventing illegal dublica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reproducing the same, and a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EP1098303A1 (en) Optical disk, optical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KR20030043553A (ko) 부정복사 기록매체 사용방지방법 및 그 대책을 시행한정보기록매체
JP2005310377A (ja) ディスク上の使用不可領域を選択的に回復させる方法
US20040133519A1 (en)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opy application program execution, its program, its program recording apparatus, and its program recording medium
US200602599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digital media from illegal copying
RU2348988C2 (ru) Носитель для хран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способ их использующий
KR20060109989A (ko) 고유 매체 식별자를 재생하는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JPH113568A (ja) ディスク,その識別方法・装置,その再生装置
JP2806219B2 (ja) 光ディスク及びそのチェック装置
KR100841405B1 (ko) 복제방지기능을 구비한 광 기록매체 및 복제된 광 기록매체검출방법
JP2575987B2 (ja) 光ディスクの不正利用防止方法及び光ディスク装置
KR20030081175A (ko) 원본 데이터의 무허가 판독/실행을 방지하기 위해 변형데이터를 마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01023299A (ja) プログラムの不正コピー防止方法及びその対策を施した情報記録媒体
KR100771446B1 (ko) 광 디스크 저장매체의 복제 방지 방법
JP3872326B2 (ja) 不正複写防止機能付き光ディスク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H09231137A (ja) 複製判定方法および読出装置
KR19980047090A (ko) 기록 가능한 디스크의 배드 섹터 탐색방법 및 디스크 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