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5528A -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5528A
KR20030035528A KR1020010067630A KR20010067630A KR20030035528A KR 20030035528 A KR20030035528 A KR 20030035528A KR 1020010067630 A KR1020010067630 A KR 1020010067630A KR 20010067630 A KR20010067630 A KR 20010067630A KR 20030035528 A KR20030035528 A KR 20030035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aw material
transport belt
transferring
ch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4745B1 (ko
Inventor
이기창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7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74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1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sea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 Chu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는 벨트컨베이어(2)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100)를 슈트(1)를 통하여, 수송벨트(25)로 낙하시에, 발생되는 낙광과 분진을 방지하는 원료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트(1) 하부의 수송벨트(25) 양측면에 일단부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보호플레이트(2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양측 보호플레이트(2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송벨트(25)의 이송방향을 따라 스카트벨트(22)가 수평이동되도록 양단을 지지하는 풀리(24)를 각각 설치하며, 수송벨트(25)의 중심부가 함몰되어 이루는 하부수평면과 양측면이 이루는 전단부 형상이 전체적으로 유(U)자 형상이 되도록 스탠드(26)와 롤(30)을 형성·배치하고, 수송벨트(25) 이동시 상기 스카트벨트(22)가 회전되도록 수송벨트(25)의 측면 양단부를 상기 스카트벨트(22)의 하부면에 각각 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수송되는 원료가 루트변경을 위하여 슈트를 통과 할 때 낙하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낙광을 방지하므로 스카트와 수송벨트의 소손이 방지되어 원료수송업무의 효율을 높이게 되며 분진이 외부로 비산·배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환경오염방지에도 현저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The Convey System for Preventing Material from Falling on the Outside of Conveying Line}
본 발명은 낙광이 방지되는 원료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료를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수송작업을 하는 경우 원료의 이송루트를 변경하는 슈트에서 하부라인으로 낙하시 발생되는 낙광과 분지을 방지 및 제거하는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하역된 광석과 석탄등의 원료는 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수송하여 해당 공정작업을 하게 되며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된 원료는 슈트에서 진로방향이 변경되어 하부의 수송라인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하부라인으로 낙하되는 원료의 입도와 비중, 원료의 종류, 원료의 수송량 등의 원료조건과 이송설비의 상태에 따라서 원료가 외부로 이탈되는 낙광현상과 원료의 분진이 발생된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원료이송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벨트컨베이어에 실린 원료가 슈트를 지나 하부라인의 수송벨트로 이송되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원료이송장치에서 원료가 슈트를 통해 하부라인의 수송벨트로 낙하하는 경우 발생되는 낙광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100)가 벨트컨베이어(2)를 지나 슈트(1)로 진입하여 하부라인으로 떨어지는 경우 슈트(1)내에 설치된 댐퍼(3)로 완충·가이드되어 직진스카트(4)를 지나 수송벨트에 실리게 된다. 이때 직진스카트(4)는 원료(100)가 이탈없이 하부라인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원료(100)의 이송작업에서 벨트컨베이어(1)에 실리는 원료량은 시간당 대략 2000 ton 내, 외정도이므로, 이러한 과중량의 원료(100)가 슈트(1)로 진입하게 되면 댐퍼(3)와 직진스카트(4)가 불량한 경우 수송벨트(5)로 낙하시 과도한 량의 원료가 외부로 낙광되었다.
더욱이 종래의 원료이송장치에 있어서는 스탠드(6)와 롤(10)의 설치구조가 전체적으로 완만하게 되어 있으므로 롤(10)의 회전으로 움직이는 수송벨트(5)의 측면부가 높지 않게 되어, 비록 원료(100)가 수송벨트(5)로 낙하되더라도 반발력으로 튕겨지는 현상이 발생되면 직진스카트(4)와 수송벨트(5)사이를 관통하여 이탈되며 또는 그 사이 공간에 원료(100)가 끼이게 되는 경우에는 수송벨트(5)가 움직이면서 직진스카트(4)의 마모가 일어나게 되어 원료(100)의 낙광현상은 더욱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송벨트(5) 역시 절손현상이 발생되어 작업중단이 발생되므로 이송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슈트(1)와 하부라인의 수송벨트(5)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원료(100)의 낙하에 따른 분진이 많이 배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며 특히 원료(100)의 성분과 재질에 따라서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원료이송시스템에서 슈트와 하부 수송벨트사이 빈공간을 스카트벨트와 보호플레이트로 차단·설치하고 수송벨트의 측면부가 높아지도록 스탠드 설치구조를 변형시켜 낙광과 분진배출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료이송장치장치에서 벨트컨베이어를 통한 원료 이송흐름도,
도 2는 종래의 원료이송장치에서 원료가 슈트를 통해 수송벨트로 낙하시 원료의 낙광이 발생되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인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에 따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서 보호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에 따른 일실시예의 보호플레이트와 풀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슈트2 : 벨트컨베이어
3 : 댐퍼4 : 직진스카트
5,25 : 수송벨트6,26 : 스텐드
10,30 : 롤20 : 보호플레이트
20a : 보호플레이트측면판20b : 체결구
22 : 스카트벨트24 : 풀리
24a : 돌기24b : 풀리축
24c : 너트100 : 원료
본 발명인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는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를 슈트를 통하여, 수송벨트로 낙하시 발생되는 낙광과 분진을 방지하는 원료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트(1) 하부의 수송벨트(25) 양측면에 일단부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보호플레이트(2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양측 보호플레이트(2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송벨트(25)의 이송방향을 따라 스카트벨트(22)가 수평이동되도록 양단을 지지하는 풀리(24)를 각각 설치하며, 수송벨트(25)의 중심부가 함몰되어 이루는 하부수평면과 양측면이 이루는 전단부 형상이 전체적으로 유(U)자 형상이 되도록 스탠드(26)와 롤(30)을 형성·배치하고, 수송벨트(25) 이동시 상기 스카트벨트(22)가 회전되도록 수송벨트(25)의 측면 양단부를 상기 스카트벨트(22)의 하부면에 각각 밀착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인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에 따른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도 4는 본 발명인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에서 스카트벨트의 설치를 설명하기 위해 보호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컨베이어(2)는 슈트(1)로 원료를 진입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슈트(1)의 하부 좌, 우 양측에는 보호플레이트(20)가 부착·결합되어 있으며 좌, 우측의 보호플레이트(20)는 슈트(1)와 결합하는 부분의 반대편에 각각 보호플레이트측면판(20a)을 90도 하방으로 결합하여 보호 플레이트 (20)의 형상이 전체적으로 기역(ㄱ)자가 되도록 하였다. 보호플레이트측면판(20a)은 풀리를 지지하고 분진배출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보호플레이트(20) 일단부를 굴곡·변형시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보호플레이트측면판(20a)은 전, 후단부에 체결구(20b)가 각각 형성되어 풀리(24)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있다. 도 6은 보호플레이트와 풀리이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보호플레이트(20)의 측면부인 보호플레이트측면판(20a)의 양단에는 각각 체결구(20b)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구(20b)에 풀리축(24b)이 관통되어 너트(24c)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다.
보호플레이트(20)의 전, 후에 설치된 풀리(24)에는 스카트벨트(22)가 체결되며 스카트벨트(22)가 이탈되지 않도록 풀리(24) 양단에는 돌기(2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슈트(1)의 하방에는 낙하되는 원료(100)을 이송하도록 수송벨트(25)가 설치되는데, 수송벨트(25)는 롤(30)의 상부에 안착·설치되어 있다. 수송벨트(25)를 이송시키는 롤(30)은 스텐드(26)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롤(30)은 구동수단(도면 미도시)에 연결되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롤(3)이 수송벨트의 하부와 측면을 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송벨트(25)는 정면에서 바라보면 3단으로 꺽여진 형태를 취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원료이송시스템에서 수송벨트(5)가 완만하게 경사를 이루도록 롤(10)과 스텐드(6)가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원료(100)의 반발력으로 수송벨트(5)에서 튕겨 이탈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스텐드(26)와 롤(30)을 변형, 배치하여 수송벨트(25)의 측면부가 종래보다 높아지도록 구성하여 전체적인 수송벨트(25)의 정면 형상이 'U'자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수송벨트(25)의 측면상부는 상기 스카트벨트(22)와 밀착·접촉되어 수송벨트(25)가 이동하면 스카트벨트(22)도 함께 회전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수송벨트 (25)의 하부수평면과 측면부의 경사 및 하부수평면과 측면부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스텐드(26)와 롤(30)의 배치를 조정하여 수송벨트(25) 가 정면이 'U'자 형상이 되도록 하므로써 수송벨트(25)에 원료(100)가 편적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분진 발생과 낙광문제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낙광방지용 원료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벨트컨베이어(2)가 회전하여 원료(100)을 슈트(1)로 진입시키면 슈트(1)에 설치된 댐퍼(3)로 완충·가이드되어 하부 수송벨트(25)로 원료(100)가떨어진다. 이때 낙하되는 원료(100)는 분진을 발생하면서 수송벨트(25)에 쌓이게 되며 수송벨트(25)는 롤(30)의 회전구동으로 목적지로 원료(100)을 이송하게 된다.
수송벨트(25)가 회전운동을 하면 상기 수송벨트(25)에 밀착된 스카트벨트 (22)는 수송벨트(25)의 회전힘을 받게되고 스카트벨트(24)에 삽입되어 있는 풀리 (24)가 회전운동을 하면서 스카트벨트(24)를 회전시키게 된다.
수송벨트(25)로 낙하되는 원료(100)는 분진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스카트벨트(25)와 수송벨트(25)가 밀착·접촉되어 있고 그 상부를 보호플레이트(20)가 마감처리하고 있어 분진배출이 억제되며 특히, 보호플레이트(20)와 하부의 수송벨트(25)가 길게 설치된 경우 분진은 대부분 외부로 유출되기보다는 수송벨트(25)로 가라않게 된다.
그리고 원료(100)가 낙하반발력으로 외부로 튕기는 경우, 수송벨트(25)가 'U'자로 형성되어 측면높이가 함몰된 하부 수평라인의 폭보다 길게 되어 원료(100)가 튀어 오르더라도 측면부에 부딪혀 수송벨트(25)로 떨어지게 된다. 비록 측면부의 높이보다 더 튀어 오르더라도 밀폐구조로 되어 있어 외부로 낙광되지 않으며, 스카트벨트(22)가 회전운동을 하고 있으므로 수송벨트(25)와 마찰이 적어 마모되는 비율이 작고, 종래의 직진스카트(4)와 수송벨트(25)사이에 끼이는 원료에 의해 수송벨트(25)가 절손되던 문제도 일어나지 않게된다.
또한 수송벨트(25)가 'U'자로 형성되어 중앙부가 오목하여지므로 원료(100)의 넘침현상 및 편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명세서와 청구범위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범위내에서 변형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를 통해 수송되는 원료가 루트변경을 위하여 슈트를 통과 할 때 낙하충격에 의하여 발생되는 낙광을 방지하므로 스카트와 수송벨트의 소손이 방지되어 원료수송업무의 효율을 높이게 되며 분진이 외부로 비산·배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환경오염방지에도 현저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스카트벨트와 밀착된 수송벨트의 하부 수평면과 측면부가 이루는 각도를 조정하여 원료의 편적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벨트컨베이어(2)에 의해 이송되는 원료(100)를 슈트(1)를 통하여, 수송벨트(25)로 낙하시에, 발생되는 낙광과 분진을 방지하는 원료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슈트(1) 하부의 수송벨트(25) 양측면에 일단부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보호플레이트 (2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양측 보호플레이트(2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수송벨트(25)의 이송방향을 따라 스카트벨트(22)가 수평이동되도록 양단을 지지하는 풀리(24)를 각각 설치하며, 수송벨트(25)의 중심부가 함몰되어 이루는 하부수평면과 양측면이 이루는 전단부 형상이 전체적으로 유(U)자 형상이 되도록 스탠드(26)와 롤(30)을 형성·배치하고, 수송벨트(25)의 이동시 상기 스카트벨트(22)가 회전되도록 수송벨트(25)의 측면 양단부를 상기 스카트벨트(22)의 하부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
KR1020010067630A 2001-10-31 2001-10-31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 KR100794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630A KR100794745B1 (ko) 2001-10-31 2001-10-31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630A KR100794745B1 (ko) 2001-10-31 2001-10-31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528A true KR20030035528A (ko) 2003-05-09
KR100794745B1 KR100794745B1 (ko) 2008-01-21

Family

ID=2956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630A KR100794745B1 (ko) 2001-10-31 2001-10-31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7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4912A (zh) * 2011-12-22 2012-06-27 江阴大地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导料装置
KR101333591B1 (ko) * 2011-11-30 2013-11-28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내부 이송형 컨베이어장치
CN105600375A (zh) * 2015-11-25 2016-05-25 无锡山川环保机械有限公司 过渡料斗输送机构
CN114225996A (zh) * 2021-12-29 2022-03-25 南京红十字血液中心 一种试管收纳递送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5033U (ja) * 1982-12-15 1984-06-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ベア乗り継ぎ部の密閉構造
JPH08225149A (ja) * 1995-02-20 1996-09-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ベルトコンベヤ乗継ぎ部のシュート
JP2001315927A (ja) * 2000-05-01 2001-11-13 Ishikawajima Transport Machinery Co Ltd コンベヤシュート
JP2001328720A (ja) * 2000-05-19 2001-11-27 Mitsubishi Materials Corp 搬送路閉塞検知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591B1 (ko) * 2011-11-30 2013-11-28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내부 이송형 컨베이어장치
CN102514912A (zh) * 2011-12-22 2012-06-27 江阴大地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导料装置
CN105600375A (zh) * 2015-11-25 2016-05-25 无锡山川环保机械有限公司 过渡料斗输送机构
CN114225996A (zh) * 2021-12-29 2022-03-25 南京红十字血液中心 一种试管收纳递送装置及系统
CN114225996B (zh) * 2021-12-29 2024-04-16 南京红十字血液中心 一种试管收纳递送装置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745B1 (ko) 200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745B1 (ko) 낙광 방지용 원료이송장치
KR20100076419A (ko) 리턴 벨트가 턴오버되는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0756616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081572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스커트박스부 낙하물 차단장치
JP2020203758A (ja) ベルトコンベア乗継装置
CN213084815U (zh) 一种输送装置
KR102213981B1 (ko) 벨트컨베이어 스커트 이물질 제거장치
JP2015189577A (ja) 供給装置
CN208120168U (zh) 一种用于带式输送机的煤流缓冲装置
CN109607254B (zh) 一种用于物料输送系统的除尘装置
JP2002316707A (ja) コンベヤ用シュートの付着原料除去方法及びその付着原料除去装置
KR10094669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낙하물 차단 장치
CA1164898A (en) Conveyor apparatus
KR100991461B1 (ko) 벨트의 사행이 방지되는 캐리어 롤러 스탠드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1231796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EP0999151A2 (en) Low friction buffer device for conveying/accumulating packages
KR100977775B1 (ko) 조광조 트리퍼의 벨트 보호장치
GB2287446A (en) Conveying means with material transfer between two conveyors
CN216403144U (zh) 一种环保型落煤管防堵装置
KR200306063Y1 (ko) 슈트 스커트 사이드 실링 장치
KR101322041B1 (ko)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20020041925A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방지용 캐리어 스탠드
KR100778676B1 (ko) 웨이트 클리너장치
KR20010063924A (ko) 벨트 컨베이어 편적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