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793A - 휠체어 - Google Patents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793A
KR20030035793A KR1020020029479A KR20020029479A KR20030035793A KR 20030035793 A KR20030035793 A KR 20030035793A KR 1020020029479 A KR1020020029479 A KR 1020020029479A KR 20020029479 A KR20020029479 A KR 20020029479A KR 20030035793 A KR20030035793 A KR 20030035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hair
support frame
wheelchai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8790B1 (ko
Inventor
강대윤
Original Assignee
강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윤 filed Critical 강대윤
Priority to KR10-2002-002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790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2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 H01B7/324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fects, e.g. breaks or leaks comprising temperature sens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5Power cables including optical transmission elements

Landscapes

  • Handcart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휠체어는 지지프레임(10)의 후방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바퀴(1),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중앙에 설치된 하나의 보조바퀴(2), 그리고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의자(3)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스프로켓(21), 상기 바퀴(1)의 중앙에 고정되어 바퀴(1)와 함께 회전하는 피동스프로켓(22), 상기 구동스프로켓(21)과 피동스프로켓(22)사이에 연결된 체인(23)을 포함하는 좌우의 기어장치(20); 상기 좌우의 기어장치(20)의 구동스프로켓(21)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스프로켓(21)의 구동축(21a)에 라쳇(31)을 게재하여 상부로 뻗도록 설치된 좌우의 레버(30); 그리고 상기 레버(30)의 전후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32)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한손으로 상기 양측의 레바(30)를 작동할 수 있도록 양측 레바(30)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제동을 위한 제동장치(50)와, 의자(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의자승강장치(6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장애인, 노약자, 환자 등이 가벼운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한 손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장거리를 이동하더라도 피곤하지 않고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침대와 같은 높은 곳에서 타고 내릴 때 편리하다.

Description

휠체어{WHEEL CHAIR}
본 발명은 몸이 불편한 장애인, 노약자 또는 환자들이 이동을 할 때 사용하는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레바를 전후로 밀고 당겨서 바퀴를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또한 안전하게 오르막이나 내리막 같은 험한 곳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용이하게 타고 내릴 수 있도록 한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 또는 환자들이 이동을 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휠체어는 종래에 여러 종류의 것이 공지되어 있는데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시 좌우를 당겨서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이 2000년 12월 28일에 의장등록(등록번호:30-0271395)되어 있다.
이러한 휠체어들은 장애인이나 환자가 근거리 또는 원거리를 이동하는데 편리함을 주지만 그래도 몸이 불편한 이들에게는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데 다음과같은 많은 불편이 있다.
예를 들어, 오르막길을 올라 갈 때에는 큰 힘으로 바퀴를 돌려야 하는데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는 큰 힘을 낼 수 없으며 또한 바퀴를 큰 힘으로 잡지 않으면 후진하므로 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다. 그리고 내리막길을 갈 때에도 바퀴를 큰 힘으로 잡아 조금씩 풀면서 내려가야 하므로 자칫 바퀴를 놓치는 경우에는 내리막길을 질주하여 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장애인이나 환자는 약간의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을 이동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의 휠체어는 반드시 양손으로 바퀴를 돌려야 하므로 한 손이 불편한 사람은 전혀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장애인, 노약자, 환자들은 대부분 힘이 없어서 평지를 이동하는 경우에도 힘이 들어하므로 휠체어를 타고 먼거리를 이동할 수 없다.
그리고 병원의 침대와 같은 높은 곳에서 휠체어를 탈 때 휠체어와 침대의 높이가 맞지 않아 환자 자신 스스로 침대에서 내리면서 휠체어를 타거나 반대로 휠체어에서 내리면서 침대로 올라가는 것이 매우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휠체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벼운 힘으로 평지를 이동할 수 있고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한 손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고 내릴 때 편리하도록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휠체어는 지지프레임의 후방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바퀴, 지지프레임의 전방중앙에 설치된 하나의 보조바퀴, 그리고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의자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방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스프로켓, 상기 바퀴의 중앙에 고정되어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피동스프로켓, 상기 구동스프로켓과 피동스프로켓사이에 연결된 체인을 포함하는 좌우의 기어장치; 상기 좌우의 기어장치의 구동스프로켓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스프로켓의 구동축에 라쳇을 게재하여 설치된 좌우의 레버; 그리고 상기 레버의 전후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휠체어는 지지프레임의 후방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바퀴, 지지프레임의 전방중앙에 설치된 하나의 보조바퀴, 그리고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의자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과 의자하부사이에 구동핸들을 포함하는 의자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휠체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의자승강원리를 나타내는 의장승강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바퀴 2: 보조바퀴
3: 의자 10: 지지프레임
11: 브라켓트 12: 레일
20: 기어장치 21: 구동스프로켓
21a: 구동축 22: 피동스프로켓
23: 체인 30: 레버
31: 라쳇(ratchet) 32: 스톱퍼
40: 연결봉 41: 힌지
42: 걸이부 60: 의자승강장치
61: 제1링크 61a: 핀
62b: 롤러 62: 핀
63: 제2링크 63a: 핀
63b: 롤러 64: 이동블럭
65: 고정블럭 65a: 스냅링
66: 구동축 66a: 구동핸들
70: 의자받침대 71: 레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의자승강원리를 나타내는 의장승강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휠체어는 지지프레임(10)의 후방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바퀴(1),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중앙에 설치된 하나의 보조바퀴(2), 그리고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의자(3)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스프로켓(21), 상기 바퀴(1)의 중앙에 고정되어 바퀴(1)와 함께 회전하는 피동스프로켓(22), 상기 구동스프로켓(21)과 피동스프로켓(22)사이에 연결된 체인(23)을 포함하는 좌우의 기어장치(20); 상기 좌우의 기어장치(20)의 구동스프로켓(21)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스프로켓(21)의 구동축(21a)에 라쳇(31)을 게재하여 상부로 뻗도록 설치된 좌우의 레버(30); 상기 레버(30)의 전후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32); 그리고 상기 바퀴(1)의 제동을 위하여 상기 레바(30)와 바퀴(1)사이에 설치된 제동장치(50)로 구성되어 있다.
바퀴(1)는 휠체어의 대부분의 하중을 지탱하는 동시에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보조바퀴(2)는 휠체어의 일부 하중을 지탱하고 휠체어의 이동방향을 전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의자(3)는 통상의 의자와 같이 장애인, 노약자, 환자가 앉기에 편리한 형태로 되어 있다.
기어장치(10)의 구동스프로켓(21)의 피치원지름은 피동스프로켓(22)의 피치원지름보다 크게 하여 구동스프로켓(21)을 조금 회전시켜도 피동스프로켓(22)이 많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장치(10)의 구동스프로켓(21), 피동스프로켓(22) 및 체인(23)의 구동은 다단기어장치로 구성하여 장애인 등이 작은 힘으로도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단기어장치에 대해서는 종래 자전거 등에 이미 3단 내지 5단의 다단기어장치가 사용되고 있고 이 장치를 그대로 본 발명에 적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스프로켓(21)의 구동축(21a)은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레버(30)는 구동스프로켓(21)의 구동축(21a)에 라쳇(ratchet)(31)에 의하여 상부로 뻗도록 연결되어 있는데, 라켓(31)은 레버(31)의 회전력을 어느 일방향으로는 구동축(21a)에 전달하지만 다른 방향으로는 구동축(21a)에 전달하지 않으므로 레바(30)의 전후작동으로 구동축(21a)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레바(30) 및 라켓(31)은 레바(30)를 당길 때 구동스프로켓(21)의 구동축(21a)을 회전시키고 레바(30)를 밀 때에는 구동축(21a)을 헛돌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바(30)의 길이는 사용자가 의자(3)에 앉았을 때 레바(30)의 상부를 잡기 편리할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레바(3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적절한 스톱퍼수단이 구성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32)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되어 레바(30) 하부의 전후방에서 회전을 제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좌우의 레버(3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레바(30)의 상단을 연결하는 수단은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일측 레바(30)의 상단에 힌지(41)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타측 레바(30)의 상단에 구성된 걸이부(42)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연결봉(4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동장치(50)는 레바(3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51), 일단이상기 손잡이(51)의 회전시 당겨질 수 있도록 손잡이(51)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52), 상기 와이어(52)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고 바퀴(1)를 제동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10)의 브라켓트(11)에 설치된 제동부(53), 상기 와이어(52)의 중간지점을 지지하기 위하여 레바(30) 및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구(54)를 포함한다.
상기 제동부(53)는 지지프레임(10)에 고정된 브라켓트(11)에 전후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바퀴(1)의 지지륜과 접촉하는 패드부(53a)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52)는 레바(30)를 전방으로 최대한 밀 때 제동부(53)를 잡아 당겨 패드부(53a)가 바퀴(1)의 지지륜에 접촉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51)를 당기면 패드부(53a)가 바퀴(1)의 지지륜을 압박하여 제동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의 휠체어는 또한 의자(3)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과 의자(3) 하부사이에 구동핸들을 포함하는 의자승강장치(60)가 구성되어 있는데, 의자승강장치(60)는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지지프레임(10)의 전방에 핀(61a)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에 의자(3)에 고정된 의자받침대(70)에 구성된 레일(71)을 따라 전후이동가능하게 롤러(61b)가 설치된 2개 이상의 제1링크(61)와, 상기 각 제1링크(61)와 중앙부에서 핀(6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지지프레임(10)에 구성된 레일(12)을 따라 전후이동가능한 롤러(63b)가 설치되어 있고 상단이 의자받침대(70)의 전방에 핀(63a)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제2링크(63)와,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링크(61)의 상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내부에 나선구멍이 형성된 이동블럭(64)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링크(61)와 핀(62)에 의하여 연결된 제2링크(63)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블럭(65)과, 상기 고정블럭(65)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스냅링(65a)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며, 후방부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블럭(64)이 나사구멍에 나사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에 구동핸들(66a)이 구비되어 있는 구동축(66)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링크(61)와 제2링크(63)의 수는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3개로 하고, 이동블럭(64) 및 고정블럭(65)은 중앙에 있는 제1링크(61)와 제2링크(63)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의자(3)의 설치가 안정되고 구동핸들(66a)을 돌리기가 편리하므로 바람직하다.
이동블럭(64)과 고정블럭(65)은 제1링크(61)와 제2링크(63)의 측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승강작용중에 제1링크(61) 및 제2링크(63)와 구동축(66)이 이루는 각도가 변하기 때문에 이를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휠체어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장애인, 노약자, 환자가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고자 양손으로 양측 레바(30)를 당겨다 밀었다 하면 레바(30)는 라쳇(31)에 의하여 레바(30)를 당길 때에만 구동축(21a)을 회전시켜 구동스프로켓(21)을 구동시키고 그 구동력은 체인(23)에 의하여 피동스프로켓(22)에 전달되어 피동스프롯켓(22) 및 바퀴(1)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휠체어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의 반대측의 레바(30)만 작동시키면 원하는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한 손의 사용이 불편한 사용자는 연결봉(40)에 의하여 양측의 레바(30)를 서로 연결한 후에 연결봉(40)을 당겼다 밀었다 하면 이동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방향을 전환할 때에는 연결봉(40)을 분리한 후 사용할 수 있는 한 손으로 해당 레바(30)를 작동시켜야 한다.
휠체어의 이동시 제동을 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관성에 의하여 앞으로 쏠리게 되는데, 레바(30)를 스톱퍼(32)에 의한 제한 각도까지 밀고 레바(30)의 상부에 구성된 손잡이(51)를 취부하면 와이어(52)가 제동부(53)를 잡아당겨 제동부(53)의 패드부(53a)가 바퀴(1)의 지지륜을 압박하여 제동작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동장치(50)를 사용하면서 내리막길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오르막길을 이동하는 경우에는 레바(30)의 회전각도가 스톱퍼(32)에 의하여 제한되어 있으므로 오르막길을 가다가 레바(30)를 전방으로 민 상태에 위치시키면 레바(30)의 전방으로의 회전이 제한을 받아 휠체어는 후방으로 밀리지 않는다. 따라서 오르막길을 가다가 힘이 들면 중간에서 레바(30)를 전방으로 밀어 놓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쉬었다 갈 수도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오르막길을 가다가 힘이 달려 휠체어가 후진하면서 사고를 당할 염려가 전혀 없다.
의자(3)의 높이를 높게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동핸들(66a)을 돌리면 구동축(66)은 고정블럭(65)과의 사이에서는 헛돌고 이동블럭(64)과의 관계에서는 나사운동이 일어나 이동블럭(64)을 끌어당기게 된다. 이 때 제1링크(61)와제2링크(63)는 각각에 설치된 롤러(61b)(63b)가 레일(71)(1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핀(61a)(63a)의 작용에 의하여 링크 중앙의 핀(62)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의자(3)를 상승시킨다.
의자(3)의 높이를 낮게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핸들(66a)을 반대로 돌리면 제1링크(61)와 제2링크(63)는 중앙의 핀(62)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여 의자(3)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편리한 높이로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침대와 같은 높은 곳에서 휠체어를 타고 내릴 때 의자높이가 침대높이와 같게 하여 편리하게 휠체어를 타고 내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휠체어는 몸이 불편한 장애인, 노약자, 환자 등이 가벼운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필요한 경우 한 손으로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장거리를 이동하더라도 피곤하지 않고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침대와 같은 높은 곳에서 타고 내릴 때 편리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지지프레임(10)의 후방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바퀴(1),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중앙에 설치된 하나의 보조바퀴(2), 그리고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의자(3)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전방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스프로켓(21), 상기 바퀴(1)의 중앙에 고정되어 바퀴(1)와 함께 회전하는 피동스프로켓(22), 상기 구동스프로켓(21)과 피동스프로켓(22)사이에 연결된 체인(23)을 포함하는 좌우의 기어장치(20);
    상기 좌우의 기어장치(20)의 구동스프로켓(21)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구동스프로켓(21)의 구동축(21a)에 라쳇(31)을 게재하여 상부로 뻗도록 설치된 좌우의 레버(30); 그리고
    상기 레버(30)의 전후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톱퍼(32)를 포함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1)의 제동을 위하여 상기 레바(30)와 바퀴(1)사이에 설치된 제동장치(50)가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50)는 레바(3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손잡이(51), 일단이 상기 손잡이(51)의 회전시 당겨질 수 있도록 손잡이(51)에연결되어 있는 와이어(52), 상기 와이어(52)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고 바퀴(1)를 제동가능하도록 지지프레임(10)의 브라켓트(11)에 설치된 제동부(53), 상기 와이어(52)의 중간지점을 지지하기 위하여 레바(30) 및 지지프레임(10)에 설치된 다수의 지지구(54)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52)는 레바(30)를 전방 회전제한 각도까지 최대한 밀 때 제동부(53)를 잡아 당겨 제동부(53)의 패드부(53a)가 바퀴(1)의 지지륜에 접촉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51)를 당기면 패드부(53a)가 바퀴(1)의 지지륜을 압박하여 제동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레버(3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5. 지지프레임(10)의 후방양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바퀴(1), 지지프레임(10)의 전방중앙에 설치된 하나의 보조바퀴(2), 그리고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의자(3)를 포함하는 휠체어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과 의자(3) 하부사이에 구동핸들(66a)을 포함하는 의자승강장치(60)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승강장치(60)는
    하단이 지지프레임(10)의 전방에 핀(61a)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상단에 의자(3)에 고정된 의자받침대(70)에 구성된 레일(71)을 따라 전후이동가능한 롤러(61b)가 설치된 2개 이상의 제1링크(61)와,
    상기 각 제1링크(61)와 중앙부에서 핀(6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하단에 지지프레임(10)에 구성된 레일(12)을 따라 전후이동가능한 롤러(63b)가 설치되어 있고 상단이 의자받침대(70)의 전방에 핀(63a)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제2링크(63)와,
    어느 하나의 상기 제1링크(61)의 상부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내부에 나선구멍이 형성된 이동블럭(64)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링크(61)와 핀(62)에 의하여 연결된 제2링크(63)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서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블럭(65)과,
    상기 고정블럭(65)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스냅링(65a)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며, 후방부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블럭(64)이 나사구멍에 나사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에 구동핸들(66a)이 구비되어 있는 구동축(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KR10-2002-0029479A 2002-05-28 2002-05-28 휠체어 KR100458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479A KR100458790B1 (ko) 2002-05-28 2002-05-28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479A KR100458790B1 (ko) 2002-05-28 2002-05-28 휠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833U Division KR200262933Y1 (ko) 2001-10-26 2001-10-26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793A true KR20030035793A (ko) 2003-05-09
KR100458790B1 KR100458790B1 (ko) 2004-12-03

Family

ID=2957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479A KR100458790B1 (ko) 2002-05-28 2002-05-28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79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823B1 (ko) * 2004-12-15 2006-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안전 시험용 더미의 보관장치
KR101278222B1 (ko) * 2012-11-08 2013-06-24 채준석 리프트 휠체어
WO2014189189A1 (ko) * 2013-05-23 2014-11-2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를 장착한 휠체어
KR101471626B1 (ko) * 2013-08-14 2014-12-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를 장착한 휠체어
KR101485474B1 (ko) * 2013-05-23 2015-01-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를 장착한 휠체어
CN113397844A (zh) * 2020-03-17 2021-09-17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助行器
RU2813027C1 (ru) * 2023-06-15 2024-02-06 Николай Петрович Дядченко Ходунок-каталк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378B1 (ko) 2014-04-10 2014-11-17 임윤택 리프트가 구비된 휠체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0403A (en) * 1995-03-28 1996-05-28 Bergstrom; Michele R. Wheelchair with translating seat and patient lift
US6234504B1 (en) * 1997-09-23 2001-05-22 William G. Taylor Level propelled wheelchai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823B1 (ko) * 2004-12-15 2006-05-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안전 시험용 더미의 보관장치
KR101278222B1 (ko) * 2012-11-08 2013-06-24 채준석 리프트 휠체어
WO2014189189A1 (ko) * 2013-05-23 2014-11-2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를 장착한 휠체어
KR101485474B1 (ko) * 2013-05-23 2015-01-2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를 장착한 휠체어
KR101471626B1 (ko) * 2013-08-14 2014-12-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장착 가능한 동력 전달장치를 장착한 휠체어
CN113397844A (zh) * 2020-03-17 2021-09-17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助行器
CN113397844B (zh) * 2020-03-17 2024-05-14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助行器
RU2813027C1 (ru) * 2023-06-15 2024-02-06 Николай Петрович Дядченко Ходунок-каталк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8790B1 (ko) 200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7448B2 (en) Elevating manual wheelchair
US7311160B2 (en) Wheelchair with forced driven front caterpillar wheels
JP3195646U (ja) 車椅子
US5456335A (en) Patient lifting device
KR100458790B1 (ko) 휠체어
US20100207353A1 (en) Wheelchair Apparatus with Assistant Function
JP2007090020A (ja) 自力乗り移り車椅子
JP2001212181A (ja) 車椅子の段差乗り越え装置
KR200262933Y1 (ko) 휠체어
JP2002219147A (ja) 車椅子
KR100527870B1 (ko) 보행 곤란자를 위한 보조기
JPH11235362A (ja) 2輪同時に制動させる木製車椅子の制動方法
KR100670922B1 (ko) 이인 휠체어
EP0841888A1 (en) Improved walking frame
CN218923020U (zh) 一种新型转移轮椅车
KR102383506B1 (ko) 휠체어바퀴 후방이동기구
AU688640B2 (en) Improved walking frame
CN115089405B (zh) 一种上下床辅助轮椅
JPH0734777B2 (ja) 寝 台
CN212699379U (zh) 一种行动不便病人用爬梯机
CN212699378U (zh) 一种具有刹车功能的运动不便病人用爬梯机
KR101169855B1 (ko) 휠체어
KR200224837Y1 (ko) 자가운전휠체어
JP2002306552A (ja) 歩行器
JP2023076214A (ja) 補助輪付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