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582B1 - 공용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공용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4582B1
KR101284582B1 KR20060130571A KR20060130571A KR101284582B1 KR 101284582 B1 KR101284582 B1 KR 101284582B1 KR 20060130571 A KR20060130571 A KR 20060130571A KR 20060130571 A KR20060130571 A KR 20060130571A KR 101284582 B1 KR101284582 B1 KR 101284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message
unit
group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30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383A (ko
Inventor
정우열
장진욱
양성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60130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4582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4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458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공용 통신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공용 통신 장치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과 접속되고, 이동통신망과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메시지 또는 음성 호가 착신되는 경우,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메시지 또는 음성 호를 전달하며,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간에 메시지 또는 음성 호를 직접 중계한다.
이와 같은 공용 통신 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과 근거리 통신 가능한 공용 통신 장치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메시지, 착신호, 콘텐츠 등을 용이하게 중계할 수 있고,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지 않고도 메시지 송수신 및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서비스 이용 요금을 절감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60130571
공용, 통신, 메시지, 착신호

Description

공용 통신 장치{Common Communic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용 통신 장치가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용 통신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용 통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10-1 : 공용 통신 장치 110 : 제어부
120 : 이동통신 처리모듈 122 : RF 신호 처리부
124 : 주파수 변환부 126 : 메모리
128 : 입출력 처리부 130 : 그룹통신 처리모듈
132 : 그룹 정보 관리부 134 : 근거리 통신부
136 : 메시지 전달부 138 : 호 전환부
140 : 그룹 통화 처리부 142 : 데이터베이스
210 : DMB 수신부 220 : 튜너
230 : 복조부
본 발명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공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이 보편화됨에 따라, 가정 또는 사무실 구성원들은 각자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을 소유하고 있다. 이동통신 서비스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가족 간의 교류가 적어지는 등 사회가 개인주의적으로 변모해 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선 전화가 설치되어 있는 가정이나 사무실로 호가 착신되는 경우 발신자가 통화를 원하는 구성원에게 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전화기를 가지고 이동하거나 다른 유선 전화기로 호를 전환해야 하며, 이때 이동성이 우수한 이동통신 단말로는 호를 전달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아울러, 특정 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지만 구성원 간 거리가 멀어 직접 대화가 불가능한 경우, 어느 한 구성원이 이동하거나 구성원이 소지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로 발신을 시도하여야 하는데, 근거리에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망을 경유한 통화가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통신 요금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메시지가 착신되거나 호가 착신되는 경우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 또는 호를 전달 할 수 있는 공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그룹으로 등록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간에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한 콘텐츠를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이 공유할 수 있는 공용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용 통신 장치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과 접속되고, 이동통신망과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며,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메시지 또는 음성 호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메시지 또는 음성 호를 전달하며,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간에 메시지 또는 음성 호를 직접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용 통신 장치가 적용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용 통신 장치(10)는 이동통신 시스템(24)으로부터 기지국(22)을 경유하여 메시지(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이메일 등) 또는 음성 호가 착신되면, 이를 그룹으로 등록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30) 모두로 전달하거나, 그룹으로 등록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30) 중 특정 단말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공용 통신 장치(10)는 그룹으로 등록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30) 간에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된 콘텐츠를 저장하여 두고, 그룹으로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30)이 다운로드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모듈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공용 통신 장치(10)는 위성(40) 또는 지상파 중계기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용 통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공용 통신 장치(10)는 제어부(110), 이동통신 모듈(120) 및 그룹통신 모듈(130)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모듈(120)은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하여 메시지 서비스, 음성호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등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RF 신호 처리부(122), 주파수 변환부(124), 메모리(126) 및 입출력 처리부(128)를 포함한다.
그룹통신 모듈(130)은 그룹으로 등록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 또는 음성 호를 전환하거나, 그룹으로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 간에 메시지 송수신 및 음성 통화가 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그룹 정보 관리부(132), 근거리 통신부(134), 메시지 전달부(136), 호 전환부(138), 그룹 통화 처리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F 신호 처리부(122)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고주파 신호를 수 신하여 주파수 변환부(124)로 전달하는 한편, 주파수 변환부(124)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주파수 변환부(124)는 RF 신호 처리부(122)로부터 전달받은 고주파 신호에 대한 주파수 하향 변환을 수행하는 한편, 제어부(11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대한 주파수 상향 변환을 수행한다.
메모리(126)에는 공용 통신 장치(10)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되고, 입출력 처리부(128)는 공용 통신 장치(10)의 상태나 처리 상황 등을 출력하는 한편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로 동작한다.
그룹 정보 관리부(132)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각 이동통신 단말별로 우선순위를 지정한다.
근거리 통신부(134)는 표준 24핀 케이블이나 USB 케이블과 같은 유선 통신 모듈, 또는 블루투스나 적외선 통신 모듈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할 수 있으며, 동일한 형태의 통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과 유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메시지 전달부(136)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공용 통신 장치(10)로 메시지(SMS, MMS, 이메일 등)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하는 한편, 그룹 정보 관리부(132)에 저장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또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중 우선순위가 최상인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달한다. 아울러, 그룹으로 등록되어 근거리 통신부(134)를 통해 접속한 이동통신 단말이 그룹 내 타 이동 통신 단말을 수신처로 하여 근거리 통신부(134)로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이를 근거리 통신부(134)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이 근거리 통신부(134)를 통해 접속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144)에 저장하여 두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이 근거리 통신부(134)를 통해 접속 가능한 상태가 되면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호 전환부(138)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공용 통신 장치(10)로 음성 호가 착신되는 경우, 그룹 정보 관리부(132)에 저장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또는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중 우선순위가 최상인 이동통신 단말로 링 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호 전환부(138)는 착신 이력(발신 번호, 착신 시각, 응답한 이동통신 단말 번호 등)을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링 신호가 송출되는 이동통신 단말 중 어느 하나가 응답함에 따라, 호 전환부(138)는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한편,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이동통신망으로 전달하는 중계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공용 통신 장치(10)는 이동통신망과 접속되어 메시지 또는 음성 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선 인터넷 서비스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해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받아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해 두고, 그룹 정보 관리부(132)에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이 근거리 통신부(134)를 통해 접속하여 콘텐츠 전송을 요청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고,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용 통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공용 통신 장치(10-1)는 도 2에서 설명한 구성(10)에 더하여, 디지털 방송 처리 모듈(200)을 더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처리 모듈(200)은 위성 또는 지상파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DMB 수신부(210),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잡음을 제거하고 필터링을 수행하는 튜너(220) 및 튜너(220)에서 출력된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복조된 방송 신호의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입출력 처리부(128)를 통해 재생된다.
이와 같은 공용 통신 장치(10, 10-1)는 개인용 컴퓨터 등에 내장 또는 외장형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와 같이 구현하는 경우 충분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확보할 수 있어, 무선 인터넷 서비스나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과 근거리 통신 가능한 공용 통신 장치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부터의 메시지, 착신호, 콘텐츠 등을 용이하게 중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이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지 않고도 메시지 송수신 및 음성통화를 수행할 수 있어 서비스 이용 요금을 절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이 동일한 콘텐츠를 각각 다운로드받을 필요가 없이, 공용 통신 장치를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1회 다운로드하는 것만으로 해당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어,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삭제
  2. 이동통신망에 접속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모듈;
    근거리 통신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과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 또는 음성 호를 전환하거나,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간에 메시지 송수신 및 음성 통화를 중계하는 그룹통신 모듈; 및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메시지 또는 음성 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그룹통신 모듈을 통해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중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메시지 또는 음성 호를 전달하며, 상기 그룹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중 한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다른 이동통신 단말을 수신처로 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상기 그룹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다른 이동통신단말로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통신 모듈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의 번호를 수신하여 그룹원으로 저장하는 그룹 정보 관리부;
    상기 그룹원으로 저장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반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부;
    상기 이동통신 모듈로 수신되거나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고, 상기 그룹원으로 저장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중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달부;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모듈로 음성 호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그룹원으로 저장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중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단말로 링 신호를 송출하는 호 전환부;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포함하는 공용 통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서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콘텐츠를 다운로드받아 저장하고, 상기 그룹원으로 저장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중 한 이동통신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한 콘텐츠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통신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보 관리부는 그룹원으로 저장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통신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는, 상기 그룹원으로 저장된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그룹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을 수신처로 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메시지를 전송함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통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달부는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접속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두고,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근거리 통신부를 통해 접속 가능한 상태가 되면 상기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통신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부는, 착신 이력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통신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전환부는, 상기 링 신호가 송출되는 이동통신 단말 중 어느 하나가 응답함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모듈로 수신된 음성 신호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로 전달하는 한편,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이동통신 모듈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통신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위성 또는 지상파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복조하는 디지털 방송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통신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 통신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에 내장 또는 외장형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용 통신 장치.
KR20060130571A 2006-12-20 2006-12-20 공용 통신 장치 KR101284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30571A KR101284582B1 (ko) 2006-12-20 2006-12-20 공용 통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30571A KR101284582B1 (ko) 2006-12-20 2006-12-20 공용 통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383A KR20080057383A (ko) 2008-06-25
KR101284582B1 true KR101284582B1 (ko) 2013-07-11

Family

ID=3980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30571A KR101284582B1 (ko) 2006-12-20 2006-12-20 공용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45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192B1 (ko) * 2011-01-05 2013-09-13 주식회사 팬택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단말기로 콜을 넘겨주는 콜 패스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214A (ko) * 2001-03-30 2003-05-22 가부시키가이샤 요잔 무선 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와 마스터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KR20060032866A (ko) * 2004-10-13 2006-04-18 (주) 엘지텔레콤 지능망을 연동한 연결통화 서비스 운용 방법
KR20060124051A (ko) * 2005-05-30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부재 중 전화 착신 전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0214A (ko) * 2001-03-30 2003-05-22 가부시키가이샤 요잔 무선 랜 시스템에 이용되는 마스터 통신 장치와 마스터통신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프로그램
KR20060032866A (ko) * 2004-10-13 2006-04-18 (주) 엘지텔레콤 지능망을 연동한 연결통화 서비스 운용 방법
KR20060124051A (ko) * 2005-05-30 2006-12-05 주식회사 팬택 부재 중 전화 착신 전환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383A (ko)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401B2 (en) Wireless messaging and content provision systems and methods
ES2249318T3 (es) Metodo y aparato para proporcionar servicios de mensajeria de voz/unificada utilizando terminales catv.
JP5020976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を利用したチャット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機及びチャット方法
US7627313B2 (en) Method,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telecommunication handset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telecommunication in a smart home environment
JP2003505994A (ja) 通信システム
CN101669350A (zh) 多个电话上的新事件
US20060067320A1 (en) Method of transferring messages
US780940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KR100521033B1 (ko) 메시지 릴레이 전송 방법
KR101284582B1 (ko) 공용 통신 장치
KR101790896B1 (ko) 메시지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46377B1 (ko) 스팸 호 수신 거부 시스템 및 방법
US200702596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a Multimedia Message
US20070133505A1 (en) Distribution of short messages using a video control device
KR20060082466A (ko) 개선된 스팸 데이터 수신 거부 기능을 제공하는 수신 제한시스템 및 방법
KR100684503B1 (ko)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67864B1 (ko)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기기에서의 메시지송수신 방법
KR100884648B1 (ko) 이동통신망에서 메시지 및 회신 이메일을 전송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100004325A (ko) 메시지 송수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18779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수신 방법
KR20070013531A (ko)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676228B1 (ko)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KR100652700B1 (ko) 휴대폰의 피티티 서비스를 이용한 폰 제어권 이양 방법
KR100691118B1 (ko) 문자 메시지 수신 결과 통보 방법
KR101019774B1 (ko) 불완료호 알림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