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4971A -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4971A
KR20030034971A KR1020010066815A KR20010066815A KR20030034971A KR 20030034971 A KR20030034971 A KR 20030034971A KR 1020010066815 A KR1020010066815 A KR 1020010066815A KR 20010066815 A KR20010066815 A KR 20010066815A KR 20030034971 A KR20030034971 A KR 20030034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d
block
welding
fix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길
남승백
황두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6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4971A/ko
Publication of KR2003003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97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제철공장의 열연 및 선재공장에서 슬라브(SLAB) 또는 빌릿 (BILLET)를 압연하기 전에 가열로내에서 열처리하는 소둔작업시 소재들의 이동을 위하여 그 내부에 설치되는 스키드 파이프에 스키드레일을 용접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1)는, 상부에 스키드 파이프(P)가 안착 고정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를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의 상측으로 연결 고정된 중공축(52)에 회전토록 지지되고 그 내부에 회전토록 삽입된 회전축(54)이 내측에서 고정되는 회전블록(56)에는 상기 각각의 축(52)(54)이 통과하는 이동블록(58)이 상,하 이동토록 삽입되고, 상기 이동블록(58)의 외곽에는 상기 중공축(52)에 고정된 제 1 작동캠 (62)이 지지되는 지지봉(64)이 돌설되며, 상기 이동블록(58)의 상하측에는 상기 이동블록(58)의 내측으로 중공축(52)에 고정된 제 2 작동캠(66)으로 상하 이동하는 클램핑블록(68)이 연결되어 스키드레일 고정구(F)를 고정하는 스키드레일 고정부 (50); 및, 상기 프레임(30)의 내측으로 설치된 사각지지대(82)를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수평바아(84)의 양측에 수평이동 조절토록 체결된 한쌍의 이동블록 (86a)(86b)에 수직이동 조절토록 체결된 수직바아(88)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키드 파이프(P)와 스키드레일(R)상의 고정구(F)를 용접하는 용접토치(90)를 갖는 용접부(80):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키드 파이프상에 교차하여 배치되는스키드레일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용접할 수 있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AN APPARATUS FOR WELDING SKID RAILS TO A SKID PIPE}
본 발명은 제철공장의 열연 및 선재공장에서 슬라브(SLAB) 또는 빌릿 (BILLET)를 압연하기 전에 가열로내에서 열처리하는 소둔작업시 상기 소재들의 이동을 위하여 그 내부에 설치되는 스키드파이프에 스키드 레일을 용접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스키드파이프에 교차하여 배치되는 스키드레일을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자동적으로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용접할 수 있도록 한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브 또는 빌릿과 같이 연주공정을 거쳐 제조된 소재들은 압연전에 다시 열처리를 수행하는데, 이때 가열로내에는 상기 소재들의 이동을 위한 스키드 파이프(SKID PIPE)가 설치되고, 상기 스키드 파이프에는 교차하여 스키드레일이 용접되는데, 이와 같은 스키드레일의 스키드파이프 용접 배치상태를 도 1a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로(미도시)내에 이동토록 배치된 스키드 파이프(10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2열의 스키드레일(110)이 서로 교차하도록 즉, 지그제그형태로 용접되고, 실제 가열로내의 온도가 대략 1000℃ 정도이므로, 상기 스키드레일(110)만 표출되고, 그외부분은 내열재로 덮혀져 있다.
또한, 상기 스키드 파이프(100)에 스키드레일(110)을 지그제그로 배치한 이유는, 상기 스키드레일에 안착되는 소재들의 접촉부위에서 온도저하현상이 발생되므로 가능한 스키드레일과 소재들의 접촉부분을 줄이기 위해서인데, 이와 같은 스키드레일(110)의 스키드파이드(100) 용접작업은 도 1b에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스키드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작업은, ㄷ자형상의 지그(200) 하측에 스키드파이프(100)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그상부와 유압잭(210)으로 파이프(100)상부면에 스키드레일(110)을 밀착 지지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토치(220)로서 레일(110)의 양단부에 끼워지는 한쌍의 고정구(230a)(230b)들을 스키드파이프(110)에 용접시키어 스키드레일(110)을 스키드파이프(100)상에 지그제그형태로 배치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키드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작업에 있어서는, 고정구(230)들의 외측부위를 토치(220)로서 용접하기 때문에, 그 부분의 열변형으로 도 1b 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230)들이 위로 들려지는 변형이 손쉽게 발생되어 스키드레일(110)의 스키그파이프(100) 고정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용접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오작업시 화상을 입는 등의 작업자 안전사고 빈번하게 발생되는 것은 물론, 특히 용접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여 스키드레일의 스키드파이드 용접작업이 지연되는 등의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스키드레일의 스키드파이프 장착을 위한 고정구의 용접작업시 고정구의 열변형을 방지토록 크램핑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용접토록 하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키드레일의 스키드파이프 장착을 위한 고정구를 위에서 파이프방향으로 누르는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함으로서, 고정구가 열에 의하여 위로 들려지는 열변형을 최대한 줄이어 고정구의 스키드레일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서, 스키드레일의 스키드파이프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토록 하는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수작업없이 스키드레일의 스키드파이프 장착을 위한 고정구 용접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스키드레일의 파이프 장착작업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이루어 지고, 특히 작업자의 화상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스키드파이프에 용접되는 스키드레일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스키드레일의 위치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b)는 종래의 스키드레일의 스키드 파이프 용접작업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스키드레일 용접장치10.... 베이스
12.... 랙부30.... 프레임
32.... 모터34.... 피니언
36.... 지지롤50.... 스키드레일 고정부
52.... 중공축54.... 회전축
56.... 회전블록58.... 이동블록
62,66.... 제 1,2 작동캠70,72.... 스프링
74.... 연결구76.... 압착롤
80.... 용접부82.... 사각지지대
84.... 수평바아86.... 이동블록
88.... 수직바아90.... 용접토치
94.... 볼스크류96.... 조작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상부에 스키드 파이프가 안착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를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측으로 연결 고정된 중공축에 회전토록 지지되고 그 내부에 회전토록 삽입된 회전축이 내측에서 고정되는 회전블록에는 상기 각각의 축이 통과하는 이동블록이 상,하 이동토록 삽입되고, 상기 이동블록의 외곽에는 상기 중공축에 고정된 제 1 작동캠이 지지되는 지지봉이 돌설되며, 상기 이동블록의 상하측에는 상기 이동블록의 내측으로 중공축에 고정된 제 2 작동캠으로 상하 이동하는 클램핑블록이 연결되어 스키드레일 고정구를 고정하는 스키드레일 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설치된 사각지지대를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수평바아의 양측에 수평이동 조절토록 체결된 한쌍의 이동블록에 수직이동 조절토록 체결된 수직바아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키드 파이프와 스키드레일상의 고정구를 용접하는 용접토치를 갖는 용접부:로 구성된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용접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 레일 용접장치(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용접장치(1)는 크게 베이스(10)와 프레임(30)과 스키드레일 고정부(50) 및 용접부(80)로서 나누어 지는데, 이와 같은 상기 각각의 구성요소(10)(30)(50)(80)들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용접장치(1)의 상기 베이스(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베이스(10)는 상부에 상기 스키드 파이프(P)가 안착 고정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 지고,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상부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피니언(34)이 이동하는 랙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전,후측에는 스키드파이프(P)의 전,후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14)가 각각 장착되어 상기 고정구(14)사이에 스키드 파이프(P)가 수평 고정토록 되며,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구(14)는 핸들조작으로 베이스(10)의 전,후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용접장치(1)의 상기 프레임(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프레임(30)은, 상기 베이스(10)를 따라 전,후 이동토록 한쌍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양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랙부(12)에는 상기 일측 프레임(30)의 하단부에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브라켓트로서 수평 설치된 구동모터(32)와 커플링 연결되는 피니언(34)이 맞물린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피니언(34)은 h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프레임(30)의 중앙부에 상기 베이스(10)의 랙부(12)에 맞물리어 이동하고 상기 구동모터(32)와 연결되는 구동피니언(34a)과 단순히 베이스(10)의 랙부 (12)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피니언(34b)으로 나누어 진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의 하단부에는 상기 베이스(10)의 랙부(12) 저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프레임(30)이 베이스(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토록 하는 한쌍의 지지롤(36)이 각각 전후측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용접장치(1)의 상기 스키드레일 고정부(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키드레일 고정부(50)는, 상기 프레임(30)의 상측으로 연결 고정된 중공축(52)에 회전토록 지지되고 그 내부에 회전토록 삽입된 회전축(54)이 내측에서 고정되는 회전블록(56)에는 상기 각각의 축(52)(54)이 통과하는 이동블록(58)이 상,하 이동토록 삽입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58)의 외곽에는 상기 중공축(52)에 고정된 제 1 작동캠(62)이 지지되는 지지봉(64)이 돌설되며, 상기 이동블록(58)의 상하측에는 상기 이동블록(58)의 내측으로 중공축(52)에 고정된 제 2 작동캠(66)으로 상하 이동하는 클램핑블록(68)이 연결되어 스키드레일 고정구 (F)를 고정토록 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32)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38)과 상기 프레임(30)의 상단부에 연결된 회전축(54)에 설치된 스프로켓 (40)사이에 구동벨트(42)가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54)은 상기 모터 구동시 회전토록 된다.
또한, 상기 스키드레일 고정부(50)의 상기 중공축(52)은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블록(56)에 베어링(B)을 재개하여 회전토록 지지되고, 상기 이동블록(58)의 양측에는 상기 각각의 축(52)(54)이 통과하는 장홈(58a)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캠(62)(66)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중공축(52)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블록(56)과 이동블록 (58)은 그 외곽 양측으로 연결되는 스프링(70)으로서 서로 탄성 연결되어 이동블록 (58)의 상하 이동을 가능토록 구성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58)의 상,하측 배치되는 클램핑블록(68)은 상기 제 1 작동캠(62)에 접촉하여 탄성 작동토록 이동블록(58)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하도록 스프링(72)을 개재하여 연결된 연결구(74)의 상부에 핀(74a)과 스프링 (74b)으로 피봇 연결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블록(68)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키드레일 고정구(F)의 외표면에 밀착 지지되는 고정홈(68a)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록(58)의 외곽에는 클램핑블록(68)을 압착 지지하는 압착롤(76)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용접장치(1)의 상기 용접부(8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용접부(80)는 상기 프레임(30)의 내측으로 설치된 사각지지대(82)를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수평바아(84)의 양측에 수평이동 조절토록 체결된 한쌍의 이동블록(86a)(86b)에 수직이동 조절토록 체결된 수직바아(88)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키드 파이프(P)와 스키드레일(R)상의 고정구 (F)를 용접하는 용접토치(90)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각지지대(82)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된 ㄷ자 판넬이 ㄷ자형상으로 상기 프레임(3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블록(86a)(86b)이 체결되는 상기 수평바아(84)의 일단부(84a)측에는 사각지지대(82)의 일측에 모터(92) 구동토록 장착된 볼스크류(94)가 체결되고, 상기 수평바아(84)의 타단부(84b)는 상기 사각지지대(82)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이동블록(86a)(86b)에는 도 4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ptj상기 수평 및 수직바아(84)(88)의 랙부 (84')(88')에 맞물리고 각 바아의 이동을 제한하는 피니언(96a)가 형성된 조작편(96)이 상,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용접토치(90)의 위치조정을 가능토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베이스(10)는 상부에 상기 스키드 파이프(P)가 안착 고정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 지고, 상기 베이스(10)의 양측에는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상부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피니언(34)이 이동하는 랙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전,후측에는 스키드파이프(P)의 전,후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14)가 각각 장착되어 상기 고정구(14)사이에 스키드 파이프(P)가 수평 고정토록 되며, 도면에서는 별도의 부호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구(14)는 핸들조작으로 베이스(10)의 전,후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용접장치(1)의 상기 프레임(3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프레임(30)은, 상기 베이스(10)를 따라 전,후 이동토록 한쌍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양측부에 일체로 형성된 랙부(12)에는 상기 일측 프레임(30)의 하단부에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브라켓트로서 수평 설치된 구동모터(32)와 커플링 연결되는 피니언(34)이 맞물린다.
즉,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피니언(34)은 h자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프레임(30)의 중앙부에 상기 베이스(10)의 랙부(12)에 맞물리어 이동하고 상기 구동모터(32)와 연결되는 구동피니언(34a)과 단순히 베이스(10)의 랙부 (12)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피니언(34b)으로 나누어 진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30)의 하단부에는 상기 베이스(10)의 랙부(12) 저면에 지지되면서 상기 프레임(30)이 베이스(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토록 하는 한쌍의 지지롤(36)이 각각 전후측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용접장치(1)의 상기 스키드레일 고정부(5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스키드레일 고정부(50)는, 상기 프레임(30)의 상측으로 연결 고정된 중공축(52)에 회전토록 지지되고 그 내부에 회전토록 삽입된 회전축(54)이 내측에서 고정되는 회전블록(56)에는 상기 각각의 축(52)(54)이 통과하는 이동블록(58)이 상,하 이동토록 삽입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58)의 외곽에는 상기 중공축(52)에 고정된 제 1 작동캠(62)이 지지되는 지지봉(64)이 돌설되며, 상기 이동블록(58)의 상하측에는 상기 이동블록(58)의 내측으로 중공축(52)에 고정된 제 2 작동캠(66)으로 상하 이동하는 클램핑블록(68)이 연결되어 스키드레일 고정구 (F)를 고정토록 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32)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38)과 상기 프레임(30)의 상단부에 연결된 회전축(54)에 설치된 스프로켓 (40)사이에 구동벨트(42)가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 (54)은 상기 모터 구동시 회전토록 된다.
또한, 상기 스키드레일 고정부(50)의 상기 중공축(52)은 도 3 및 도 4에서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블록(56)에 베어링(B)을 재개하여 회전토록 지지되고, 상기 이동블록(58)의 양측에는 상기 각각의 축(52)(54)이 통과하는 장홈(58a)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캠(62)(66)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중공축(52)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블록(56)과 이동블록 (58)은 그 외곽 양측으로 연결되는 스프링(70)으로서 서로 탄성 연결되어 이동블록 (58)의 상하 이동을 가능토록 구성된다.
한편,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록(58)의 상,하측 배치되는 클램핑블록(68)은 상기 제 1 작동캠(62)에 접촉하여 탄성 작동토록 이동블록(58)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하도록 스프링(72)을 개재하여 연결된 연결구(74)의 상부에 핀(74a)과 스프링 (74b)으로 피봇 연결된다.
그리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블록(68)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키드레일 고정구(F)의 외표면에 밀착 지지되는 고정홈(68a)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록(58)의 외곽에는 클램핑블록(68)을 압착 지지하는 압착롤(76)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용접장치(1)의 상기 용접부(8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용접부(80)는 상기 프레임(30)의 내측으로 설치된 사각지지대(82)를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수평바아(84)의 양측에 수평이동 조절토록 체결된 한쌍의 이동블록(86a)(86b)에 수직이동 조절토록 체결된 수직바아 (88)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키드 파이프(P)와 스키드레일(R)상의 고정구(F)를 용접하는 용접토치(90)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각지지대(82)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된 ㄷ자 판넬이 ㄷ자형상으로 상기 프레임(3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블록(86a)(86b)이 체결되는 상기 수평바아(84)의 일단부(84a)측에는 사각지지대(82)의 일측에 모터(92) 구동토록 장착된 볼스크류(94)가 체결되고, 상기 수평바아(84)의 타단부(84b)는 상기 사각지지대(82)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이동블록(86a)(86b)에는 상기 수평 및 수직바아(84)(88)의 랙부 (84')(88')에 맞물리고 각 바아의 이동을 제한하는 피니언(96a)가 형성된 조작편 (96)이 상,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용접토치(90)의 위치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에 의하면, 스키드레일의 스키드파이프 장착을 위한 고정구를 위에서 파이프방향으로 누르는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함으로서, 고정구가 열에 의하여 위로 들려지는 열변형을 최대한 줄이어 고정구의 스키드레일 고정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서, 스키드레일의 스키드파이프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스키드레일의 스키드파이프 장착을 위한 고정구 용접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스키드레일의 파이프 장착작업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이루어 지고, 특히 작업자의 화상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한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상부에 스키드 파이프(P)가 안착 고정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를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30);과
    상기 프레임(30)의 상측으로 연결 고정된 중공축(52)에 회전토록 지지되고 그 내부에 회전토록 삽입된 회전축(54)이 내측에서 고정되는 회전블록(56)에는 상기 각각의 축(52)(54)이 통과하는 이동블록(58)이 상,하 이동토록 삽입되고, 상기 이동블록(58)의 외곽에는 상기 중공축(52)에 고정된 제 1 작동캠(62)이 지지되는 지지봉(64)이 돌설되며, 상기 이동블록(58)의 상하측에는 상기 이동블록(58)의 내측으로 중공축(52)에 고정된 제 2 작동캠(66)으로 상하 이동하는 클램핑블록(68)이 연결되어 스키드레일 고정구(F)를 고정하는 스키드레일 고정부(50); 및,
    상기 프레임(30)의 내측으로 설치된 사각지지대(82)를 따라 전후 이동토록 설치된 수평바아(84)의 양측에 수평이동 조절토록 체결된 한쌍의 이동블록 (86a)(86b)에 수직이동 조절토록 체결된 수직바아(88)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스키드 파이프(P)와 스키드레일(R)상의 고정구(F)를 용접하는 용접토치(90)를 갖는 용접부(80):로 구성된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양측부에는 상기 프레임(30)의 하단부에 설치된 모터(32)로서 구동되는 피니언(34)이 맞물리어 이송하는 랙부(1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0)의 전,후측에는 스키드파이프(P)의 전,후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14)가 각각 장착되어 상기 고정구(14)사이에 스키드 파이프(P)가 수평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0)은 h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부에는 상기 베이스(10)의 랙부(12)에 맞물리어 이동하는 상기 구동피니언(34a) 및 이동피니언(34b)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30)의 하단부에는 상기 베이스(10)의 랙부(12) 저면에 지지되는 지지롤(36)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모터(32)의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 스프로켓(38)과 상기 프레임(30)의 상단부에 연결된 회전축(54)에 설치된 스프로켓(40)사이에 구동벨트(42)가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54)은 상기 모터 구동시 회전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축(52)은 상기 회전블록(56)에 베어링(B)을 재개하여 회전토록 지지되고, 상기 이동블록(58)의 양측에는 상기 각각의 축(52)(54)이 통과하는 장홈(58a)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작동캠(62)(66)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기 중공축(52)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블록(56)과 이동블록(58)은 그 외곽 양측으로 연결되는 스프링(70)으로서 서로 탄성 연결되어 이동블록(58)의 상하 이동을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58)의 상,하측 배치되는 클램핑블록(68)은 상기 제 1 작동캠(62)에 접촉하여 탄성 작동토록 이동블록(58)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통하도록 스프링(72)을 개재하여 연결된 연결구(74)의 상부에 핀(74a)과 스프링 (74b)으로 피봇 연결되고,
    상기 클램핑블록(68)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키드레일 고정구(F)의 외표면에 밀착 지지되는 고정홈(68a)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동블록(58)의 외곽에는 클램핑블록(68)을 압착 지지하는 압착롤(7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 레일 용접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지지대(82)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된 ㄷ자 판넬이 ㄷ자형상으로 상기 프레임(3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블록(86a)(86b)이 체결되는 상기 수평바아(84)의 일단부(84a)측에는 사각지지대(82)의 일측에 모터(92) 구동토록 장착된 볼스크류(94)가 체결되고, 상기 수평바아(84)의 타단부(84b)는 상기 사각지지대(82)에 지지되며,
    상기 이동블록(86a)(86b)에는 상기 수평 및 수직바아(84)(88)의 랙부(84') (88')에 맞물리고 각 바아의 이동을 제한하는 피니언(96a)가 형성된 조작편(96)이 상,하측에 장착되어 상기 용접토치(90)의 위치조정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
KR1020010066815A 2001-10-29 2001-10-29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 KR20030034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815A KR20030034971A (ko) 2001-10-29 2001-10-29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815A KR20030034971A (ko) 2001-10-29 2001-10-29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971A true KR20030034971A (ko) 2003-05-09

Family

ID=2956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815A KR20030034971A (ko) 2001-10-29 2001-10-29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497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7028A (zh) * 2011-07-29 2011-12-07 重庆建设摩托车股份有限公司 一种摩托车车架部件焊接工位传递机构
CN109967923A (zh) * 2019-03-15 2019-07-05 江苏盛日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气罐一体三工位焊接成型机
CN110948173A (zh) * 2020-01-14 2020-04-03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结构钢管弧形焊接装置
CN114434070A (zh) * 2022-01-17 2022-05-06 朱志明 一种用于光伏板均匀焊接设备
CN116833609A (zh) * 2023-08-24 2023-10-03 江苏丰恩金属制品有限公司 压力容器的焊接系统
CN110948173B (zh) * 2020-01-14 2024-05-28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结构钢管弧形焊接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67028A (zh) * 2011-07-29 2011-12-07 重庆建设摩托车股份有限公司 一种摩托车车架部件焊接工位传递机构
CN109967923A (zh) * 2019-03-15 2019-07-05 江苏盛日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气罐一体三工位焊接成型机
CN109967923B (zh) * 2019-03-15 2024-04-12 江苏盛日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气罐一体三工位焊接成型机
CN110948173A (zh) * 2020-01-14 2020-04-03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结构钢管弧形焊接装置
CN110948173B (zh) * 2020-01-14 2024-05-28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结构钢管弧形焊接装置
CN114434070A (zh) * 2022-01-17 2022-05-06 朱志明 一种用于光伏板均匀焊接设备
CN114434070B (zh) * 2022-01-17 2023-12-22 广州高景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光伏板均匀焊接设备
CN116833609A (zh) * 2023-08-24 2023-10-03 江苏丰恩金属制品有限公司 压力容器的焊接系统
CN116833609B (zh) * 2023-08-24 2024-04-02 江苏丰恩金属制品有限公司 压力容器的焊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4971A (ko) 스키드 파이프의 스키드레일 용접장치
US3935420A (en) Means for guiding the welding unit of an automatic welding apparatus along the joint line between workpieces to be welded together
KR100685032B1 (ko) 압연롤의 링부품 교환장치
CN116571928B (zh) 一种建筑施工焊接装置及其使用方法
JP3067733B2 (ja) 溶接装置
JP2633756B2 (ja) 給水加熱器の管板と水室鏡の溶接方法
US3473001A (en) Welding machine carriage and track assembly
KR200259645Y1 (ko) 조립부품 분해를 위한 자동 히팅장치
KR102060926B1 (ko) 산업용 보일러 제조 장치
KR20030026066A (ko) 후판압연라인의 슬라브 회전 장치
KR20040025116A (ko) 리프팅 빔 자동 용접장치
JPH1015663A (ja) 屋上構造物用溶接機
CN220259997U (zh) 一种可翻转式钢结构焊接平台
KR101177563B1 (ko) 스틸 커튼월용 티형 프로파일의 용접부 직각 가공장치
CN209902548U (zh) 用于点焊的焊床
KR200317625Y1 (ko) 유로폼의 프레임용 자동 용접장치
KR102046959B1 (ko) 롤 교체용 지그장치
KR100723122B1 (ko) 리액터 쉘 용접장치
KR101224969B1 (ko) 롤의 냉각장치
CN212070857U (zh) 用于防火门钢结构加工快速焊接装置
CN215787747U (zh) 一种散热器双直缝自动焊机
KR200196315Y1 (ko) 스트립의 고정장치
KR20020036533A (ko) 고온속에 취부된 허스롤 교환장치
JPH04262867A (ja) 管フィンのトリミング機械及び使用方法
JP2661486B2 (ja) 構造物骨材の曲げ加工用点焼装置及び多点焼曲げ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