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182A - 횡방향으로 보강된 무단 변속기용 벨트 - Google Patents

횡방향으로 보강된 무단 변속기용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182A
KR20030036182A KR1020027015527A KR20027015527A KR20030036182A KR 20030036182 A KR20030036182 A KR 20030036182A KR 1020027015527 A KR1020027015527 A KR 1020027015527A KR 20027015527 A KR20027015527 A KR 20027015527A KR 20030036182 A KR20030036182 A KR 20030036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d
tooth
mandrel
reinforceme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2763B1 (ko
Inventor
유안징
브라운레슬리
서크알렉산더
시엠니키스콧
Original Assignee
더 게이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게이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게이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30036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2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9/00Producing belts or bands
    • B29D29/08Toothed driving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28Driving-belts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04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 F16G5/0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made of rubber with reinforcement bonded by the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5/00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 F16G5/1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F16G5/166V-belts, i.e. belts of tapered cross-section consisting of several parts with non-metallic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elt Conveyor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면에 복수의 횡방향 이빨(5)을 구비하는 톱니 타입 벨트에 관한 것이다. 벨트는 외부의 신장성 탄성 중합체 층(8), 내부 압축 층 및 인장 부재(9)를 구비한다. 각각의 이빨은 비금속 또는 플라스틱의 횡방향 부재, 즉 각 이빨(5)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기둥 또는 로드(10)를 구비한다. 각 횡방향 부재의 대향 외면은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각 단부는 대략 탄성 중합체의 벨트 몸체의 외면과 동일하게 된다. 시브 사이의 압축 하중은 각 구성 요소의 탄성계수에 비례하여 로드와 측벽에 의해 지지된다. 횡방향 부재는 제작 공정 중에 각 이빨에 각 횡방향 부재의 적합한 공간적 방위를 허용하는 페그 또는 레그(12, 14)를 구비하여, 풀리 내에서의 적합한 정렬을 포함한 적합한 작업 특성을 보장한다.

Description

횡방향으로 보강된 무단 변속기용 벨트{TRANSVERSE REINFORCED CVT BELT}
당해 기술 분야에서는, 자동차, 모터 사이클 등을 운전하는 데에 기어식 변속기가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기어식 변속기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수의 기어를 구비한다. 이들 변속기는 통상적으로 기어 중 하나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설계되며, 나머지 기어는 엔진이 비효율적인 작동점에서 운전되도록 남겨져 있다. 결과적으로, 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무단 변속기(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즉 CVT가 바람직하다. 무단 변속기에 사용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타입의 벨트가 개발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CVT 벨트는 통상의 V 벨트와 유사한 윤곽을 갖는다. 특히, 이들 CVT 벨트는 상부가 넓고 바닥이 협소하며, 각진 홈을 형성하는 풀리의 시브(sheaves) 사이에 끼워맞춰지게 설계된다. 벨트가 걸리는 풀리는 가동 시브와 고정 시브를 구비하는데, 이들 시브는 모두 절두(截頭) 원추형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시브 중 하나는 움직이는 반면, 다른 하나는 고정되어 있다.
한 시브를 다른 시브에 대해 이동시키면, 벨트가 작동하는 풀리의 유효 직경(Φ)이 변한다. 벨트 속도는 풀리의 유효 직경의 함수이며, 이 풀리의 유효 직경은 시브의 서로에 대한 축방향 위치의 함수이다.
종래 기술의 CVT 타입 벨트는 일체식 금속 벨트와 탄성 중합체 벨트 뿐 아니라, 인장 부재에 횡방향으로 장착된 복수의 블록을 구비하는 벨트를 포함한다. 특정 형태의 톱니 타입 벨트도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의 대표적인 예로는 Takano의 미국 특허 제4,493,681호가 있다. Takano의 특허는 벨트를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톱니에 단단한 금속 보강 부재를 갖는 V 섹션의 톱니 벨트(cog belt)를 개시하고 있다. 금속 보강 부재는 벨트에 횡방향 강성을 제공한다.
Takano의 특허에 개시된 벨트가 CVT 풀리의 시브와 접촉하여 작동하므로, 벨트 측면과 풀리 사이의 마모를 가능한 한 많이 감소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열의 발생을 줄여서, 벨트 수명을 연장시킨다. Takano의 특허에 교시된 바와 같이, 시브와 직접 접촉하는 금속 로드는 벨트 측면, 보강 로드 및 풀리 시브의 표면 사이에 과도한 열과 마모를 발생시킨다. 또한, 금속 로드를 사용하면 벨트의 비용과 회전 질량이 증가하게 된다. 더욱이, 제작 중에, 로드는 각각의 톱니에서 오정렬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일부 로드는 인접 로드보다 과도하게 높은 하중을 지지하게 한다. 그 결과, 과부하를 받은 로드, 궁극적으로 벨트가 조기에 파괴될 수 있다.
해당 분야의 다른 대표적인 예로는 독일 특허 제197 47 173 A1호가 있다.이 특허는 횡방향 이빨을 갖는 치형의 탄성 중합체 v 벨트를 개시하고 있다. 각각의 이빨에는 횡방향 보어가 있다. 각각의 보어는 튜브 섹션 또는 바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보어는 이빨을 통한 냉각 공기 흐름을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어는 각 이빨의 압축 강도를 저하시킨다. 상기 특허의 벨트는 동기식 풀리 시스템에 적합하며, 여기서 벨트의 이빨은 풀리에서 켤레면(conjugate surface)과 협력한다.
필요한 것은 각각의 이빨에 비금속 또는 열가소성, 열경화성 또는 복합체의 횡방향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횡방향으로 보강된 CVT 벨트이다. 필요한 것은 각각의 횡방향 보강 부재에 정렬 페그(peg)를 구비하는 횡방향으로 보강된 CVT 벨트이다. 필요한 것은 예상되는 온도 범위에서 충분한 강성을 갖는 횡방향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횡방향으로 보강된 CVT 벨트이다. 필요한 것은 질량 밀도가 낮은 횡방향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횡방향으로 보강된 CVT 벨트이다. 본 발명은 이들 필요성을 충족시킨다.
본 발명은 무단 변속기("CVT")에 사용되는 벨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횡방향 보강부가 있는 톱니 또는 이빨을 구비하는 측방 구동식 CVT 벨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성형된 로드 조립체의 단부도이고,
도 3은 성형된 로드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성형된 로드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선 5-5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기계 가공된 로드 조립체의 단부도이고,
도 7은 기계 가공된 로드 조립체의 측면도이고,
도 8은 기계 가공된 로드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선 9-9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벨트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보강 로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주요 양태는 각각의 이빨에 열가소성, 열경화성 또는 복합체의 횡방향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횡방향으로 보강된 CVT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각각의 횡방향 보강 부재 상에 센터링 페그를 구비하는 횡방향으로 보강된 CVT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예상되는 온도 범위에서 충분한 강성을 갖는 횡방향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횡방향으로 보강된 CVT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질량 밀도가 낮은 횡방향 보강 부재를 구비하는 횡방향으로 보강된 CVT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은 본 발명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설명되거나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내면에 복수의 횡방향 이빨을 구비하는 톱니 타입 벨트를 포함한다. 이 톱니 타입 벨트는 외부의 신장성 탄성 중합체 층, 내부의 압축 층 및 인장 부재를 구비한다. 각각의 톱니는 비금속 또는 플라스틱 횡방향 부재, 즉 각 이빨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기둥 또는 로드를 더 구비한다. 각 횡방향 부재의 대향 외면은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으며, 각 단부는 탄성 중합체의 벨트 몸체의 외면과 대략 동일한 것으로 생각된다. 시브 사이의 압축 하중은 각 구성 요소의 탄성 계수(modulus)에 비례하여 로드와 측벽에 의해 지지된다. 횡방향 부재는 제작 공정 중에 각각의 이빨에서 각 횡방향 부재의 적합한 공간적 방위를 허용하는 페그 또는 레그를 구비하여, 풀리 내에서의 적절한 정렬을 포함한 적절한 작업 특성을 보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측면 사시도이다. 벨트(1)는 내부 또는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이빨(5)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 이빨의 만곡된 형상으로 인하여 벨트의 가요성이 개선된다. 각각의 이빨은 그 내부에 횡방향 기둥 또는 로드(10)가 매립되어 있다. 벨트 제작 공정에는, 각각의 횡방향 로드를 적절하게 배치하고 전체의 벨트 이빨 구조 내에 성형하는 것이 요구된다. 제작 공정은 각 로드의 형상 뿐 아니라, 이하의 도면에 설명된 기타 특징에 의해 개선된다. 벨트의 내면에는 재킷(6)이 마련되어 있다. 재킷(6)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라미드, 면 또는 아크릴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편포(knit fabric), 직포 또는 부직포와, 직물을 신장성 층, 코드(cord), 및 로드에 접착하기에 적합한 접착 처리제를 포함한다. 재킷은 용이하게 몰드를 충전하고 톱니의 윤곽을 형성하도록 신장성의 편포 또는 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벨트(1)는, EPDM, HNBR, PU, ACSM, CR, SBR, NBR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탄성 중합체와, 다양한 충전제, 산화 방지제, 경화제 및/또는 종래 기술에알려져 있는 짧은 보강 섬유로 이루어진 고무 화합물인 신장성 층(8)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EPDM 또는 HNBR과 같은 내열성 탄성 중합체가 사용되고 있다.
인장 부재(9; 도 10 참조)가 각각의 로드 위에서 신장성 층(8) 내에 매립되어 있다. 각각의 인장 부재는 폴리아라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PBO와 같은 유기 섬유나, 강, 유리 또는 탄소와 같은 무기 섬유의 비틀리거나 꼬인 코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라미드, PBO, 탄소, 또는 유리와 같은 고강도 및 고탄성계수의 코드 재료가 사용된다.
인장 부재는 제작 공정 중에 각각의 로드 또는 기둥을 적소에 적절하게 유지할 뿐 아니라, 작업 중에 인장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해당 분야에 알려진 접착제 층(도시 생략)이 인장 부재의 위 또는 아래에 적층될 수도 있고, 인장 부재가 접착제 층 내에 매립될 수도 있다.
도 2는 성형된 로드 조립체의 단부도이다. 로드는 사출 성형, 인발 성형 또는 열 성형될 수 있다. 예컨대, 로드를 형성하는 데에 PEEK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PEEK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 고성능 폴리머이다. 반동 사출 성형(RIM)은 압출 공정으로부터 제조된 동일한 부분보다 30% 정도 높은 강도를 갖는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기둥 또는 로드 조립체(10)는 로드 몸체(1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연장되는 레그 또는 페그(12, 13, 14)를 구비한다. 레그(14)는 이빨의 외면(도시 생략)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상의 표면(17)을 갖는다. 페그(13)의 표면(15)과 페그(12)의 표면(16)은 로드 축선(α-α)으로부터 소정 각도(β)로 서로경사져 있다. 표면(18, 19)도 로드 축선(α-α)으로부터 소정 각도(β)로 경사져 있다. 상면(51)은 아치형 또는 평평한 형상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로드는 벨트가 풀리를 통하여 진행하는 때에 인장 부재(9)를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레그 또는 페그로 인하여, 로드는 굴대에서의 제작 공정 중에 이빨에 공간적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굴대는 일련의 평행한 오목면을 구비한다. 각각의 오목면은, 형성되는 경우 각 이빨이 형성되는 위치를 포함한다. 제작 중에, 먼저 굴대 둘레에서 각 오목면 내에 외부 필름 또는 직물 층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로드가 각 오목면 내에 배치된다. 각 로드의 페그가 외부 필름 또는 직물 층 상에 배치되어, 로드는 소정 피치 라인 직경으로 정렬된다. 이것은 각 로드의 경사진 단부면이 작업 중에 시브 표면에 적절하게 접촉하는 것도 보장한다. 다음에, 각 로드의 후방측 위에서 굴대 둘레에 인장 코드가 감긴다. 다음에, 일련의 탄성 중합체 가닥(ply)이 인장 코드 위에 감긴다. 이 단계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경우 인장 코드의 위에 접착제 층이 도포될 수도 있다.
다음에, 제조된 전체 벨트에는 해당 분야에 알려진 방식으로 열 및 압력이 가해진다. 일단 제조된 벨트가 경화되면, 벨트는 굴대로부터 제거되고, 소정의 폭, 예컨대 38 ㎜로 정방형으로 절단된다. 38 ㎜의 폭은 단지 예로서 제시되는 것이며 한정의 의도는 없다. 다른 폭도 가능하며, 폭은 단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일단 절단되면, 벨트의 측벽은 적절한 각, 대부분의 경우에 13°로 연삭되지만,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각으로 절삭될 수도 있다. 단지 측벽만이 윤곽이 형성되고, 벨트의 상부는 인장 코드를 보호하도록 정방형으로 절삭된다.
대안의 조립 방법은 반동 사출 성형을 포함한다. 먼저, 적층된 예비 성형 직물을 형성한다. 이것은 이빨 또는 톱니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예비 성형된 직물로 굴대 둘레를 감는다. 굴대는 직물의 이빨에 상응하는 일련의 평행한 홈을 구비한다. 일단 직물이 굴대 둘레에 감기면, 로드는 벨트의 톱니가 되는 홈에 배치된다. 다음에, 인장 로드로 굴대 둘레를 에워싼다. 로드를 적소에 유지하도록 인장 코드를 각각의 로드 상에 지지한다. 다음에, 준비된 굴대를 RIM 머신에 배치하고, 우레탄을 해당 분야에 알려진 방법에 의해 사출한다. 일단 공정이 완료되면, 굴대는 RIM 머신으로부터 제거되고, 제조된 벨트는 굴대로부터 제거된다. 다음에, 제조된 굴대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폭으로 절단된다.
도 3은 성형된 로드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페그(12, 14)는 각각의 인접 페그로부터 중심선 거리(d1)를 두고 마련되어 있다. 각 페그의 중심선은 로드(10)의 단부로부터 거리 d2를 두고 위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주축에 수직하게 동축의 패턴으로 배치된 페그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배열은 본 발명의 적합한 수행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즉, 각각의 페그 열은 임의의 다른 페그 열에 대해 엇갈리게 있을 수 있다. 레그의 주요 기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중에 로드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지만, 레그는 기계적 접착을 제공함으로써 제작 후에 구조적 목적을 얻는 기능도 한다. 또한 페그로 인하여, 인장 부재는 그것이 감겨져 있는 경우에 각각의 로드에 대해 예비 하중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열 및 응력의 작용 중에 이빨에서 로드의 임의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작 중에 각 톱니 내에서 로드 또는 기둥을 적절하게 배치하는 페그의 임의의 배열이 적합하다. 물론, 벨트의 질량 뿐 아니라 벨트의 비용도 감소시키도록 로드 당 페그의 수가 최소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로드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사다리꼴이다.
도 4는 성형된 로드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페그 또는 레그(12, 13)는 로드 몸체(11)로부터 돌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그는 이빨의 3개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12 및 13과 같은 적어도 2열의 페그는 로드를 톱니 내에 적합하게 배치하는 역할도 한다. 이것은 완성된 벨트의 질량을 더욱 감소시킨다.
도 5는 도 4의 선 5-5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d1의 통상적인 값은 11.75 ㎜이다. d2의 통상적인 값은 11.86 ㎜이다. 로드(10)의 전체 길이는 236 ㎜ 정도일 수 있으며, 뒤이어 이것은 벨트의 제작 중에 동일한 길이의 부분으로 절단된다. 전술한 값들은 단지 예로서 제시되는 것이며, 한정의 의도는 없다.
도 6은 기계 가공된 로드 조립체의 단부도이다. 로드 조립체(100)는 로드 몸체(101)로부터 연장되는 레그 또는 페그(102, 103, 104)를 구비한다. 레그(104)는 이빨의 외면(도시 생략)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면(107)을 갖는다. 페그(103)의 표면(105)과, 페그(102)의 표면(106)은 로드 축선(a-a)으로부터 소정의 각도(ψ)로 서로 경사져 있다. 표면(108, 109)도 축선(a-a)으로부터 소정의 각도(ψ)로 경사져 있다. 기계 가공된 로드는 금속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 가공된 로드는 열경화성 재료, 열가소성 재료 또는 복합체의 재료가 위에 성형된 금속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레그(102, 103)의 중심선은 축선(a-a)으로부터 소정의 각도(γ) 만큼 경사져 있다.
레그 또는 페그는 제작 공정 중에 톱니에서 로드의 위치를 결정한다. 제작 공정은 도 2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도 7은 기계 가공된 로드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페그(102, 103, 104)는 각각의 인접한 페그로부터 중심선 거리 d3를 두고 위치되어 있다. 단부의 각 페그의 중심선은 로드(100)의 단부로부터 거리 d4를 두고 위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주축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페그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배열은 본 발명의 적합한 작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닌데, 즉 각각의 페그 열은 임의의 다른 페그 열에 대해 엇갈리게 있을 수 있다. 로드의 단부는 풀리 표면에 접촉하는 이빨의 외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레그의 주요 기능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중에 로드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레그는 제작이 완료된 후에 구조적 목적을 얻는 기능은 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제작 중에 이빨 내에서 로드를 적합하게 정렬시키는 페그의 임의의 배열이 적절하다.
도 8은 기계 가공된 로드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페그 또는 레그(102, 103)는 로드 몸체(101)로부터 돌출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그 또는 페그는 이빨의 세 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102, 103과 같은 2열의 페그는 로드를 이빨 내에 적합하게 배치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것은 완성된 벨트의 질량을 더욱 감소시킨다.
도 9는 도 8의 선 9-9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벨트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로드(10)는 이빨(5) 내에 성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로드는 장폭(W1), 단폭(W2) 및 높이(H)를 갖는다. 장폭(W1)은 단폭(W2)보다 크므로, 대략 절두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게 된다. 이것은 접선 방향 하중이 전달될 때 코드라인(cordline) 둘레에서 로드의 벤딩 모멘트를 최소화한다. 따라서, 이것은 비교적 큰 강도가 필요하지 않은 곳에서, 즉 각 이빨의 내부에서 각 로드의 질량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인장 부재(9)는 보강 로드(10)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벨트의 탄성 중합체의 신장성 층(8)의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레그(12, 14)는 재킷(6)에 지지되어, 보강 로드를 이빨 내에서 공간적으로 배치한다. 각 이빨에서 각 로드의 적합한 배치는, 벨트가 풀리를 통하여 연장됨에 따라 시브(sheave) 사이의 압축 하중의 균형적인 비율을 각각의 로드가 지지하기 때문에, 벨트 수명을 개선시킨다. 그러나, 로드의 오정렬 또는 부적합한 배치는 로드를 둘러싸는 부품의 탄성에 기인하여 자체적으로 변경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벨트의 그 특정 부분의 응력을 재분배하는 경향이 있다. 응력은 기계적 효과(압축 및 구심 하중)와 열적 효과(작업 환경으로부터의 가열, 마찰 및 진동)를 포함한다.
각각의 로드는 플라스틱 또는 비금속 물질로 구성되며, 경사진 단부면은 공지의 제어 가능한 마찰 계수를 갖는다. 이로 인하여, 벨트의 활주 특성을 예상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풀리 시브의 간격이 사용자에 의해 조정되는 경우에 벨트를 풀리 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게 하는 능력을 개선시킨다. 또한, 제어 가능한마찰 계수로 인하여, 벨트의 마찰 가열이 관리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음 및 마모 특성도 개선될 수 있다.
일단 도 3, 5, 7, 9에 도시된 로드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벨트의 구조에 채용되는 경우, 측면(20, 21)은 측부 끼인각 θ를 형성하도록 제조, 절삭 또는 연삭된다.
도 11은 보강 로드의 측면도이다. 로드(10)는 페그(12, 14)를 구비한다. 대향하는 경사진 단부 측면(20, 21)이 각 로드의 대향 단부에 위치되어 있다. 각도 θ는 풀리 시브의 표면과 적절하게 협력하도록 하는 소정값이다. 각도 θ는 20°내지 70°의 범위로 있지만, 임의의 공지된 CVT 풀리의 끼인각도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도 θ는 측면(20, 21)이 풀리 시브 표면에 지지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끼인 풀리각의 1/2과 동일하다.
비록 단일한 형태의 본 발명을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정신이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구성 및 부품의 관계에 있어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4)

  1. 종방향 축선과 내부 부분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 내에서 상기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장 부재와,
    상기 내부 부분을 따라, 상기 종방향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이빨과,
    상기 각각의 이빨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부재
    를 포함하는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비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것인 벨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강 부재는 중심선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복수의 레그를 구비하여, 각 보강 부재는 상기 각각의 이빨 내에 공간적으로 배치되는 것인 벨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강 부재는 예정된 각을 갖는 대향 경사면을 더 구비하는 것인 벨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강 부재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인 벨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부재는 각 보강 부재의 외면에 지지되는 것인 벨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EPDM, HNBR, PU, ACSM, CR, SBR, NB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더 함유하는 것인 벨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된 각도는 20°내지 70°인 것인 벨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분을 덮는 재킷을 더 포함하는 벨트.
  10. 굴대 표면 상에 제1의 탄성 중합체 내층을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굴대는 복수의 평행하게 인접한 오목면을 구비하는 것인 단계와,
    상기 각각의 오목면 내에 보강 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제1의 탄성 중합체 내층에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보강 부재 위에서 상기 굴대 둘레에 인장 부재를 종방향으로 감는 단계와,
    적어도 한 층의 탄성 중합체 재료를 인장 부재 위에 감는 단계와,
    벨트에 열 및 압력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굴대로부터 벨트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벨트 제작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벨트를 예정된 폭으로 절단하는 단계와,
    벨트의 대향 측면을 예정된 각도로 절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벨트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강 부재는 비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것인 벨트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예정된 각도는 20°내지 70°인 것인 벨트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보강 부재를 각각의 오목면에 공간적으로 배치하도록 각각의 보강 부재에 페그를 성형하거나 절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벨트 제조 방법.
KR10-2002-7015527A 2000-05-18 2001-05-17 횡방향으로 보강된 무단 변속기용 벨트 KR100502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505200P 2000-05-18 2000-05-18
US60/205,052 2000-05-18
PCT/US2001/016092 WO2001088406A1 (en) 2000-05-18 2001-05-17 Transverse reinforced cvt bel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182A true KR20030036182A (ko) 2003-05-09
KR100502763B1 KR100502763B1 (ko) 2005-07-21

Family

ID=2276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527A KR100502763B1 (ko) 2000-05-18 2001-05-17 횡방향으로 보강된 무단 변속기용 벨트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6485386B2 (ko)
EP (1) EP1290358B1 (ko)
JP (1) JP3751563B2 (ko)
KR (1) KR100502763B1 (ko)
CN (1) CN1242188C (ko)
AT (1) ATE323246T1 (ko)
AU (2) AU6325301A (ko)
BR (1) BR0110903A (ko)
CA (1) CA2409177C (ko)
CZ (1) CZ298992B6 (ko)
DE (1) DE60118729T2 (ko)
ES (1) ES2257411T3 (ko)
HK (1) HK1051395A1 (ko)
MX (1) MXPA02012578A (ko)
PL (1) PL369973A1 (ko)
SG (1) SG120945A1 (ko)
WO (1) WO2001088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1856A (ja) * 1995-09-11 1997-03-28 Kyoto Jido Kiki Kk 粉粒体用ゲート及びそれを含む粉粒体用計量器
DE10144547A1 (de) * 2001-09-10 2003-03-27 Arntz Beteiligungs Gmbh & Co Zahnriemen
US20030121729A1 (en) * 2002-01-02 2003-07-03 Guenther Heinz Lift belt and system
DE10206510B4 (de) * 2002-02-16 2004-02-12 Breco Antriebstechnik Breher Gmbh & C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Zahnriemens
JP2005533983A (ja) * 2002-07-29 2005-11-10 ザ ゲイツ コーポレイション ベルト
US8197372B2 (en) * 2006-04-07 2012-06-12 The Gates Corporation Power transmission belt
KR101164728B1 (ko) * 2007-07-03 2012-07-12 더 게이츠 코포레이션 동력 전달 벨트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속 벨트 구동 장치
RU2482348C2 (ru) * 2010-04-13 2013-05-20 Иван Иванович Ятло Клиновой приводной ремень
CN101967238A (zh) * 2010-09-28 2011-02-09 浙江沪天胶带有限公司 亚氢化丁腈同步带的基带
US8555504B1 (en) * 2012-05-07 2013-10-15 Gates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sprocket
NL1040586C2 (en) * 2014-01-02 2015-07-06 Bosch Gmbh Robert An endless tension member for a drive belt, drive belt equipped therewith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t.
WO2015155567A1 (en) * 2014-04-08 2015-10-15 Dayco Europe S.R.L. Transmission belt and relative transmission system
BR112016025671B1 (pt) * 2014-05-02 2021-09-21 Dayco Europe S.R.L. Correia de transmissão e sistema de transmissão
EP3295053B1 (en) 2015-05-11 2021-03-03 Gates Corporation Cvt belt
AU2018260779B2 (en) 2017-04-27 2021-05-06 Gates Corporation Synchronous belt with stiffened teeth
CN108131246B (zh) * 2017-12-19 2020-03-06 江苏金风科技有限公司 变桨系统的同步带、变桨系统和风力发电机组
CN109573461A (zh) * 2018-12-27 2019-04-05 阿雷法(苏州)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双面四槽带
IT201900024358A1 (it) * 2019-12-18 2021-06-18 Vision Tech S R L Falso dente per cinghia dentata, relativo semilavorato, cinghia dentata con falso dente e metodo per assicurare un elemento alla cinghia dentata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82869A (en) 1931-04-15 1934-12-04 Us Electrical Mfg Company Flexible belt and method of making it
US4053547A (en) 1971-10-14 1977-10-11 The Gates Rubber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positive drive belt
US3772929A (en) 1971-10-14 1973-11-20 J Redmond Cog-belt & method for its production
US4298343A (en) 1980-03-10 1981-11-03 The Gates Rubber Company Reinforced belt splice
JPS58111458U (ja) 1982-01-26 1983-07-29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動力伝動用vベルト
JPS58137662A (ja) 1982-02-12 1983-08-16 Mitsuboshi Belting Ltd コグ付vベルトを用いた動力伝動機構
JPS6062641U (ja) * 1983-10-07 1985-05-01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歯付ベルト
GB2188120B (en) 1985-06-28 1989-07-26 Bruss Polt I Toothed belt
US4799919A (en) * 1985-09-19 1989-01-24 Kozachevsky Gennady G Cogged belt with reinforcing members
ES2000025A4 (es) 1985-10-29 1987-09-16 Hutchinson Sa Correa de transmision de potencia perfeccionada.
EP0298459A3 (en) * 1987-07-10 1989-05-31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A belt
FR2624238B1 (fr) 1987-12-08 1990-05-04 Hutchinson Perfectionnements aux courroies de transmission de puissance
FR2638800A1 (fr) * 1988-11-07 1990-05-11 Hutchinson Courroie de transmission de puissance du type trapezoidal
DE19747173A1 (de) 1997-10-24 1999-04-29 Guenther Teichfischer Kraftübertragungsrie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09177A1 (en) 2001-11-22
SG120945A1 (en) 2006-04-26
AU2001263253B2 (en) 2004-05-27
PL369973A1 (en) 2005-05-02
HK1051395A1 (en) 2003-08-01
CN1242188C (zh) 2006-02-15
US6485386B2 (en) 2002-11-26
CZ298992B6 (cs) 2008-03-26
CA2409177C (en) 2007-01-02
KR100502763B1 (ko) 2005-07-21
JP3751563B2 (ja) 2006-03-01
MXPA02012578A (es) 2003-04-10
CZ20023817A3 (cs) 2003-05-14
EP1290358B1 (en) 2006-04-12
EP1290358A1 (en) 2003-03-12
WO2001088406A1 (en) 2001-11-22
DE60118729D1 (de) 2006-05-24
DE60118729T2 (de) 2007-01-04
ATE323246T1 (de) 2006-04-15
ES2257411T3 (es) 2006-08-01
AU6325301A (en) 2001-11-26
CN1437690A (zh) 2003-08-20
US20010044354A1 (en) 2001-11-22
JP2004507672A (ja) 2004-03-11
BR0110903A (pt) 2004-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2763B1 (ko) 횡방향으로 보강된 무단 변속기용 벨트
KR100500501B1 (ko) 블록식 무단 변속기용 벨트
AU2001263253A1 (en) Transverse reinforced CVT belt
EP0588971B1 (en) Belt construction
EP1225368B1 (en) Fabric cushion V-ribbed belt
CA1112485A (en) Endless power transmission belt
AU2001259834A1 (en) Block type CVT belt
EP3734111B1 (en) Double-sided toothed belt
KR101128630B1 (ko) 벨트
KR100537532B1 (ko) 동력전달용 무한벨트
US4228692A (en) Endless power transmission belt and method of manufacture
GB2138535A (en) Drive belt
EP012286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v-type belts
US4177686A (en) Endless power transmission belt
US6709076B2 (en) Elastic crawl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GB2138534A (en) Drive belt
JPS6346299B2 (ko)
JP2002139109A (ja) 歯付ベルト駆動装置
JPH0187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