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562A -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및 그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및 그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562A
KR20030040562A KR10-2003-7005895A KR20037005895A KR20030040562A KR 20030040562 A KR20030040562 A KR 20030040562A KR 20037005895 A KR20037005895 A KR 20037005895A KR 20030040562 A KR20030040562 A KR 20030040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ibration signal
receiver
calibration
radio receiver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2445B1 (ko
Inventor
도모히로 아즈마
Original Assignee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0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6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relative phase or relative amplitude of energisation between two or more active radiating elements; varying the distribution of energy across a radiating aperture
    • H01Q3/267Phased-array testing or checking devices

Landscapes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교정의 정밀도가 높고, 특정한 무선 수신부의 고장 시에도 정상적으로 교정 할 수 있는 교정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이다.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어레이 안테나(101)의 수신 신호에 다중 회로(103)로부터 소정의 심볼 패턴의 교정 신호를 다중하여 무선 수신부(104)에 입력한다.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교정 신호는 교정 신호 추출부(110)에서 추출되고, SIR 검출부(111)가 그 교정 신호로부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 중 하나를 기준 브랜치로 하여 검출한다. 교정 신호 처리부(109)가, 그 얻어진 기준 브랜치를 통과한 교정 신호와 남은 다른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교정 신호와의 위상차 및 진폭비에 의해 수신 지향성 패턴을 보정한다.

Description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및 그 교정 방법{ARRAY ANTENNA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THE SAME}
종래로부터,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 등에 있어서 상관성이 높은 복수의 안테나 소자로 희망하는 수신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즉, 이러한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희망 신호의 도래(到來) 방향에 대한 수신 이득을 크게 하고,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간섭 또는 지연파에 의한 간섭에 대한 수신 이득을 작게 하는 수신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 이 방식에 따르면, 송수신 신호를 고속화 및 고품질화하고 가입자 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 안테나 소자에 대응하는 복수의 무선 수신부를 포함한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각 무선 수신부에서의 진폭 및 위상은 각각 독립적으로시시각각 변동한다. 따라서, 희망하는 수신 지향성 패턴을 정확하게 형성하기 위해서는 위상 및 진폭의 변동을 보상할 필요가 있다. 이 보상의 조작을 교정이라고 부르고 있다.
종래, 이 종류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교정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특개평 11-46180호 공보(JP-A)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 각각에 접속된 각 무선 수신부에 기지인 교정 신호를 입력하고, 각 무선 수신부의 출력으로부터 추출한 교정 신호를 복조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독립적으로 시시각각 변동하는 각 무선 수신부의 위상 및 진폭의 변동을 보정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되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어레이 안테나(001), 다중 회로(003-1∼003-N), 무선 수신부(004-1∼004-N), 신호 처리부(005-1∼005-M), 교정용 신호 발생기(006), 교정용 무선 송신부(007), 전력 레벨 가변 회로(008), 교정 신호 처리부(009) 및 교정 신호 추출부(010)로 구성된다. 본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어레이 안테나(001)가 N개의 안테나 소자(002-1∼002-N)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사용자수 「M」의 신호가 복조 가능하다.
안테나 소자(002-1∼002-N)는 각각의 안테나 소자의 수신 신호가 서로 상관을 갖도록 근접하여 배치되고, 희망 신호 및 복수의 간섭 신호가 다중된 신호를 각각 수신한다. 통상의 다이버시티 구성과 구별하기 위해, 안테나 소자수 「N」은「3 이상」으로 하고 있다.
다중 회로(003-1∼003-N) 각각은 각 안테나 소자(002-1∼002-N)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전력 레벨 가변 회로(008)의 출력 신호와, 각각이 대응하는 안테나 소자(002-1∼002-N)의 수신 신호를 입력하여 무선 대역에서 다중한다. 다중된 신호는 무선 수신부(004-1∼004-N)로 출력된다. 다중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대표적인 것으로서 부호 분할 다중의 예를 나타내지만 시분할 다중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을 이용해도 된다.
무선 수신부(004-1∼004-N) 각각은 각 다중 회로(003-1∼003-N)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이 로우 노이즈 증폭기, 대역 제한 필터, 믹서, 국부 발신기, AGC(Auto Gain Controller), 직교 검파기, 저역 통과 필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등의 디바이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무선 수신부(004-1∼004-N)는 각각에 대응하는 안테나 소자(001-1∼001-N)를 통하여 무선 전파를 수신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안테나 소자(002-i)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부(004-i)는 다중 회로(003-i)로부터 받은 입력 신호에 증폭을 행하고, 무선 대역으로부터 기저 대역으로의 주파수 변환, 직교 검파,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을 실행하며, 교정 신호 추출부(010) 및 모든 신호 처리부(005-1∼005-M) 각각으로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004-1∼004-N)는 무선 수신부(004-i)와 동일한 구성으로, 각각 대응하는 다중 회로(003-1∼003-N)로부터 받은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있다.
교정 신호 추출부(010)는 무선 수신부(004-1∼004-N) 각각으로부터 받은 입력 신호에 다중된 N개의 교정 신호를 추출하여 교정 신호 처리부(009)로 보낸다.이 때, 교정 신호 추출부(010)는 다중 회로(003-1∼003-N)에서 이용한 다중 방법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입력 신호에 다중된 교정 신호를 추출한다. 교정 신호 처리부(009)는 추출된 N개의 교정 신호로부터 위상/진폭 보정 정보(S01-1∼S01-N)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 모두를 신호 처리부(005-1∼005-M) 각각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도 1을 함께 참조하여 교정 신호 처리부(009)에서의 위상/진폭 보정 정보의 생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교정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진 심볼점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심볼점을 정규화한 심볼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 여기서 말하는 심볼점이란 I-Q 좌표 상의 점을 가리킨다.
위상/진폭 보정 정보는 무선 수신부(004-1∼004-N) 중 하나를 기준으로 하여, 이 기준에 대한 다른 무선 수신부에서의 위상 및 진폭의 어긋남을 보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 각 무선 수신부를 브랜치라고 칭하고, 기준이 되는 무선 수신부를 기준 브랜치라고 칭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무선 수신부(004-1)가 기준 브랜치가 되고, 또한 수「N」은 「3」으로 가정한다. 무선 수신부(004-1)의 출력 신호로부터 추출된 교정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진 심볼점을 도 2의 기준 심볼점 S1로 한다. 마찬가지로, 무선 수신부(004-2)의 출력으로부터 추출된 교정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진 심볼점을 S2, 무선 수신부(004-3)의 출력으로부터 추출된 교정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진 심볼점을 S3으로 한다. 기준 심볼점 S1과 심볼점 S2와의 위상차 θ2 및 진폭비 r2(=B/A)가 무선 수신부(004-2)의 브랜치에 대응하는 위상/진폭 보정 정보 S01-2이며, 기준 심볼점 S1과 심볼점 S3과의 위상차 θ3 및 진폭비 r3(=C/A)이 무선 수신부(004-3)의 브랜치에 대응하는 위상/진폭 보정 정보 S01-3이다. 또, 기준 브랜치에 대한 위상/진폭 보정 정보 S01-1에서는 위상차 θ1은「0」이고, 진폭비 r1은「1」이다.
교정 신호 처리부(009)는 도 2의 각 심볼점 S1, S2, 및 S3을 심볼점 S1에 대하여 정규화하면 도 3의 심볼점 S1NOR, S2NOR, 및 S3NOR가 얻어진다. 진폭비 r2 및 r3의 값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진폭비 r2는 「B/A=BNOR」로서, 또한 진폭비 r3은 「C/A=CNOR」로서 얻을 수 있다.
교정 신호 처리부(009)는 상술한 생성 방법에서 얻은 위상/진폭 보정 정보 S01-1∼S01-N 각각을 교정 주기마다 모든 신호 처리부(005-1∼005-M) 각각으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005-1∼005-M) 각각은 무선 수신부(004-1∼004-N) 각각의 출력 신호 각각에 소정의 웨이팅을 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신호 처리부(005-i)가 자신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신호 도래 방향에 대한 수신 이득을 크게 하고,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간섭 또는 지연파에 의한 간섭에 대한 수신 이득을 작게 하는 수신 지향성 패턴을 형성한다. 신호 처리부(005-i)는 이 수신 지향성 패턴에 의해 무선 수신부(004-1∼004-N)의 출력을 합성하여 희망의 복조 신호 S00-i를 얻는다. 또한, 신호 처리부(005-i)는, 이 때 교정 신호 처리부(009)의 출력인 위상/진폭 보정 정보 S01-1∼S01-N 각각을 이용하여, 무선 수신부(004-1∼004-N) 각각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서의 위상 및 진폭을 보정한다.
교정용 신호 발생기(006)는 소정 패턴의 교정 신호를 기저 대역에서 생성하여 교정용 무선 송신부(007)로 송출한다.
교정용 무선 송신부(007)는 교정용 신호 발생기(006)로부터 받은 기저 대역의 교정 신호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기저 대역으로부터 무선 대역으로의 주파수 변환 등을 행하여 전력 레벨 가변 회로(008)로 출력한다.
전력 레벨 가변 회로(008)는 교정용 무선 송신부(007)로부터 받은 무선 대역의 교정 신호를 임의의 전력 레벨에 의해 다중 회로(003-1∼003-N) 각각으로 송출한다.
N개의 안테나 소자(002-1∼002-N)에 의해 수신된 각 신호에는 희망 신호 성분, 간섭 신호 성분, 및 열 잡음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희망 신호 성분 및 간섭 신호 성분에는 각각 멀티 패스 성분이 존재한다. 통상, 이들 신호 성분은 각각 다른 방향으로부터 도래된다.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N개의 안테나 소자(002-1∼002-N) 각각에 의해 수신된 각 신호의 위상/진폭 정보를 이용하여 도래 방향이 다른 각 신호 성분을 식별하고 수신 지향성 패턴을 형성한다.
패턴 형성 시에 보정할 필요 없이, 무선 수신부(004-1∼004-N)의 구성 디바이스에 의해 각 무선 수신부(004-1∼004-N) 내부에 각각 독립된 위상/진폭의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신호 처리부(005-1∼005-M)에는 안테나 소자(002-1∼002-N)에 의해 수신된 각 신호에 대하여 여분의 위상/진폭의 변동이 저감된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각 신호 성분을 정확하게 식별하고, 이상적인 수신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안테나 소자(002-1∼002-N)에 의한 수신 신호와 동일 주파수 대역의 교정 신호를 수신 신호에 다중하고, 교정 신호 처리부(009)에 있어서의 무선 수신부(004-1∼004-N)의 각 출력 신호로부터 추출한 교정 신호로부터 위상/진폭의 변동을 검출하여 위상/진폭 보정 정보 S01-1∼S01-N을 생성하고, 신호 처리부(005-1∼005-M)에서 수신 지향성 패턴으로 보정을 더하고 있다.
이 교정 방법에 따르면, 교정 신호를 안테나 소자(002-1∼002-N) 각각에서 수신한 신호에 다중하고 있기 때문에 운용 중에도 교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교정 방법을 이용한 종래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운용 중에 무선 수신부(004-1∼004-N) 내부에서 위상/진폭의 변동이 발생해도, 신호 처리부(005-1∼005-M)에 주어지는 위상/진폭 정보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N개의 안테나 소자(002-1∼002-N) 각각에 의해 수신된 각 신호에 다중된 교정 신호의 복조 결과로부터 생성한 위상/진폭 보정 정보 S01-1∼S01-N에서 항상 보정하면서, 도래 방향이 다른 각 신호 성분을 식별하고 이상적인 수신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종래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는 이러한 장점이 있지만, 하기의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임의의 교정 신호를 복조한 심볼점 Sn(In, Qn)(1≤n≤N)의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심볼점 Sn 부근의 확대도이다. 심볼점 Sn은 교정 신호의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 : 신호 전력 대 간섭 전력비)값이 무한대인 이상적인 경우의 심볼점으로, 그 진폭을 Rn으로 한다.
현실적으로는 교정 신호 이외에 간섭 성분이 있어 SIR값은 무한대가 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복조되는 심볼점은 소정 범위 내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있다. 그 소정의 범위는, 간섭 성분이 작고 SIR값이 큰 경우에 반경 d1의 원 C1 내가 된다. 한편, 간섭 성분이 크고 SIR값이 작은 경우에는 반경 d2의 원 C2 내가 된다. 반경 d1은 반경 d2보다 작다. 따라서, SIR값이 작을수록, 실제로 복조되는 심볼점의 오차가 커진다.
복조에 의해 얻어지는 심볼점의 범위가 반경 d2인 경우, 그 위상 오차의 크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θ」이다. 따라서, 복조에 의해 얻어지는 심볼점의 위상으로서, 최대값 θn#max(=θn-θ) 및 최소값 θn#min(=θn-θ)이 얻어진다. 또한, 진폭 오차는 최대 「d2」이다. 따라서, 복조에 의해 얻어지는 심볼점의 진폭으로서 최대값 Rn#max(=Rn+d2) 및 최소값 Rn#min(=Rn-d2)이 얻어진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심볼점 S1은 항상 기준 심볼점인 경우에 대해 고찰하기로 한다.
도 6은 기준 심볼점 S1의 위상 오차가 최대 「-θ」에서 진폭 오차가 제로인 경우에서의 다른 심볼점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 기준 심볼점 S1의 진폭 오차가 최대 「-d2」일 때의 다른 심볼점의 상대적인 진폭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 기준 심볼점 S1의 SIR값에 대한 심볼점 S2, S3의 SIR값은 충분히 큰 것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준 심볼점 S1에 위상 오차 「-θ」가 있으면, 기준 심볼점 S1에 대하여 정규화한 각 심볼점 S1NN, S2NN, 및 S3NN에 위상 오프셋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준 심볼점 S1의 진폭 오차가 있으면, 기준 심볼점 S1에 대하여 정규화한 각 심볼점 S1NNN, S2NNN, 및 S3NNN의 진폭에 오차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준 심볼점이 오차를 포함하는 경우, 다른 모든 브랜치의 출력으로부터 추출된 교정 신호가 복조되어 얻어진 심볼점에 큰 오차가 생기게 된다.
즉, 종래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는 기준 브랜치로서 특정한 하나의 무선 수신부를 고정적으로 선택하기 위해, 기준 브랜치의 출력으로부터 추출된 교정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진 기준 심볼점의 SIR값이 작은 경우, 다른 브랜치의 출력으로부터 추출된 교정 신호를 복조하여 얻어진 심볼점과의 위상차 및 진폭비에 오차가 생기게 된다. 그 결과, 교정의 정밀도가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준 브랜치로서 고정적으로 설정된 특정한 무선 수신부가 고장 등의 문제점이 생긴 경우,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교정의 정밀도가 극단적으로 악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교정의 정밀도가 높고, 특정한 무선 수신부의 고장 시에서도 정상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교정 방법 및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수신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 소자로 이루어지는 어레이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소자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무선 수신부를 갖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있어서, 다음의 단계를 갖는 교정 방법이다. 즉, 소정의 심볼 패턴의 교정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부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수신부의 출력으로부터 그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로부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를 구하고, 그 무선 수신부를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특징이 되는 단계와, 다른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와 상기 기준 브랜치를 통과한 교정 신호와의 위상차 및 진폭비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상기 수신 지향성 패턴을 보정하는 단계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무선 수신부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무선 수신부의 위상차 및 진폭비를 구하기 때문에, 기준 브랜치의 오차를 최소로 억제하여 남은 다른 무선 수신부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 품질의 가장 양호한 무선 수신부를 기준으로 하여 선택하기 때문에, 기준 브랜치에 문제점이 있는 무선 수신부가 선택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소정의 심볼 패턴의 교정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부에 공급하는 상기 단계는 입력 신호에 다중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을 행하면서 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준 브랜치로서 상기 무선 수신부를 선택하는 상기 단계는,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로부터 추정되는 SIR값에 의해 상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를 구하는 것, 또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의 오류율에 의해 상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를 구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 소자로 이루어진 어레이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 소자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무선 수신부를 갖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또한, 소정의 심볼 패턴의 교정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부에 공급하는 교정 신호 공급부와, 상기 무선 수신부의 출력으로부터 그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를 추출하는 교정 신호 추출부와,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로부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를 구하고, 그 무선 수신부를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하는 수신 품질 검출부와,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의 상기 기준 브랜치를 통과한 교정 신호와의 위상차 및 진폭비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상기 수신 지향성 패턴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교정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수신 품질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교정 신호 공급부는 상기 무선 수신부의 입력에 상기 교정 신호를 다중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에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수신 품질 검출부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로부터 추정되는 SIR값에 의해 상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를 구하고, 또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의 오류율에 의해 상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를 검출한다.
본 발명은 어레이 안테나의 무선 수신부 상호 간에서의 위상 및 진폭의 변동을 보정하는 교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교정의 정밀도가 높고, 특정한 무선 수신부의 고장 시에도 정상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교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의 블록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교정 신호를 복조한 심볼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심볼점을 정규화한 심볼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임의의 교정 신호를 복조한 심볼점 Sn(In, Qn)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에서의 심볼점 Sn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기준 심볼점 S1의 위상 오차가 최대이고 진폭 오차가 제로인 경우에서의 다른 심볼점의 상대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서 기준 심볼점 S1의 진폭 오차가 최대일 때의 다른 심볼점의 상대적인 진폭의 크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의 블록 구성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브랜치 수가「3」인 경우의 각 브랜치에서의 SIR 추정값과 기준 브랜치에서의 SIR 추정값과의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8에 도시하는 것과는 다른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의 블록구성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의 블록 구성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되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어레이 안테나(101), 다중 회로(103-1∼103-N), 무선 수신부(104-1∼104-N), 신호 처리부(105-1∼105-M), 교정용 신호 발생기(106), 교정용 무선 송신부(107), 전력 레벨 가변 회로(108), 교정 신호 처리부(109), 교정 신호 추출부(110), 및 SIR 검출부(111)로 구성되어 있다. 본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어레이 안테나(101)가 N개인 안테나 소자(102-1∼102-N)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사용자 수 「M」의 신호가 복조 가능하다.
종래와의 상이한 점은 복수의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교정 신호로부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하나의 무선 수신부를 구하고, 이 무선 수신부를 기준 브랜치로 하여 선택하는 SIR 검출부(111)를 수신 품질 검출부로서 부가하여 포함하는 점이다.
안테나 소자(102-1∼102-N) 각각은 서로 수신 신호의 상관성이 높아지도록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다중 회로(103-1∼103-N)는 각각이 대응하는 안테나 소자(102-1∼102-N)에 접속되어 있으며, 전력 레벨 가변 회로(108)로부터 공급되는 교정 신호와, 각각이대응하는 안테나 소자(102-1∼102-N)의 출력 신호를 무선 대역에서 다중하여 무선 수신부(104-1∼104-N)로 각각 송출한다. 다중 방법으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대표적인 것으로서 부호 분할 다중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시분할 다중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을 이용해도 된다.
무선 수신부(104-1∼104-N)는 각각이 로우 노이즈 증폭기, 대역 제한 필터, 믹서, 국부 발신기, 총 수신 전력 검출부, AGC(Auto Gain Controller), 직교 검파기, 저역 통과 필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에 대응하는 다중 회로(103-1∼103-N)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 대응하는 안테나 소자(102-1∼102-N)를 통하여 무선 전파를 수신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안테나 소자(102-i)에 대응하는 무선 수신부(104-i)는 다중 회로(103-i)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고, 입력 신호의 증폭, 무선 대역으로부터 기저 대역으로의 주파수 변환, 직교 검파,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을 행하고, 교정 신호 추출부(110) 및 신호 처리부(105-1∼105-M)로 출력한다. 무선 수신부(104-1∼104-N)는 무선 수신부(104-i)와 동일한 구성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다중 회로(103-1∼103-N)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고 있다.
교정 신호 추출부(110)는 모든 무선 수신부(104-1∼104-N)의 출력 신호를 입력 신호로 하고, 각 무선 수신부(104-1∼104-N)의 출력 신호에 다중된 교정 신호를 추출하고, 어느 안테나 무선 수신부로부터 출력된 교정 신호인지를 식별하기 위한 브랜치 정보와 함께 SIR 검출부(111) 및 교정 신호 처리부(109)로 송출한다. 교정 신호를 부호 분할 다중하는 예에서는, 구성 신호 추출부(110)는 교정 신호를 추출하기 위해 역 확산을 행한다.
SIR 검출부(111)는 교정 신호 추출부(110)로부터 받은 브랜치 정보 및 교정 신호가 복조되어 얻어진 각 심볼점으로부터, 각 브랜치의 SIR(Signal to Interference Ratio: 신호 전력 대 간섭 전력비)값을 추정한다. 여기서, SIR 검출부(111)는 모든 브랜치의 SIR 추정값 중에서 가장 SIR값이 큰 브랜치를 기준 브랜치로 하여 선택하고, 그 기준 브랜치를 기준 브랜치 선택 신호 S10에 의해 교정 신호 처리부(109)로 통지한다. 즉, SIR 검출부(111)에 의해 SIR 추정값에 기초하여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기준 브랜치로서 하나의 무선 수신부가 선택된다.
교정용 신호 처리부(109)는 교정 신호 추출부(110)의 출력 신호와 SIR 검출부(111)로부터의 기준 브랜치 선택 신호 S10을 입력하여, SIR 검출부(111)가 판정한 기준 브랜치의 출력 신호로부터 추출된 교정 신호가 복조되어 얻어진 심볼점을 기준 심볼점으로서 구한다. 이어서, 교정용 신호 처리부(109)는 이 기준 심볼점에 기초하여 모든 브랜치의 출력 신호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교정 신호가 복조되어 얻어진 각 심볼점의 위상/진폭 보정 정보 S11-1∼S11-N을 구하여 신호 처리부(105-1∼105-M)로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05-1∼105-M) 각각은 모든 무선 수신부(104-1∼104-N)의 출력 신호를, 교정용 신호 처리부(109)의 출력인 위상/진폭 보정 정보 S11-1∼S11-N을 이용하여 보정하면서, 각 사용자마다 사용자 신호 도래 방향에 대해서는 수신 이득을 크게 하고,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간섭이나 지연파에 의한 간섭에 대해서는 수신 이득을 작게 하는 수신 지향성 패턴(이하, 최적 수신 지향성 패턴이라고 칭함)을형성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부(105-1∼105-M) 각각은 그 수신 지향성 패턴에 의해 무선 수신부(104-1∼104-N)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여 희망하는 복조 신호를 얻는다.
교정용 신호 발생기(106)는 기저 대역에서 교정 신호 S13을 생성하고, 교정용 무선 송신부(107)로 출력한다. 교정용 신호 발생기(106)는 변경 가능하게 설정된 값에 의해 임의의 심볼 패턴을 교정 신호 S13으로서 발생시킬 수 있다.
교정용 무선 송신부(107)는 교정용 신호 발생기(106)로부터 받은 기저 대역의 교정 신호 S13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기저 대역으로부터 무선 대역으로의 주파수 변환 등을 행하여 무선 대역의 교정 신호 S14로서 전력 레벨 가변 회로(108)로 송출한다.
전력 레벨 가변 회로(108)는 교정용 무선 송신부(107)로부터 출력되어 안테나 소자(102-1∼102-N)에서의 수신 신호와 동일 주파수 대역의 교정 신호 S14를 받아 임의의 전력 레벨로 레벨 변환하고, 교정 신호 S15로서 다중 회로(103-1∼103-N) 각각으로 송출한다.
따라서, 교정 신호 발생부(106), 교정 신호 무선 송출부(107), 전력 레벨 가변 회로(108), 및 다중 회로(103-1∼103-N)에 의해 무선 수신 회로(104-1∼104-N) 각각에 교정 신호가 공급되어 있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안테나 소자(102-1∼102-N) 각각은 희망 신호와 복수의 간섭 신호가 다중된 신호를 수신하고 있다. 그러나, 안테나 소자수가 많아지면 거리가 떨어져 있는,즉 인접하지 않은 위치에 있는 안테나 소자 사이의 상관이 낮아지고, 각 안테나 소자(102-1∼102-N)에서 수신되는 다중 신호의 전력은 큰 변동을 갖게 된다. 즉,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각 안테나 소자(102-1∼102-N) 각각에는 다른 전력이 입력되어 있다.
교정용 신호 발생기(106)에서 생성된 기저 대역의 교정 신호 S13은 교정용 무선 송신부(107)에 의해 주파수 변환 및 증폭되어 교정 신호 S14가 되고, 또한 전력 레벨 가변 회로(108)에 의해 임의의 전력 레벨을 갖는 기지의 교정 신호 S15로서 모든 다중 회로(103-1∼103-N) 각각에 출력된다. 다중 회로(103-1∼103-N) 각각은 전력 레벨 가변 회로(108)로부터 출력되는 교정 신호 S15를 각 안테나 소자(102-1∼102-N)의 수신 신호에 다중하여 무선 수신부(104-1∼104-N) 각각으로 출력한다. 다중 회로(103-1∼103-N)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교정 신호 S15, 희망(사용자) 신호, 간섭(다른 사용자) 신호, 및 열 잡음이 다중된 신호이다.
교정 신호 및 열 잡음의 전력 레벨은 각 다중 회로(103-1∼103-N)에서 동일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무선 수신부(104-1∼104-N) 서로 간의 수신 전력의 차는 그대로 각 안테나 소자(102-1∼102-N)로부터 입력되는 희망 신호 및 간섭 신호의 합에 대하여 생기는 전력차이다. 교정 신호에 주목하면, 다른 신호는 교정 신호에 대한 간섭파가 되기 때문에, 이 전력차를 교정 신호에 대한 간섭파의 전력차라고 간주할 수 있다.
무선 수신부(104-1∼104-N)는 각각에 대응하는 다중 회로(103-1∼103-N)로부터 받은 신호에 대하여 증폭, 무선 대역으로부터 기저 대역으로의 주파수 변환, 직교검파,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을 행하고, 그 결과를 교정 신호 추출부(110) 및 모든 신호 처리부(105-1∼105-M) 각각으로 송출한다. 교정 신호 추출부(110)는 모든 무선 수신부(104-1∼104-N) 각각으로부터 받은 신호로부터 교정 신호를 추출하고, 브랜치 정보와 함께 SIR 검출부(111) 및 교정 신호 처리부(109)로 송출한다.
SIR 검출부(111)는 모든 무선 수신부(104-1∼104-N)로부터 받은 신호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교정 신호가 복조되어 얻어진 각 심볼점 S1∼SN에 의해 SIR값을 추정하고, 각 브랜치의 SIR 추정값을 구한다. 그리고, SIR 검출부(111)는 각 브랜치의 SIR 추정값을 비교하여, SIR값이 가장 큰 브랜치를 기준 브랜치로 하여 기준 브랜치 선택 신호 S10에 의해 교정 신호 처리부(109)에 통지한다.
도 9는 브랜치 수 「3」인 경우에서의 각 브랜치 B1, B2, B3의 SIR 추정값과 기준 브랜치의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각 브랜치로부터 출력되는 심볼점의 SIR 추정값은 타임 슬롯이 변할 때마다 산출되고, 각 타임 슬롯으로서는 SIR값이 최대의 브랜치가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된다. 도 9의 예에서는 각 브랜치 B1∼B3의 예를 들면 무선 수신부(104-1∼104-3)로 한 경우, 타임 슬롯 TS1∼TS3에서는 브랜치 B1의 무선 수신부(104-1)가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되며, 타임 슬롯 TS4에서는 브랜치 B2의 무선 수신부(104-2)가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되고, 또한 타임 슬롯 TS5에서는 브랜치 B3의 무선 수신부(104-3)가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된다.
기준 브랜치 선택 신호 S10은 교정 신호 처리부(109)로 출력된다. 교정 신호 처리부(109)는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된 무선 수신부의 출력으로부터 추출된 교정 신호가 복조되어 얻어진 심볼점을 기준 심볼점으로 하여, 위상/진폭 보정 정보S11-1∼S11-N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모든 브랜치로부터 출력된 심볼점에 대한 위상 오프셋이 최소가 되고, 기준 심볼점과 그 밖의 심볼점과의 진폭비의 오차가 최소가 된다. 그리고, 교정 신호 처리부(109)는 위상/진폭 보정 정보 S11-1∼S11-N을 모든 신호 처리부(105-1∼105-M) 각각에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105-1∼105-M) 각각은 위상/진폭 보정 정보 S11-1∼S11-N을 이용하여 보정하면서 최적 수신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고, 그 수신 지향성 패턴에 의해 무선 수신부(104-1∼104-N)의 출력 신호를 합성하여 희망하는 복조 신호 S12-1∼S12-M 각각을 얻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타임 슬롯마다 가장 SIR 추정값이 큰 무선 수신부를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하고, 이 결과로서 얻어지는 기준 심볼점과 그 밖의 심볼점과의 위상차 및 진폭비를 계산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오차를 최소로 억제하여, 정밀도가 높은 교정을 행할 수 있다. 또, SIR 추정값이 작은 무선 수신부를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하지 않기 때문에, 고장난 무선 수신부를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 브랜치의 고장에 대한 용장 구성을 제공할 수 있어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8과는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의 블록 구성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SIR값에 의해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무선 수신부를 선택하는 것이지만, 도 10의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비트 오류율에 의해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무선 수신부를 선택하는 것이다.
도 10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어레이 안테나(201), 다중 회로(203-1∼203-N), 무선 수신부(204-1∼204-N), 신호 처리부(205-1∼205-M), 교정용 신호 발생기(206), 교정용 무선 송신부(207), 전력 레벨 가변 회로(208), 교정 신호 처리부(209), 교정 신호 추출부(210), 및 오류율 검출부(211)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서의 어레이 안테나(201), 다중 회로(203-1∼203-N), 무선 수신부(204-1∼204-N), 신호 처리부(205-1∼205-M), 교정용 무선 송신부(207), 전력 레벨 가변 회로(208), 교정 신호 처리부(209) 및 교정 신호 추출부(210) 각각은 도 8의 어레이 안테나(101), 다중 회로(103-1∼103-N), 무선 수신부(104-1∼104-N), 신호 처리부(105-1∼105-M), 교정용 무선 송신부(107), 전력 레벨 가변 회로(108), 교정 신호 처리부(109), 및 교정 신호 추출부(110) 각각과 같은 것이다.
교정용 신호 발생기(206)는 도 8의 교정용 신호 발생기(106)와 마찬가지로 임의의 심볼 패턴을 발생시키지만, 그와 함께, 발생시키는 심볼 패턴과 그 송출 타이밍을 오류율 검출부(211)로 통지한다.
오류율 검출부(211)는 교정 신호 추출부에서 추출된 각 브랜치의 교정 신호와 교정용 신호 발생기(206)로부터 통지된 심볼 패턴을 동일하게 교정용 신호 발생기(206)로부터 통지된 송출 타이밍에 기초하여 비교하고, 각 브랜치마다의 비트 오류율(BER: Bit Error Rate)을 구한다. 그리고, 오류율 검출부(211)는 가장 비트 오류율이 작은 브랜치를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하고, 기준 브랜치 선택 신호로서 교정 신호 처리부(209)로 출력한다.
따라서, 도 10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의해, 도 8의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무선 수신부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무선 수신부의 위상차 및 진폭비를 구하기 때문에, 기준 브랜치의 오차를 최소로 억제하여 남은 다른 무선 수신부를 교정할 수 있고, 항상 정밀도가 높은 교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무선 수신부를 기준으로 하여 선택하기 때문에, 기준 브랜치에 문제점이 있는 무선 수신부가 선택되지 않고, 기준 브랜치의 고장에 대한 용장 구성을 제공할 수 있어서,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무선 통신을 행하면서 교정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는 어레이 안테나의 무선 수신부 상호 간에서의 위상 및 진폭의 변동을 보정하는 기준이 되는 기준 브랜치를 결정할 때,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무선 수신부를 선택할 수 있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적합하다. 상술한 방법 및 장치에 의해 그 교정의 정밀도가 높고 특정한 무선 수신부의 고장 시에도 정상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Claims (8)

  1.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의 교정 방법에 있어서,
    수신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 소자(102)를 포함하는 어레이 안테나(101)와, 상기 안테나 소자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무선 수신부(104)를 가지며,
    소정의 심볼 패턴의 교정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부에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수신부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수신부의 소정의 하나를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하는 단계와, 다른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와 상기 기준 브랜치를 통과한 교정 신호와의 위상차 및 진폭비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상기 수신 지향성 패턴을 보정하는 단계를 가지고,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로부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의 교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심볼 패턴의 교정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부에 공급하는 상기 단계는, 입력 신호에 다중함으로써 상기 교정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부에 공급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의 교정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준 브랜치로서 상기 무선 수신부를 선택하는 상기 단계는, 복수의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로부터 추정되는 SIR값에 의해 상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의 교정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기준 브랜치로서 상기 무선 수신부를 선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의 오류율에 의해 상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서의 교정 방법.
  5.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에 있어서,
    수신 지향성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안테나 소자(102)를 포함하는 어레이 안테나(101)와, 상기 안테나 소자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된 무선 수신부(104)와, 소정의 심볼 패턴의 교정 신호를 상기 무선 수신부에 공급하는 교정 신호 공급부(103, 106-108)와, 상기 무선 수신부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를 추출하는 교정 신호 추출부(110)와, 상기 무선 수신부의 소정의 하나를 기준 브랜치로서 선택하고,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의상기 기준 브랜치를 통과한 교정 신호와의 위상차 및 진폭비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상기 수신 지향성 패턴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교정 신호 처리부(109)를 가지며,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로부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를 구하고, 상기 무선 수신부를 기준 브랜치로 하여 선택하는 수신 품질 검출부(111)를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교정 신호 처리부가 상기 수신 품질 검출부로부터 기준 브랜치가 되는 무선 수신부의 정보를 받아서, 상기 기준 브랜치가 되는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교정 신호와 다른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와의 위상차 및 진폭비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상기 수신 지향성 패턴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신호 공급부는 상기 무선 수신부의 입력에 상기 교정 신호를 다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 검출부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로부터 추정되는 SIR값에 의해 상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품질 검출부는 상기 무선 수신부를 통과한 상기 교정 신호의 오류율에 의해 상기 수신 품질이 가장 양호한 상기 무선 수신부를 구하는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KR1020037005895A 2000-10-27 2001-10-26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및 그 교정 방법 KR100562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28846 2000-10-27
JP2000328846A JP3360731B2 (ja) 2000-10-27 2000-10-27 アレーアンテナ校正方法およびアレーアンテナ受信装置
PCT/JP2001/009450 WO2002035648A1 (fr) 2000-10-27 2001-10-26 Récepteur à antenne en réseau et procédé d'étalonn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562A true KR20030040562A (ko) 2003-05-22
KR100562445B1 KR100562445B1 (ko) 2006-03-20

Family

ID=1880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895A KR100562445B1 (ko) 2000-10-27 2001-10-26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및 그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070533A1 (ko)
EP (1) EP1335450B1 (ko)
JP (1) JP3360731B2 (ko)
KR (1) KR100562445B1 (ko)
CN (1) CN1244992C (ko)
HK (1) HK1060444A1 (ko)
WO (1) WO20020356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297A (ko) * 2011-01-11 2012-07-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방사패턴 복원을 위한 능동 배열 안테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350990A (zh) * 2019-05-21 2019-10-18 辰芯科技有限公司 一种相控阵网络校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8286B1 (fr) * 2001-08-02 2003-11-21 Siemens Automotive Sa Dispositif de diagnostic pour une antenne
JP4003229B2 (ja) 2002-06-20 2007-11-07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受信装置
US7809393B2 (en) * 2003-05-09 2010-10-05 Nxp B.V. Method and arrangement for setting the transmiss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08553B1 (ko) * 2003-12-27 2006-08-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시간 오차 보정 기능을 가진 적응 배열 안테나시스템에서의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JP4209355B2 (ja) * 2004-03-30 2009-01-14 富士通株式会社 位相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及び位相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
JP2006005525A (ja) 2004-06-16 2006-01-05 Nec Corp 送信装置
JP4405331B2 (ja) * 2004-07-06 2010-01-2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受信装置、無線送信装置及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2006101237A (ja) * 2004-09-29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受信装置、送信装置、基地局装置及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4528208B2 (ja) * 2005-06-10 2010-08-18 富士通株式会社 アレイアンテナの校正装置及び校正方法
US7853216B1 (en) * 2005-12-22 2010-12-14 Atheros Communications, Inc. Multi-channel RX/TX calibration and local oscillator mismatch mitigation
JP4355325B2 (ja) * 2006-04-25 2009-10-28 京セラ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送信キャリブレーションウエイト算出方法
JP4852052B2 (ja) * 2008-01-22 2012-01-11 株式会社東芝 Dbf受信器
JP5097175B2 (ja) * 2009-06-29 2012-1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受信装置及びその試験方法
US8285221B2 (en) * 2009-08-31 2012-10-09 Motorola Mobility Llc Scalable self-calibrating and configuring radio frequency head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81537A1 (en) * 2009-12-29 2011-07-07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for selecting a best quality signal among multiple signals received by data processors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2324944B (zh) * 2011-06-15 2014-06-0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天线校准方法及装置
US9189347B2 (en) 2011-07-29 2015-11-17 Motorola Solutions, Inc. High reliability redundant voting system for a signal received by voting processor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124361B2 (en) * 2011-10-06 2015-09-01 Raytheon Company Scalable, analog monopulse network
JP5809598B2 (ja) * 2012-05-15 2015-11-11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信号測定装置、信号測定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6732685B2 (ja) * 2017-03-21 2020-07-29 株式会社東芝 試験装置、および信号処理装置
EP3688894A1 (en) * 2017-09-25 2020-08-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receiving terminal for real-time adaptive antenna calibration with training signal cancellation
EP3776929A1 (en) 2018-04-05 2021-02-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ctive antenna system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CN111385009B (zh) * 2018-12-29 2022-04-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功率调节方法及装置、阵列天线、存储介质
US20220231737A1 (en) * 2019-06-07 2022-07-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alibration for antenna elements of a multi-antenna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3547A (en) * 1954-03-02 1956-07-03 Applied Science Corp Of Prince Compensated data transmission
US4210871A (en) * 1978-09-01 1980-07-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Optimum diversity combining circuit for a plurality of channels
US6157343A (en) * 1996-09-09 2000-1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ntenna array calibration
US6153270A (en) * 1996-11-13 2000-11-28 Ewald Dorken Ag Process for application of an inorganic coating to an electrically conducting body
JP3369466B2 (ja) * 1997-03-18 2003-0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無線受信装置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
EP0938204A4 (en) * 1997-03-18 2005-0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ALIBRATION DEVICE FOR WIRELESS RECEIVER OF NETWORK ANTENNA
GB2342505B (en) * 1998-10-06 2003-06-04 Telecom Modus Ltd Antenna array calibration
JP3285022B2 (ja) * 1998-11-19 2002-05-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適応アレーアンテナ装置
KR100376298B1 (ko) * 1999-09-13 2003-03-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무선통신시스템
JP3567976B2 (ja) * 2000-03-07 2004-09-22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受信装置
US6848065B1 (en) * 2000-06-21 2005-01-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it error rate estimation
EP1178562A1 (en) * 2000-08-03 2002-02-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ntenna array calibr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1297A (ko) * 2011-01-11 2012-07-1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방사패턴 복원을 위한 능동 배열 안테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350990A (zh) * 2019-05-21 2019-10-18 辰芯科技有限公司 一种相控阵网络校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350990B (zh) * 2019-05-21 2022-02-18 辰芯科技有限公司 一种相控阵网络校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4992C (zh) 2006-03-08
EP1335450A1 (en) 2003-08-13
CN1471747A (zh) 2004-01-28
HK1060444A1 (en) 2004-08-06
EP1335450B1 (en) 2007-07-11
JP2002135034A (ja) 2002-05-10
KR100562445B1 (ko) 2006-03-20
EP1335450A4 (en) 2005-01-26
JP3360731B2 (ja) 2002-12-24
US20040070533A1 (en) 2004-04-15
WO2002035648A1 (fr) 200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445B1 (ko)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및 그 교정 방법
KR100471618B1 (ko)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의 교정 시스템
US6738020B1 (en) Estimation of downlink transmission parameters in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with an adaptive antenna array
US6157343A (en) Antenna array calibration
EP0767976B1 (en) Phased array spread spectrum system and method
KR100397445B1 (ko) 어레이 안테나 수신 장치
US832085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401258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ly combining signals
US20040166808A1 (en) Adaptive array antenna receiving apparatus and antenna array calibration method
US20040171408A1 (en) Array antenna transmitter/receiver and its calibration method
US7221699B1 (en) External correction of errors between traffic and trai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20030151553A1 (en) Base station, base station module and method for direction of arrival estimation
JP4003229B2 (ja) アレーアンテナ受信装置
US6865377B1 (en) Combined open and closed loop beam forming in a multiple array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201608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ulti-level power control loop
US7263082B1 (en) Resolving user-specific narrow beam signals using a known sequ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ith a common pilot channel
US6404757B1 (en)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in CDMA system
WO2000060698A1 (fr) Radioemetteur et procede de reglage de la directivite d&#39;emission
CN101312370A (zh) 通信设备、通信方法、通信系统和程序
JP2005210364A (ja) 無線通信装置
KR100477597B1 (ko) 비트에러율을이용한탭딜레이조절방법및그를이용한탭딜레이조절장치
JP2006101185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