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737A -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737A
KR20030042737A KR1020010073483A KR20010073483A KR20030042737A KR 20030042737 A KR20030042737 A KR 20030042737A KR 1020010073483 A KR1020010073483 A KR 1020010073483A KR 20010073483 A KR20010073483 A KR 20010073483A KR 20030042737 A KR20030042737 A KR 20030042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rol information
power
time interva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7221B1 (ko
Inventor
권환준
최호규
김동희
김윤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1-007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221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AU2002353633A priority patent/AU2002353633B2/en
Priority to RU2003122787A priority patent/RU2262195C2/ru
Priority to JP2003546510A priority patent/JP3958744B2/ja
Priority to CNB028053923A priority patent/CN100336320C/zh
Priority to CA002434771A priority patent/CA2434771C/en
Priority to DE2002604750 priority patent/DE60204750T2/de
Priority to EP20020026107 priority patent/EP1324508B1/en
Priority to PCT/KR2002/002191 priority patent/WO2003044990A1/en
Priority to US10/303,272 priority patent/US7065377B2/en
Publication of KR20030042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2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의 송신기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연결되어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들을 포함하고 다른 단말기를 위한 제어정보와 자신을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단말기들중의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채널 환경정보 수신부는 상기 제1 시간 구간 이전의 시간 구간에서 제2 단말기의 제어정보를 이용하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순방향 채널 상태를 순방향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에 의해 판단한다.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는 상기 판단된 순방향 채널 상태와 상기 이전의 시간 구간에서의 송신 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들을 각각 계산한다. 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전력값들중 큰 전력값으로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이동 통신시스템, 예를 들어, IS-2000과 같은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이동 통신시스템은 음성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형태이다. 그러나, 사용자 요구와 함께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 통신시스템은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하는 형태로도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HDR(High Data Rate)는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만을 지원하기 위해 제안된 이동 통신시스템이다. 기존의 이동 통신시스템은 음성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형태 또는 데이터 서비스만을 지원하는 형태로 고려되었다. 즉, 이동 통신시스템은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서비스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이동 통신시스템은 각 서비스를 별도로 지원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면서도 이와 동시에 데이터 서비스도 지원할 수 있는 이동 통신시스템의 구현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른 이동 통신시스템으로 최근에 소위 1xEV-DV(Evolution Data and Voice)라 불리는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음성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은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연결되는 복수의 단말기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통신시스템은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복수의 단말기들(사용자들)에게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며, 또한 부호분할다중(CDM: Code Division Multiplexing)방식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한다. 상기 CDM방식은 복수의 사용자들이 동일한 하나의 시간 구간(예: 슬롯(slot))에서 동시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이동 통신시스템은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패킷 데이터 채널(PDCH: Packet Data Channel)과, 패킷 데이터의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PDCCH: Packet Data Control Channel)(예: Secondary Packet Data Control Channel)을 포함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해서는 패킷 데이터가 전송된다. 이때 무선(Air)상에서 패킷 데이터의 전송은 물리계층패킷(PLP: Physical Layer Packet) 단위로 이루어지며, 상기 물리계층패킷의 길이는 전송시마다 가변된다.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서는 수신기인 단말기들에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정보들이 전송된다. 상기 제어정보의 대표적인 예로는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정보(예: MAC(Medium Access Control) Identifier),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일련의 왈시부호(Walsh Codes)들중에서 서비스시 사용될 왈시부호를 지시하는 정보(예: 왈시공간지시정보(Walsh Space Indicator)) 등이 포함된다.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기들로 송신되는 제어정보에 대해서는 전력 제어 동작이 수행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대한 전력 제어는 각 단말기들의 채널 환경을 고려하여 독립적으로 이루어졌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단말기들중에서 제1 단말기는 자신을 위해 할당된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제1 제어정보를수신하고, 제2 단말기는 자신을 위해 할당된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제2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채널 환경만을 고려하여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1 제어정보의 전력을 증가시키는 등의 전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2 단말기의 채널 환경만을 고려하여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2 제어정보의 전력을 증가시키는 등의 전력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력 제어 동작은 상기 각 단말기들로 제공되는 제어정보들이 고유하게 정해진 경우를 전제로 한다.
한편, 최근에 이동 통신시스템의 각 단말기들이 자신을 위해 제공된 제어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단말기들을 위해 제공된 제어정보도 함께 참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고려되고 있다. 이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제어정보의 비트 수를 줄이고, 상기 제어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왈시부호들의 수가 32개이고 상기 단말기들중의 어느 한 단말기에서 사용될 왈시부호들의 수가 10개라고 가정할 때, 전형적인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어느 한 단말기로 상기 10개의 왈시부호들 각각을 나타내는 정보를 모두 통보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상기 10개의 왈시부호들중 일부의 왈시부호를 지시하는 정보만을 통보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들은 자신을 위한 왈시부호 공간지시 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단말기들을 위한 왈시부호 공간지시 정보도 참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 통신시스템의 단말기들이 자신을 위해 제공된 제어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단말기들을 위해 제공된 제어정보도 함께 참조하여 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전력 제어 동작과는 다른 전력 제어의 동작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들이 자신을 위해 제공된 제어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단말기들을 위해 제공된 제어정보도 함께 참조하여 수신 데이터를 처리할 시 기지국이 단말기들로 제공될 제어정보에 대한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기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연결되어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단말기들은 일련 번호를 가지며 이전의 일련 번호를 가지는 단말기를 위한 제어정보와 자신을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단말기들중의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채널 환경정보 수신부는 상기 제1 시간 구간 이전의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일련 번호 다음의 일련 번호를 가지는 제2 단말기의 순방향 채널 상태를 순방향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에 의해 판단한다.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는 상기 판단된 순방향 채널 상태와 상기 이전의 시간 구간에서의 송신 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들을 각각 계산한다.제어부는 상기 계산된 전력값들중 큰 전력값으로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될 것이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동일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들을 변경하거나 설계하는 기초로서 발명의 개시된 개념 및 구체적인 실시예가 용이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또한 발명과 균등한 구조들이 본 발명의 가장 넓은 형태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하기에서는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송신기 및 수신기가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기들로 제공되는 제어정보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기가 설명될 것이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처리 흐름의 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서 하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대해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용어 "제어정보"는 대표적으로 왈시부호 공간지시 정보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제어정보는 왈시부호 공간지시 정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들이 자신을 위한 제어정보와 다른 단말기들을 위한 제어정보를 참조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하는 모든 제어정보들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왈시부호 공간지시 정보"는 단말기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할 왈시부호들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기지국이 단말기로 통보하는 정보이다. "채널 환경정보"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순방향 채널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일 예로 순방향 파일럿채널 신호의 세기 측정값을 나타낸다. "요구 송신전력"은 제1 시간 구간에서의 채널 상태 및 송신전력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상기 제1 시간 구간 다음의 제2 시간 구간에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PDCCH)"은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단말기가 수신하여 처리할 시 사용할 수 있는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채널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은 제어정보와 동일한 의미로도 사용될 것이다. "단말기"는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를 의미한다. 경우에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단말기와 동일한 의미로도 사용될 것이다. "순방향"은 기지국에서 단말기로의 신호 흐름을 의미하고, "순방향 채널상태"는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연결되는 무선링크의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송신기는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 포함된다.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PDCCH)은 각 사용자들에게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 채널(PDCH)에 대하여 그 전송 방법을 알려 주며, 특정 사용자에게 전송된다.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은 사용자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인 패킷 데이터 채널이 CDM되어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전송되는 경우, 그 사용자 수만큼 전송되어야 하는 채널이다. 패킷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각 사용자는 상기 복수개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중 자신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수신하여 자신이 수신해야 할 패킷 데이터 채널의 수신 방법을 얻어내어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정보인 패킷 데이터 제어채널 입력 시퀀스(Packet Data Control Channel Input Sequence)의 비트 수는 18비트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여기서는 상기 제어정보의 비트 수가 18비트인 것으로 제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제어정보에는 6비트의 매체접근제어(MAC: Media Access Control) 식별자(ID: Identifier), 2비트의 패킷 식별자(SPID: Sub-packet ID), 2비트의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채널 ID, 3비트의 페이로드 크기(Payload Size), 5비트의 왈시부호 정보 등이 있다. 상기 MAC ID는 사용자 구분을 위한 식별자로서,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시스템 억세스(Access) 시에 할당된다. 1xEV-DV시스템과 같은 고속 패킷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단위는 '서브패킷(Sub-packet)'이라 불리운다. 상기 SPID는 일련의 서브패킷들에 대해 각 서브패킷에 대한 식별자로서, 재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ARQ채널 ID는 한 사용자에게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병렬 전송 채널을 구별하는데 사용된다. 페이로드 크기는 하나의 서브패킷을 구성하는 정보 비트의 수를 의미한다. 왈시 부호 정보는 패킷 데이터 채널에 사용된 왈시 부호 정보를 알려주는 데 사용된다.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모든 단말기들은 시스템 억세스시 기지국으로부터 MAC ID를 할당받는다. 상기 단말기들은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수신할 때마다 이를 복조하여 MAC ID를 보고서 자신의 패킷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자신의 패킷인 경우 해당하는 단말기는 페이로드 크기, SPID, ARQ채널 ID, 패킷 데이터 채널에 사용된 왈시 부호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복조한다.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는 오류 검출 비트 부가부(101)에 의해 부호화된다. 상기 오류 검출 비트 부가부(101)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한 전송 오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 정보를 부호화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오류 검출 비트가 부가된 정보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오류 검출 비트 부가부(101)는 18비트의 제어 정보를 입력하고 8비트의 CRC(CyclicRedundancy Code)를 사용하여 상기 입력된 제어 정보를 부호화한다. 즉, 상기 오류 검출 비트 부가부(101)는 상기 제어 정보에 8비트의 오류 검출 비트를 부가하여 26비트의 제어 정보를 발생한다. 상기 CRC에 의해 발생하는 부가 비트(Redundancy Bit)의 수를 크게 하면 전송 오류를 검출하는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8비트의 CRC 부가 비트만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하고 있다.
테일 비트 부가부(102)는 상기 오류 검출 비트 부가부(101)의 출력 제어 정보에 테일 비트(tail bits)를 부가하여 길쌈 부호기(Convolutional Encoder)(103)로 출력한다. 상기 길쌈 부호기(103)는 상기 테일 비트 부가부(102)의 출력을 길쌈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심볼을 천공기(104)로 출력한다. 상기 테일 비트 부가부(102)는 상기 길쌈 부호기(103)에 의한 길쌈 부호화를 위해 모두 "0"으로 구성된 8비트의 테일 비트를 부가한다. 이와 같이 테일 비트가 부가된 출력은 상기 길쌈 부호기(103)에 의해 미리 설정된 부호화율(예: 1/2)로 길쌈 부호화된다. 상기 길쌈 부호화된 심볼들은 천공기(Puncturer)(104)로 출력된다. 상기 길쌈 부호기(103)는 상기 오류 검출 비트 부가부(101)로부터 출력되는 26비트에 상기 테일 비트 부가부(102)에 의해 8비트의 테일 비트가 부가됨에 따라 출력되는 34비트를 입력하고, 부호화율 1/2로 부호화하여 68 심볼들을 출력한다.
천공기(104)는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며 적절한 전송율에 정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길쌈 부호기(103)의 출력 심볼들 중에서 미리 설정된 수(예: 20개)의 심볼들을 천공(puncturing)하여 인터리버(Interleaver)(105)로 출력한다.인터리버(105)는 상기 천공기(104)의 출력 심볼들은 인터리빙한다. 이러한 인터리버(105)를 사용하는 이유는 길쌈 부호화는 연집 오류(burst error)에 취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취약점을 해소하는 측면으로 심볼의 순서를 섞어주어 연집 오류 확률을 줄여주기 위한 것이다. 변조기(Modulator)(106)는 상기 인터리버(105)에 의해 인터리빙된 심볼들을 입력하여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와 같은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고, 변조 심볼들을 전송을 위해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수신기는 이동 통신시스템의 각 단말기들에 포함되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송신기의 구성에 대응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디인터리버(deinterleaver)(201)는 수신 신호에 대해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디인터리버(201)로 입력되는 수신 신호는 복조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복조된 소프트 결정값들(demodulated soft decision values)이다. 예를 들어, 상기 복조된 소프트 결정값들은 48symbols/slot이다. 역천공기(depuncturer)(202)는 상기 디인터리버(201)의 출력에 대해 미리 설정된 패턴(pattern)에 따라 역천공(depuncturing)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역천공기(202)는 상기 디인터리버(201)로부터 입력되는 48 심볼들에 20심볼들을 역천공하여 68 심볼들을 출력한다. 상기 역천공된 심볼들은 길쌈 복호화기(convolutional decoder)(203)에 의해 길쌈 복호화된다. 예를 들어, 상기 길쌈 복호화기(203)는 상기 역천공된 심볼들을 R=1/2로 복호화하여 34비트를 출력한다. 상기 CRC 검사기(204)는 상기 길쌈 복호화기(203)에 의해 길쌈 복호화된 심볼들에대해 CRC 검사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오류 존재 유무가 검출된다. 제어정보 검출기(205)는 상기 CRC 검사기(204)에 의한 검사 결과에 따라 제어정보가 수신을 검출한다. 상기 CRC 검사 결과 CRC 'good'인 경우, 상기 제어정보 검출기(205)는 자신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이 송신된 것으로 판단하고,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18비트의 패킷 데이터 제어 정보를 얻어낸다. 상기 CRC 검사 결과 CRC 'fail'인 경우, 상기 제어정보 검출기(205)는 자신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이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전술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은 패킷 데이터 채널이 복수의 사용자들에게 전송되는 경우, 그 사용자들의 수와 동일하게 동시에 각 사용자들에게 전송되어야 하는 채널이다.
한편,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왈시부호 공간지시 정보(이하 "왈시부호 정보"라 칭함)를 송신 및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왈시부호 정보는 이동 통신시스템의 단말기들중 어느 한 단말기가 자신을 위한 왈시부호 정보 뿐만 아니라 다른 단말기를 위한 왈시부호 정보도 참조함으로써 데이터 서비스시 사용할 왈시부호의 공간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기지국은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하여 각 사용자들에게 패킷 데이터 채널에서 사용된 왈시부호 정보를 알려 주기 위하여 5비트의 정보를 전송한다. 이는 길이 32의 왈시부호들이 패킷 데이터 채널에 사용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기지국과 단말기들 사이에는 미리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일련의 32개 왈시부호들의 순서가 약속되어 있으며, 상기 5비트의 정보는 상기 일련의 왈시부호들중에서 특정 왈시부호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이러한 가정 하에서 기지국은 각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일련의 왈시부호들중의 5비트로 표현되는 한 포인트만을 알려 준다. 이때 해당 포인트는 해당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 채널에 사용되는 왈시부호들중 마지막 왈시부호를 지시하는 포인트, 즉 끝점을 가리킨다.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로부터 왈시부호 정보를 얻어낸 단말기는 자신의 패킷 데이터 채널에 사용될 왈시부호들이 상기 일련의 왈시부호들중 처음 시작점의 왈시부호부터 상기 수신한 5비트가 지시하는 왈시 부호까지임을 알 수 있다.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말기 역시 5 비트의 왈시부호 정보를 얻어낸다. 하지만 상기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말기는 자신의 패킷 데이터 채널에 사용된 왈시부호 정보를 완전히 얻어 내기 위하여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뿐만 아니라,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도 수신해야 한다. 왜냐하면, 상기 제1 단말기, 즉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말기와는 달리 상기 제2 단말기, 즉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말기는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로부터 얻어낸 왈시부호 정보 5 비트만으로는 상기 일련의 왈시부호들중에서 그 시작점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2 단말기는 자신의 왈시 부호의 시작점을 알기 위하여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수신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왈시부호의 끝점을 알아내고, 상기 끝점이 지시하는 왈시부호 바로 다음의 왈시부호가 바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해 사용할 왈시부호의 시작점임을 알아내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송신기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기지국에서 단말기들로 제공되는 제어정보의 전력을 제어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송신기는 채널 환경정보 수신부(301),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 제어부(303), 채널 송신기(304)및 송신전력 제어부(305)를 포함한다.
상기 채널 환경정보 수신부(301)는 모든 단말기들부터 각 단말기들에 대한 순방향 채널환경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순방향 채널 환경정보로는 순방향 파일럿채널(F-PICH; Forward Pilot Channel) 신호의 세기 측정값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순방향 파일럿채널 신호의 세기 측정값은 역방향 채널품질 지시자 채널(R-CQICH; 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을 통해 슬롯 단위(예: 1.25ms)로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는 상기 수신된 순방향 채널환경 정보로부터 해당 단말의 순방향 채널환경을 추정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해당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을 계산한다. 상기 제어부(303)는 상기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에 의해 계산된 단말기별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대한 요구 송신 전력값을 바탕으로 특정 단말기로 제공될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상기 채널 송신기(30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송신전력 제어부(305)는 상기 제어부(303)의 제어하에 상기 채널 송신기(304)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정보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고, 전력제어된 제어정보를 송신을 위해 출력한다. 상기 송신전력 제어부(305)에 의한 전력 제어 동작은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예: 1.25ms 슬롯) 단위로 수행된다.
전술한 송신기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연결되어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단말기들은 일련 번호를 가지며 이전의 일련 번호를 가지는 단말기를 위한 제어정보와 자신을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단말기들중의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채널 환경정보 수신부(301)는 상기 제1 시간 구간 이전의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일련 번호 다음의 일련 번호를 가지는 제2 단말기의 순방향 채널 상태를 순방향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에 의해 판단한다. 상기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는 상기 판단된 순방향 채널 상태와 상기 이전의 시간 구간에서의 송신 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들을 각각 계산한다. 상기 제어부(303)는 상기 계산된 전력값들중 큰 전력값으로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에 의한 요구전력 계산 동작, 상기 제어부(303)에 의한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 결정 동작 및 상기 송신전력 제어부(305)에 의한 송신전력 제어 동작은 후술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전력 제어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장치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인 매 슬롯마다 수행되는 예를 나타내고있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도 3의 제어부(303)는 401단계에서 주어진 시간 구간(슬롯)에서 동시에 서비스할 사용자(단말기)의 수를 판단한다. 상기 서비스 사용자 수는 스케쥴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얻어낼 수 있다. 만일 401단계에서 동시에 서비스하는 사용자 수가 1명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3)는 402단계에서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요구 송신 전력값을 입력받고, 403단계에서 해당 사용자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전력을 상기 요구 송신 전력값이 되도록 송신전력 제어부(305)를 제어한다. 한 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의 동작이 수행된 후, 상기 제어부(303)는 404단계에서 다음 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해 기다린다.
만일 401단계에서 동시에 서비스할 사용자 수가 2명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3)는 405단계에서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로부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요구 전력값을 입력받고, 406단계 및 408단계에서 각 사용자들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406단계에서는 제1 사용자에게 할당할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이 수행되고, 408단계에서는 제2 사용자에게 할당할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부(303)는 406단계에서 제1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과 제2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되는 두 채널의 요구 전력값들 중 큰 값이 상기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전력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둘 중 큰 값으로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이유는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은 제1 사용자 뿐만 아니라 제2 사용자도 성공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채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406단계에서 제어부(303)는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 대하여 보다 채널 수신 환경이 좋지 않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전력 제어함으로써 제1 패킷 데이터 채널의 수신 성능을 두 사용자 모두에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에 대해서 제어부(303)는 408단계에서 제2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으로 제어할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408단계에서 제어부(303)는 제2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으로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406단계 및 508단계에서의 전력 제어 동작은 동시에 수행되며, 전력 제어 동작이 수행된 이후에 상기 제어부(303)는 407단계 및 409단계에서 다음 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해 기다린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별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대한 요구 전력을 계산하는 도 3의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에 의한 동작과, 제어부(303)에 의해 상기 계산된 요구 전력값에 따라 도 4의 406단계 및 408단계에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대해 전력 제어를 행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설명에서 사용자별 요구 전력을 계산하는 방법 및 계산 결과를 이용하여 전력 제어를 행하는 동작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일뿐 반드시 하기와 같은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매 슬롯 모든 단말기들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파일럿채널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R-CQICH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으로 전송된 측정값은 도 3의 채널 환경정보 수신부 301에 의해 수신된다. 상기 측정값은 4비트로 나타내어질 수 있으며, 이 값은 단말기의 수신값에 대한 측정치가 된다. 제1 단말기의 수신값을 4 비트로 표현한 값을이라 하고 제2 단말기의 수신값을 4 비트로 표현한 값을라 하면,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는,값을 R-CQICH를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기지국의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는 채널 환경정보 수신부(301)에 의해 수신된,값을 이용하여 각 단말기로 전송할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이득(요구 전력)을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은 제1 단말기로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 에너지를 의미하며,는 제2 단말기로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 에너지를 의미한다.는 해당 기지국이 현재 전송하고 있는 파일럿 채널의 에너지이다.은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필요한 수신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을 의미하는 것으로,값은 미리 정해지는 값이다.,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로부터 R-CQICH를 통해 수신하게 되는 순방향 파일럿채널의 신호 세기값으로, 각 단말기들의 순방향 채널 수신 환경을 나타내는 값이다. 상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통해 각 단말기들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제공될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을 구하는 동작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도 3의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에서 수행된다. 즉,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는 단말기별로 순방향 파일럿신호 세기의 측정값을 채널 환경정보 수신부(301)를 통해 입력받고, 이 입력된 측정값을 상기 <수학식>에 대입함으로써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을 계산한다. 제어부(303)는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에 의해 계산된 전력값들을 이용하여 각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제어한다.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및 제2 단말기로 송신될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대한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은 각각 상기 506단계 및 508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슬롯(제1 시간 구간)에 대하여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에 대해 계산된 요구 전력값,가 각각 8mW, 10mW이고 두 번째 슬롯(제1 시간 구간 다음의 시간 구간)에 대해서 계산된 요구 전력값이 각각 12mW, 10mW라고 가정하자. 상기 첫 번째 슬롯에서 제1 단말기의 요구 전력보다 제2 단말기의 요구 전력이 더 크다는 것은 제2 단말기의 채널 수신환경이 상대적으로 보다 열악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제2 단말기가 수신하기 위해서는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2 단말기가 요구하는 송신 전력값으로 맞추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첫 번째 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요구되는 송신전력은 두 요구 전력값들중 최대 값으로 결정하여 10mW로 제어하고,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요구되는 송신전력은 제2 단말기의 요구 전력에 해당하는 10mW로 제어한다.
두 번째 슬롯에 대하여 제2 단말기의 요구 전력보다 제1 단말기의 요구 전력이 더 크다는 것은 제1 단말기의 채널 수신 환경이 상대적으로 보다 열악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1 단말기의 요구 전력에 맞추더라도 상대적으로 채널 수신환경이 우수한 제2 단말기는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두 번째 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대한 송신 전력은 12mW로 제어하고,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대한 송신 전력은 10mW로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의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전력제어 동작은 동시에 서비스되는 사용자들(단말기들)의 수가 3명까지 가능한 시스템, 즉 CDM되는 사용자가 3명까지 가능한 시스템에서 각 단말기들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대해 매 슬롯마다 수행되는 전력 제어의 예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의 제어부(303)는 501단계에서 주어진 시간 구간(슬롯)에서 동시에 서비스할 사용자(단말기)의 수를 판단한다. 상기 서비스 사용자 수는 스케쥴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얻어낼 수 있다. 만일 501단계에서 동시에 서비스하는 사용자 수가 1명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3)는 502단계에서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로부터 해당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요구 송신 전력값을 입력받고, 503단계에서 해당 사용자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전력을 상기 요구 송신 전력값이 되도록 송신전력 제어부(305)를 제어한다. 한 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의 동작이 수행된 후, 상기 제어부(303)는 504단계에서 다음 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해 기다린다.
만일 501단계에서 동시에 서비스할 사용자 수가 2명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3)는 505단계에서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로부터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요구 전력값을 입력받고, 506단계 및 508단계에서 각 사용자들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506단계에서는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이 수행되고, 508단계에서는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부(303)는 506단계에서 제1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과 제2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되는 두 채널의 요구 전력값들 중 큰 값이 상기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전력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둘 중 큰 값으로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이유는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은 제1 사용자 뿐만 아니라 제2 사용자도 성공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채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506단계에서 제어부(303)는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 대하여 보다 채널 수신 환경이 좋지 않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전력 제어함으로써 제1 패킷 데이터 채널의 수신 성능을 두 사용자 모두에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에 대해서 제어부(303)는 508단계에서 제2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으로 제어할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508단계에서 제어부(303)는 제2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으로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506단계 및 508단계에서의 전력 제어 동작은 동시에 수행되며, 전력 제어 동작이 수행된 이후에 상기 제어부(303)는 507단계 및 509단계에서 다음 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해 기다린다.
만일 501단계에서 주어진 시간 구간동안 동시에 서비스할 사용자 수가 3명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3)는 605단계에서 요구 송신전력 계산부(302)로부터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요구 전력값을 입력받고, 606단계, 608단계 및 610단계에서 각 사용자들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606단계에서는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이 수행되고, 608단계에서는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이 수행되고, 610단계에서는 제3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부(303)는 606단계에서 제1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과 제2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되는 두 채널의 요구 전력값들 중 큰 값이 상기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전력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둘 중 큰 값으로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이유는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은 제1 사용자 뿐만 아니라 제2사용자도 성공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채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606단계에서 제어부(303)는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에 대하여 보다 채널 수신 환경이 좋지 않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전력 제어함으로써 제1 패킷 데이터 채널의 수신 성능을 두 사용자 모두에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해 제어부(303)는 608단계에서 제2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과 제3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되는 두 채널의 요구 전력값들 중 큰 값이 상기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 전력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둘 중 큰 값으로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이유는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은 제2 사용자 뿐만 아니라 제3 사용자도 성공적으로 수신해야 하는 채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608단계에서 제어부(303)는 제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에 대하여 보다 채널 수신 환경이 좋지 않은 사용자를 대상으로 전력 제어함으로써 제2 패킷 데이터 채널의 수신 성능을 두 사용자 모두에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제3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에 대해서 제어부(303)는 610단계에서 제3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으로 제어할 것으로 결정한다. 따라서 610단계에서 제어부(303)는 제3 사용자에 대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요구 전력값으로 제3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606단계, 608단계 및 610단계에서의 전력 제어 동작은 동시에 수행되며, 전력 제어 동작이 수행된 이후에 상기 제어부(303)는 607단계, 609단계 및 611단계에서 다음 슬롯에 대한 전력 제어를 위해 기다린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설명에서는 동시에 서비스되는 사용자들의 수가 2명 또는 4명인 경우에 적용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동시에 서비스되는 사용자 수가 4명 이상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복수 명의 사용자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여러 채널에 대하여 특정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뿐 아니라, 다른 사용자를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을 함께 수신하여야 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전력 제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각 채널들에 대한 효율적인 전력 제어를 할 수 있다.

Claims (6)

  1.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연결되어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들을 포함하고 다른 단말기를 위한 제어정보와 자신을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단말기들중의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시간 구간 이전의 시간 구간에서 제2 단말기의 제어정보를 이용하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의 순방향 채널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된 순방향 채널 상태와 상기 이전의 시간 구간에서의 송신 전력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들을 각각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전력값들중 큰 전력값으로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왈시부호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채널 상태는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의 순방향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에 의해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대한 요구되는 전력값의 계산은 각각 하기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상기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서,은 상기 제1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이고,는 상기제2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이고,는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고 있는 파일럿 채널의 에너지이고,은 제어정보 송신에 필요한 수신 신호대잡음비(SNR)이고,은 상기 제1 단말기의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이고,는 상기 제2 단말기의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이다.
  5.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연결되어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들을 포함하고 다른 단말기를 위한 제어정보와 자신을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단말기들중의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2 단말기의 제어정보를 이용하는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시간 구간 이전의 시간 구간에서의 순방향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들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단말기의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과 상기 제2 단말기의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을 하기 <수학식 5> 및 <수학식 6>에 각각 대입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들을 각각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전력값들중 큰 전력값으로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상기 <수학식 5> 및 <수학식 6>에서,은 상기 제1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이고,는 상기 제2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이고,는 상기 제1 시간구간에서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고 있는 파일럿 채널의 에너지이고,은 제어정보 송신에 필요한 수신 신호대잡음비(SNR)이고,은 상기 제1 단말기의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이고,는 상기 제2 단말기의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이다.
  6.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에 연결되어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받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들을 포함하고 상기 각 단말기들은 일련 번호를 가지며 이전의 일련 번호를 가지는 단말기를 위한 제어정보와 자신을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단말기들중의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1 단말기의 일련 번호 다음의 일련 번호를 가지는 제2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시간 구간 이전의 시간 구간에서의 순방향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들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단말기의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과 상기 제2 단말기의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을 하기 <수학식 7> 및 <수학식 8>에 각각 대입하여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들을 각각 계산하는 계산부와,
    상기 계산된 전력값들중 큰 전력값으로 상기 제1 시간 구간에서 상기 제1 단말기로 송신될 제어정보의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상기 <수학식 7> 및 <수학식 8>에서,은 상기 제1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이고,는 상기 제2 단말기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데 요구되는 전력값이고,는 상기 제1 시간구간에서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고 있는 파일럿 채널의 에너지이고,은 제어정보 송신에 필요한 수신 신호대잡음비(SNR)이고,은 상기 제1 단말기의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이고,는 상기 제2 단말기의 파일럿신호 세기 측정값이다.
KR10-2001-0073483A 2001-11-23 2001-11-23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장치 KR100487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483A KR100487221B1 (ko) 2001-11-23 2001-11-23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장치
RU2003122787A RU2262195C2 (ru) 2001-11-23 2002-11-22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мощности передачи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JP2003546510A JP3958744B2 (ja) 2001-11-23 2002-11-22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制御情報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
CNB028053923A CN100336320C (zh) 2001-11-23 2002-11-22 在移动通信系统中控制控制信息的发送功率的方法和装置
AU2002353633A AU2002353633B2 (en) 2001-11-23 2002-11-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002434771A CA2434771C (en) 2001-11-23 2002-11-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2002604750 DE60204750T2 (de) 2001-11-23 2002-11-22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endeleistungsregelung von Kontrollinformation in einem mobilen Kommunikationssystem
EP20020026107 EP1324508B1 (en) 2001-11-23 2002-11-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2/002191 WO2003044990A1 (en) 2001-11-23 2002-11-2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303,272 US7065377B2 (en) 2001-11-23 2002-11-2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control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483A KR100487221B1 (ko) 2001-11-23 2001-11-23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737A true KR20030042737A (ko) 2003-06-02
KR100487221B1 KR100487221B1 (ko) 2005-05-03

Family

ID=19716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483A KR100487221B1 (ko) 2001-11-23 2001-11-23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065377B2 (ko)
EP (1) EP1324508B1 (ko)
JP (1) JP3958744B2 (ko)
KR (1) KR100487221B1 (ko)
CN (1) CN100336320C (ko)
AU (1) AU2002353633B2 (ko)
CA (1) CA2434771C (ko)
DE (1) DE60204750T2 (ko)
RU (1) RU2262195C2 (ko)
WO (1) WO2003044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286B1 (ko) * 1998-08-04 2001-09-29 윤종용 부호분할 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 장치 및 방법
TWI225339B (en) * 2002-06-06 2004-12-11 Via Telecom Co Ltd Power control of plural packet data control channels
KR100981510B1 (ko) * 2003-03-08 2010-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합 재전송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20159B1 (ko) * 2003-11-12 2005-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간섭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JP4732458B2 (ja) 2004-07-01 2011-07-27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Ofdma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制御情報の伝送システム及び方法
JP4752301B2 (ja) * 2005-03-28 2011-08-1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および無線基地局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
JP4834352B2 (ja) * 2005-06-14 2011-12-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移動局及び電力制御方法
KR101419287B1 (ko) * 2006-07-07 201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Ipdc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및 ipdc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N104539395B (zh) 2007-01-09 2019-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装置、移动台装置、控制信息发送方法、控制信息接收方法及程序
US8145127B2 (en) * 2007-08-14 2012-03-27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power calibration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d wireless system
KR101459147B1 (ko) * 2008-02-04 2014-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파워 제어 명령 전송 방법
WO2010104313A2 (ko) * 2009-03-09 2010-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송 전력 제어 방법
US8185146B2 (en) 2009-07-24 2012-05-22 Clearwire Ip Holdings Llc Quality of service based downlink power allocation
WO2011013962A2 (ko) 2009-07-26 2011-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계기를 위한 제어 정보 및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그 방법
GB2472597B (en) * 2009-08-11 2012-05-16 Ubiquisys Ltd Power setting
CN102668663A (zh) * 2009-12-21 2012-09-12 诺基亚公司 资源分配
EP2410705B1 (en) * 2010-07-20 2015-08-19 NTT DoCoM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receive parameters for an MIMO system
CN103188784B (zh) * 2011-12-28 2016-01-13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一种pdcch的功率分配方法、基站和移动通信系统
CN104247526B (zh) * 2012-02-24 2019-05-21 诺基亚通信公司 功率控制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5238A (en) * 1990-11-16 1996-07-0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pread spectrum adaptive power control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5983112A (en) * 1990-12-06 1999-11-09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Frequency, time and power level diversity system for digital radio telephony
IT1261365B (it) * 1993-12-02 1996-05-20 Cselt Centro Studi Lab Telecom Procedimento e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i potenza nella tratta stazione base-mezzo mobile di un sistema radiomobile con accesso a divisione di codice
US5574747A (en) * 1995-01-04 1996-11-12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pread spectrum adaptive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TW347616B (en) * 1995-03-31 1998-12-11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ast power contro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s disclosed.
US5915221A (en) * 1995-08-08 1999-06-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Neighbor cell list creation and verific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854981A (en) * 1995-08-08 1998-12-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Adaptive neighbor cell list
JP2762965B2 (ja) * 1995-09-04 1998-06-11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送信電力制御方式
US5719898A (en) * 1995-09-29 1998-02-17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Fuzzy-logic spread-spectrum adaptive power control
KR100194956B1 (ko) * 1996-08-21 1999-06-15 정선종 코드분할다중화접속 이동 무선전화 시스템을 위한 적응 전력 제어방법
FI116112B (fi) * 1996-11-27 2005-09-15 Hitachi Ltd Menetelmä ja laitteisto lähetystehon ohjaamiseksi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JPH10173594A (ja) * 1996-12-06 1998-06-26 Hitachi Ltd 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US5974036A (en) * 1996-12-24 1999-10-26 Nec Usa, Inc. Handoff-control technique for wireless ATM
US5950130A (en) * 1997-03-18 1999-09-07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Mobile station with intelligent roaming and over-the-air programming features
JP3957882B2 (ja) * 1998-06-17 2007-08-15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装置
US6253321B1 (en) 1998-06-19 2001-06-26 Ssh Communications Security Ltd. Method and arrangement for implementing IPSEC policy management using filter code
KR100288358B1 (ko) * 1998-07-30 2001-06-01 윤종용 셀룰러시스템에서순방향전력제어방법
US6512925B1 (en) * 1998-12-03 2003-01-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while in soft handoff
KR100615374B1 (ko) * 1999-03-12 2006-08-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 전력제어 채널상에 전력을할당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065800A1 (en) * 1999-07-02 2001-01-03 Lucent Technologies Inc.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having improved pilot channels
DE60032914T2 (de) * 1999-09-30 2007-10-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ndeleistungsregelung
JP2001168784A (ja) * 1999-12-06 2001-06-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指向性・送信電力制御方式
FR2805703B1 (fr) * 2000-02-29 2003-09-05 Mitsubishi Electric Inf Tech Systeme de controle de la puissance d'emission d'une station de base avec laquelle plusieurs stations mobiles sont en communication
KR20020004452A (ko) * 2000-07-05 2002-01-16 윤종용 음성서비스와 고속 데이터서비스를 동시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70897B1 (ko) * 2001-11-07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수신 장치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7221B1 (ko) 2005-05-03
CN100336320C (zh) 2007-09-05
JP2005510174A (ja) 2005-04-14
DE60204750D1 (de) 2005-07-28
RU2262195C2 (ru) 2005-10-10
DE60204750T2 (de) 2005-12-01
US7065377B2 (en) 2006-06-20
CN1493121A (zh) 2004-04-28
AU2002353633A1 (en) 2003-06-10
AU2002353633B2 (en) 2005-02-24
CA2434771C (en) 2007-07-03
JP3958744B2 (ja) 2007-08-15
US20030100329A1 (en) 2003-05-29
CA2434771A1 (en) 2003-05-30
WO2003044990A1 (en) 2003-05-30
RU2003122787A (ru) 2005-02-10
EP1324508B1 (en) 2005-06-22
EP1324508A1 (en)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221B1 (ko)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장치
KR100474691B1 (ko) 패킷 데이터 제어채널의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4453491B2 (ja) 移動局
US7286501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on packet data control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685544B2 (ja) マルチセルhsdpaを支援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のためのチャネル品質認識子伝送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
US20030103480A1 (en) Error detection code generating method and error detection code generator
KR101002814B1 (ko)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순방향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수신 장치 및 방법
US73245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about spreading codes used for a packet data channel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819267B1 (ko)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Ghosh et al. Air-interface for 1XTREME/1xEV-DV
KR100594027B1 (ko) 통신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채널의 확산부호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GB2415583A (en) A frame including two error detection codes, one of the codes mask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a terminal identifier or Walsh code identifier
KR20140035472A (ko) 멀티 셀 hsdpa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인식자 전송용 물리제어채널의 전송전력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