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883A -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883A
KR20030041883A KR1020030014141A KR20030014141A KR20030041883A KR 20030041883 A KR20030041883 A KR 20030041883A KR 1020030014141 A KR1020030014141 A KR 1020030014141A KR 20030014141 A KR20030014141 A KR 20030014141A KR 20030041883 A KR20030041883 A KR 20030041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voice
bidet
water
outpu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문
Original Assignee
세풍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풍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풍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4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1883A/ko
Publication of KR20030041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88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기저장된 어학 데이터가 음성으로 출력되거나 가족들이 미리 녹음한 녹취데이터가 수동 및 자동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척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와; 그 하단이 배수관에 연결되고 그 내측에는 항시 일정한 정도의 용수(用水)가 저장되고 사용자의 배설완료시 상기 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용수에 의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변기본체와; 그 변기본체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좌대와; 상기 변기본체의 후방에서 전진/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인체의 항문주위를 향해 세정용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일반 비데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키조작을 행하고, 용변도중에 상기 미리 저장된 어학 데이터 및 가족의 녹취 음성데이터의 출력을 선택 조작하고, 그 출력을 자동이나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설정 키조작, 가족 음성데이터를 녹취하는 등의 기능들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음성출력 기능버튼이 구비되고, 그 음성출력 기능버튼의 조작에 따라 발생된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가 갖춰지고, 그 내부에 어학 데이터 및 가족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내장되고, 가족의 음성데이터를 녹취하기 위한 마이크가 구비된 제어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변기의 좌대에 앉을 때 그 중량이나 저수조에 구비된 손잡이를 조작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자동이나 수동모드시 어학 데이터나 가족이 미리 녹취한 음성데이터를 재생시킴으로써 욕실에서 각종 음성데이터를 통한 학습이나 가족간의 정보 전달을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그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BIDET APPARATUS HAVING A VOICE DATA OUTPUT FUNCTION}
본 발명은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기저장된 어학 데이터가 음성으로 출력되거나 가족들이미리 녹음한 녹취데이터가 수동 및 자동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좌석식 양변기에서 용변후에는 대개 적절한 화장지를 사용하여 신체(특히, 항문)에 잔존하는 잔여물을 제거하기 되는 바, 그 화장지를 사용하여 잔여물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화장지로부터 제조시에 포함된 미세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신체의 직장 등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을 뿐만 아니라, 예를들어 치질과 같은 질병에 대해서는 화장지를 사용시 위생상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한 연유에서 최근에는 분사노즐로부터 세정용수를 분사하여 신체의 항문으로부터 잔여물을 세척하도록 된 '비데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화장실이나 욕실은 배설을 행하는 변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화장실의 인식이 배설욕구를 해소하는 장소로서, 편안하고 안락하다는 이유와 더불어, 직장의 자유연동 운동에 의해 별도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배설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화장실에서 배설동작시 신문이나 잡지 등을 보게 되는 데, 화장실이 편안하고 안락하므로 신문이나 잡지에 대한 집중력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하지만, 화장실이나 욕실의 구조상 신문이나 잡지 등을 장시간 들고 독서하기에 불편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문제가 있으며, 최근에는 홈 오토메이션의 발달과 더불어 각종 전자기기 등이 출시되는 바, 이러한 가정용 전자기기들이 각기 따로 위치되어 있어서 오히려 사용자에게 더 많은 기억력을 요구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기저장된 어학 데이터가 음성으로 출력되거나 가족들이 미리 녹음한 녹취데이터가 수동 및 자동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좌대, 30:제어패널,
34:비데기능조작부, 38:음성출력기능버튼,
40:스피커, 50:마이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와;
그 하단이 배수관에 연결되고 그 내측에는 항시 일정한 정도의 용수(用水)가 저장되고 사용자의 배설완료시 상기 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용수에 의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변기본체와;
그 변기본체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좌대와;
상기 변기본체의 후방에서 전진/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인체의 항문주위를 향해 세정용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일반 비데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키조작을 행하고, 용변도중에 상기 미리 저장된 어학 데이터 및 가족의 녹취 음성데이터의 출력을 선택 조작하고, 그 출력을 자동이나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설정 키조작, 가족 음성데이터를 녹취하는 등의 기능들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음성출력 기능버튼이 구비되고, 그 음성출력 기능버튼의 조작에 따라 발생된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가 갖춰지고, 그 내부에 어학 데이터 및 가족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내장되고, 가족의 음성데이터를 녹취하기 위한 마이크가 구비된 제어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10)는 일반 비데장치가 갖는 기능과 더불어,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기저장된 어학 데이터가 음성으로 출력되거나 가족들이 미리 녹음한 녹취데이터가 수동 및 자동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일반 비데장치 기능을 설명하면, 참조부호 10으로 표시된 비데장치는 세척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12)와, 그 하단이 배수관(도시는 생략)에 연결되고 그 내측에는 항시 일정한 정도의 용수(用水)가 저장되고 사용자의 배설완료시 상기 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용수에 의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변기본체(14)와, 그 변기본체(14)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좌대(16)와, 그 좌대(16)를 포함하여 상기 변기본체(14)를 덮어주기 위한 커버(18)와, 상기 변기본체(14)의 후방에서 전진/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인체의 항문주위를 향해 세정용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0)을 갖추고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비데장치(10)는 수도전(水道栓)(도시 생략)으로부터 상기 저수조(12)와 상기 분사노즐(20)에서 사용되는 세정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분기관(도시 생략)이 형성되고 그 내측 벽면에는 용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도2 참조)가 설치된 용수밸브체도 갖추고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비데장치(10)는 상기 변기본체(14)의 측면에 일체적으로 제어패널(30)이 설치되는 바, 그 제어패널(30)에는 용변후 상기 저수조(12)에 저장된 세척용수에 의한 상기 변기본체(14)의 내부세척 및 상기 분사노즐(20)로부터 인체의 항문부위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용수의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동버튼'과, 상기 분사노즐(20)로부터 분사되는 세정용수의 온도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용수밸브체의 내측에 설치된 히터를 가열하기 위한 '온도설정버튼'(32)이 갖추어진 비데 기능키 조작부(34)가 구성된다.
또, 상기 제어패널(30)에는 예컨대 용변도중에 상기 미리 저장된 어학 데이터 및 가족의 녹취 음성데이터의 출력을 선택 조작하고, 그 출력을 자동이나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설정 키조작, 가족 음성데이터를 녹취하는 등의 기능들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음성출력 기능버튼(38) 및, 그 음성출력 기능버튼(38)의 조작에 따라 발생된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40)가 갖추어져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20)의 주변 소정부에는 분사되는 세정용수로 인한 신체 국부에 대한 건조를 위하여 공지된 드라이기(도시는 생략)가 비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패널(30)에는 가족의 음성데이터를 인가받아 메모리(도 2 참조)에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50)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동 도면에서 상기 좌대(16)의 저면에는 접촉센서(60)가 내장되어져 있는 바, 그 접촉센서(60)는 상기 제어패널(30)과 접속되어져 있으며 사용자의 중량을 감지하여 상기 음성출력 기능버튼(38)이 자동모드로 설정되어져 있을 때 기녹취되거나 기저장된 음성데이터가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의 회로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1에서 기설명한 구성요소에 대한 기재는 생략하기로 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10)는 마이크(50)를 통해 인가된 음성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하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A/D 컨버터: 52)가 구성된다.
또한, 세정용수를 토출시키는 펌프(62)를 구동시키는 펌프 구동부(64)가 구비되고, 탈취팬(66)의 구동으로 변기의 냄새를 탈취시키도록 하는 팬구동부(68)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히터(70)를 구동시키는 히터 구동부(72)가 제공되며, 스피커(40)를 구동시키는 스피커 구동부(42)가 제공되고, 이러한 비데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비데기능부(61)가 구성된다.
또, 상기 마이크(50) 및 A/D 컨버터(52)를 통해 인가된 음성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며, 칩의 형태로 기제작된 어학 데이터를 필요시 교환할 수 있게 된 메모리(74)가 제공되는 바, 그 메모리(74)에는 어학 데이터 및 가족의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면서, 변기 사용중 '새소리' 및 '바람소리', '파도소리' 등의 멜로디를 더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일반 비데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상기 비데기능 조작부(34)로부터의 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비데기능부(61)에 각종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음성기능 조작부(38)의 조작에 따라 기저장된 어학 데이터나 가족 음성데이터를 메모리(74)로부터 추출하여 스피커(40)를 통해 음성 출력되도록 제어하며, 자동모드시 중량 감지신호나 용수 토출신호를 제공받아 어학 데이터가 가족 음성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7)가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상기 비데기능 조작부(34)로부터 비데 기능에 대한 키신호가 인가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비데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키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77)는 비데기능 모드로 변환하여 상기 비데기능부(61)에 제어신호를 발생함으로써 비데기능이 실행되도록 한다.(제 1, 2, 3 단계: ST-1,2,3)
만약, 비데기능에 대한 키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동 음성출력 모드가 설정된 상태라고 제어부(77)가 판단한 시점에, 상기 중량 감지부(60)로부터 사용자의 신체 중량이 감지되면, 제어부(77)는 어학 데이터를 메모리(74)로부터 추출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시킨다(제 4, 5, 6 단계: ST-4,5,6).
만약, 신체 중량이 감지되지 않고 손잡이와 연결된 센서(도시 생략)을 통해 물내림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77)는 가족이 미리 녹취한 음성데이터를 스피커(40)를 통해 출력시킨다(제 9, 10 단계: ST-9,10). 따라서, 소변 및 대변 등의 용변시 성별과 무관하게 가족이 미리 녹취한 음성데이터나 어학 데이터가 용이하게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중량 감지신호가 더 이상 인가되지 않으면 스피커(40)를 통해 재생되는 어학 데이터의 재생을 정지시킨다(제 7, 8 단계: ST-7,8).
또한, 자동 음성출력 모드로 설정되지 않고 수동 음성출력 모드시에는 어학 데이터나 가족 음성데이터중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데이터를 추출하여 스피커(4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제 11, 12 단계: ST-11,12).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는 변기의 좌대에 앉을 때 그 중량이나 저수조에 구비된 손잡이를 조작하는 신호를 감지하여 자동이나 수동모드시 어학 데이터나 가족이 미리 녹취한 음성데이터를 재생시킴으로써 욕실에서 각종 음성데이터를 통한 학습이나 가족간의 정보 전달을 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그 편의성이 매우 높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세척용수가 저장되는 저수조와;
    그 하단이 배수관에 연결되고 그 내측에는 항시 일정한 정도의 용수(用水)가 저장되고 사용자의 배설완료시 상기 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용수에 의해 배수가 이루어지는 변기본체와;
    그 변기본체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좌대와;
    상기 변기본체의 후방에서 전진/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인체의 항문주위를 향해 세정용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일반 비데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키조작을 행하고, 용변도중에 상기 미리 저장된 어학 데이터 및 가족의 녹취 음성데이터의 출력을 선택 조작하고, 그 출력을 자동이나 수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설정 키조작, 가족 음성데이터를 녹취하는 등의 기능들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음성출력 기능버튼이 구비되고, 그 음성출력 기능버튼의 조작에 따라 발생된 음향이 출력되는 스피커가 갖춰지고, 그 내부에 어학 데이터 및 가족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내장되고, 가족의 음성데이터를 녹취하기 위한 마이크가 구비된 제어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의 저면에는 사용자의 중량을 감지하기 위한 중량감지 센서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세척용수 토출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가족이 미리 녹취한 음성데이터만 출력되도록 기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
KR1020030014141A 2003-03-06 2003-03-06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 KR200300418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141A KR20030041883A (ko) 2003-03-06 2003-03-06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141A KR20030041883A (ko) 2003-03-06 2003-03-06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883A true KR20030041883A (ko) 2003-05-27

Family

ID=2957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141A KR20030041883A (ko) 2003-03-06 2003-03-06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18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5069A (zh) * 2014-05-28 2016-01-27 厦门科牧智能技术有限公司 具有语音功能的电子坐便器操作手柄
KR20200025440A (ko)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음원을 이용한 온수세정기 제어방법
KR20210108670A (ko)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음원을 이용한 온수세정기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5069A (zh) * 2014-05-28 2016-01-27 厦门科牧智能技术有限公司 具有语音功能的电子坐便器操作手柄
KR20200025440A (ko) 2018-08-30 2020-03-10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음원을 이용한 온수세정기 제어방법
KR20210108670A (ko) 2020-02-26 2021-09-03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음원을 이용한 온수세정기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1883A (ko) 음성출력 기능이 구비된 비데장치
KR970059419A (ko) 구완을 요하는 사용자용 수세식 변기 조립체
KR200290878Y1 (ko) 음향/발향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JPH05230853A (ja) システムトイレ
JPH07158142A (ja) 洋風便器の洗浄装置
JPH11346960A (ja) 収納式便所装置
KR20060088521A (ko) 좌변기의 냄새제거 장치
JP3085897B2 (ja) トイレの節水方法及び節水装置
CN109098240A (zh) 一种智能防溅节水马桶
JPH08218468A (ja) 人体検知センサー付き洋風大便器
KR100602709B1 (ko) 멀티미디어/자동물내림 기능이 구비된 비데 장치 및 그제어방법
CN208792449U (zh) 一种智能防溅节水马桶
JP4622251B2 (ja) トイレ用音響装置
JP4857868B2 (ja) 生体情報測定便器
JP2009174234A (ja) 音響発生便器装置
KR101359284B1 (ko) 여성 전용 소변기
KR101390331B1 (ko) 유아용 변기
JPH0428863B2 (ko)
JPH0447267Y2 (ko)
KR200274721Y1 (ko) 음향발생 기능을 갖는 양변기용 좌판 덮개
JP3030278U (ja) トイレの節水装置
JP3848146B2 (ja) トイレ用音響装置
JP3852827B2 (ja) 洋風水洗式便器
JPH05118069A (ja) 水洗便器装置
KR200224147Y1 (ko) 향/멜로디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