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214A - 무선 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와 마스터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무선 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와 마스터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214A
KR20030040214A KR1020027015388A KR20027015388A KR20030040214A KR 20030040214 A KR20030040214 A KR 20030040214A KR 1020027015388 A KR1020027015388 A KR 1020027015388A KR 20027015388 A KR20027015388 A KR 20027015388A KR 20030040214 A KR20030040214 A KR 20030040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ommunication device
transmission
signal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토리스나오
키요마츠히사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잔
Publication of KR20030040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2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using different networks or channels, e.g. using out of band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면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로부터 랜 앞으로 발호가 행해진 경우에, 이 발호를 일단은 마스터 통신 장치로 착신하면서, 상기 전화 장치와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마스터 통신 장치를 중계하지 않고 호스트국을 통한 무선 전화 통신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호스트국 측에서 인증 등의 특별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는 무선랜 시스템의 마스터 통신 장치에 대한 구성이나 제어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으로, 마스터 통신 장치(1)는, 통상은 송수신 수단(5)을 온으로 하고 송수신 수단에 설정된 ID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여,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이 가능한 회선 사용 상태로 하고, 회선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의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무선 전화 회선의 ID에 기초하여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또한 회선 사용 상태에서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4)으로부터 송신하는 동시에 송수신 수단(5)을 오프로 하여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되는 출력 금지 상태로 하고,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송수신 수단(5)을 다시 온으로 하여 회선 사용 상태로 복귀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와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최근에 이동 통신 전화는 놀랍게 발전했고, 통화료의 인하나 신기종의 발매 등에 따라 현재는 이동 통신의 전화 회선(이하, 무선 전화 회선이라고 함)의 가입자 수가 고정 전화 회선의 가입자 수를 상회하는 상황에 있다. 이 때문에,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휴대 전화기와 고정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고정 전화기 모두를 사용자가 보유하여 옥내에서는 고정 전화기로 통신을 행하고, 외출 중에는 휴대 전화기로 통신을 행하는 구분 사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현재는 고정 전화 회선의 가입자 수가 감소하는 추세에 있지만, 이동 통신의 전화 회선의 사용 요금(기본 요금 및 통화료)이나 통신 속도, 통신의 신뢰성 등에 대해서 금후 한층 더 향상이 도모되고, 고정 전화와 동등한 정도가 되는 것을 가정하면, 가까운 장래에는 사용자가 고정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필연성이 상당히 감소할 것이다.
또한, 한편으로는, 가까운 장래에는 상당수의 전자 기기(예컨대 텔레비전 수상기, 비디오 데크, 각종 카메라 등)에 대하여 통신 기능이 부가되고, 서버 장치 등에 대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 예상되며, 이 경우에는 전자 기기 1대마다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송수신 수단이 부가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전자 기기에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송수신 수단이 부가되는 경우를 가정해 보면, 전자 기기 1대마다 다른 무선 전화 회선을 설정하는, 즉 1대마다 별도의 전화번호를 부여하게 되면, 사용자 및 호스트국이 관리하는 전화번호의 난립, 사용자가 부담하는 무선 전화 회선의 기본 요금의 비대화, 나아가서는 전화 번호 자원의 고갈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복수의 전자 기기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랜에 의한 네트워크 접속을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예컨대 각 전자 기기에 블루투스(닛케이 일렉트로닉스 2000년 1월17일호 37-44 페이지 참조) 등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부착하여 무선랜을 구축하는 동시에, 랜 밖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호(originated call)에 대해서는, 그 무선랜 내에서 유일 무선 전화 회선이 설정된 휴대 전화기 등의 마스터 통신 장치로 착신하여 통신을 확립하고, 이 마스터 통신 장치에 의한 통신 확립 상태에 있어서, 무선랜 내의 다른 각 전자 기기(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마스터 통신 장치에 대하여 근거리 무선 장치로 통신을 더 행함으로써 마스터 통신 장치를 통해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무선 전화 회선을 직접 사용하는 것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는 휴대 전화기뿐이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인 다른 각 전자 기기는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 전화기를 말하자면 중계기로서 이용함으로써 무선 전화 회선에 간접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그 때문에, 랜 밖의 전화 장치와 슬레이브 통신 장치와의 통신 중에는 항상 마스터 통신 장치가 통신 접속 상태가 아니면 안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생긴다. 또한, 예컨대 랜 밖의 전화 장치가 서버 장치 등의 컴퓨터인 경우에, 그 컴퓨터로부터 송신된 영상 정보 등의 대용량 데이터를 무선랜 내의 전자 기기(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수신하는 경우에는, 중계기로서의 휴대 전화기(마스터 통신 장치)가 부담하는 전력 소비량이 과대해지고, 나아가서는 현재의 휴대 전화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성능으로서는 과도한 처리 부담이 생긴다.
이것에 대하여, 그 휴대 전화기에 관해서, 대용량 전지나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휴대 전화기로서의 휴대성이 손상되고, 또한 비용이 상당히 증가하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못하다.
나아가서는, 이 방법에서는, 휴대 전화기를 마스터 통신 장치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랜 밖의 전화 장치와 전자 기기(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는 휴대 전화기를 이동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실제로는 휴대 전화기와는 별도로 무선랜 내의 각 전자 기기에 이동 통신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무선 전화 회선이 필요하다.
한편, 현행 무선 전화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기지국과 하나의 중앙 제어국을 갖춘 호스트국에 의해 무선 전화 회선이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해야 한다. 여기서, 무선랜 내의 복수의 통신 장치가 각각 동일한 전화번호에 의해 위치 등록을 행하는 구성이라고 하면, 현행 호스트국에서는 대처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무선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통신 장치의 위치 등록 문제를 배려한 구성으로 해야만 한다.
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먼저 「전화 회선의 제어 위임 시스템」(일본 특허 출원 2000-122791, 일본 특허 제3153213호)이 제안되었다. 이 시스템을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무선랜에 적용한 경우에는,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마스터 ID(예컨대 전화번호 「090-1234-5678」)를 바탕으로 생성된 슬레이브 ID(예컨대 전화번호 「090-1234-5678-01」, 「090-1234-5678-02」, ···)를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여 호스트국을 통한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로부터 제어 위임을 받은 후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를 중계기로서 이용하지 않고도 무선 전화 회선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먼저 제안한 이 시스템에서는, 제어 위임을 받은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슬레이브 ID를 이용하여 랜 밖의 전화 장치에 대한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할 때에는 호스트국이 슬레이브 ID와 마스터 ID의 대응관계에 대한 인증을 행해야 하기 때문에, 호스트국측(통신사업자측)이 처리 부담을 지게 되는 약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대의 전자 기기를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하는 무선 랜(LAN) 시스템에 이용되어 각 전자 기기를 통할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및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면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로부터 랜 앞으로 발호(發呼)가 행하여진 경우에 상기 전화 장치와 각 전자 기기에서 호스트국을 통한 무선 전화 통신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마스터 통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 등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으로, 무선랜 내의 각 장치가 제1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원리 등에 대해서 설명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 등에 대해서 설명한 도면으로, 무선랜 내의 각 장치가 제2 상태에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마스터 통신 장치로부터의 발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에 단독으로 발신을 행하는 경우의 시스템 전체의 처리 개요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마스터 통신 장치로부터의 착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시스템 전체의 처리 개요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부가 행하는 제어 처리의 개요 및 발신 제어 위임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발신 제어 위임시에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부가 행하는 제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마스터 통신 장치가 행하는 착신 제어 위임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 흐름도로서,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 상태에서 행해지는 처리 및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가 행하는 착신 제어 위임시의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 흐름도.
도 10은 마스터 통신 장치가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대하여 발신 제어 위임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 등에 대해서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마스터 통신 장치가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대하여 착신 제어 위임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 등에 대해서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마스터 통신 장치 및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각종 전자 기기에 적용하는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스터 통신 장치
2(2A, 2B, 2C∼2n) : 슬레이브 통신 장치
3 : 호스트국
31 : 중앙 제어국
32(32a, 32b∼32n) : 기지국
4 : 근거리 무선 통신부(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
5 : 송수신부(송수신 수단)
6 : 제어부(제어 수단)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면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로부터 랜 앞으로 발호가 행하여진 경우에, 그 발호를 일단은 마스터 통신 장치로 착신하면서, 상기 전화 장치와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서 마스터 통신 장치를 중계하지 않고 단독으로 호스트국을 통한 무선 전화 통신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호스트국측에서 인증 등의 특별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는 무선랜 시스템의 마스터 통신 장치에 대한 구성이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마스터 통신 장치의 주된 구성은, 적어도,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상기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에 구비되고, 각 전자기기에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 사용하기 위해서, 각 전자기기 중의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어 다른 각 전자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서 통할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로서,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에 있어서의 제1 상태와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고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에 있어서의 제2 상태를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통상은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설정된 ID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여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이 가능한 회선 사용 상태로 하고, 이 회선 사용 상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의 ID에 기초하여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또한 상기 회선 사용 상태에서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여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되는 출력 금지 상태로 하고, 이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착신 제어 위임한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상기 송수신 수단을 다시 온으로 하여 상기 회선 사용 상태로 복귀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의 주된 구성은, 적어도,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이 상기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에 구비되고, 각 전자기기에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 사용하기 위해서, 각 전자기기 중의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어 다른 각 전자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서 통할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에 있어서의 제1 상태와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고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에 있어서의 제2 상태를 전환하기 위해서, 통상은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설정된 ID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여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이 가능한 회선 사용 상태로 하고, 이 회선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의 ID에 기초하여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또한 상기 회선 사용 상태에서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동시에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여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되는 출력 금지 상태로 하고, 이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착신 제어 위임한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상기 송수신 수단을 다시 온으로 하여 상기 회선 사용 상태로 복귀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의 주된 구성은, 적어도,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상기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에 구비되고, 각 전자기기에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 사용하기 위해서, 각 전자기기 중의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어 다른 각 전자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서 통할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에 있어서의 제1 상태와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고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에 있어서의 제2 상태를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서, 통상은 상기 송수신 수단에 설정된 ID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여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이 가능한 회선 사용 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고, 이 회선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의 ID에 기초하여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또한 상기 회선 사용 상태에서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동시에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되는 출력 금지 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며, 이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착신 제어 위임한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상기 회선 사용 상태로 복귀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다시 온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본 원리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복수대의 전자 기기를 네트워크 접속하고, 무선 신호에 의해 각 전자 기기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를 위한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전자 기기에는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인 근거리 무선 통신부(4)와,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인 송수신부(5)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4)와 송수신부(5)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인 제어부(6)가 구비되어 있다.
각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각 근거리 무선 통신부(4)는 전파나 적외선 등의 무선 신호에 의해 근거리 내에서 각종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랜 시스템의 가동 중에는 항상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부(4)와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온 상태가 된다.
여기서, 네트워크 내의 각 전자 기기는 서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예컨대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등)를 각각 보유하고, 각 식별 정보에 대해서는 각 전자 기기의 메모리(도시 생략) 등에 각각 등록된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송수신하는 신호에 대해서는 이 식별 정보의 데이터를 수신처 정보로서 포함시킴으로써 특정 전자 기기에만 데이터나 명령 등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식별 정보의 데이터를 발신원 정보로서 포함시킴으로써 어느 전자 기기로부터 발신된 신호인지에 대해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각 근거리 무선 통신부(4)는 각 통신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의 송수신 수단 및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제어 위임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나아가서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 마스터 통신 장치(1)에 요구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각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대해서는 전파나 적외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각 전자 기기에 구비되는 송수신부(5)는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하여 그 무선랜 시스템 밖(네트워크 밖)의 각종 전화 장치와 통신을 행하기 위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무선 전화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랜 내의 각 전자 기기의 송수신부(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전화 회선을 관리하는 기존의 호스트국(3)을 통해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에 대하여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게 된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호스트국(3)은 하나의 중앙 제어국(31)과 복수의 기지국(32; 32a∼32n)을 구비하고 있고, 무선 전화 회선에 대한 위치 등록에 관한 처리를 기지국(32)에서 행하며, 무선 전화 회선의 ID(전화번호) 관리나 전화 장치 사이의 회선 접속 등의 처리를 중앙 제어국(31)에서 행하도록 되어 있다.
각 전자 기기의 제어부(6)는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각종 처리를 행하면서 자체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4) 및 송수신부(5)를 제어한다. 제어부(6)의 제어 내용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각 전자 기기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나 송수신부(5)의 동작 설정이나 사용자의 편의 등을 위해, 제어부(6)에 조작 입력 신호를 공급하는 키 스위치 등의 조작 입력부나 전자 기기의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LCD 등의 표시부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설치된다. 이들 조작 입력부나 표시부는 전자 기기에 부수되는 키 스위치나 LCD 등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리모콘 등을 사용하여 원격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각종 전자 기기(텔레비전 수상기, 비디오 데크, 퍼스널 컴퓨터, 각종 가정내 전자 제품 등)를 네트워크 접속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전자 기기가 갖는 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수단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내의 복수대의 전자 기기 중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1)가 되고, 각 전자 기기에서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다른 각 전자 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2; 2A, 2B, 2C, ···, 2n)로서 통할한다. 그리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송신된 제어 위임 신호에 기초하여 무선 전화 회선을 일시적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내에서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이 설정된 구성이고, 이 때문에, 적어도 마스터 통신 장치(1) 내의 메모리(도시 생략)에 송수신부(5)에 의해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기 위한 ID(전화번호)가 저장된다.
그리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는 통상은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고,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 슬레이브 통신 장치 앞으로 송신된 제어 위임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수신함으로써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여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즉, 제어 위임 신호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는 것을 허가하는 신호로서, 그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송수신부(5)의 「오프」란 송수신부(5)에 대해서 적어도 위치 등록용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된 상태가 되는 것으로, 예컨대, 송수신부(5)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금지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송수신부(5)의 「온」이란 위치 등록용 무선 신호의 출력 금지가 해제되어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송수신부(5)의 오프 및 온의 의미에 대해서는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와 마스터 통신 장치(1)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송수신부(5)에 의해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하기 위한 ID(전화번호)가 마스터 통신 장치(1) 내의 메모리에만 항상 저장되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메모리에는 저장되지 않는 구성의 경우와, 각 통신 장치(1, 2)의 메모리에 동일한 ID(전화번호)가 항상 저장된 구성의 경우로 대별할 수 있지만,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ID가 마스터 통신 장치(1) 내의 메모리에만 항상 저장된 구성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다음에, 구체적인 제어예에 대해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무선랜 시스템의 초기 상태 및 통상의 상태에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 (5)만이 온이 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에 대해서는 전부 오프되도록 각 송수신부(5)가 제어된다(단계 S1).
이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통해 네트워크 내의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하거나, 또는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측에서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자동으로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하면 좋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통신 불량 등의 우려도 고려하여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측에서,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자동으로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제어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상태(제1 상태)에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어 상기 호스트국(3)의 기지국(32; 도 1에서는 기지국 32b)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고, 네트워크 밖의 불특정 전화 장치에 대한 발착신에 대해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만으로 행하게 된다.
이 제1 상태에서, 마스터 통신 장치(1)는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 2A∼2n) 내의 소정의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유무에 관해서 제어부(6)에서 판정하여(단계 S2),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자체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 내의 소정의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만을 온으로 하는 제2 상태로 전환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3).
여기서,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시기는 제1 상태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발착신 대기 중에 발생하는 경우(후술하는 발신 제어 위임의 경우)와, 마스터 통신 장치(1)와 네트워크 밖의 불특정 전화 장치 사이에서의 통신 중에 발생하는 경우(후술하는 착신 제어 위임의 경우)로 대별된다.
제2 상태에 있어서 각 통신 장치(1, 2)의 상태에 대하여는 도 3에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상태에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 도 3에서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 2A)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어 상기 호스트국(3)의 기지국(32b)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고, 랜 밖의 불특정 전화 장치에 대한 발착신에 대해서는 이 슬레이브 통신 장치(2A)만으로 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제2 상태에서는, 제어 위임을 행한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한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관해서 감시되어(단계 S4),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하는 제1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 처리가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서 행해진다(단계 S5). 또,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5에 있어서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제어로서는, 제어위임 대상이 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를 온에서 오프로 하는 제어 처리, 송수신부(5)가 오프로 된 것을 마스터 통신 장치(1)가 감지하는 처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를 오프에서 온으로 하는 제어 처리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통상시의 제1 상태와,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에 따라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고 소정의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의 제2 상태를 전환하도록 각 송수신 수단(5)이 제어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항상 1대의 통신 장치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각 통신 장치(1, 2)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면서, 또한 동시 사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어 호스트국(3)측(통신사업자측)의 인증 등의 특별한 처리를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위치 등록에 관한 문제의 해결을 꾀하고 있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무선랜 시스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제어 내용 등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전술한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시기(도 2의 단계 S2) 및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통신 형태라는 관점에서는, 제1 상태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발착신 대기 중에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제어 위임을 받아 제2 상태가 되고,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랜 밖의 전화 장치로의 발신을 행하는 경우와, 제1 상태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와 네트워크 밖의 불특정전화 장치 사이의 통신 중에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제어 위임을 받아 제2 상태가 되고, 그 전화 장치와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 통신을 확립하는 경우로 대별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 및 제어 내용의 차이 등을 위해, 전자의 제어 위임을 발신 제어 위임이라 부르고, 후자의 제어 위임을 착신 제어 위임이라 부르며, 이하는 양자를 구별하여 설명한다.
도 4에는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제어 위임(발신 제어 위임)을 받아 랜 밖의 전화 장치로의 발신을 행하는 경우의 시스템 전체의 처리 개요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는 제1 상태(단계 S1)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의 발신 제어 위임을 요구하는 요구 신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수신하는 것을 감시하여(단계 S2A),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도 2의 단계 S2에서 설명한 제어 위임 사유(발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도록 제어한다(단계 S3A).
여기서, 요구 신호에는 예컨대 전술한 MAC 어드레스 등의 수신처 정보나 발신원 정보, 발신 제어 위임을 요구하는 신호 등이 포함된다.
또한, 발신 제어 위임 신호에는 예컨대, 전술한 MAC 어드레스 등의 수신처 정보나 발신원 정보, 마스터 통신 장치(1)의 ID(전화번호) 정보나, 슬레이브 통신장치(2)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여 발신하는 것을 허가하는 명령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자기에게 오는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에서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는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여 수신한 ID에 기초한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의 온/오프가 각각 전환됨으로써 시스템 전체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 제2 상태에서는, 요구 신호의 발신원이 되는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 (2)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고, 호스트국(3; 도 3의 기지국 32b)에 대한 위치 등록이 행해지기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1)를 중계하지 않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단독으로 발신 가능한 상태가 되며, 또한, 호스트국(3)의 처리 부담 증대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발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는 송수신부(5)가 온이 되어 기지국(32b)에 대한 위치 등록이 행해지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 입력부의 조작 등에 기초하여 목적이 되는 상대편 전화번호로 발신을 시작하게 된다.
여기서, 발신 제어 위임 신호 중에 포함시키는 명령이나 정보 등에 의해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무선 전화 통신 기능에 제한 등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부(5)에 의한 착신을 금지하는 취지의 명령을 발신 제어 위임 신호에 포함시킴으로써, 발신만의 제어 위임이 설정되고, 발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발신 조작 중에 네트워크 밖의 불특정 전화 장치로부터 랜으로(마스터 통신 장치의 전화번호로) 발호가 있는 경우라도 이 발호의 수신을 거부하고, 사용자의 발신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발신처를 제한하는 취지의 명령을 발신 제어 위임 신호에 포함시킴으로써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에 의한 발신처를 소정범위로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소정 메모리 내에, 발신을 금지하는 전화번호(예컨대, 통화료가 비싼 국제 전화, 다이얼 Q2 등)를 등록해 두고, 발신 제어 위임 신호의 송신시에 이 전화번호의 정보 및 이 전화번호로의 발신을 금지하는 취지의 명령을 포함시켜 둠으로써 소정의 전화번호에 대해서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 발신할 수 없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2 상태에서는,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한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관해서 감시되어(단계 S4),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전술한 제1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제어를 행함으로써(단계 S5),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5는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 마스터 통신 장치(1)의 무선 전화 회선에 의한 통신 중에,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제어 위임(착신 제어 위임)을 받아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의 시스템 전체의 처리 개요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는 제1 상태(단계 S1)에 있어서, 네트워크 밖의 불특정 전화 장치(발신원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로 착신하여(단계 S1A) 통신을 시작하고, 이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 상태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를 특정하기 위한 소정의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한다(단계 S2B).
이 소정의 신호는 착신 제어 위임의 대상이 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하여 트리거되는 신호로서, 예컨대, 발신원 전화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ID 등의 신호(이하, 슬레이브 ID라고 함), 발신원 전화 장치의 사용자와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사용자의 회화 등에 기초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조작 입력부(키 스위치 등)가 조작된 것에 따른 착신 제어 위임을 위한 조작 입력 신호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마스터 통신 장치(1)는 슬레이브 ID의 수신 유무의 판정에 대해서는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행하고, 조작 입력 신호의 수신 유무의 판정에 대해서는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면 좋다. 또한, 슬레이브 ID에 대해서는, 예컨대 슬레이브 통신 장치(2A∼2n)에 관해서, 미리 각각 다른 번호(예컨대 01, 02, 03···)를 슬레이브 ID로서 할당하고, 이들 각 슬레이브 ID를 마스터 통신 장치(1)가 관리하는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A∼2n)의 MAC 어드레스 등의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메모리 등에 기억해 두면 좋다.
그리고, 이 소정의 신호가 입력되면,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도2의 단계 S2에서 설명한 제어 위임 사유(착신 제어 위임 사유)를 발생시켜,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을 확립해야 할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고(단계 S2C), 특정한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B).
여기서, 착신 제어 위임 신호에는 예컨대, 전술한 MAC 어드레스 등의 수신처 정보나 발신원 정보, 마스터 통신 장치(1)의 ID(전화번호) 정보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를 온시키는 것을 허가하는 명령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자기에게 오는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는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여 수신한 ID에 기초한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의 온/오프가 각각 전환됨으로써 시스템 전체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되고, 발신원 전화 장치와 마스터 통신 장치(1) 사이의 통신이 일단 종료하게 된다.
이 제2 상태에서는,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만이 온이 되고, 호스트국(도 3의 기지국 32b)에 대한 위치 등록이 행해지기 때문에, 발신원 전화 장치로부터 재차 랜으로(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전화번호로)의 발호를 행하는 경우에, 이 발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를 중계하지 않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로 직접 착신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또한, 호스트국의 처리 부담 증대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는 착신 제어 위임 신호 중에 포함되는 각 정보에 기초하여 발신원 전화 장치에 대하여 통신을 확립할 수 있는 상태로 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단계 S3C).
여기서, 착신 제어 위임 신호 중에 포함시키는 명령이나 정보 등에 의해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무선 전화 통신 기능에 제한 등을 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부(5)에 의한 발신을 금지하는 취지의 명령을 착신 제어 위임 신호에 포함시킴으로써, 착신만의 제어 위임이 되고, 발신원 전화 장치로부터 재차 랜으로(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전화번호로)의 발호가 행해진 경우에, 이 발호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로 신속하게 착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컨대, 발신원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 정보와, 이 발신원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호만의 착신을 허가하는 취지의 명령을 착신 제어 위임 신호에 포함시킴으로써,착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착신 대기 중에, 랜 밖의 다른 전화 장치로부터 랜으로 발호가 있었던 경우에,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그 발호를 착신하지 않고서, 발신원 전화 장치에 대한 착신 대기 상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착신 제어 위임 신호중에 발신원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 정보와, 이 발신원 전화번호로의 발신을 허가하는 취지의 명령(또는 발신해야 할 취지의 명령)을 포함시킴으로써 착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발신원 전화 장치 앞으로, 사용자의 발신 조작에 기초한 발신을 실행하거나 자동으로 발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상태에서는,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한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관해서 감시되어(단계 S4),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전술한 제1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제어를 행함으로써(단계 S5),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가 행하는 제어 처리에 대해서 발신 제어 위임의 경우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하고(단계 S1), 호스트국(도 1의 기지국 32b)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한다.
계속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는 처리(단계 S2A),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랜 밖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호를 수신(착신)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는 처리(단계 S13),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감시하여 랜 밖의 전화 장치 앞으로 발신하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는 처리(단계 S14)를 행하고, 이들 어느 하나의 판정이 예스가 될 때까지 단계 S2A, 단계 S13, 단계 S14의 판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요구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 S15로, 착신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 S21로, 발신한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 S25로 각각 이행한다.
단계 S15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요구 신호 송신원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 자체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한다(단계 S16). 그리고,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가 오프될 때에, 자체의 송수신부(5)가 오프된 취지의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한다(단계 S17).
이 후,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함으로써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이행하게 된다.
그리고,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 구체적으로는 발신 제어를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 보내져오는 상태 신호를 감시하여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부(5)의 상태나 동작 등에 대한 감시를 행하고, 제2 상태로의 이행이 행해졌는지 여부,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발신했는지 여부 등에 대해서 적절하게 점검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도 4의 단계 S4)에 대해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와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의 쌍방에서 판정하는 구성이고,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 (2)의 제어부(6)는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여 그 취지의 상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각 통신 장치 앞으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제2 상태에 있어서,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감시를행하고(단계 S18), 오프된 취지의 상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수신하면,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도록 제어하며(단계 S19), 온이 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 (2A∼2n)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단계 S20), 단계 S2A∼단계 S13∼단계 S14의 판정 루프 처리로 되돌아간다.
한편, 랜 밖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호를 송수신부(5)로 수신(착신)한 경우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착신중인 취지(대기 상태를 벗어난 취지)의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단계 S21),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각종 처리를 행하여 통신 상태로 이행한다(단계 S22). 도 5에서 설명한 착신 제어 위임의 처리는 이 통신 상태 중에 행해지게 되지만,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가 착신 제어 위임일 때에 행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도 8에서 후술한다.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 상태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 등을 감시하여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23), 통신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그 취지(다시 대기 상태로 들어가는 취지)의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단계 S24), 단계 S2A∼단계 S13∼단계 S14의 판정 루프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랜 밖의 전화 장치에 대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 발신하는 경우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발신중인 취지(대기 상태를 벗어난 취지)의 상태 신호를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단계 S25), 상대측 전화 장치와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각종 처리를 행하여 통신 상태로 이행한다(단계 S26).
또, 도 5에서 설명한 착신 제어 위임의 처리는 단계 S26의 통신 상태 중에 있어서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상대측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 정보를 마스터 통신 장치(1)로 취득하는 처리(도 8의 단계 S51)가 불필요하게 된다.
단계 S26의 통신 상태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 등을 감시하여 상대측 전화 장치와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27), 통신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그 취지(다시 대기 상태로 들어가는 취지)의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A∼2n)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단계 S28), 단계 S2A∼단계 S13∼단계 S14의 판정 루프 처리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가 행하는 제어 처리에 대해서 발신 제어 위임의 경우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전원 인가시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한다(단계 S1). 이 실시예에서는, 단계 S1에서 송수신부(5)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금지함으로써 소비 전력의 경감을 꾀하고 있다.
계속해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는 처리(단계 S32)를 행하고,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감시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로 요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는 처리(단계 S33)를 행하며, 어느 하나의 판정이 예스가 될 때까지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판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는 도 9에서 후술하는 착신 제어 위임의 처리를 행하고, 트리거 신호의 입력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는 단계 S34로 이행한다.
트리거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 구체적으로는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상태 신호를 점검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가 대기 상태(도 6의 단계 S2A∼단계 S14의 판정 루프 상태)인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 대기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가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고 있거나 또는 다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의 제어 위임이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서, 에러 표시를 행하도록 표시부에 표시하고(단계 S35),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판정 루프로 되돌아간다.
한편, 마스터 통신 장치(1)가 대기 상태인 경우에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마스터 통신 장치(1) 앞으로 요구 신호를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여(단계 S36)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를 감시함으로써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37). 그리고, 발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발신 제어 위임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각종 정보나 명령)를 추출하여적절하게 메모리[제어부(6) 내의 RAM 등]에 기억해 둔다(단계 S38).
계속해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상태 신호]를 감시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 (1)의 송수신부(5)가 오프 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39), 오프되면,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하며(단계 S40), 자체의 송수신부(5)가 온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다른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한다(단계 S41).
그리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조작 입력부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감시하여 랜 밖의 상대측 전화 장치로 발신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42),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면 상대측 전화 장치로 발신하여 통신을 확립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한다(단계 S44).
또한, 상대측 전화 장치와의 통신 중에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 등을 감시하여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45), 통신 종료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4에 있어서의 제어 위임의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동시에, 단계 S38에서 메모리에 기억한 각종 정보나 명령을 소거하여 초기화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46).
그리고, 송수신부(5)가 오프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가 오프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다른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여(단계S47),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판정 루프로 되돌아간다.
한편,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랜 밖의 상대측 전화 장치로 발신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동안은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감시하여(단계 S43),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4에 있어서의 제어 위임의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전술한 단계 S46 및 단계 S47의 처리를 행하여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판정 루프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단계 S43의 처리를 마련함으로써 발신 제어의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언제까지나 발신하지 않음으로써 제1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고,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장시간 사용하지 못하는 사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발신 제어 위임 후에는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스스로가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관한 판정을 행하여 송수신부(5)를 온에서 오프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1)측의 처리 부담이 감소하고, 나아가서는, 예컨대 발신 제어 위임 후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4)에 의한 마스터 통신 장치(1)와의 통신 상태가 만일 불통이 된 경우에도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자체적으로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 및 도 7의 각 처리에 기초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하여 발신 제어 위임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 등에 관해서 도 10에 도시한다.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발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가 온이 되고,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발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온이 되도록 각 송수신부(5)가 제어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동시에 2이상의 송수신부(5)가 온이 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고, 제1 상태와 제2 상태의 전환이 원활히 행해진다.
다음에,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가 행하는 착신 제어 위임에 대한 제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도 8의 흐름도에 있어서는, 단계 S51 내지 단계 S54가 랜 밖의 발신원 전화 장치와의 통신 상태(도 6의 단계 S12)에 있어서 행해지는 처리가 되고, 단계 S55 내지 단계 S59가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 중의 처리에 대응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동일한 단계 번호로 나타내고 있다.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발신원 전화 장치와의 통신 접속시 또는 통신 중에, 발신원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를 내부 메모리 등에 기억한다(단계 S51).
또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발신원 전화 장치와의 통신 중에,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발신원 전화 장치로부터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지정하는 신호(예컨대 전술한 슬레이브 ID 등)가 송신되었는지 여부(단계 S52) 및 발신원 전화 장치와의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도 6의 단계 S23)에 관해서 감시하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지정하는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통신이 종료된 경우에는 도 6의 단계 S24에 있어서의 상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송신하여 대기 상태(도 6의 단계 S2A∼S14)로 되돌아가며,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지정하는 신호를 송수신부(5)로 수신한 경우에는 단계 S53으로 이행한다.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단계 S53에 있어서, 지정처가 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는 동시에,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발신원 전화 장치와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54), 발신원 전화 장치와의 통신이 종료되면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여(단계 S55), 오프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송신한다(단계 S56).
이 후,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함으로써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이행하게 되기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 구체적으로는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 보내져오는 상태 신호를 감시하여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부(5)의 상태나 동작 등에 관한 감시를 행하고, 제2 상태로의 이행이 행해졌는지 여부,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와 발신원 전화 장치와의 통신이 확립되었는지 여부 등에 대해서 적절하게 점검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도 4의 단계 S4)에 관해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와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의 쌍방에서 판정하는 구성이고,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슬레이브 통신장치(2)의 제어부(6)는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여 그 취지의 상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부터 송신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제어부(6)는 제2 상태에 있어서,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감시를 행하고(단계 S57), 오프된 취지의 상태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수신하면,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도록 제어하며(단계 S58), 온이 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고(단계 S59), 도 6의 단계 S2A∼단계 S13∼단계 S14의 판정 루프(대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도 6과 비교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착신 제어 위임에 있어서의 발신원 전화 장치와의 통신 종료후의 기본적인 처리(단계 S55 내지 단계 S59)는 발신 제어 위임에 있어서의 도 6의 단계 S16 내지 단계 S20과 동일한 처리로 실현가능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간소화 등이 도모된다.
또한, 도 8의 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 랜 밖의 전화 장치로 발신한 경우(도 6의 단계 S26)에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에는 발신원 전화 장치를 상대측 전화 장치로, 단계 S23을 단계 S27로, 단계 S24를 단계 S28로 각각 고쳐 읽으면 좋다.
다음에,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가 착신 제어 위임시에 행하는 제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도 9에서는, 도 7의 단계 S32A에서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후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가 행하는 제어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로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수신하면(단계 S71), 착신 제어 위임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각종 정보나 명령)를 추출하여 적절한 메모리(제어부(6) 내의 RAM 등)에 기억해 둔다(단계 S72).
계속해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4)의 수신 신호(마스터 통신 장치(1)로부터의 상태 신호)를 감시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오프 될 때까지 대기하고(단계 S73), 오프되면, 추출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체의 송수신부(5)를 온으로 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하며(단계 S74), 자체의 송수신부(5)가 온인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다른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한다(단계 S75).
이에 따라, 시스템 전체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전환하여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에 의해 호스트국(기지국)으로의 위치 등록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를 감시하여 착신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76), 착신을 나타내는 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또는 조작 입력부의 조작을 대기하여 발신원 전화 장치에 통신을 접속하도록 송수신부(5)를 제어한다(단계 S78).
또한, 발신원 전화 장치와의 통신 중에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송수신부(5)의 수신 신호 등을 감시하여 통신이 종료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단계 S79), 통신 종료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4에 있어서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동시에, 이전의 단계 S72에서 메모리에 기억한 각종 정보나 명령을 소거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80).
그리고, 송수신부(5)가 오프되면,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그 취지의 상태 신호를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다른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앞으로 송신하도록 근거리 무선 통신부(4)를 제어하여(단계 S81), 도 7에 있어서의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판정 루프로 되돌아간다.
한편, 착신을 나타내는 신호가 송수신부(5)로 수신되지 않는 동안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제어부(6)는 소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에 대해서 감시하고(단계 S77),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도 4의 단계 S4에 있어서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전술한 단계 S80 및 단계 S81의 처리를 행한 후에, 도 7에 있어서의 단계 S32 및 단계 S33의 판정 루프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처리 단계 S77에 따라, 예컨대 발신원 전화 장치나 호스트국(3)측의 고장 등에 의해 착신을 나타내는 신호가 송수신부(5)에서 언제까지나 수신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상태로 되돌아가지 않고서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 (5)를 장시간 사용할 수 없게 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착신 제어 위임 후에는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 스스로가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관한 판정을 행하여 송수신부(5)를온에서 오프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하기 때문에, 마스터 통신 장치(1)측의 처리 부담이 감소하고, 나아가서는, 예컨대 착신 제어 위임 후에 근거리 무선 통신부(4)에 의한 마스터 통신 장치(1)와의 통신 상태가 만일 불통이 된 경우에도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자동으로 송수신부(5)를 오프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 및 도 9의 각 처리에 기초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대하여 착신 제어 위임하는 경우의 신호 흐름 등에 대해서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착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가 온이 되고,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의 전환시에는 착신 제어 위임을 받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송수신부(5)가 오프되는 것을 대기하여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송수신부(5)가 온이 되도록 각 송수신부(5)가 제어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동시에 2이상의 송수신부(5)가 온이 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고, 제1 상태와 제2 상태와의 전환이 원활히 행해진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하기 위한 ID(전화번호)가 마스터 통신 장치(1)에만 설정되고,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는 설정되지 않는 구성을설명하였지만, 각 통신 장치(1, 2)에 동일한 ID(전화번호)가 설정된 구성, 즉, 상기 ID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메모리 등에 항상 저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마스터 통신 장치(1)측에서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2)에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할 때에, 무선 전화 회선의 ID를 포함해서 송신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발신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에 대해서, 마스터 통신 장치(1)가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상태에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발착신 대기 상태 중에 있어서, 마스터 통신 장치(1)의 조작 입력부에서 어느 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여 발신 제어 위임을 위한 조작 입력을 행하여도 좋고, 상기 발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2는 전술한 마스터 통신 장치(1) 및 슬레이브 통신 장치(2)를 각종 전자 기기에 적용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도 12의 예에서는, 고정식 팩시밀리가 부착된 전화기를 마스터 통신 장치(1)로서 사용하고, 퍼스널 컴퓨터(2A), 텔레비전 수상기(2B), 비디오 데크(2C)를 각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서 사용하며, 이들을 서로 네트워크 접속한 무선랜의 예에 대해서 도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무선랜을 배치하면, 통상은 마스터 통신 장치(1)인 팩시밀리가 부착된 전화기가 랜 밖의 전화 장치와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고, 필요에 따라 마스터 통신 장치(1) 또는 랜 밖의 전화 장치의 조작 입력부의 조작 등에 기초하여 전술한 착신 제어 위임을 행함으로써, 그 전화 장치와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통신 접속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2)의 조작 입력부의 조작 등에 기초하여 전술한 발신 제어 위임을 행하고, 그 슬레이브 통신 장치(2)가 단독으로 랜 밖의 전화 장치에 대한 발신을 행하여 호스트국(3)을 통해 무선 전화 통신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컨대 발신원 전화 장치로서의 랜 밖의 서버 장치로부터, 마스터 통신 장치(1; 팩스가 부착된 전화기)로는 수신할 수 없는 대용량 데이터가 호스트국(3)을 통해 무선 전화 회선으로 송신되는 경우에, 이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 (2A) 등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2)로 수신하여 표시나 다운로드 등을 행하거나, VOD(비디오·온·디멘드)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텔레비전 수상기(2B)로 수신하거나, 비디오 데크(2C)로 녹화하는 여러 가지 사용 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면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로부터 랜 앞으로 발호가 행하여진 경우에, 그 발호를 일단은 마스터 통신 장치로 착신하면서 상기 전화 장치와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서 마스터 통신 장치를 중계하지 않고 단독으로 호스트국을 통한 무선 전화 통신을 확립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호스트국측에서 인증 등의 특별한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는 무선랜 시스템의 마스터 통신 장치에 대한 구성이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산업상 매우 유용하다.

Claims (79)

  1. 적어도,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상기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에 구비되고, 각 전자기기에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 사용하기 위해서, 각 전자기기 중의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어 다른 각 전자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서 통할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로서,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에 있어서의 제1 상태와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고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에 있어서의 제2 상태를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수단은, 통상은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설정된 ID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여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이 가능한 회선 사용 상태로 하고, 이 회선 사용 상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의 ID에 기초하여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또한 상기 회선 사용 상태에서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여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되는 출력 금지 상태로 하고, 이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착신 제어 위임한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상기 송수신 수단을 다시 온으로 하여 상기 회선 사용 상태로 복귀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오프시에는 적어도 위치 등록용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오프시에는 상기 송수신 수단에의 전원 공급이 금지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자체의 송수신 수단의 온/오프를 전환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이 온에서 오프로 되는 것을 대기하여 자체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오프가 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 오프가 되었다고 판정하면, 상기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자체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온일 때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를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한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적어도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의 송수신 수단에 있어서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행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전환하면, 자체의 송수신 수단이 오프가 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적어도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온일 때에 있어서의 발착신 대기중인지 또는 통신중인지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행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상기 송수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 송신된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송수신 수단에서 수신하면,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조작 입력 신호가 상기 조작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회선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초기 상태에서는, 적어도 상기 송수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착신 유무와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입력 조작에 기초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로의 발신 유무에 대한 판정을 반복하여 행하는 대기 상태가 되고, 착신또는 발신이 있다는 판정이 이루어지면,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접속을 행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하면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유무와 무선 전화 통신의 종료 유무에 대한 판정을 반복하여 행하고,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지 않고 무선 전화 통신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적어도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송신처가 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수신처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의 ID가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한 발신을 금지하는 취지의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통신시에 그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 정보에 대해서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상기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한 상기 전화번호로 발신해야 하는 취지의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한 상기 전화번호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호만의 착신을 허가하는 취지의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2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착신 제어 위임한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판정하고,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했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지면,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해야 하는 명령을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송수신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가 거치형 전자기기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
  28. 적어도,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이 상기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에 구비되고, 각 전자기기에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 사용하기 위해서, 각 전자기기 중의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어 다른 각 전자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서 통할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에 있어서의 제1 상태와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고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에 있어서의 제2 상태를 전환하기 위해서, 통상은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상기 송수신 수단에 설정된 ID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여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이 가능한 회선 사용 상태로 하고, 이 회선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의 ID에 기초하여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또한 상기 회선 사용 상태에서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동시에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여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되는 출력 금지 상태로 하고, 이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착신 제어 위임한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상기 송수신 수단을 다시 온으로 하여 상기 회선 사용 상태로 복귀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오프시에는 적어도 위치 등록용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오프시에는 상기 송수신 수단에의 전원 공급이 금지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자체의 송수신 수단의 온/오프를 전환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이 온에서 오프로 되는 것을 대기하여 자체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오프가 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고, 오프가 되었다고 판정하면, 상기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자체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온일 때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를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한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35. 제2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의 송수신 수단에 있어서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행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전환하면, 자체의 송수신 수단이 오프가 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적어도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37. 제35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온일 때에 있어서의 발착신 대기중인지 또는 통신중인지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행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39. 제28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상기 송수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 송신된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송수신 수단에서 수신하면,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41. 제2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수단을 가지며, 상기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조작 입력 신호가 상기 조작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43. 제39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수단을 가지며, 상기 회선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초기 상태에서는, 적어도 상기 송수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착신 유무와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입력 조작에 기초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로의 발신 유무에 대한 판정을 반복하여 행하는 대기 상태가 되고, 착신 또는 발신이 있다는 판정이 이루어지면,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접속을 행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하면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유무와 무선 전화 통신의 종료 유무에 대한 판정을 반복하여 행하고,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지 않고 무선 전화 통신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46. 제28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적어도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송신처가 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수신처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48. 제46항 또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의 ID가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49. 제46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한 발신을 금지하는 취지의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50. 제46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통신시에 그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 정보에 대해서 기억하는 동시에,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상기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한 상기 전화번호로 발신해야 하는 취지의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52.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한 상기 전화번호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호만의 착신을 허가하는 취지의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53.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착신 제어 위임한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판정하고,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했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지면,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해야 하는 명령을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54. 적어도,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무선 전화 회선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 수단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상기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에 구비되고, 각 전자기기에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공통 사용하기 위해서, 각 전자기기 중의 1대가 마스터 통신 장치가 되어 다른 각 전자기기를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서 통할하는 무선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으로서,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는 통상시에 있어서의 제1 상태와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하고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만을 온으로 하는 제어 위임시에 있어서의 제2 상태를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 수단에 대해서, 통상은 상기 송수신 수단에 설정된 ID에 기초하여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여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이 가능한 회선 사용 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고, 이 회선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로의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면, 제어 위임 대상이 되는 어느 1대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의 ID에 기초하여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하고, 또한 상기 회선 사용 상태에서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착신 제어 위임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동시에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되는 출력 금지 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며, 이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착신 제어 위임한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하면 상기 회선 사용 상태로 복귀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다시 온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오프시에는 상기 제어 수단을, 적어도 위치 등록용 무선 신호의 출력이 금지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송수신 수단의 오프시에는 상기 제어 수단을, 상기 송수신 수단으로의 전원 공급이 금지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57. 제54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의 온/오프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동시에,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자체의 송수신 수단의 온/오프를 전환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을,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이 온에서 오프로 되는 것을 대기하여 자체의 송수신 수단을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오프가 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하는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동시에, 오프가 되었다고 판정하면, 상기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한 것으로 하여 자체의 송수신 수단을 온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온일 때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동시에, 그 검출 결과에 기초한 처리를 행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61. 제54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을, 적어도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의 송수신 수단에 있어서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행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오프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 수단에, 자체의 송수신 수단이 오프가 된 것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적어도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63. 제61항 또는 제62항에 있어서, 자체의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온일 때에 있어서의 발착신 대기중인지 또는 통신중인지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를 각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을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64. 제6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을, 네트워크내의 각 전자기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신호에 대한 송수신을 행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65. 제54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상기 제어 수단을, 상기 송수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판정하는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66. 제65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상기 전화 장치로부터 송신된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송수신 수단에서 수신하면, 상기 제어 수단에,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67. 제54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수단을 가지며, 상기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상기 제어 수단을,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판정하는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68. 제67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슬레이브 통신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조작 입력 신호가 상기 조작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제어 수단에,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했다고 판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69. 제65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입력 수단을 가지며, 상기 회선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초기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을, 적어도 상기 송수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착신 유무와 상기 조작 입력 수단의 입력 조작에 기초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로의 발신 유무에 대한 판정을 반복하여 행하여 대기 상태가 되는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동시에, 착신 또는 발신이 있다는 판정이 이루어지면,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접속을 행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수단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 수단에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71. 제69항 또는 제70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수단에 의한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무선 전화 통신 중에, 상기 제어 수단을,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의 발생 유무와 무선 전화 통신의 종료 유무에 대한 판정을 반복하여 행하는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동시에,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사유가 발생하지 않고 무선 전화 통신이 종료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대기 상태로 복귀하는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72. 제54항 내지 제7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적어도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을 사용하여 기지국에 대한 위치 등록을 행하는 것을 허가하는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 수단을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송신처가 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수신처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 수단을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74. 제72항 또는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상기 무선 전화 회선의 ID가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 수단을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75. 제72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한 발신을 금지하는 취지의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 수단을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76. 제72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밖의 전화 장치와의 통신시에 그 전화 장치의 전화번호 정보에 대해서 상기 제어 수단에 기억시키는 동시에,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상기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 수단을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한 상기 전화번호로 발신해야 하는 취지의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 수단을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78. 제76항 또는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제어 위임 신호로서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송수신 수단에 의한 상기 전화번호의 전화 장치로부터의 발호만의 착신을 허가하는 취지의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 수단을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79.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금지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 수단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의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착신 제어 위임한 상기 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위임 종료 사유의 발생 유무에 대해서 판정하는 판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동시에, 제어 위임 종료 사유가 발생했다는 취지의 판정이 이루어지면, 착신 제어 위임한 슬레이브 통신 장치에 송수신 수단을 오프로 해야 하는 명령을 송신하도록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통신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
KR1020027015388A 2001-03-30 2001-05-14 무선 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와 마스터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KR200300402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2747 WO2002082733A1 (fr) 2001-03-30 2001-03-30 Systeme de lan radio, procede de commande de systeme de lan radio et programme de commande
WOPCT/JP2001/02747 2001-03-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214A true KR20030040214A (ko) 2003-05-22

Family

ID=117371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272A KR20030040210A (ko) 2001-03-30 2001-04-27 무선 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와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KR1020027015388A KR20030040214A (ko) 2001-03-30 2001-05-14 무선 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와 마스터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272A KR20030040210A (ko) 2001-03-30 2001-04-27 무선 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슬레이브 통신 장치와슬레이브 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969918B2 (ko)
EP (3) EP1278336A1 (ko)
JP (3) JPWO2002082733A1 (ko)
KR (2) KR20030040210A (ko)
CN (3) CN1432233A (ko)
WO (3) WO200208273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5721A3 (en) * 2008-02-20 2009-11-26 Zerog Wireless, Inc.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KR101284582B1 (ko) * 2006-12-20 2013-07-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공용 통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2169A1 (en) 2001-03-30 2003-01-16 Sunao Takatori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EP1278336A1 (en) 2001-03-30 2003-01-22 Yozan Inc. Radio lan system, radio lan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20040014464A1 (en) * 2001-04-27 2004-01-22 Sunao Takatori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control method of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US20030179722A1 (en) * 2001-05-14 2003-09-25 Sunao Takatori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JP3951986B2 (ja) * 2003-08-27 2007-08-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無線ステーション
CN100426767C (zh) * 2004-11-30 2008-10-15 中磊电子股份有限公司 无线区域网络装置的设定方法
JP2007112315A (ja) * 2005-10-20 2007-05-10 Hiroboo Kk 無人ヘリコプターを利用した防災情報収集・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防災情報ネットワーク
EP2296391B1 (en) * 2008-06-30 2017-03-0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adio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ment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US9003205B2 (en) * 2009-03-31 2015-04-07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to lower the operating cost of wireless network by enforcing low power infrastructure operation
WO2012154938A1 (en) 2011-05-10 2012-11-15 Kopin Corporation Headset computer that uses motion and voice commands to control information display and remote devices
EP2911368A4 (en) * 2012-10-16 2016-07-13 Nec Corp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5769748B2 (ja) * 2013-03-26 2015-08-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通信装置、ファクシミリ装置
WO2014182377A2 (en) * 2013-05-06 2014-11-13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Delegating wifi network discovery and traffic monitoring
US11464023B2 (en) * 2020-02-21 2022-10-04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Termination of wireless transmission of a data frame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293A (en) 1983-12-29 1985-10-2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system
JP2502468B2 (ja) 1993-09-30 1996-05-2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複数の無線移動局を有する構内無線通信システムの通信制御方法
US6327477B1 (en) * 1995-03-31 2001-12-04 Canon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ystem
JP3502216B2 (ja) 1995-07-13 2004-03-02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5907491A (en) * 1996-08-23 1999-05-25 Csi Technology, Inc. Wireless machine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26852A1 (en) * 1996-10-02 2007-02-01 James Logan Multimedia telephone system
US6169789B1 (en) 1996-12-16 2001-01-02 Sanjay K. Rao Intelligent keyboard system
US6445730B1 (en) * 1998-01-26 2002-09-03 Aware, Inc.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 with low power sleep mode and rapid-on capability
FI107979B (fi) 1998-03-18 2001-10-31 Nokia Mobile Phones Ltd Järjestelmä ja laite matkaviestinverkon palvelujen hyödyntämiseksi
JP2000122791A (ja) 1998-10-16 2000-04-28 Sony Corp 力覚呈示装置
JP2000174899A (ja) * 1998-12-09 2000-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電話親機装置
JP3996718B2 (ja) * 1999-01-07 2007-10-24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端末間通信方法
JP2000224656A (ja) * 1999-01-29 2000-08-11 Toshiba Corp 携帯情報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US6683848B1 (en) 1999-06-08 2004-01-27 Cisco Technology, Inc. Frame synchronization and fault protection for a telecommunications device
US7023833B1 (en) * 1999-09-10 2006-04-04 Pulse-Link, Inc. Baseband wireless network for isochronous communication
US6526034B1 (en) 1999-09-21 2003-02-25 Tantivy Communications, Inc. Dual mode subscriber unit for short range, high rate and long range, lower rate data communications
US6501942B1 (en) 1999-10-29 2002-12-31 Qualcomm, Incorporated In-building radio-frequency coverage
US6405027B1 (en) 1999-12-08 2002-06-11 Philips Electronics N.A. Corporation Group call for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US7039358B1 (en) 2000-01-10 2006-05-02 Symbol Technologies, Inc. Coexistence techniques in wireless networks
US6377825B1 (en) * 2000-02-18 2002-04-23 Cellport Systems, Inc. Hands-free wireless communication in a vehicle
JP3153213B1 (ja) 2000-04-24 2001-04-03 株式会社鷹山 電話回線の制御委譲システム
US6947721B2 (en) * 2000-05-15 2005-09-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transceiver-integrated frequency shift control and power control
US6711380B1 (en) * 2000-05-25 2004-03-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ference effects caused by microwave sources
US6970448B1 (en) 2000-06-21 2005-11-29 Pulse-Link, Inc. Wireless TDMA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communications
US7058050B2 (en) * 2000-12-01 2006-06-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Flexible inter-network communication scheduling
US6829288B2 (en) 2000-12-11 2004-12-07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wireless devices supporting ad hoc connections independent of the protocol version
US6754250B2 (en) * 2000-12-15 2004-06-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ing in uncoordinated frequency hopping piconets
US7155264B2 (en) * 2000-12-22 2006-12-26 Terahop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having LPRF device wake up using wireless tag
US6763231B2 (en) 2000-12-25 2004-07-13 Yozan Inc. Radio communication device, parent communication device, parent-child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879584B2 (en) 2001-01-31 2005-04-12 Motorola, Inc.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multiple service providers
US7142882B2 (en) * 2001-03-09 2006-11-28 Schmidt Dominik J Single chip wireless communication integrated circuit
US7363006B2 (en) * 2001-03-14 2008-04-22 Agere Systems Inc. Cell phone extension using wireless piconet
US20030012169A1 (en) * 2001-03-30 2003-01-16 Sunao Takatori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WO2002082732A1 (fr) * 2001-03-30 2002-10-17 Yozan Inc. Systeme de reseau local radio, procede de commande de reseau local radio et programme de commande
US20030139137A1 (en) * 2001-03-30 2003-07-24 Sunao Takatori Radio lan system and radio lan system controlling method and control program
CN1432236A (zh) * 2001-03-30 2003-07-23 株式会社鹰山 无线lan系统、无线lan系统的控制方法和控制程序
EP1278336A1 (en) 2001-03-30 2003-01-22 Yozan Inc. Radio lan system, radio lan system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US20040014464A1 (en) * 2001-04-27 2004-01-22 Sunao Takatori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control method of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US6745038B2 (en) * 2001-04-30 2004-06-01 Motorola, Inc. Intra-piconet location determination and tomography
US20030179722A1 (en) * 2001-05-14 2003-09-25 Sunao Takatori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US7082706B1 (en) * 2001-06-05 2006-08-01 Skytyper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erial messages
JP2003153213A (ja) 2001-11-14 2003-05-23 Nippon Hoso Kyokai <Nhk> 映像生成装置および受信装置
US7496065B2 (en) * 2001-11-29 2009-02-24 Telcordia Technologies, Inc. Efficient piconet formation and maintenance in a Bluetooth wireless network
US6795421B1 (en) * 2002-02-12 2004-09-21 Nokia Corporation Short-range RF access point design enabling services to master and slave mobile devices
US7774015B2 (en) * 2006-12-11 2010-08-1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seamless mob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582B1 (ko) * 2006-12-20 2013-07-1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공용 통신 장치
WO2009105721A3 (en) * 2008-02-20 2009-11-26 Zerog Wireless, Inc.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82737A1 (fr) 2002-10-17
KR20030040210A (ko) 2003-05-22
WO2002082733A1 (fr) 2002-10-17
JPWO2002082737A1 (ja) 2004-07-29
JPWO2002082740A1 (ja) 2004-07-29
CN1432233A (zh) 2003-07-23
EP1286503A1 (en) 2003-02-26
US20030125050A1 (en) 2003-07-03
WO2002082740A1 (fr) 2002-10-17
US7969918B2 (en) 2011-06-28
JPWO2002082733A1 (ja) 2004-07-29
CN1432240A (zh) 2003-07-23
EP1286504A1 (en) 2003-02-26
CN1432232A (zh) 2003-07-23
US20030108019A1 (en) 2003-06-12
EP1278336A1 (en) 200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4865B2 (en) Wireless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wireless LAN system
KR20030040214A (ko) 무선 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와 마스터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KR20030004403A (ko) 무선 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와 마스터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US20030008647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parent communication device, parent-child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930000722B1 (ko) 무선전화장치에서의 식별정보 조합방법
KR20030040213A (ko) 무선 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와 마스터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KR100725449B1 (ko)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서버연결 방법
JPWO2005112502A1 (ja) 移動通信端末の通信モード制御方法及び装置
KR10162646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0683588A2 (en) Cordless key telephone system
US20040014464A1 (en)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control method of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KR20030010597A (ko) 무선 랜 시스템과 무선 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
KR20030017494A (ko) 무선 랜 시스템과 무선 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
KR20030010598A (ko) 무선 랜 시스템과 무선 랜 시스템의 제어 방법 및 제어프로그램
US20030179722A1 (en)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of master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30139137A1 (en) Radio lan system and radio lan system controlling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3824435B2 (ja) 通信端末装置
KR1007437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8645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종 망 간의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H10190871A (ja) 通信端末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