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8858A -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68858A KR20030068858A KR1020020008517A KR20020008517A KR20030068858A KR 20030068858 A KR20030068858 A KR 20030068858A KR 1020020008517 A KR1020020008517 A KR 1020020008517A KR 20020008517 A KR20020008517 A KR 20020008517A KR 20030068858 A KR20030068858 A KR 200300688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treatment
- chamber
- tank
- untreate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의 특별한 특징은 상부상에 미처리수 입수구 및 처리수배수구가 구비되어 있는 탱크인데 상기 탱크는 내부공간을 상부 및 하부 두 개의 부분으로 분할하는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와, 상기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내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분리벽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벽의 상측의 상부챔버 및 상기 분리벽의 하측의 하부챔버 양측은 물로 채워진다. 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수처리시설에 아주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새로운 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공장폐수, 상수도 용수, 중수, 하수도 폐수뿐만 아니라 바다, 강, 호수 및 습지 등과 같은 광대한 적용범위에 낮은 처리단가로 물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수처리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 새로운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에 필요한 대규모시설 및 그것에 관련된 장비는 넓은 땅이 요구됨과 동시에 대규모 건설공사를 필요로 한다.
특히, 강, 호수 및 습지로부터 처리되지 않은 물을 정수하는 경우에는 강, 호수 또는 습지로부터 지상에 설치된 수처리 시설로 미처리수를 펌핑에 의해 끌어올린 후 상기 수처리시설을 사용하여 미처리수를 처리한 다음 정수된 물을 강, 호수 또는 습지로 되돌려 보내기야 하기 때문에 물을 이송하는데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처리 시설을 대단히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새로운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규모이면서도 조립이 대단히 용이하고, 간단한 장비를 사용하여 매우 낮은 비용으로 바다, 강 및 호수 등과 같은 수원의 넓은 범위의 물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게시될 것이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본 발명의 하기 명세 및 양호한 실시예에 의해서 명료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처리탱크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처리탱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처리탱크를 사용하는 수처리장치의 연속공정을 도시하여 설명한 도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수처리탱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미처리수 입구 및 처리수 출구의 구조를 일실시예로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사용예로 도시한 정면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한 도식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 1적용예를 도시한 도식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 2적용예를 도시한 도식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 3적용예를 도시한 도식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 3적용예를 도시한 다이아그램.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다른 구조의 사용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탱크2: 분리벽
3, 308: 미처리수 입수구4: 처리수 입수구
5: 아이솔레이션 밸브6, 307: 교반장치
7: 입/배수구8: 공기누출밸브
11: 상부챔버12: 하부챔버
13: 보호시트21: 분리벽패널
22, 304: 플렉시블 시트23, 306: 부력조절백
31: 미처리수 라인32: 미처리수 밸브
41: 처리수 라인42: 처리수 밸브
100: 파이프200: 저장탱크
300: 수처리장치301: 외벽
302: 상부플레이트303: 받침대
305: 수처리챔버309: 처리수 배수구
310: 관부311: 밸브백
400: 강401: 호수 또는 습지
401a: 섬402: 항구구역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처리탱크를 도시한 것으로, 도 1A는 정단면도이고, 도 1B는 측단면도이다. 다이아그램은 수처리 탱크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금속제로 형성된 기밀용기로써 표면이 플루오르를 포함하는 수지코팅 또는 염화비닐수지코팅, 스테인레스강 또는 폴리에스터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된 탱크이다. 탱크(10)의 측단면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원형 또는 다른 어떤 형상이어도 좋다.
도면부호 2는 탱크(1)를 상하부 두 개의 부분, 상부챔버(11)와 하부챔버(12)로 분할하는 분리벽으로써 분리벽 패널(21)과 상기 분리벽 패널(21)과 탱크(1) 사이에 꼭 맞게 조립된 플렉시블 시트(22)로 구성된다.
분리벽 패널(21)은 탱크(1)의 측단면 형상에 해당하는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평면패널으로써, 상기 분리벽 패널(21)의 외측 테두리와 탱크(1)의 내표면 사이에 틈이 형성될 수 있도록 분리벽 패널(21)의 외경이 탱크(1)의 내경 보다 작다. 이 분리벽 패널(21)용 재료로는 경성 염화비닐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스테인레스강과같은 금속제 또는 표면이 염화비닐 또는 플루오르를 함유한 수지코팅제로 코팅된 금속제가 사용될 수 있다.
플렉시블 시트(22)는 합성폴리에스테르섬유, 합성폴리에틸렌시트와 같은 내수성 및 내화학성 플렉시블수지제로 제작되며, 일측 테두리는 상기 분리벽패널(21)의 둘레에 붙여지고, 타측 테두리는 대략 높이방향으로 중간쯤되는 탱크(1)의 외벽의 내표면에 붙여진다. 더욱이, 플렉시블 시트(22)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분리벽패널(21)은 2가지 상태일 때 탱크(1)내에서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는데 상승한 상태는 패널이 최고높이(도 1A)에 있을 때 상부챔버(11)의 체적이 최소가되고, 하강된 상태는 패널이 최저높이(도 1B)에 있을 때 상부챔버(11)의 체적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분리벽패널(21)과 플렉시블 시트(22)로 이루어진 분리벽(2)은 상부챔버(11)와 하부챔버(12)의 상대적인 체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더구나, 탱크(1)의 상부챔버(11)의 내표면은
내수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연성합성수지제, 보다 바람직하게는 합성폴리에스테르섬유 또는 합성폴리에스테르시트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시트(22)에 접합도 용이한 재료로된 보호시트(13)로 코팅되며, 이 보호시트(13)의 하부테두리는 상기 플렉시블 시트(22)의 일측 테두리에 접합된다.
도면부호 3은 미처리수 입구이고, 상기 미처리수 라인(31)에 연결되는데 미처리수를 상기 미처리수 라인(31)에서 상부챔버(1)로 공급할 수 있게 설치된다.
도면부호 4는 처리수 출구이고, 처리수 하링(41)에 연결되는데 처리수 라인(41)을 통하여 상부챔버(11)로부터 처리수를 탱크(1)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부챔버(11)로 미처리수를 공급하고, 상부챔버(11)로부터 처리수를 방출하는 자동제어는 미처리수입구(3) 및 미처리수라인(31) 사이와 처리수입구(4) 및 처리수라인(41) 사이에 각기 조립되는 미처리수밸브(32) 및 처리수밸브(42)를 자동개폐밸브로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도면부호 5는 미처리수입구(3)와 처리수출구(4)와 상부챔버(11) 사이에 배치되는 아이솔레이션 밸브(isolation valve)이다. 미처리수입구(3)와 처리수출구(4)와 상부챔버(11) 사이의 물흐름의 개폐를 자동제어하는 것은 아이솔레이션 밸브(5)를 자동개폐밸브로 제작함으로써 가능하다.
도면부호 6은 교반장치며, 탱크(1)의 상부로부터 상부챔버(11)내로 메달려 설치된다. 상기 교반장치(6)는 회전날개를 구비하고, 예정된 회전속도로 상부챔버(11)내의 미처리수를 교반하기 위하여 탱크(1)의 상부상에 설치된 동력원으로 작동된다.
도면부호 7은 수위조절용 입/배수구이며, 하부챔버(12)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하부챔버(12)내에 물을 유입시킴으로써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패널(21)을 최고점으로 배치시키고, 상기 하부챔버(12)로부터 물을 방출시킴으로써 도 1B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리벽패널(21)을 최저점으로 배치시킨다. 분리벽패널(21)을 승하강시킴으로써 분리벽(2)이 승하강되고, 상부챔버(11) 및하부챔버(12)의 상대적인 체적은 상기 분리벽(2)의 사용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입/배수구(7)는 탱크(1)의 외벽의 하부상에 몇 개의 위치(도면상에는 4개)에 설치되며, 입/배수구(7)중 수위조절을 위해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사용하여 하부챔버(12)내로 물을 유입시킬 수도 있고, 상기 하부챔버(12)로부터 물을 방출시킬 수도 있다.
더구나, 부력조절백(23)은 분리벽패널(21)의 상부 및 하부 테두리 또는 상부 및 하부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 주위에 조립되고, 분리벽패널(21)의 부력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공기공급/제거장치에 의해 팽창 또는 수축함으로써 조절된다. 이러한 수단으로 상기된 바와 같이 분리벽패널(21)을 상승시킬 때에는 부력조절백(23)의 부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부력조절백(23)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분리벽패널(21)을 하강시킬 때에는 분리벽패널(21)을 자중에 의해 하강시킬 수 있도록 부력조절백(23)내의 공기를 적당히 제거시킴으로써 분리벽패널(21)의 원활한 수직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8은 미처리수가 공급될 때 상부챔버(11)로부터 공기를 방출시키는 공기방출밸브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수처리탱크의 작동이 기재될 것이다.
첫째로, 처리수밸브(42)를 폐쇄하고, 미처리수밸브(32)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5)를 개방함으로써 미처리수라인(31)으로부터의 미처리수는 미처리수 입수구(3)로부터 상부챔버(11)로 공급된다. 이러는 동안에 수위조절용 물은 분리벽(2)에 의해 상부챔버(11)로부터 분할된 하부챔버(12)로부터 입/배수구(7)를 통하여 방출되며, 상부챔버(11)내로의 미처리수 공급 및 하부챔버(12)로부터의 수위조절용 물의 방출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벽패널(21)이 최저수위가 될 때까지 실행된다. 동시에 양호하게는 분리벽패널(21)에 조립된 부력조절백으로부터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분리벽패널의 자중에 사용하여 분리벽패널의 원활한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부력조절백이 수축된다.
분리벽(2)이 최대로 하강되었을 때, 상부챔버(11)는 최대부피의 미처리수로 채워지고, 미처리수 밸브(32)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5)는 폐쇠되고, 그 다음 미처리수의 처리는 상부챔버(11)내에서 실행된다. 미처리수의 처리공정은 상기 미처리수와 응고제를 혼합함으로써 실시되고, 교반장치(6)의 회전에 의해 예정된 시간동안 교반침전공정을 실행한다. 교반공정 다음에, 교반장치(6)는 정지되어 정지상태에 도달되고, 슬러지는 상부로부터 침전 및 분리되어 상부챔버(11)내의 물은 깨끗하게 처리된다.
침전 및 분리공정 다음에, 처리수 밸브(42)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5)는 개방되고, 하부챔버(12)에 수위조절용 물의 유입에 동반하여 분리벽(12)이 상승하고, 하부챔버(12)내의 수위가 올라간다. 이러는 동안에 처리수는 처리수 출수구(4)를 통하여 상부챔버(11)로부터 방출되고, 수위조절용 물은 분리벽패널(21)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점에 도달할 때까지 하부챔버(12)내로 계속적으로 유입된다. 분리벽(2)의 상승작동에 의하여 처리수는 처리수 출수구(4)를 통하여 상부챔버(11)로부터 방출된다. 동시에, 양호하게는 분리벽패널(21)의 원활한 수직작동이 부력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게 부력조절백(23)이 팽창하도록 부력조절백(23)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더욱이, 처리수의 방출이후에, 침전된 초과 슬러지는 제거되는데 그때에는 처리수와 슬러지를 식별할 수 있는 탁도센서(turbidity sensor)와 직렬로 연결되는 밸브를 사용하여 방출라인을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고정은 상부챔버(11)에 미처리수를 공급하는 최초단계로 되돌아가며, 상기 공정순서는 반복적으로 실시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처리탱크에 따른 이러한 공정에 있어서, 공정의 전체 시리즈, 미처리수의 공급, 교반된 침전공정, 침전 및 분리, 처리수의 방출은 하나의 탱크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그러므로, 큰 규모의 정수시설이 필요없고, 장비설치작업이 간단하고, 장비설치면적이 크게 감소되고, 정수설비가 매우 간단히 조립될 수 있다.
또한, 하부챔버(12)내의 수위조절에 의하여, 분리벽(2)의 위치가 최고위치나 또는 최저위치일 수 있고, 상부챔버(11) 및 하부챔버(12)는 각기 상부 및 하부챔버(11)(12)내로 유입되는 미처리수 또는 수위조절용 물을 갖음으로써 항상 물로 채워진다. 따라서, 분리벽(2)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고위치 일때 하부챔버(12)내에 수위조절용 물의 체적은 상부챔버(11)내에 미처리수의 체적보다 크고, 분리벽(2)이 최저위치 일 때 도 1B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조적으로, 하부챔버(12)내의 수위조절용 물의 체적이 상부챔버(11)내의 미처리수의 체적보다 작지만 두 개의 챔버(11)(12)의 내부에 물의 상대적 체적만 변화될 뿐 탱크(1)를 항상 채우고 있는 물의 총 체적은 변화되지 않으며, 이러한 놀라운 균형은분리벽(2)의 자중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다시 말하면, 높이방향의 중심위치는 항상 고정되고, 지면으로의 수직부하는 항상 고정되고, 회전운동은 발생되지 않으므로 비록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의 각각의 수위가 변화된다고 할지라도 전체는 물로 가득 채워짐으로 무게균형이 우수하다.
더구나, 탱크(1)가 기밀임으로, 처리수는 대기와 접촉되지 않고, 오염물질의 점착 및 냄새의 발생이 없음으로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탱크가 분리벽(2)을 수직상방으로 누르는 수단에 의해 탱크(1)의 상부상의 처리수배수구(4)에서 상부챔버(11)내에 처리수를 방출하도록 셋업됨으로 정수된 상부액체는 항상 첫 번째로 방출되고, 존재하는 슬러지의 양에 관계없이 항상 깨끗한 처리수를 추출할 수 있다. 더구나, 비록 오일과 같은 쉽게 침전되지 않는 부유성분이 물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일지라도 밸브를 전환하는데 사용하는 혼탁도 센서 등을 사용함으로써 축출할 때 깨끗한 물과 오염물을 식별하고, 처리수라인과 슬러지라인을 전환시킴으로써 오염물을 갖는 처리수의 혼합에 관련된 문제가 쉽게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수처리탱크를 사용하는 수처리장치의 실시예가 기재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는 함께 관련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정수탱크로 구성된 수처리장치의 도식적인 윤곽선을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5는 수처리장치의 전체에 대한 공정순서의 한 사이클을 도시한다. 더구나, 도 2 내지 도 5는 다수개의 수처리탱크가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수처리장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4개의 수처리탱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수처리탱크(1A 내지 1D)의 각각의 하부챔버(12A 내지 12D)는 수위조절용 물이 하부챔버들 사이를 흐르게 하는 파이프(100)에 의해 연결된다. 수처리탱크(1A 내지 1D)의 각각에 조립되는 수위조절 입/배수구(7)(도 1에 보여짐)용 물은 파이프(100)에 의해 각각의 하부챔버(12A 내지 12D)를 연결하였을 때 사용된다. 각각의 탱크(1)의 메인본체는 다수개의 입/배수구(7)가 조립됨으로 몇 개의 다른 수처리탱크들의 하부챔버(12)를 갖는 하나의 수처리탱크의 하부챔버(12)를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된 탱크들의 숫자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파이프(100)는 수위조절용 물을 수용하고, 각각의 수처리탱크(1A 내지 1D)가 공유하는 하나의 저장탱크(200)에 연결된다. 이??게 하여, 수위조절용 물은 저장탱크(200) 및 하부챔버들(12A 내지 12D) 사이를 흐를 수 있다. 저장탱크(200)는 하부챔버(12A 내지 12D)내로 유입되는 수위조절용 물의 양을 균등하게 배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부챔버(11A 내지 11D)는 미처리수 라인 및 처리수 라인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상부챔버(11A 내지 11D)는 미처리수가 공급될 수 있고, 처리수가 각각의 상부챔버(11A 내지 11D)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언급된 수처리장치는 각각의 수처리탱크(1A 내지 1D)가 수처리를 독립적으로 실행하도록 셋업되고, 미처리수 처리순서의 공정 타이밍은 각각의 탱크 사이에서 조절된다.
다시 말하면, 예로써 도 2의 순서를 보면, 하부챔버(12a)는 수처리탱크(1a)내에 수위조절용 물에 의해 수용 용량까지 채워지고, 분리벽(2a)은 최고위치에 위치되고, 미처리수는 상부챔버(11A)로 공급될쯤에, 수처리탱크(1B)에서는 분리벽(2B)이 최저위치에 위치되고, 상부챔버(11B)는 미처리수에 의해 수용용량까지 채워지고, 응고제가 가해질 때쯤에, 교반장치가 교반침전공정을 실행하도록 회전된다. 수처리탱크(1C)에서는, 교반장치가 정지하여 고정상태에 도달되고, 그다음 응고된 슬러지가 침전되고, 처리수가 얻어진다. 수처리탱크(1D)에서는, 분리벽(2D)이 최저위치에서 상승할 때 쯤에 상부챔버(11D)로에서 처리수가 방출한다. 그러므로, 미처리수의 처리는 각각의 수처리탱크(1A 내지 1D)에 대하여 다른 공정단계의 타이밍으로 실행된다.
상기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 3의 상태는 수처리탱크(1A)가 도 2의 수처리탱크(1B)에서 실행되던 교반침전공정을 실행하고, 상기 수처리탱크(1B)는 도 2의 수처리탱크(1C)에서 실행되던 침전 및 분리를 실행하고, 상기 수처리탱크(1C)는 도 2의 수처리탱크(1D)에 의해 실행되던 처리수방출을 실행하며, 상기 수처리탱크(1D)는 도 2의 수처리탱크(1A)에 의해 실행되던 미처리수공급을 실행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미처리수가 상부챔버(11D)로 공급됨으로, 분리벽(2D)은 하강되고, 수위조절용 물은 파이프(100)를 통하여 방출된다. 이때, 수처리탱크(1A)(1B)는 공정단계이고, 수처리탱크(1A)(1B)의 아이솔레이션 밸브는 폐쇄된 상태임으로, 분리벽(2A)(2B)은 상승할 수 없고, 수위조절용 물은 파이프(100)를 통하여 하부챔버(12A)(12B)내로 유입되지 못하고, 수위조절용 물은오직 하부챔버(12C)내로만 유입되며, 처리수밸브 및 아이솔레이션 밸브는 처리수를 방출하도록 개방된다. 이렇게 하여, 분리벽(2C)은 상승하고, 분리벽이 상승함으로 처리수는 상부챔버(11C)로부터 방출된다.
다음, 도 4의 상태는 수처리탱크(1A)는 침전 및 분리를 실행하고, 수처리탱크(1B)는 처리수를 방출하고, 수처리탱크(1C)는 미처리수를 유입하고, 처리수탱크(1D)는 교반침전공정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된 바와 같이, 분리벽(2B)은 상승하고, 수위조절용 물은 하부챔버(12C)로부터 물이 방추로딘 탱크로 파이프(100)를 통하여 유입된다.
더구나, 도 5의 상태는 처리수가 수처리탱크(1A)에서 방출되고, 수처리탱크(1B)는 미처리수를 유입하고, 수처리탱크(1C)는 교반침전공정을 실행하며, 수처리탱크(1D)는 침전 및 분리를 실행한다. 이때 상기된 바와 같이, 분리벽(2A)은 상승하고, 수위조절용 물은 하부챔버(12b)로부터 처리수가 방출된 탱크로 파이프(100)를 통하여 유입된다.
이 다음에, 공정순서는 도 2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상기와 같이 순서로 반복된다.
더구나, 만약 어느 수처리탱크의 하부챔버로부터 방출된 수위조절용 물의 체적이 부족하거나 또는 다른 수처리탱크의 분리벽가 최고높이로 상승시키는 대조적인 과잉이었다면, 전체 시스템내에서의 평행은 물이 부족한 경우에 파이프(100)를 통하여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저장탱크(200)로부터 물을 공급하여 유지되고, 물이 과잉된 경우에 과잉된 물을 파이프(100)를 통하여 역으로 통과시켜 저장탱크(200)로 보냄으로써 유지된다.
관례적인 일련의 수처리는 중대한 문제를 갖는데 관례적인 일련의 수처리에 있어서, 혼합단계와 같은 각각의 단계, 응고단계, 침전 및 분리단계에는 각각의 처리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며, 그것은 관례적인 수처리는 다수개의 처리용기가 필요하다는 것이며, 이것은 미처리수 및 처리수이거나 또는 둘중 어느 하나를 하나의 처리용기에서 다른 하나의 처리용기로 이송하기 위한 동력을 요구한다. 그리고, 미처리수 및 처리수이거나 또는 둘중 어느 하나를 이송하는 공정에 있어서, 안정된 고정은 수온의 변화에 영향을 받게된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처리용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관례저인 시스템과 같이 물을 이송하기 위한 동력을 요구하지 않고, 안정된 공정이 수온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장비의 설치면적이 매우 작게 소요되며, 장비는 지상에서 수처리탱크에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셋업할 수 있으므로 장비설치작업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다수개의 수처리탱크를 연결하고, 각각의 탱크에 다른 공정순서의 타이밍을 정하여 줌으로써 미처리수의 연속처리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더구나, 각각의 수처리탱크의 상부챔버에서의 처리수의 방출은 다른 수처리탱크의 상부챔버에 미처리수를 공급하는 동안에 분리벽의 하강운동에 의해 방출되는 수위조절용 물을 사용함으로서 실행됨으로 처리수를 방출하기 위한 동력은 특히 요구되지 않고, 동력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충분한 에너지절감수단을 채용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 또는 태양열발전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으로인하여, 설치의 용이성과 함께 부족한 전력공급설비 면적의 사용하거나 또는 재해 등과 같은 때에 비상수처리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처리용량은 취급될 양에 따라 장비를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제작한 수처리탱크의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조절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평평한 패널이 분리벽패널(21)로 사용되지만 평평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써, 비록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외측벽을 갖는 콘테이너 같은 형태를 형성하도록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를 구부리거나, 외측벽의 둘레 가장자리에 플렉시블 시트(22)의 일측 가장자리를 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콘테이너형 분리벽패널이 사용된다면, 분리벽패널은 분리벽패널내에서 조절되는 상부챔버(11)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와 함께 상승함으로 이 분리벽패널은 상부챔버(11)의 내측에서 슬러지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기재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수처리장치(300)는 상부에 뚜껑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302)가 조립되는 평면이 직사각형인 외벽(301)으로 이루어진다. 플렉시블 시트(304)에 의해 상부플레이트(302)에 접합되는 받침대(303)가 상기 외벽(301)의 하부 가장자리에 조립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302), 외벽(301), 받침대(3030) 및 플렉시블 시트(304)가 에워싸서 수처리챔버(305)를 형성한다.
외벽(301)은 상하단면이 개방되고 염화비닐 배관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조립된 프레임를 덮는 벽재료를 늘려 형성되고, 수처리챔버의 상부절반의 벽을 형성하는 외표면이다. 하기될 것과 같이, 수처리장치(300)가 처리될 물에 가라앉혀 사용됨으로 벽표면의 마무리 재료는 물이 새지 않게 유지할 수 있고, 우수한 내수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예로써, 염화비닐수지 시트, 폴리에스테르 수지 시트, 폴리에틸렌 수지 시트 등과 같은 것이 사용되어도 좋고 추가적으로 상기된 수지 시트를 사용하여 층상으로 쌓여진 시트가 사용되어도 좋다.
더욱이, 외벽은 내부에 공기가 채워질 수 있는 부력백 또는 내부에 물이 채워질 수 있는 물백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하여 외벽(301) 자체는 비록 처리될 물의 수위의 증감으로 인하여 수면위치에 수직변화가 있을지라도 물에 떠있을 것이고, 수처리장치(300)가 외벽(301)의 부력으로 인하여 수위에 따라 상하이동할 것임으로 수위에 따라 설치위치가 연속적으로 변화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어떤 문제도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 부력백 및 물백에 관해서는 백재료로 염화비닐 및 여화비닐과 같은 플렉시블 시트를 사용하여 프레임에 벽표면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물 또는 공기로 백을 채울 수도 있고, 또는 상기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플렉시블 시트로 형성된 파이프형 백 재료로 프레임을 에워싸고, 그 다음 물 또는 공기로 백을 채울수도 있으며, 어떤 적합한 벽재료의 수지시트는 공기백 또는 물백 양자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302)는 외벽(301)의 상부에 대하여 뚜껑을 형성한다. 이 상부플레이트(302)는 수처리챔버(305)내에 처리수와 외부의 미처리수(처리될 물) 사이의 접촉을 끊을 뿐만 아니라 찌꺼기 및 다른 관계없는 것들은 수처리챔버(305)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냄새의 누출을 방지하고, 위생환경을 유지시킨다. 이 상부 플레이트(302)에 대한 부력 및 무게의 가벼움을 주는 관점에서 보면, 상부 플레이트(302)는 내부가 공기로 채워지는 부력백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패널형상으로 형성된 발포합성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3030)는 외벽(301)의 평면 형상과 거의 동일한 형상의 평탄한 패널과 같이 형성되고, 상기 외벽(301)의 평면형상 보다 약간 작게 제작된다. 받침대(303)의 재료로는 경성염화비닐 및 그 밖에 비슷한 합성수지판, 스테인레스강 및 그 밖에 비슷한 것, 금속판 및 그 밖에 비슷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금속판은 염화비닐 또는 플루오르화 수지로 코팅된 표면을 갖는 것이 좋다.
받침대(30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조절백(306)에 조립된다. 부력조절백(306)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공기공급/제거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공급/제거장치의 공기 공급 또는 제거 작동에 의하여 팽창되거나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이 받침대는 하기될 바와 같이, 처리될 물의 수면의 하측에 위치되고, 부력조절배(306)의 팽창에 의해 부력이 주어지고, 그 부력으로 인해 수중에서 상승한다. 이 상승운동을 할 때에 받침대(3030)는 외벽(301)의 평면 형상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외벽(301)의 내표면과 받침대(303) 사이에 약간의 틈(도 10에서 300A의 상태로 보여짐)이 존재함으로 외벽(301)내에서 조절된다. 더구나, 부력조절백(306)의 수축은 받침대(303)를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자중에 의해 잠수되게 할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부력조절백(306)은 받침대(303)의 상부표면에 조립되어 있지만 하부표면 또는 상부표면과 하부표면 양쪽에 모두 조립될 수 있다. 더구나,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있어서, 부력조절백(306)은 받침대(303)의 외측가장자리에 적합한 거의 시각평면의 도넛형상을 형성하지만 평면상의 형태는 임의의 형태이다.
교반장치(307)는 받침대(303)의 상부표면의 중앙 거의 상측에 조립되고, 고정된 속도로 수처리챔버(305)내에서 처리수를 교반할 수 있다. 침수가능한 수중믹서는 교반장치(307)로 사용된다.
플렉시블 시트(304)는 외벽(301)의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받침대(303)의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서 신축됨으로 수처리챔버(305)의 벽표면의 하부절반을 형성한다. 이 플렉시블 시트(304)는 곧은 방향으로 유연성이 있고, 용이하게 구부러진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시트(304)의 하부 가장자리에 연결된 받침대(303)를 상기된 바와 같이 부력조절백(306)의 팽창 및 수축에 의해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플렉시블 시트(304)의 재료로는 내수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연성 합성수지 재료, 예로써 합성 폴리에스테르 시트, 합성 폴리에틸렌 시트 및 그 밖에 비슷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받침대(3030)는 도면에 도시된 편평한 패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써, 비록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벽을 콘테이너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편평한 패널의 외측 가장자리를 구부러지게 할 수 있고, 그 다음 이 콘테이너와 같은 형상의 받침대의 측벽의 외측 가장자리에 플렉시블 시트를 연결한다. 이렇게 하여, 받침대가 받침대내에서 조절되는 수처리챔버(305)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와 함께 상승함으로 (콘테이너와 같은) 받침대(303)는 수처리챔버의 내측에서 슬러지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구나, 동일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부력조절백은 플렉시블 시트(304)의 외측 둘레를 에워싸고, 받침대(303)와의 사이에 틈을 남기고, 받침대가 부력조절백의 팽창으로 인해 상승할 때 부력조절백에 조립되는 플렉시블 시트(304) 및 받침대(303)가 수처리챔버(305)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에워쌀 수 있도록 받침대(303)의 상부상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있어서, 도면부호 308은 수처리챔버(305)내로 미처리수를 유입하는 미처리수 입수구이며, 외벽(301)의 상부에 조립된다. 도면부호 309는 수처리챔버(305)에서 외부로 처리수를 방출하는 처리수배수구이며, 외벽(301)의 상부의 벽표면상에 상기 미처리수 입수구(308)와 대향되게 조립된다.
미처리수 입수구(308) 및 처리수배수구(309)의 개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로써,
개폐밸브를 형성하도록 미처리수 입수구(308) 및 처리수배수구(309)의 관부(310)내로 도시되지 않은 공기 공급/제거장치의 사용으로 공기를 공급 또는 제거함으로써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는 밸브백(311)을 삽입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는데 상기 밸브백(311)을 팽창시킴으로써 관부(310)를 폐쇄시켜 미처리수 또는 처리수의 흐름을 저지하거나 또는 밸브백(311)을 수축시킴으로써 관부(310)의 내측표면과, 밸브백(311)의 외측표면 사이에 틈을 형성시켜 미처리수 및 처리수를 흐를 수있게 한다. 이 공기 공급/제거수단으로는 부력조절백(306)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공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공기 공급/제거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처리장치(300)를 사용할 때, 처리될 물의 수처리는 대략 처리될 물의 수위로 처리될 물의 수중에 외벽(309), 미처리수 입수구(308) 및 처리수배수구(309)를 침수시켜 실행된다.
여기서 처리될 물의 예로는 상수도 용수, 중수, 하수도 폐수, 산업폐수, 강물, 호수 및 습지수, 바닷물을 들 수 있다. 더구나, "호수 및 습지"에 관해서는 호수 및 습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공적인 연못 또는 작은 호수 및 해협이나 수로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는 상수도 용수, 강물, 호수 및 습지수의 정수, 바닷물 및 그 밖에 바닷물과 같이 염분을 갖는 물의 담수화를 위한 예비공정을 취할 수 있고, 본 발명에 속하는 수처리장치(300)는 이러한 공정을 실행할 때 효과적으로 작동한다.
더구나, 수처리에 있어서, 콘크리트 등이 물탱크로 설치될 수 있는 경우에는
물의 평형을 잡는 깨끗한 물은 물탱크내에 배치될 수 있고, 수처리장치(300)는 물의 평형을 잡는 깨끗한 물의 수중에 침수될 수 있고, 미처리수는 수처리장치의 수처리챔버(305)로 공급되고, 처리수는 수처리챔버(305)로부터 방출된다.
언급된 공정을 실행하기 위하여, 비록 본 발명에 속하는 단일 수처리장치(300)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할지라도 처리될 물의 양에 따라 각각의 미처리수 입수구(308) 및 처리수배수구(30)가 동일한 쪽으로 모두 함께 연결된 다수개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여, 함께 연결된 수처리장치의 개수를 단지 증가시키는 것으로 처리될 물의 증가된 양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도 9에는 4개의 수처리장치(300A 내지 300D)가 함께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연결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처리장치는 각각의 다른 수처리장치와 물리적으로 접촉되거나 또는 수처리장치들 간에 약간의 틈이 있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308A 내지 308D는 각각의 수처리장치(300A 내지 300D)의 미처리수 입수구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부호 312는 수처리장치(300A 내지 300D)의 전체 시스템을 고정하는 닻이다.
도 10 내지 도 13에 있어서, 수처리장치(300)의 작동은 물에서 부유물을 제거하는 경우를 다룸으로써 설명된다. 이 도면에 있어서, 4개의 수처리장치(300A 내지 300D)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장치의 작동이 동일함으로 설명은 수처리장치(300A)에 관하여 서술될 것이다. 더구나, 수처리장치(300A 내지 300D)의 각각의 공정작동은 도 10 내지 도 13의 순서(정부에서 저부)에 따라 실행될 것이다.
첫 번째로, 미처리수 입수구(303)는 수처리챔버(305)내로 미처리수가 흐르도록 개방된다. 이때, 받침대(303)는 수처리챔버(305)내의 최고위치로 상승되어 있음으로 받침대(303)상의 부력조절백(306)을 채운 공기가 제거되면 받침대(3030)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하고, 수처리챔버(305)의 내주 체적은 미처리수를 수용하도록 증가한다(도 10).
받침대(303)가 최저위이로 하강되어 있고, 수처리챔버(305)가 미처리수에 의해 최대체적까지 채워졌을 때 미처리수 입수구(308)는 폐쇄되고, 처리공정은 제자리를 찾는다. 미처리수의 처리공정은 예정된 시간동안 교반침전공정을 실행하도록 교반장치(307)를 회전작동시킴으로써 제자리를 찾는다(도 11). 이 교반공정에서는 미처리수의 유입과 동시에 미처리수 입수구(308)로 응고제를 공급할 수 있다.
교반공정에 대한 예정된 시간이 지나면, 교반장치(308)는 정치되어 고정상태로 되고, 슬러지는 미처리수로부터 침전되어 상부의 깨끗한 처리수로부터 분리된다(도 12).
침전 및 분리가 완료되면, 처리수배수구는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개방되고, 받침대(303)는 받침대(303)에 조립된 부력조절백을 공기로 채움으로 부력을 얻고, 상기 부력에 의해 수처리챔버(305)내에서 상승한다(도 13). 받침대(303)가 상승함으로, 수처리챔버(305)내에 처리수(상부의 깨끗한 물)는 처리수배수구(309)에서 외부로 방추로디고, 처리수의 방출은 받침대가 초고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처리수는 상승하는 받침대(303)가 하측에서 상방으로 눌러 방출됨으로 상부의 깨끗한 처리수는 항상 첫 번째로 깨끗하게 방출되고, 처리수는 항상 침전된 슬러지의 양과 관계없이 방출된다. 처리수의 방출이 완료되면, 침전된 슬러지가 제거된다.
그 다음, 처리수배수구(309)가 폐쇄되고, 미처리수 입수구는 물이 흐르도록 개방되며, 그 이후에 상기 공정순서를 반복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본 발명에 속하는 수처리장치(300)에 의하여 미처리수를 공급하여 처리하는 작동, 교반작동, 침점 및 분해, 처리수를 방출하는 것은 처리될 물에 바로 실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대규모의 처리장비가 필요없고, 장비설치작업도 단순화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처리공정은 처리될 물의 수중에 직접 잠수하여 실행됨으로 지상에 설비를 설치할 필요 없이 실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미처리수의 유입 및 처리수의 방출을 위한 받침대(303)의 상승 및 하강작동은 부력조절백(306)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또는 공기를 제거하는 순간작동에 의해 간단하게 이루어 질 수 있고, 이송수단으로써 펌프 등을 계속적으로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동력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그 결과로써 충분한 에너지저장수단을 채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창출할 수 있는 풍력발생기 또는 태양열발생기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셋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발전설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됨으로 발전설비가 설치될 지상면적의 사용이 가능하다.
더구나, 도 10 내지 도 13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수처리장치가 함께 연결되어 있을 때에는 각각의 장치(300A 내지 300D)에 대한 작동순서의 타이밍을 상이하게 함으로써 처리공정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0의 상태와 같이, 미처리수가 수처리장치(300A)에 공급될 때 미처리수의 교반침전공정은 수처리장치(300B)에서 실행되고, 수처리장치(300C)에서는 침전 및 분리공정이 정지상태로 실행되고, 수처리장치(300D)에서는 처리수가 방출되며,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의 단계에 있어서, 처리공정은 수처리장치(300A 내지 300D)의 각각의 공정순서 타이밍에 의해서 실행된다. 이런한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수처리장치내에 받침대(303)상의 부력조절백(306)에 대한 공기공급 또는 공기제거작동을 실행할 공기공급/제거수단(도식도 도시되지 않음)만이 필요하고, 모든 수처리장치의 받침대(303)상의 부력조절백(306)에 대하여 공기공급 또는 공기제거작동을 실행할 필요가 없고 동시에 공기를 공급 및 제거하기 위해 특별히 큰 압축기 등의 작동을 위한 동력이 필요 없음으로 에너지절감수단으로 더욱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속하는 수처리장치(3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처리수 입수구를 상류방향으로 위치시켜 강물(400)에 잠기게함으로써 강물(400)의 처리공정을 실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즉,
수처리장치(300)내에 강(400)으로부터 미처리수를 유입 및 처리한 후 하류로 처리수를 방출하는 공정은 강의 상류수에 비교하여 하류쪽에 부유물의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의 장치와 같이 다수개의 상호 연결된 수처리장치(300)를 채택하고, 강(400)의 흐름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장치를 군데군데 배치하는 것이 강(400)의 물을 정화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더구나, 도면에서, 도면부호 313은 공기공급/제거수단을 포함하고, 받침대(303)상의 부력조절백(306)과 미처리수 입수구(308) 및 처리수배수구(309)내의 밸브백(311)에 공기를 공급하고 제거하는 것을 제어하는 지상에 배치된 제어장치이다.
도 15는 호수 또는 습지(401)에 배치되었을 때의 수처리장치(1)를 도시한다. 수처리장치(300)는 호수 또는 습지(401)내에 잠겨지고, 수처리장치(300)내에 상기 호수 또는 습지(401)로부터 미처리수가 유입 및 처리하고, 처리수를 호수 또는 습지(401)내로 재차 방출함으로써 호수 또는 습지(401)의 물내에 부유물의 농도를 점차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나의 장치와 같이 상호 연결된 다수개의 수처리장치(300)를 채택함으로써 호수 또는 습지(401)의 면적에 따라 다수개의 유닛을 배치할 수 있다.
호수 또는 습지(401)의 경우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로써 , 중앙에 섬(401a)이 있는 호수 또는 습지(401)에서 수처리장치(300)를 사용할 경우에 있어서, 효과적인 수처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수처리장치는 호수 또는 습지(401)를 수처리되지 않은쪽과 수처리된 쪽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해협의 수처리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17은 바다의 항구구역(402)내에 배치되었을 때의 수처리장치(1)를 도시한다. 수처리장치(300)는 항구구역(402)의 수중에 잠겨지고, 상기 항구구역(402)으로부터 수처리장치(300)내로 미처리수를 유입하고, 미처리수를 수처리하고 처리수를 항만구역(402)내로 재차 방출하는 것으로써, 항만구역(402)의 수중에 부유물의 농도를 점착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장치와 같이 상호 연결된 다수개의 수처리장치(300)를 채택함으로써 항만구역(402)의 면적에 따라 다수개의 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구성의 수처리장치(1)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 수처리챔버(305)를 형성하는 외벽(301)은 방출되는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처리수저장챔버(314)와 처리수배수구(309)측에 접촉된다.
이 수처리저장챔버(314)는 상기 수처리챔버(305)와 동일한 구조인 외벽(301), 상부플레이트(302), 받침대(303) 및 플렉시블 시트로 구축되며, 상기수처리챔버(305)와 함께 조립되어 처리될 수중에 마찬가지로 잠겨져서 수처리챔버(305)로부터 보내지는 처리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처리수저장챔버(314)내에 저장된 처리수는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도 있고, 그 이상의 수철 또는 중수로서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하여 다른 수처리시설로 이송될 수 있다.
더구나, 상기 설명에 있어서, 수처리장치(300)가 처리될 수중에 직접 잠겨진 경우를 기술하고 잇고,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물탱크가 콘크리트와 같은 응고물로 설치되고, 깨끗한 물이 물탱크내에 저장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수처리장치(300)가 이 깨끗한 물에 잠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수처리장치(300)의 수처리챔버(305)내에 처리수의 유입, 수처리챔버로부터 처리수 및 과잉 슬러지의 제거는 처리수입수구(308) 및 처리수배수구(309)에 직접 파이트 등을 연결하는 상기 수처리탱크내에서와 마찬가지이며, 흐름의 양은 펌프의 사용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은 미처리수와 응고제를 혼합하여 공정을 실행하도록 기재되어 있지만 활성화된 슬러지를 사용하여 미처리수의 수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수처리장치(300)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일 수도 있는 임의의 형상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처리시설을 대단히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규모이면서도 조립이 대단히 용이하고, 간단한 장비를 사용하여 매우 낮은 비용으로 바다, 강 및 호수 등과 같은 수원의 넓은 범위의 물을 수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3)
- 미처리수 입수구 및 처리수배수구를 구비하는 탱크로 구성되며; 상기 탱크는 상부 및 하부챔버를 형성하는 상하부로 상기 탱크를 분할하는 분리벽을 구비하고; 상기 분리벽은 상기 상부챔버 및 하부챔버의 수위를 변화시키는 상승 및 하강을 할 수 있고; 상기 분리벽의 상측에 상부챔버 및 상기 분리벽의 하측에 하부챔버는 모두 물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직사각형 또는 원형 분리벽패널 및 플렉시블 시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내에 교반장치는 탱크의 상부로부터 메달려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조절백은 분리벽패널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장치는 다수개의 수처리장치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장치는 물이 수처리탱크의 하부챔버 사이를 흐를 수 있고, 미처리수가 수처리탱크의 상부챔버로 공급되고, 하부챔버의 물이 방출됨에 따라 분리벽이 최저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되고, 미처리수가 체적의 한계까지 상부챔버를 채우고, 미처리수의 수처리가 실행된 다음 처리수와 슬러지의 분리공이이 실행되고, 미처리수가 어느 수처리탱크의 상부챔버에 공급될 때 하부챔버로부터 방출되는 수위조절용 물이 탱크의 하부챔버내로 유입되어 미처리수의 수처리가 와료되고, 분리벽이 상승함으로써 상부챔버로부터 처리수를 방출하도록 미처리수의 처리공정의 타이밍이 서로 다른 수처리탱크들 사이에서 다르게 이루어지도록 수처리탱크들의 각각의 하부챔버가 연결되어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다수개의 수처리탱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4항 또는 제 5항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는 수처리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수처리장치에서의 미처리수의 처리사이클은 미처리수가 탱크의 상부챔버에 공급되고, 하부챔버내의 수위조절용 물은 미처리수가 상부챔버의 최대체적까지 채워지도록 방출되는 제 1단계와; 응고제가 상부챔버내에 미처리수와 함께 혼합되고, 교반침전공정이 실행되는 제 2단계와; 미처리수의 침전 및 분리가 일어나는 제 3단계와; 수위조절용 물이 하부챔버내로 유입되고, 처리수가 상부챔버로부터 방출되는 제 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수처리탱크들 모두가 공유하는 수위조절수저장탱크를 설치하는 것은 물이 상기 저장탱크와 수처리탱크들의 각각의 하부챔버 사이를 흐를 수 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방법.
- 외벽의 상부에 구비되어 처리될 물의 수중에 잠겨지는 미처리수 입수구및 처리수 입수구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상부플레이트, 외벽, 받침대 및 플렉시블 시트가 밀폐된 수처리챔버를 형성하는 외벽의 상부에 상부플레이트를 구비하고, 하부 가장자리에 받침대를 메달고 있어 수직작동을 할 수 있는 플렉시블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받침대에는 공기공급/제거수단에 연결함으로써 팽창 및 수축될 수 있고, 팽창시킴으로써 받침대가 부력에 의해 상승될 수 있음으로 상부챔버로부터 처리수를 방출하고, 부력조절백을 수축함으로써 받침대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수처리챔버에 미처리수가 유입되하는 부력조절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공기로 채워지는 부력백의 사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교반장치는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 제 9항,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챔버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처리수저장챔버는 처리수 배수구처리수 배수구벽과 접촉되고, 처리챔버로부터 방출되는 처리수를 저장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수처리장치.
- 제 9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장치는 다수개의 수처리장치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08517A KR100481965B1 (ko) | 2002-02-18 | 2002-02-18 |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08517A KR100481965B1 (ko) | 2002-02-18 | 2002-02-18 |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68858A true KR20030068858A (ko) | 2003-08-25 |
KR100481965B1 KR100481965B1 (ko) | 2005-04-14 |
Family
ID=43668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8517A KR100481965B1 (ko) | 2002-02-18 | 2002-02-18 | 수처리탱크와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8196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512315A1 (de) * | 1995-04-01 | 1996-10-02 | Matthias Schwetje | Wasserbehälter |
KR100220270B1 (ko) * | 1997-06-18 | 1999-10-01 | 김학수 | 공기양수관을 이용한 담수호의 폭기 및 침전물제거장치 |
JP3263023B2 (ja) * | 1998-02-13 | 2002-03-04 | 株式会社野田自動車工業所 | 水質浄化装置 |
KR20030012069A (ko) * | 2001-07-30 | 2003-02-12 | 주식회사 효성 | 오염하천 및 호소의 정화장치 및 방법 |
KR100418252B1 (ko) * | 2001-11-23 | 2004-02-11 |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 유체의 거동과 악천후를 고려한 바다, 댐, 강, 저수지,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현장수질정화방법 및 장치 |
-
2002
- 2002-02-18 KR KR10-2002-0008517A patent/KR10048196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81965B1 (ko) | 2005-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54835A (en) | Collection and separation of liquids of different densities utilizing fluid pressure level control | |
AU717322B2 (en) | Offshore sewage treating and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 |
CA287340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 |
US6837994B2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0512089B1 (ko) | 고속 고효율 폭기장치 | |
US4008155A (en) | Apparatus for disposal of effluents | |
US5785865A (en) | Watercraft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KR101840040B1 (ko) | 상등수 배출장치 | |
IE38491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material | |
KR20030068858A (ko) | 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 |
US5302295A (en) | Method of sludge removal | |
AU2007215163B2 (en) | Air activated decanter | |
RU2480521C2 (ru) |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эффлюента, способ промывк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бработки эффлюента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эффлюент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 |
JP3723439B2 (ja) | 水処理用装置 | |
US7083716B2 (en) | Air activated decanter | |
KR100621791B1 (ko) | 디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수 처리조 | |
CN113041661B (zh) | 一种废水处理设备 | |
CN1250457C (zh) | 水处理箱体及使用该水处理箱体的水处理设备和方法 | |
CN114716039B (zh) | 一种物化处理废水回收处理装置 | |
JPH034991A (ja) | 小型合併処理浄化槽 | |
KR100620609B1 (ko) | 저층수인양장치 | |
KR200227266Y1 (ko) | 상징수 배출용 부유식 배출기 | |
JPH03109906A (ja) | 上澄水排出装置 | |
JPH03193192A (ja) | 水域の浄化装置 | |
JPH03278887A (ja) | 水域浄化施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