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645A -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645A
KR20030042645A KR1020010073381A KR20010073381A KR20030042645A KR 20030042645 A KR20030042645 A KR 20030042645A KR 1020010073381 A KR1020010073381 A KR 1020010073381A KR 20010073381 A KR20010073381 A KR 20010073381A KR 20030042645 A KR20030042645 A KR 20030042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vers
floating
sea
bad wea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8252B1 (ko
Inventor
박경북
조항문
Original Assignee
(주)이앤엠코리아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박경북
조항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앤엠코리아,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박경북, 조항문 filed Critical (주)이앤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01-0073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8252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8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바다, 호소, 하천 등의 오염수역을 이동체를 이용하여 현장가압부상공법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수질정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떠한 이동체나 견인장치도 사용이 가능하고, 처리수와 미처리수가 격리되어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바람, 파랑, 난류 등이 일어나거나 우천 시에도 작업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처리방식으로서, 선체 상에 가압부상공법을 적용하기 위해 모든 설비들을 장착시킨 선박을 이용한 것은 선박의 대형화가 필요하였으며, 기동성이 부족하여 광범위한 수역의 처리에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고, 2개의 선박군을 이용하여 선박 사이에 부유형 수중 구조물을 형성시키거나, 선박의 하부에 수중 구조물을 형성시킨 것은 별도의 반응조가 필요 없이 처리대상 수역의 현 위치에서 정화작업이 가능한 것이나, 전자는 반드시 2개 이상의 선박군을 이용하여야 하고, 후자는 선박 규모에 따른 처리영역 상의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되는 선박과 바람 등의 영향으로 처리대상 수역에 난류가 형성되면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된 응집물(스컴)로부터 기포가 탈리되어 스컴의 일부가 가라않기도 하며, 제거하고자 하는 반대방향으로 스컴이 이동되기도 하며, 수면이 수평을 유지하지 않아 스컴 회수작업의 곤란성이 있고, 또한 수중 구조물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하부에서는 처리수와 미처리수가 혼합되어 반응속도 측면에서 처리효율이 낮아지게 되고, 특히 강우 시 빗방울에 의해 플록과 결합된 기포가 분리되면서 스컴이 가라않는 등의 현상 때문에 정화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처리하고자 하는 수역의 심층 바닥부까지 구획이 구분되어지는 부상 반응조 구조물을 형성시키고, 이 반응조 구조물의 내부에서 가압부상공법에 의한 수질정화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가압수 및 약품 분사장치를 투입시킨 상태에서 육지, 해상, 공중에서 운전되는 어떠한 이동체 또는 견인수단을 사용하여 반응조 구조물이 이동하면서 전체수역을 연속흐름식의 형태로 처리토록 함으로서 이동체에 의한 처리영역의 한계성을 배제시키고, 반응속도 및 응집물 제거효율 면에서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현장 반응조 구조물에 덮개를 형성시켜 강우 시에도 정상 작업이 가능토록 하며, 반응조 구조물 내에 부상물질의 흐름방향을 유도하는 장치를 형성시켜 부상물질의 제거효율도 증진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바다, 댐, 강, 저수지, 호소, 하천 등 인공 및 자연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

Description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및 장치{A purification method of a water guality and an installment considered a motion of fluid and bad weather in an area such as the sea,dams rivers and lakes}
본 발명은 바다, 호소, 하천 등의 오염된 수역을 이동체를 이용하여 현장가압부상공법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수질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떠한 이동체나 견인장치도 사용이 가능하고, 작업수역의 바닥부까지 구획을 구분시켜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파랑이나 파도, 바람, 조류(潮流) 등의 영향으로 인해 난류가 발생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우천 시에도 작업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바다, 호소, 하천 등의 수역에 과도하게 많이 생장하는 조류나 오염물질 등을 처리함에 있어서 응집제 약품조, 응집조, 부상조 등 가압부상공법을 적용토록 하기 위한 모든 설비들을 장착시킨 선박을 처리대상 수계에 띄어 처리대상수를 선체 위로 끌어올려 처리토록 하였으나 끌어올린 물을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반응조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설비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선박의 대형화가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광범위한 수역에서의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질정화를 위하여 필요한 구동장치와 처리후 발생되는 부상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설비들을 각각 구비한 2개의 선박을 이용하여 이 선박 사이에 부유형 수중 구조물을 형성시킴으로서 별도의 반응조가 필요 없이 처리대상 수역의 현 위치에서 수질정화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 있으나 반드시 2개 이상의 선박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또한 필요한 장치만을 선체 상에 구비하고 선박의 하부에 부유형 수중 구조물을 형성시킴으로서 선박군 대신 하나의 선박을 이용하여 수질정화 작업이 가능토록 한 것이 있으나 선박으로 형성된 수중 구조물의 면적 이내에서만 작업이 가능하여 처리용량 상의 한계가 있어 광범위한 수역의 처리를 위해서는 선박의 대형화가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방법으로 광범위한 수역을 정화시키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선박시설이 필요하고, 또한 바람이 불거나, 바람 또는 대형선박이동에 따른 파도나 파랑이 발생되면 처리대상 수역에 난류가 형성되어 부유된 스컴(scum)이 다시 가라앉거나, 회수된 스컴(scum)의 함수율이 높아지게 되고, 특히 강우 시 빗방울이 떨어지게 되면 플록(flock)과 기포가 분리되면서 수면위로 부상된 스컴(scum)이 다시 침전되기 때문에 스컴의 제거 작업 자체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발생되어 정화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수중 구조물의 영향이 미치지 않은 심층 수역에서는 처리수와 미처리수가 혼합된 상태로 처리가 진행되는 완전혼합반응조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됨으로서 반응속도 측면에서 반응효율이 낮게 유지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체에 의한 처리영역의 한계성을 배제시키고, 반응속도 및 부상된 응집물인 스컴 제거효율 면에서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바람, 강우, 조류(潮流), 파랑 및 파도, 난류 등 유체의 거동이나 악천후 등 어떠한 조건 하에서도 동일한 처리효율로서 정상 작업이 가능토록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처리수역의 수 표면에 띄어져서 처리수역의 바닥부까지 연장이 가능토록 되는 격벽을 양측에 평행으로 설치하여 처리수와 미처리수를 심층 수역까지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한 부상조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반응조 구조물의 내부에 가압부상공법에 의한 수질정화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가압수 및 약품 분사장치를 투입시킨 상태에서 육지, 해상, 공중에서 운전되는 이동체 또는 견인장치를 구동수단으로 사용하여 상기 반응조 구조물을 이동시키면서 전체수역을 연속흐름식(plug flow) 반응조의 형태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반응조 구조물에 덮개를 형성시켜 강우 시에도 정상 작업이 가능토록 하며, 반응조 구조물 내에 부상물질의 흐름방향을 유도시키기 위한 장치를 형성시켜 스컴의 제거효율도 증진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작업대가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를 평면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부대시설 장착대가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를 단면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수심별 다단 분사 방식의 실시예를 단면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덮개가 설치된 상태의 실시예를 단면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부상 반응조 구조물
11: 프레임 12, 12a: 격벽
13: 부상물질 수거장치 14: 연결장치
15: 고정체 16: 부대시설 장착대
17 : 덮개 18: 송풍기
19 : 지지구조물 20: 작업대
2: 가압수 및 약품 분사장치
21, 21a, 21b, 21c: 분사노즐
3: 이동체
10a, 10b : 부상물질
본 발명은 이동체 및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수역의 내부에 응집제와 공기가 포함된 가압수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응집제에 의하여 수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응집토록 함과 동시에 미세공기에 의하여 수 표면으로 부상시켜 제거토록 하는 현장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현장 수질정화방법에 있어서, 처리하고자하는 수역의 일정 영역에 수 표면에 띄어지고 처리수와 미처리수를 심층 수역까지 격리시킬 수 있도록 되는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을 설치하고, 상기 부상 구조물(1)의 내부에 가압부상공법에 의한 수질정화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가압수 및 약품 분사장치(2)를 투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을 육지, 해상, 공중에서 운전되는 어떠한 이동체(3)를 구동수단으로 사용하여 전체수역을 이동하면서 연속흐름식(plug flow) 반응조의 운영방식으로 수질정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하, 다음의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 수질정화방법 및 장치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수질정화작업을 해상에서 운전되는 이동체 또는 견인장치(3)를 구동수단으로 사용한 정화작업의 적용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이동체(3)로는 모터 보트, 선박 등 해상에서 운전되는 어떠한 형태의 구동체도 가능하며, 육상에서는 통상의 어떠한 견인장치도 가능 한 것이다.
우선, 수질정화 대상인 바다, 호소, 하천 등 처리하고자 하는 수역의 일정 영역에 수 표면에 띄어지는 부체(11a)에 부착된 프레임(11)의 하부로 처리수역의 바닥부까지 연장이 가능한 격벽(12)(12a)이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처리수와 미처리수를 심층 수역까지 격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격벽(12)(12a)사이의 말단(後尾)에는 부상물질 수거장치(13)가 형성되고 반대편에는 이동체(2)와의 연결장치(14)가 형성된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을 설치하고, 상기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의 내부로는 가압부상공법에 의한 수질정화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가압수 및 약품 분사장치(2)를 투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을 상기 이동체(3)에 연결시켜 전체수역을 이동하면서 연속흐름식(plug flow) 반응조의 운영방식으로 수질정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수 및 약품 분사장치(2)는 상기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의 프레임(11)에 고정시키거나, 격벽(12)(12a) 사이를 횡단하는 보조 프레임(11b)을 설치하여 보조 프레임(11b)에 고정시킴으로서 항상 부상 반응조 구조물(1) 내에 위치토록 하여야 하며, 가압수 및 약품 공급을 위한 부대설비들은 상기 이동체(2)에 장착시켜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규모가 작은 연못이나 호수 등 처리대상 수역의 면적이 협소할 경우에는 처리대상 수역에 접해진 육지에 장착시켜 작업을 진행하도록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압수 및 약품 분사를 위하여 준비하여야 하는 부대설비로는 응집약품을 저장하기 위한 약품탱크, 상기 약품탱크에 저장된 약품을 약품분사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약품펌프, 처리대상수 또는 처리수를 가압탱크로 공급하기 위한 가압펌프, 가압탱크에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기, 상기 가압펌프에 의하여 공급된 물과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혼합, 용해시킨 가압수를 저장하기 위한 가압탱크와, 전원공급장치 등이다.
또한 상기 가압수 및 약품 분사장치(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심에 따라 다단으로 설치하여 수심별 다단 분사방식의 가압부상방법이 가능토록 하는 것으로, 이때 수심별로 설치되는 가압수 및 약품 분사장치(2)의 분사노즐(21)의 크기와 분사압을 달리하여야 하는 것이다.
즉, 분사노즐(21)이 위치되는 수심을 고려하여 분사압이나 노즐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서 심층부와 표층부에서 분사되는 기포의 크기가 유사하게 조절되어 반응 효율을 증진시키고 효과적인 수질의 정화가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는 동일한 규격의 분사노즐을 사용할 경우 분사노즐의 위치가 깊을수록 기포의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수심 10m에서 분사된 기포의 크기는 표층에서 분사된 기포의 크기의 1/2에 불과하기 때문에 슬러지가 부상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이미 응집제의 수화반응이나 응집물 형성이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층부의 오염물질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다단으로 설치되어지는 분사노즐의 위치는 가장 깊게 설치되는 제1분사노즐(21a)을 시점으로 제1분사노즐(21a)을 통해 수평으로 분사되는 가압수에 의하여 이동되는 부상물질(10a)의 위치에 제2분사노즐(21b)을 설치하고, 제2분사노즐(21b)을 통해 수평으로 분사되는 가압수에 의하여 이동되는 부상물질(10b)의 위치에 제3분사노즐(21c)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여러 개의 분사노즐을 설치함으로서 오염물질의 응집 및 부상효율을 증진시키키고, 슬러지가 비교적 일정한 구역에 떠오르게 함으로서 슬러지를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의 처리 영역으로 부상물질(10a)(10b)의 이동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송풍기(18)의 풍력을 발생토록 하여 발생되는 부상물질(10a)(10b)을 상기 부상물질 수거장치(13)로 용이하게 모여질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난류에 의한 부상물질(10a)(10b)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상물질 수거장치(13)를 상기 격벽(12)(12a)사이의 일 측단에만 형성되는 것으로만 설명되어 있으나, 양쪽에 모두 설치하여 처리수역에서 흐름방향이나 바람의 방향이 전환될 경우에도 부상물질의 확산을 방지토록 함은 물론 수거가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상물질 수거장치(13)는 부상물질의 유입부(13a)를 요입(凹入)되게 형성시켜 유입된 부상물질의 자연유출이 불가능하게 하여야 하는 것이고, 부상물질의 수거부(13b)는 유동이 가능토록 하여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의 이동 방향에 자유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을 형성하는 프레임(11)은 가볍고 내수성, 내산성이 강한 파이프나 관을 사용하며, 발포성 소재를 사용하거나, 플라스틱 소재의 기밀용기에 공기를 불어넣어 수면 위로 부상시킬 수 있도록 되는 부체에 부착시켜 일체형으로 형성토록 하며, 상기 격벽(12)(12a)은 내수, 내산성, 내마모성의 특성을 갖는 소재의 섬유, 시트 또는 판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수역 깊이에 따른 길이의 조절 및 수역 넓이에 따른 폭의 조절이 가능토록 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지퍼, 끈, 연결고리 등 다양한 연결수단을 형성시켜 길이 또는 폭의 무한한 연장 또는 단축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넓고 깊은 수역에서의 사용이 가능토록 하여야 함은 물론 설치 및 이송이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하부에는 수역을 구획구분시킨 상태에서 난류 등에 의한 수류의 흐름에 의해서도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체(15)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격벽(12)(12a)을 다수개 설치하여 상기 부상 반응조 구조물(1) 내에 형성되는 반응구역(1a)이 병렬로 다수개 형성토록 하면 단시간에 넓은 영역의 수역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15)는 수류의 흐름에 의해서도 유동되지 않도록 되면서 상기 프레임(11)에 의하여 작용되는 부력이 상쇄되지 않을 정도의 무게를 갖는 물체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이나 나무 소재의 판이나 봉을 연결하여 작업자가 걸어다닐 수 정도의 폭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대(20)를 형성시켜 간단한 작업이 가능토록 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수 및 약품 분사를 위한 부대시설(16a)을 장착시킴과 동시에 작업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부대시설 장착대(16)를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1)의 상부 전체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덮개(17)를 형성시켜 우천 시 빗물이 처리중인 영역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생성된 응집물의 파손을 방지토록 함으로서 우천 시에도 정상적인 수질정화작업이 가능토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덮개(17)는 내수, 내산성 소재의 시트를 사용하여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의 프레임(11) 상부에 덮거나 프레임(11)의 상부에 지지대 또는 지지봉 등 별도의 지지구조물(19)을 형성시켜 구조물(19)의 상부에 시트의 모서리부를 결합시켜 고정토록 함으로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상기 작업대(20) 또는 부대시설 장착대(16)를 프레임(11) 상부 전체에 연장시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되어지는 본 발명의 수질정화방법은 상기 이동체(3)를 자동차, 트럭 등과 같이 육지에서 구동이 가능한 것이나 공중에서 구동이 가능한 어떠한 종류의 이동체(3)를 사용하여 수질정화작업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질정화작업은 처리대상 수역의 일정 영역에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을 설치하여 처리수역의 심층 바닥부까지 처리수와 미처리수가 혼합되지 않게 격리시키고, 부상 반응조 구조물(1) 내부에 가압부상공법에 의한 수질정화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가압수 및 약품 분사장치(2)를 투입시킨 상태에서 육지, 해상, 공중에서 구동되는 어떠한 종류의 이동체(3)에 연결시켜 이동체(3)에 의한 구동력으로 전체 수역을 연속흐름식 반응조의 형태로 수질정화작업이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질정화방법에 의하면, 처리하고자 하는 수역 전체가 완전혼합식 반응기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는 것을 연속흐름식(pluf flow) 반응조와 유사한 형태로 운영토록하여 반응속도 측면에서 볼 때 처리효율을 훨씬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고, 또한 이동체의 선택 및 이동체에 따른 처리영역의 한계성을 배제시킬 수 있고, 응집물의 제겨효율이 탁월하여 응집물 제거효율 면에서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바람이나 강우 시등의 악천후와 파랑이나, 파도, 조류(潮流) 등 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유체의 거동에도 정상 작업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강우나 바람 파도 등으로 인해 작업을 중단시키거나 켜야 했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것이다.

Claims (7)

  1. 이동체를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수역의 내부에 응집제와 공기가 포함된 가압수를 고압으로 분사시켜 오염물질을 응집토록 함과 동시에 미세공기에 의하여 수 표면으로 부상시켜 제거토록 하는 현장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현장 수질정화방법에 있어서, 처리하고자 하는 수역의 일정 영역에 수 표면에 띄어지고 처리수와 미처리수를 심층 수역까지 격리시킬 수 있도록 되는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을 설치하고, 상기 부상 구조물(1)의 내부에 가압부상공법에 의한 수질정화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가압수 및 약품 분사장치(2)를 투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을 육지, 해상, 공중에서 운전되는 어떠한 이동체(3)를 구동수단으로 사용하여 전체 수역을 이동하면서 연속흐름식(plug flow) 반응조의 운영방식으로 수질정화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의 상부에 덮개를 형성시킨 상태에서 수질정화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 및 약품 분사장치를 수심에 따라 다단으로 설치하고 분사압과 분사노즐의 크기를 달리하는 수심별 다단 분사방식을 채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 반응조 구조물의 처리 영역으로 부상물질의 이동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송풍기의 풍력을 발생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5. 수 표면에 띄어지는 부체에 부착된 프레임(11)의 하부로 처리수역의 바닥부까지 연장이 가능토록 되는 격벽(12)(12a)이 양측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격벽(12)(12a)사이의 일 측단에는 부상물질 수거장치(13)가 형성되고, 타 측단에 는 이동체(3)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장치(14)가 형성된 부상 반응조 구조물(1)과, 상기 부상 반응조 구조물(1)의 내부로 가압수 및 약품 분사장치(2)를 투입시켜 고정시키기 위한 보조 프레임(11a)이 형성된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플라스틱이나 나무 소재의 판이나 봉을 연결하여 작업대 또는 부대시설 장착대를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덮개를 고정시킨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장치.
KR10-2001-0073381A 2001-11-23 2001-11-23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KR100418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381A KR100418252B1 (ko) 2001-11-23 2001-11-23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381A KR100418252B1 (ko) 2001-11-23 2001-11-23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645A true KR20030042645A (ko) 2003-06-02
KR100418252B1 KR100418252B1 (ko) 2004-02-11

Family

ID=2957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381A KR100418252B1 (ko) 2001-11-23 2001-11-23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82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246A (ko) * 2001-12-24 2003-07-02 (주)이앤엠코리아 인공식물섬과 현장가압부상공법에 의한 바다, 호소,하천에서의 직접 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KR100481965B1 (ko) * 2002-02-18 2005-04-14 야마자키 아케히꼬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94204A (ko) * 2009-02-18 2010-08-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전된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중 오염물 제거장치
KR101047297B1 (ko) * 2010-10-07 2011-07-11 한국해양연구원 해양 거품 제거 장치, 이를 갖는 해양 거품 제거 모듈 및 해양 거품 제거 방법
WO2021045283A1 (ko) * 2019-09-03 2021-03-11 홍성탁 유산균 분사 장치를 갖는 수상 부유식 구조물
CN112535890A (zh) * 2020-10-22 2021-03-23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潮汐能河口海湾水质改善装置
EP3994101A4 (en) * 2019-07-04 2023-09-20 Blue Whale Ocean Filtration LLC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TION FROM A LIQUI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049B1 (ko) * 2007-12-10 2008-08-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조립형 수질정화장치
KR102589470B1 (ko) * 2022-07-27 2023-10-16 코리아엔텍 주식회사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밀도류 순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6249A (ja) * 1993-02-05 1994-08-16 Naruoka Shoten:Kk 湖沼池の浄化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装置
KR0118143Y1 (ko) * 1995-05-20 1998-04-24 김백기 저수지 수질 개선장치
KR0155482B1 (ko) * 1996-03-14 1998-10-15 쓰루오 나카가와 하천, 호수, 늪 등의 정화장치(淨化裝置)
KR200177217Y1 (ko) * 1999-10-30 2000-04-15 이희근 수질정화용 이동식 부상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4246A (ko) * 2001-12-24 2003-07-02 (주)이앤엠코리아 인공식물섬과 현장가압부상공법에 의한 바다, 호소,하천에서의 직접 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KR100481965B1 (ko) * 2002-02-18 2005-04-14 야마자키 아케히꼬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94204A (ko) * 2009-02-18 2010-08-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전된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중 오염물 제거장치
KR101047297B1 (ko) * 2010-10-07 2011-07-11 한국해양연구원 해양 거품 제거 장치, 이를 갖는 해양 거품 제거 모듈 및 해양 거품 제거 방법
EP3994101A4 (en) * 2019-07-04 2023-09-20 Blue Whale Ocean Filtration LLC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TION FROM A LIQUID
WO2021045283A1 (ko) * 2019-09-03 2021-03-11 홍성탁 유산균 분사 장치를 갖는 수상 부유식 구조물
CN112535890A (zh) * 2020-10-22 2021-03-23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潮汐能河口海湾水质改善装置
CN112535890B (zh) * 2020-10-22 2022-02-22 浙江省海洋水产研究所 一种潮汐能河口海湾水质改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8252B1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02038A (ja) 太陽光発電による浮体式水循環ろ過エアレーション水質浄化装置
KR101070807B1 (ko) 부상처리기술을 이용한 호수,하천,해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조류제거선 시스템 및 방법
US4229302A (en) Waste treatment apparatus with floating platform
KR101584608B1 (ko) 조류제거장치
CN105948390B (zh) 漂浮式河道底部污染物去除及净化装置及方法
KR100418252B1 (ko)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JP4538404B2 (ja) 水域浄化装置、水性汚染生物回収船及び水性汚染生物の処理方法
CN107097918A (zh) 湖体内源污染治理的水下机器人及沉积污染物的清理方法
CN207060361U (zh) 一种湖体内源污染治理的水下机器人
KR100292426B1 (ko) 이동식 수질 정화장치
JPH05220466A (ja) 自動添加撹拌方法および自動添加撹拌装置およびその 自動添加撹拌装置の使用方法および自動添加撹拌装置 による池湖水或は河川の水の浄化方法および自動添加 撹拌装置による池湖水或は河川の水の浄化装置
US9493371B1 (en) Barge with aeration system
KR100352584B1 (ko) 수질정화용 선박
KR100506612B1 (ko) 이동식 녹조제거장치
KR100429676B1 (ko) 바다, 호소, 하천, 연못 등 수역에서의 현장 수질정화방법및 현장 수질정화를 위한 구획구분장치
KR101762181B1 (ko) 양식장용 미세기포 필터링장치
KR100493652B1 (ko) 현장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 처리수역 수중에서의수질정화방법
KR101639072B1 (ko) 대전된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중 오염물 제거장치
JPH09118291A (ja) 水系の浄化船
JP3651965B2 (ja) 湖沼等の底層水浄化装置
US20230139452A1 (en) Partially submerged foam fractionation system
KR101127995B1 (ko) 정체수역 저면 정화장치
US20220290393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waste from bodies of water
KR100601255B1 (ko) 하천 및 강에서의 유기물슬러지제거장치가 구비된 가동보
SU152717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х сточных во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