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965B1 -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965B1
KR100481965B1 KR10-2002-0008517A KR20020008517A KR100481965B1 KR 100481965 B1 KR100481965 B1 KR 100481965B1 KR 20020008517 A KR20020008517 A KR 20020008517A KR 100481965 B1 KR100481965 B1 KR 100481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reatment
tank
upper chamb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8858A (ko
Inventor
요시노부 이자와
Original Assignee
야마자키 아케히꼬
요시노부 이자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자키 아케히꼬, 요시노부 이자와 filed Critical 야마자키 아케히꼬
Priority to KR10-2002-0008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9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6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8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의 특별한 특징은 상부상에 미처리수 입수구 및 처리수배수구가 구비되어 있는 탱크인데 상기 탱크는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와, 상기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내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분리벽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벽의 상측의 상부챔버 및 상기 분리벽의 하측의 하부챔버 양측은 물로 채워진다. 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수처리시설에 아주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새로운 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Water Treatment Tank,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공장폐수, 상수도 용수, 중수, 하수도 폐수등을 낮은 처리단가로 물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수처리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 새로운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에 필요한 대규모시설 및 그것에 관련된 장비는 넓은 땅이 요구됨과 동시에 대규모 건설공사를 필요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처리 시설을 대단히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새로운 수처리탱크와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규모이면서도 조립이 대단히 용이하고, 간단한 장비를 사용하여 매우 낮은 비용으로 공장폐수, 상수도 용수, 중수, 하수도 폐수등의 물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게시될 것이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본 발명의 하기 명세서 및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서 명료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처리탱크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정단면도이고, 도 1B는 측단면도이다. 다이아그램은 수처리 탱크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금속제로 형성된 기밀용기로써 표면이 플루오르를 포함하는 수지코팅 또는 염화비닐수지코팅, 스테인레스강 또는 폴리에스터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된 탱크이다. 탱크(1)의 측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원형등 다른 어떤 형상이어도 좋다.
도면부호 2는 탱크(1)를 상하부 두 개의 부분, 상부챔버(11)와 하부챔버(12)로 분할하는 분리벽으로써 분리벽 패널(21)과 상기 분리벽 패널(21)과 탱크(1) 사이에 꼭 맞게 조립된 플렉시블 시트(22)로 구성된다.
분리벽 패널(21)은 탱크(1)의 측단면 형상에 해당하는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평면패널으로써, 상기 분리벽 패널(21)의 외측 테두리와 탱크(1)의 내표면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도록 분리벽 패널(21)의 외경이 탱크(1)의 내경 보다 작다. 이 분리벽 패널(21)용 재료로는 경성 염화비닐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제 또는 표면이 염화비닐 또는 플루오르를 함유한 수지코팅제로 코팅된 금속제가 사용될 수 있다.
플렉시블 시트(22)는 합성폴리에스테르섬유, 합성폴리에틸렌시트와 같은 내수성 및 내화학성 플렉시블수지제로 제작되며, 일측 테두리는 상기 분리벽패널(21)의 둘레에 고착되고, 타측 테두리는 대략 높이방향으로 중간쯤되는 탱크(1)의 외벽의 내표면에 고착된다. 더욱이, 플렉시블 시트(22)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분리벽패널(21)은 2가지 상태일 때 탱크(1)내에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는데 상승한 상태는 패널이 최고높이(도 1A)에 있을 때 상부챔버(11)의 체적이 최소가되고, 하강된 상태는 패널이 최저높이(도 1B)에 있을 때 상부챔버(11)의 체적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분리벽패널(21)과 플렉시블 시트(22)로 이루어진 분리벽(2)은 상부챔버(11)와 하부챔버(12)의 상대적인 체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더구나, 탱크(1)의 상부챔버(11)의 내표면은
내수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연성합성수지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합성폴리에스테르섬유 또는 합성폴리에스테르시트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시트(22)에 접합이 용이한 재료로된 보호시트(13)로 코팅되며, 이 보호시트(13)의 하부테두리는 상기 플렉시블 시트(22)의 일측 테두리에 접합된다.
도면부호 3은 미처리수 입수구이고, 상기 미처리수 라인(31)에 연결되는데 미처리수를 상기 미처리수 라인(31)에서 상부챔버(11)로 공급할 수 있게 설치된다.
도면부호 4는 처리수 출수구이고, 처리수 라인(41)에 연결되는데 처리수 라인(41)을 통하여 상부챔버(11)로부터 처리수를 탱크(1)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부챔버(11)로 미처리수를 공급하고, 상부챔버(11)로부터 처리수를 방출하는 자동제어는 미처리수 입수구(3) 및 미처리수 라인(31) 사이와 처리수 출수구(4) 및 처리수 라인(41) 사이에 각기 조립되는 미처리수밸브(32) 및 처리수밸브(42)를 자동개폐밸브로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도면부호 5는 미처리수 입수구(3)와 처리수 출수구(4)와 상부챔버(11) 사이에 배치되는 아이솔레이션 밸브(isolation valve)이다. 미처리수 입수구(3)와 처리수 출수구(4)와 상부챔버(11) 사이의 물흐름의 개폐를 자동제어하는 것은 아이솔레이션 밸브(5)를 자동개폐밸브로 제작함으로써 가능하다.
도면부호 6은 교반장치며, 탱크(1)의 상부로부터 상부챔버(11)내로 메달려 설치된다. 상기 교반장치(6)는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예정된 회전속도로 상부챔버(11)내의 미처리수를 교반하기 위하여 탱크(1)의 상부상에 설치된 동력원으로 작동된다.
도면부호 7은 수위조절용 입/배수구이며, 하부챔버(12)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하부챔버(12)내에 물을 유입시킴으로써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패널(21)을 최고점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하부챔버(12)로부터 물을 방출시킴으로써 도 1B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리벽패널(21)을 최저점으로 배치시킨다. 분리벽패널(21)을 승하강시킴으로써 분리벽(2)이 승하강되고, 상부챔버(11) 및 하부챔버(12)의 상대적인 체적은 상기 분리벽(2)의 사용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입/배수구(7)는 탱크(1)의 외벽의 하부상에 몇 개의 위치(도면상에는 4개)에 설치되며, 입/배수구(7)중 수위조절을 위해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사용하여 하부챔버(12)내로 물을 유입시킬 수도 있고, 상기 하부챔버(12)로부터 물을 방출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부력조절백(23)은 분리벽패널(21)의 상면주변부 또는 하면주변부에 설치되고, 부력조절백(23)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공기공급/제거장치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함으로써 조절된다. 이러한 수단으로 상기된 바와 같이 분리벽패널(21)을 상승시킬 때에는 부력조절백(23)의 부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부력조절백(23)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분리벽패널(21)을 하강시킬 때에는 분리벽패널(21)을 자중에 의해 하강시킬 수 있도록 부력조절백(23)내의 공기를 적당히 제거시킴으로써 분리벽패널(21)의 원활한 수직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8은 미처리수가 공급될 때 상부챔버(11)로부터 공기를 방출시키는 공기방출밸브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수처리탱크의 작동이 기재될 것이다.
먼저, 처리수밸브(42)를 폐쇄하고, 미처리수밸브(32)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5)를 개방함으로써 미처리수 라인(31)으로부터의 미처리수는 미처리수 입수구(3)로부터 상부챔버(11)로 공급된다. 이러는 동안에 수위조절용 물은 분리벽(2)에 의해 상부챔버(11)로부터 분할된 하부챔버(12)로부터 입/배수구(7)를 통하여 방출되며, 상부챔버(11)내로의 미처리수 공급 및 하부챔버(12)로부터의 수위조절용 물의 방출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패널(21)이 최저수위가 될 때까지 실행된다. 동시에 양호하게는 분리벽패널(21)에 조립된 부력조절백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분리벽패널의 자중에 사용하여 분리벽패널의 원활한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부력조절백이 수축된다.
분리벽(2)이 최대로 하강되었을 때, 상부챔버(11)는 최대부피의 미처리수로 채워지고, 미처리수 밸브(32)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5)는 폐쇄되고, 그 다음 미처리수의 처리는 상부챔버(11)내에서 실행된다. 미처리수의 처리공정은 상기 미처리수와 응집제를 혼합함으로써 실시되고, 교반장치(6)의 회전에 의해 예정된 시간동안 교반침전공정을 실행한다. 교반공정 다음에, 교반장치(6)는 정지되어 정지상태에 도달되고, 슬러지는 상부로부터 침전 및 분리되어 상부챔버(11)내의 물은 깨끗하게 처리된다.
침전 및 분리공정 다음에, 처리수 밸브(42)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5)는 개방되고, 하부챔버(12)에 수위조절용 물의 유입에 동반하여 분리벽(12)이 상승하고, 하부챔버(12)내의 수위가 올라간다. 이러는 동안에 처리수는 처리수 출수구(4)를 통하여 상부챔버(11)로부터 방출되고, 수위조절용 물은 분리벽패널(21)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점에 도달할 때까지 하부챔버(12)내로 계속적으로 유입된다. 분리벽(2)의 상승작동에 의하여 처리수는 처리수 출수구(4)를 통하여 상부챔버(11)로부터 방출된다. 동시에, 양호하게는 분리벽패널(21)의 원활한 수직작동이 부력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게 부력조절백(23)이 팽창하도록 부력조절백(23)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더욱이, 처리수의 방출이후에, 침전된 슬러지는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장치에 의거 제거되는데 그때에는 처리수와 슬러지를 식별할 수 있는 탁도센서(turbidity sensor)와 직렬로 연결되는 밸브를 사용하여 방출라인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고정은 상부챔버(11)에 미처리수를 공급하는 최초단계로 되돌아가며, 상기 공정순서는 반복적으로 실시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처리탱크에 따른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 공정의 전체 시리즈, 미처리수의 공급, 교반된 침전공정, 침전 및 분리, 처리수의 방출은 하나의 탱크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그러므로, 큰 규모의 정수시설이 필요없고, 장비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장비설치면적이 크게 감소되고, 정수설비가 매우 간단히 조립될 수 있다.
또한, 하부챔버(12)내의 수위조절에 의하여, 분리벽(2)의 위치가 최고위치나 또는 최저위치일 수 있고, 상부챔버(11) 및 하부챔버(12)는 각기 상부 및 하부챔버(11)(12)내로 유입되는 미처리수 또는 수위조절용 물을 갖음으로써 항상 물로 채워진다. 따라서, 분리벽(2)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위치 일때 하부챔버(12)내에 수위조절용 물의 체적은 상부챔버(11)내에 미처리수의 체적보다 크고, 분리벽(2)이 최저위치 일 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조적으로, 하부챔버(12)내의 수위조절용 물의 체적이 상부챔버(11)내의 미처리수의 체적보다 작지만 두 개의 챔버(11)(12)의 내부에 물의 상대적 체적만 변화될 뿐 탱크(1)를 항상 채우고 있는 물의 총 체적은 변화되지 않으며, 이러한 놀라운 균형은 분리벽(2)의 자중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다시 말하면, 높이방향의 중심위치는 항상 고정되고, 지면으로의 수직부하는 항상 고정되고, 회전운동은 발생되지 않으므로 비록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의 각각의 수위가 변화된다고 할지라도 전체는 물로 가득 채워짐으로 무게균형이 우수하다.
더구나, 탱크(1)가 기밀임으로, 처리수는 대기와 접촉되지 않고, 오염물질의 점착 및 냄새의 발생이 없음으로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탱크가 분리벽(2)을 수직상방으로 누르는 수단에 의해 탱크(1)의 상부상의 처리수배수구(4)에서 상부챔버(11)내에 처리수를 방출하도록 셋업됨으로 정수된 상부액체는 항상 첫 번째로 방출되고, 존재하는 슬러지의 양에 관계없이 항상 깨끗한 처리수를 추출할 수 있다. 더구나, 비록 오일과 같은 쉽게 침전되지 않는 부유성분이 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일지라도 밸브를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탁도센서 등을 사용함으로써 추출할 때 깨끗한 물과 오염물을 식별하고, 처리수라인과 슬러지라인을 전환시킴으로써 오염물을 갖는 처리수의 혼합에 관련된 문제가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수처리탱크를 사용하는 수처리장치의 실시예가 기재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함께 관련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정수탱크로 구성된 수처리장치의 도식적인 윤곽선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5는 수처리장치의 전체에 대한 공정순서의 한 사이클을 도시한다. 더구나, 도 2 내지 도 5는 다수개의 수처리탱크가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수처리장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4개의 수처리탱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수처리탱크(1A 내지 1D)의 각각의 하부챔버(12A 내지 12D)는 수위조절용 물이 하부챔버들 사이를 흐르게 하는 파이프(100)에 의해 연결된다. 수처리탱크(1A 내지 1D)의 각각에 조립되는 수위조절 입/배수구(7)(도 1에 보여짐)용 물은 파이프(100)에 의해 각각의 하부챔버(12A 내지 12D)를 연결하였을 때 사용된다. 각각의 탱크(1)의 메인본체는 다수개의 입/배수구(7)가 조립됨으로 몇 개의 다른 수처리탱크들의 하부챔버(12)를 갖는 하나의 수처리탱크의 하부챔버(12)를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된 탱크들의 숫자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이프(100)는 수위조절용 물을 수용하고, 각각의 수처리탱크(1A 내지 1D)가 공유하는 하나의 저장탱크(200)에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수위조절용 물은 저장탱크(200) 및 하부챔버들(12A 내지 12D) 사이를 흐를 수 있다. 저장탱크(200)는 하부챔버(12A 내지 12D)내로 유입되는 수위조절용 물의 양을 균등하게 배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챔버(11A 내지 11D)는 미처리수 라인 및 처리수 라인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부챔버(11A 내지 11D)는 미처리수가 공급될 수 있고, 처리수가 각각의 상부챔버(11A 내지 11D)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언급된 수처리장치는 각각의 수처리탱크(1A 내지 1D)가 수처리를 독립적으로 실행하도록 셋업되고, 미처리수 처리순서의 공정 타이밍은 각각의 탱크 사이에서 조절된다.
다시 말하면, 예로써 도 2의 순서를 보면, 하부챔버(12a)는 수처리탱크(1a)내에 수위조절용 물에 의해 수용 용량까지 채워지고, 분리벽(2a)은 최고위치에 위치되고, 미처리수는 상부챔버(11A)로 공급될쯤에, 수처리탱크(1B)에서는 분리벽(2B)이 최저위치에 위치되고, 상부챔버(11B)는 미처리수에 의해 수용용량까지 채워지고, 응집제가 가해질 때쯤에, 교반장치가 교반침전공정을 실행하도록 회전된다. 수처리탱크(1C)에서는, 교반장치가 정지하여 고정상태가 되고, 그다음 응집된 슬러지가 침전되고, 처리수가 얻어진다. 수처리탱크(1D)에서는, 분리벽(2D)이 최저위치에서 상승할 때 쯤에 상부챔버(11D)에서 처리수가 방출한다. 그러므로, 미처리수의 처리는 각각의 수처리탱크(1A 내지 1D)에 대하여 다른 공정단계의 타이밍으로 실행된다.
상기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 3의 상태는 수처리탱크(1A)가 도 2의 수처리탱크(1B)에서 실행되던 교반침전공정을 실행하고, 상기 수처리탱크(1B)는 도 2의 수처리탱크(1C)에서 실행되던 침전 및 분리를 실행하고, 상기 수처리탱크(1C)는 도 2의 수처리탱크(1D)에 의해 실행되던 처리수방출을 실행하며, 상기 수처리탱크(1D)는 도 2의 수처리탱크(1A)에 의해 실행되던 미처리수공급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미처리수가 상부챔버(11D)로 공급됨으로, 분리벽(2D)은 하강되고, 수위조절용 물은 파이프(100)를 통하여 방출된다. 이때, 수처리탱크(1A)(1B)는 공정단계이고, 수처리탱크(1A)(1B)의 아이솔레이션 밸브는 폐쇄된 상태임으로, 분리벽(2A)(2B)은 상승할 수 없고, 수위조절용 물은 파이프(100)를 통하여 하부챔버(12A)(12B)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수위조절용 물은 오직 하부챔버(12C)내로만 유입되며, 처리수밸브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는 처리수를 방출하도록 개방된다. 이렇게 하여, 분리벽(2C)은 상승하고, 분리벽이 상승함으로 처리수는 상부챔버(11C)로부터 방출된다.
다음, 도 4의 상태는 수처리탱크(1A)는 침전 및 분리를 실행하고, 수처리탱크(1B)는 처리수를 방출하고, 수처리탱크(1C)는 미처리수를 유입하고, 처리수탱크(1D)는 교반침전공정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된 바와 같이, 수처리탱크(1B)의 분리벽(2B)은 상승하고, 수위조절용 물은 하부챔버(12C)로부터 처리수가 방출된 탱크로 파이프(100)를 통하여 하부챔버(12B)로 유입된다.
더구나, 도 5의 상태는 처리수가 수처리탱크(1A)에서 방출되고, 수처리탱크(1B)는 미처리수를 유입하고, 수처리탱크(1C)는 교반침전공정을 실행하며, 수처리탱크(1D)는 침전 및 분리를 실행한다. 이때 상기된 바와 같이, 분리벽(2A)은 상승하고, 수위조절용 물은 하부챔버(12b)로부터 처리수가 방출된 탱크로 파이프(100)를 통하여 하부챔버(12A)로 유입된다.
이 다음에, 공정순서는 도 2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상기와 같이 순서로 반복된다.
더구나, 만약 어느 수처리탱크의 하부챔버로부터 방출된 수위조절용 물의 체적이 부족하거나 또는 다른 수처리탱크의 분리벽이 최고높이로 상승시키는 대조적인 과잉이었다면, 전체 시스템내에서의 평행은 물이 부족한 경우에 파이프(100)를 통하여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저장탱크(200)로부터 물을 공급하여 유지되고, 물이 과잉된 경우에 과잉된 물을 파이프(100)를 통하여 역으로 통과시켜 저장탱크(200)로 보냄으로써 유지된다.
관례적인 일련의 수처리는 중대한 문제를 갖는데 관례적인 일련의 수처리에 있어서, 혼합단계와 같은 각각의 단계, 응고단계, 침전 및 분리단계에는 각각의 처리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며, 그것은 관례적인 수처리는 다수개의 처리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며, 이것은 미처리수 및 처리수이거나 또는 둘중 어느 하나를 하나의 처리용기에서 다른 하나의 처리용기로 이송하기 위한 동력을 요구한다. 그리고, 미처리수 및 처리수이거나 또는 둘중 어느 하나를 이송하는 공정에 있어서, 안정된 고정은 수온의 변화에 영향을 받게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처리용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관례적인 시스템과 같이 물을 이송하기 위한 동력을 요구하지 않고, 안정된 공정이 수온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장비의 설치면적이 매우 작게 소요되며, 장비는 지상에서 수처리탱크에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셋업할 수 있으므로 장비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다수개의 수처리탱크를 연결하고, 각각의 탱크에 다른 공정순서의 타이밍을 정하여 줌으로써 미처리수의 연속처리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더구나, 각각의 수처리탱크의 상부챔버에서의 처리수의 방출은 다른 수처리탱크의 상부챔버에 미처리수를 공급하는 동안에 분리벽의 하강운동에 의해 방출되는 수위조절용 물을 사용함으로서 실행됨으로 처리수를 방출하기 위한 동력은 특히 요구되지 않고, 동력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충분한 에너지절감수단을 채용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 또는 태양열발전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으로 인하여, 설치의 용이성과 함께 부족한 전력공급설비 면적의 사용하거나 또는 재해 등과 같은 때에 비상수처리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처리용량은 취급될 양에 따라 장비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제작한 수처리탱크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조절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평평한 패널이 분리벽패널(21)로 사용되지만 평평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써, 비록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외측벽을 갖는 콘테이너 같은 형태를 형성하도록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를 구부리거나, 외측벽의 둘레 가장자리에 플렉시블 시트(22)의 일측 가장자리를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콘테이너형 분리벽패널이 사용된다면, 분리벽패널은 분리벽패널내에서 조절되는 상부챔버(11)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와 함께 상승함으로 이 분리벽패널은 상부챔버(11)의 내측에서 슬러지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처리시설을 대단히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규모이면서도 조립이 대단히 용이하고, 간단한 장비를 사용하여 매우 낮은 비용으로 공장폐수, 상수도 용수, 중수, 하수도 폐수등의 물을 수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처리탱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처리탱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처리탱크를 사용하는 수처리장치의 연속공정을 도시하여 설명한 도식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탱크 2: 분리벽
3: 미처리수 입수구 4: 처리수 출수구
5: 아이솔레이션 밸브 6: 교반장치
7: 입/배수구 8: 공기누출밸브
11: 상부챔버 12: 하부챔버
13: 보호시트 21: 분리벽패널
22: 플렉시블 시트 23: 부력조절백
31: 미처리수 라인 32: 미처리수 밸브
41: 처리수 라인 42: 처리수 밸브
100: 파이프 200: 저장탱크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13)

  1. 상부에 미처리수 입수구와 처리수 배수구를 가진 밀봉된 탱크이며 그 탱크를 상하로 2분하여 상부 및 하부챔버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하로 승하강해서 상기 상부챔버와 하부챔버의 수위를 변화시키도록 하는 분리벽을 구비하고, 그 분리벽 상측의 상부챔버와 하측의 하부챔버는 양측 공히 만수상태이고, 하부챔버에는 수위 조절용의 물로 채워지며 적어도 하나의 입수구와 배수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다각형 또는 원형의 분리벽 패널 및 플렉시블시트로 형성되고 그 플렉시블시트의 일단은 상기 분리벽 패널의 둘레에 고착되고, 타단은 탱크본체의 내표면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탱크.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부챔버에는 교반기가 탱크의 상부에 매달려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분리벽패널의 하면주변부에 부력조절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탱크는 다수개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탱크.
  6. 제 4항에 기재된 수처리탱크를 복수개 설치하여 물이 수처리탱크의 하부챔버 사이를 흐를 수 있고, 미처리수가 수처리탱크의 상부챔버로 공급되고, 하부챔버의 물이 방출됨에 따라 분리벽이 최저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되고, 미처리수가 체적의 한계까지 상부챔버를 채우고, 미처리수의 수처리가 실행된 다음 처리수와 슬러지의 분리공정이 실행되고, 미처리수가 어느 수처리탱크의 상부챔버에 공급될 때 하부챔버로부터 방출되는 수위조절용 물이 탱크의 하부챔버내로 유입되어 미처리수의 수처리가 완료되고, 분리벽이 상승함으로써 상부챔버로부터 처리수를 방출하도록 미처리수의 처리공정의 타이밍이 서로 다른 수처리탱크들 사이에서 다르게 이루어지도록 수처리탱크들의 각각의 하부챔버가 연결되어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7. 제 6항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수처리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수처리장치에서의 미처리수의 처리사이클은 미처리수가 탱크의 상부챔버에 공급되고, 하부챔버내의 수위조절용 물은 미처리수가 상부챔버의 최대체적까지 채워지도록 방출되는 제 1단계와; 응집제가 상부챔버내에 미처리수와 함께 혼합되고, 교반침전공정이 실행되는 제 2단계와; 미처리수의 침전 및 분리가 일어나는 제 3단계와; 수위조절용 물이 하부챔버내로 유입되고, 처리수가 상부챔버로부터 방출되는 제 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수처리탱크들 모두가 공유하는 수위조절용저장탱크를 설치하여 물이 상기 저장탱크와 수처리탱크들의 각각의 하부챔버 사이를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2-0008517A 2002-02-18 2002-02-18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481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517A KR100481965B1 (ko) 2002-02-18 2002-02-18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517A KR100481965B1 (ko) 2002-02-18 2002-02-18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858A KR20030068858A (ko) 2003-08-25
KR100481965B1 true KR100481965B1 (ko) 2005-04-14

Family

ID=43668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517A KR100481965B1 (ko) 2002-02-18 2002-02-18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96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2315A1 (de) * 1995-04-01 1996-10-02 Matthias Schwetje Wasserbehälter
KR19990001976A (ko) * 1997-06-18 1999-01-15 김학수 공기양수관을 이용한 담수호의 폭기 및 침전물제거장치
JPH11226585A (ja) * 1998-02-13 1999-08-24 Yashima Denki Kk 水質浄化装置
KR20030012069A (ko) * 2001-07-30 2003-02-12 주식회사 효성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장치 및 방법
KR20030042645A (ko) * 2001-11-23 2003-06-02 (주)이앤엠코리아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12315A1 (de) * 1995-04-01 1996-10-02 Matthias Schwetje Wasserbehälter
KR19990001976A (ko) * 1997-06-18 1999-01-15 김학수 공기양수관을 이용한 담수호의 폭기 및 침전물제거장치
JPH11226585A (ja) * 1998-02-13 1999-08-24 Yashima Denki Kk 水質浄化装置
KR20030012069A (ko) * 2001-07-30 2003-02-12 주식회사 효성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장치 및 방법
KR20030042645A (ko) * 2001-11-23 2003-06-02 (주)이앤엠코리아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8858A (ko)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5823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EP28890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EP28890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ir scouring of a screen in a water treatment facility
KR20100044325A (ko) 부유식 상징수 배출장치
CN108622997A (zh) 承压式净化装置
US6126815A (en) Sequential air dissolved floatation apparatus and methods
EP1184341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KR101840040B1 (ko) 상등수 배출장치
EP0410961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 particles from a liquid
KR100481965B1 (ko)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651867B1 (ko) 스컴 및 상징수 배출장치
PL193181B1 (pl) Urządzenie do odprowadzania czystej wody z urządzeń do oczyszczania ścieków pracujących w sposób nieciągły i urządzenie do oczyszczania ścieków
AU2007215163B2 (en) Air activated decanter
WO2006031393A1 (en) Air activated decanter
GB2079264A (en) Sewage treatment
WO2003055808A1 (en) Waste treatment apparatus
RU220013U1 (ru) Станция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CN218811097U (zh) 一种色酚加工废液处理装置
CN218811096U (zh) 一种色酚加工废液处理系统
CA2006928C (en) Decanter device
KR200321611Y1 (ko) 회분식 활성슬러지법에 사용되는 부력작동 스컴차단판식상등수배출장치
KR0135473B1 (ko) 상향류식 폐수처리장치의 반수몰식 기밀유지장치
KR200298665Y1 (ko) 오폐수 및 하수의 처리된 처리수 방류장치
JPS60160Y2 (ja) 改良された脱窒槽を有する汚水処理装置
KR20000058314A (ko) 연속회분식 반응조 공정의 고무압착식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