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9150A - 자동차의 에어스프링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9150A
KR20030039150A KR1020010070101A KR20010070101A KR20030039150A KR 20030039150 A KR20030039150 A KR 20030039150A KR 1020010070101 A KR1020010070101 A KR 1020010070101A KR 20010070101 A KR20010070101 A KR 20010070101A KR 20030039150 A KR20030039150 A KR 20030039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ring
adhesion preventing
upper plate
preven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9150A/ko
Publication of KR20030039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915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45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method or by the mounting arrangement, e.g. mounting of the membr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43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characterised by being contained in a generally closed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10Enclosure elements, e.g. for protection
    • F16F2230/105Flexible, e.g. bellows or blad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벨로즈 타입의 에어백(1)과, 이 에어백(1) 상부의 에어주입구(5)를 갖춘 어퍼플레이트(3)와, 에어백(1) 하부의 피스톤(2)과, 이 피스톤(2) 하부에 장착된 로워플레이트(4)와, 에어백(1)의 내부에서 상기 피스톤(2)의 상부에 장착된 보조스프링(6)으로 이루어진 에어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어퍼플레이트(3)의 하면에 밀착방지부재(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방지부재(7)는 수개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이 판들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고, 이 간격에 상기 에어주입구(5)가 위치토록 되어, 에어리킹시 보조스프링(6)이 밀착방지부재(7)에 밀착되어도, 공기의 유입통로가 확보된다.
따라서, 에어리킹시 차량을 부상시키지 않고도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스프링{an air spring of vehicles}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 리킹시에도 에어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에어스프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스프링은 공기의 압축탄성을 이용하므로 차량의 주행중 충격을 매우 부드럽게 흡수하며, 또한 내부의 공기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하중이변화하여도 차고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스프링강도를 하중에 비례하여 적절히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승차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공기량 조절을 위하여 서지탱크, 컴프레서, 레벨링밸브, 배관 등 부가되는 장치들이 많기 때문에 주로 대형차량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에어스프링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의 공기량 및 전달되는 충격(하중)에 따라 신축되는 에어백(1)과, 이 에어백(1)의 하부를 밀봉하고 충격이 가해질 때 상승하여 에어백(1)내의 공기를 압축하게 되는 피스톤(2)과, 상기 에어백(1)의 상부를 밀봉하고 차체에 장착되어 이를 지지하는 어퍼플레이트(3)와, 상기 피스톤(2)의 하부에 장착되어 액슬의 상부에 장착되는 로워플레이트(4)로 구성되며, 에어백(1)으로의 공기 주입과 배출을 위하여 에어주입구(5)가 상기 어퍼플레이트(3)에 설치된다.
또한, 큰 충격이 전해졌을 경우 피스톤(2)이 과도하게 상승함으로써 에어백(1)이 지나치게 팽창하여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2)의 상부에 보조스프링(6, 버프스프링(buff spring)이라고도 하며 주로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된다.)을 설치하여 피스톤(2)의 상승량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일정 범위 내에서 상기 에어백(1)의 공기량(압력)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고 주행중의 충격을 흡수하는 현가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차량이 장기간 주차되어 있거나 혹은 레벨링밸브가 파손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1)내의 공기가 모두 빠져나가게 되는 에어리킹상태(airleaking)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는 에어리킹의 원인을 해소하고(고장수리) 장치를 작동시켜 에어백(1)내에 공기를 다시 주입하여야만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보조스프링(6)이 적용된 에어스프링의 경우에는 상기 보조스프링(6)이 에어주입구(5)를 막고 있음으로써 공기의 재 주입이 불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잭이나 자키로 차체를 부상시킨뒤 공기의 주입작업을 실시해야한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어리킹상태에서도 보조스프링이 에어주입구를 막지 않게 되어, 차체의 부상작업 없이 바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에어스프링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스프링의 구성도,
도 2는 에어 리킹(leaking)시 에어스프링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프링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어퍼플레이트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백,2 : 피스톤,
3 : 어퍼플레이트,4 : 로워플레이트,
5 : 에어주입구,6 : 보조스프링,
7 : 밀착방지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백과, 이 에어백의 하부를 밀봉하는 피스톤와, 상기 에어백의 상부를 밀봉하고 에어주입구가 형성된 어퍼플레이트와, 상기 피스톤의 하부에 장착되는 로워플레이트 및, 상기 피스톤의 상부에 장착되는 보조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어퍼플레이트의 하면에 부착되어 에어리킹시 보조스프링이 어퍼플레이트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밀착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밀착방지부재에 의해 에어백 내로의 공기주입통로가 확보됨으로써 에어리킹시 차체 부상작업 없이 바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스프링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에어백(1)과, 이 에어백(1)의 하부를 밀봉하고 충격이 가해질 때 상승하여 에어백(1)내의 공기를 압축하는 피스톤(2)과, 상기 에어백(1)의 상부를 밀봉하고 차체를 지지하며 공기주입구(5)가 형성된 어퍼플레이트(3)와, 상기 피스톤(2)의 하부에 장착되어 액슬의 상부에 장착되는 로워플레이트(4) 및, 상기 피스톤(2)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스프링(6)으로 이루어진 에어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어퍼플레이트(3)의 하면에 밀착방지부재(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방지부재(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분할된 원판모양의 부재로서 각각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이 간격 부분에 상기 에어주입구(5)가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소정의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장기간의 주차나 공압라인상의 문제로 인하여 에어리킹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승된 보조스프링(6)이 어퍼플레이트(3)에 밀착되지 못하고 상기 밀착방지부재(7)에 밀착됨으로써 에어주입구(5)의 출구가 개방되어 있게 되며, 밀착방지부재(7)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에어백(1) 내부로의 통로가 확보됨으로써 공기가 주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에어리킹시 보조스프링(6)에 의해 막혀 있는 에어주입구(5)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잭 등을 이용한 차량 부상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바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밀착방지부재(7)는 반드시 4개의 분할 원판일 필요는 없으며, 단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부재로서 에어주입구(5) 사이에 간격을 가지는 상태로 설치되기만 하면 되는데, 원활한 공기 유입을 위하여 부재의 두께와 부재간의 간격의 크기는 최소한 에어주입구(5)의 지름 이상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밀착방지부재(7)는 피스톤(2)의 과도상승시 상승한 보조스프링(6)의 상면에 전체적으로 고른 대응력을 작용할 수 있어야 하므로 그 설치면적은 보조스프링(6)의 상면보다 다소 큰 정도의 면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조스프링이 적용된 에어스프링의 경우에도 에어리킹시 차체 부상작업을 행하지 않고 바로 공기의 재주입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에어백(1)과, 이 에어백(1)의 하부를 밀봉하는 피스톤(2)와, 상기 에어백(1)의 상부를 밀봉하고 에어주입구(5)가 형성된 어퍼플레이트(3)와, 상기 피스톤(2)의 하부에 장착되는 로워플레이트(4) 및, 상기 피스톤(2)의 상부에 장착되는 보조스프링(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의 에어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어퍼플레이트(3)의 하면에 밀착방지부재(7)가 설치되어, 에어리킹시 보조스프링(6)이 어퍼플레이트(3)에 밀착되어 에어주입구(5)를 막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스프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방지부재(7)는 4등 분할 원판이고, 각각 원판의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설치되며, 이 간격에 상기 에어주입구(5)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스프링.
KR1020010070101A 2001-11-12 2001-11-12 자동차의 에어스프링 KR20030039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101A KR20030039150A (ko) 2001-11-12 2001-11-12 자동차의 에어스프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0101A KR20030039150A (ko) 2001-11-12 2001-11-12 자동차의 에어스프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9150A true KR20030039150A (ko) 2003-05-17

Family

ID=2956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0101A KR20030039150A (ko) 2001-11-12 2001-11-12 자동차의 에어스프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91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0222B2 (en) 2018-10-15 2020-10-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Jounce bumper including integrated val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74A (ja) * 1994-07-06 1996-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ばね装置
KR19980050559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에어 스프링의 스토퍼 완충 장치
KR20000044086A (ko) * 1998-12-30 2000-07-15 정주호 버스의 에어 스프링 구조
KR20000021503U (ko) * 1999-05-28 2000-12-26 정몽규 버스 현가장치용 에어 스프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474A (ja) * 1994-07-06 1996-01-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ばね装置
KR19980050559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에어 스프링의 스토퍼 완충 장치
KR20000044086A (ko) * 1998-12-30 2000-07-15 정주호 버스의 에어 스프링 구조
KR20000021503U (ko) * 1999-05-28 2000-12-26 정몽규 버스 현가장치용 에어 스프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00222B2 (en) 2018-10-15 2020-10-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Jounce bumper including integrated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747B2 (en) Pneumatic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7441789B2 (en) Pneumatic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US5975174A (en) Rim mountable tire inflation maintenance device
CN104340159A (zh) 一种汽车防泡水系统及汽车
KR20030039150A (ko) 자동차의 에어스프링
CN204299815U (zh) 一种汽车底盘悬浮控制用除湿型空气泵
CN208196524U (zh) 带有自动缓冲功能的气囊抛光头
CN200977837Y (zh) 汽车轮胎中央充放气装置
KR101232005B1 (ko) 차량용 타이어 공기압의 자동조절장치
JP2006341846A (ja) 自動車のためのタイヤ充填装置を運転する方法
CN2149311Y (zh) 车胎自充气调压装置
KR100461371B1 (ko) 자동차 에어서스펜션의 에어리킹 방지구조
KR101810058B1 (ko) 타이어 펑크 방지용 공기 주입 장치
CN105042131A (zh) 一种新型带旋转结构的轮边阀及其使用方法
CN220410203U (zh) 自动补胎装置、车轮及车辆
KR20040034998A (ko) 타이어용 안전장치
CN219360382U (zh) 一种自动补胎装置
CN204299816U (zh) 一种汽车底盘悬浮控制用空气泵
CN2330536Y (zh) 车用轮胎气门嘴
CN2678933Y (zh) 机动车防扎防爆内胎
CN210922935U (zh) 一种汽车轮胎胎压检测装置
KR100268683B1 (ko) 타이어 공기 주입장치
KR100514852B1 (ko) 차량의 범퍼스토퍼
KR930003763Y1 (ko) 자동차 내장형 타이어 공기압 조정장치
KR19980054020A (ko) 타이어의 공기압 주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