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4628A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4628A
KR20030034628A KR1020010066293A KR20010066293A KR20030034628A KR 20030034628 A KR20030034628 A KR 20030034628A KR 1020010066293 A KR1020010066293 A KR 1020010066293A KR 20010066293 A KR20010066293 A KR 20010066293A KR 20030034628 A KR20030034628 A KR 20030034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olyester film
layer
shrinkable polyest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8524B1 (ko
Inventor
다보타노리미
이토가츠야
하야가와사토시
나카야마다가츠히로
Original Assignee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10066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5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5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제조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 그것의 제조 방법, 그 튜브를 사용하는 라벨 및 그 라벨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당한 열수축성, 우수한 인쇄성 및 용제에 의한 부착성을 갖는다. 그 필름은 피복용 또는 결속용 등의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우수한 외관 및 우수한 장착성을 나타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겉보기 비중이 작아서, 병(예, PET 병)의 라벨로서 사용되는 경우 병으로부터 쉽게 분리, 회수된다.

Description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HEAT SHRINKABLE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제조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피복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당한 열수축성, 우수한 인쇄성, 용제에 의한 부착성, 그리고 피복용 또는 결속용 등의 포장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우수한 외관 및 우수한 장착성을 나타낸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겉보기 비중이 작아서, 병(예, PET 병)의 라벨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 후에 병으로부터 쉽게 분리, 회수된다.
열수축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된 열수축성 튜브는, 예컨대 병(예, 플라스틱 병 등), 캔 등의 용기류, 봉상물(예, 파이프, 봉, 목재 등), 판상물, 상자류 등의 피복용 또는 결속용으로서 사용된다. 특히, 열수축성 튜브는 용기류, 봉상물, 판상물(예, 공책 등), 상자류 등을 포장하기 위해서, 부착(예, 집적 포장 또는 스킨 포장 등) 등에 의해 용기의 일부(예, 캡, 어깨부, 본체부 등) 또는 전면을 피복하여 용기 내용물의 표시, 보호, 결속, 상품 가치 향상 등과 같은 광범위한 목적에널리 사용되며, 수축성 및 수축 응력을 이용한 용도 개발이 기대된다.
전술한 용도에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염산고무 등의 열수축성 필름 재료를 사용하고, 그 필름을 튜브 형태로 가공하여 포장하고자 하는 전술한 물품들을 피복하여 수축시키거나, 포장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물품들을 튜브 모양의 필름으로 집적하여 열수축시킨다. 그러나, 그러한 물질로 된 열수축성 필름은 내열성이 부족하고, 고온에서 비등 처리나 레토르트(retort) 처리를 하면 용융되거나 쉽게 파열하여 필름 형태를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열수축성 필름은 종종 인쇄 후에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 열수축성 필름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필름내의 첨가제나 겔화된 폴리머에 의해 형성된 미소 요철(피시 아이)에 기인한 잉크의 전이 불량으로 인해 인쇄 핀홀이 발생한다. 인쇄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그 후에 필름이 수축(상온 수축)을 일으켜 인쇄 피치에 변화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최근,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한 종래의 열수축성 필름의 결점을 대폭 개량할 수 있어서 최근 크게 주목받았다.
그러나, 종래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한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또는 염산고무 등의 열수축성 필름에 비하여 열수축 속도가 빠르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열수축 속도가 빠르면 필름에 수축 얼룩이 발생하여 상품 가치를 대폭 저하시킨다. 예를 들면, 종래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여 병(bottle)용 수축 라벨을 제조하는 경우, 수축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수축률이 가장 높은 어깨부에 수축 얼룩이 집중하고, 또한 밀봉부에 있는 공기가 내부로부터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의 그러한 문제점은 인쇄 농도의 얼룩으로 이어져 제품의 미감을 현저히 저하시키기 때문에 해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플라스틱 병, 특히 PET 병 등의 라벨로서 흔히 사용된다. PET병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부착된 라벨을 PET 병에서 분리해 내어야 한다. 이들을 분리하는 한가지 방법은, PET 병과 라벨을 분쇄하고, 그 분쇄물을 그대로 또는 수중에서 교반한 다음, 비중의 차이를 이용하여 PET 병의 원료로부터 라벨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에, 병의 주원료인 PET는 비중이 약 1.4이기 때문에, 라벨의 비중은 1.4 이하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라벨용 폴리에스테르의 비중을 낮추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성인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중합체, 폴리스티렌 등을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여 적당한 열수축율을 얻거나, 특정 방법으로 상기 원료를 연신시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공동을 형성시킴으로써, 수축 후의 겉보기 비중을 감소시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한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고 공보 평성 제7-33063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5-111960호 등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여전히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백색도(brightness)가 부족하여 인쇄성이 불량하고, 전 광선투과율이 너무 높아 용기의 내용물이 들여다 보이며, 그것을 라벨로서 실제 사용할 때 라벨과 제품의 외관이 손상된다.
(2) 백색도를 향상시키고 전 광선투과율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름의 공동을 증가시키는 경우, 너무 많은 공동이 필름 표면에 형성되어, 표면의 조도가 너무 커지고, 라벨의 인쇄성이 불량해져서 외관이 손상된다.
(3) 표면 조도가 더 높아짐으로 인해, 열수축성 필름을 튜브로 가공 처리하는 동안 접합부 표면을 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킬 수 없다. 따라서, 접합부 표면을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부착제 등이 필요하고, 이로 인해 처리 공정이 복잡해진다. 이 방법은 접합부가 쉽게 손상되도록 만든다. 그 결과, 접합부는 우수한 열수축성을 가질 수 없게 되고, 백화 및 취성화의 원인이 되며, 라벨의 외관이 불량해진다.
(4) 인쇄된 표면의 표면 조도와 다른 표면의 표면 조도의 균형이 불량하고, 제품상의 장착성 및 우수한 외관을 동시에 실현할 수 없다.
(5) 겉보기 비중이 너무 높기 때문에, PET 병 등의 라벨로서 사용한 후 비중 차에 의한 분리, 회수가 곤란하다.
따라서, 적당한 열수축성, 우수한 인쇄성, 용제에 의한 부착성, 그리고 포장용으로 사용될 때의 우수한 외관 및 장착성을 가진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요망된다. 또한, 겉보기 비중이 더 작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요망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성이 우수하고, 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으며, 외관 및 장착성이 우수하고, 겉보기 비중이 작은, 하기와 같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은 하기 (1) 내지 (21)을 제공한다:
(1) 백색도가 70 이상이고, 용제로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상기 (1)에서, 공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상기 (2)에서, 상기 공동은 비상용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형성시키고, 그것을 적어도 단축으로 연신시킴으로써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상기 (2)에서, 다수의 미세 공동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층(층 A)과 층 A보다 기공률이 작고 층 A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 층(층 B)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상기 (4)에서, 상기 층 A는 기공률이 5∼50%인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층이고, 상기 층 B는 기공률이 0∼20%인 것이 특징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상기 (5)에서, 상기 층 B와 접촉하고 있는 면과 반대쪽의 층 A의 표면에 기공률이 0∼50%인 폴리에스테르 층(층 C)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상기 (1)에서, 적어도 한 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가 0.5 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상기 (7)에서, 전 광선투과율이 30% 이하이고, 95℃ 열풍 속에서의 열수축률이 어느 한 방향으로 3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상기 (8)에서, 상기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상기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에서의 열수축률이 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상기 (7)에서, 한 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Ra1)가 0.5 μm 이하이고 반대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Ra2)가 Ra1보다 0.05 μm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상기 (1)에서, 평균 입경이 0.001∼5.0 μm인 유기 또는 무기 윤활제 미립자를 0.01∼30 중량%의 비율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상기 (4)에서, 평균 입경이 0.001∼5.0 μm인 유기 또는 무기 윤활제 미립자를 0.01∼30 중량%의 비율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상기 (1)에서, 겉보기 비중이 1.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상기 (1)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 5∼50% 열수축시킨 후의 겉보기 비중이 1.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상기 (1)에서, 폴리에스테르 성분으로서 네오펜틸글리콜 잔기 및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잔기에서 선택된 하나의 잔기를 1종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상기 (1)에서, 필름 두께가 10∼1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7) 상기 (4)에서, 층 B에 대한 층 A의 두께 비가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8) 상기 (1)에서, 적어도 한 면에 인쇄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9) 상기 (1)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용제로 부착시켜서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
(20) 상기 (1)에 기재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1) 상기 (1)에 기재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부착면의 적어도 한 면에 용해도 파라미터가 8.0∼13.8의 범위 내에 있는 용제들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제를 도포하고,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합부를 70℃ 이하의 온도에서 부착시킨 다음, 부착된 필름을 건조시켜 튜브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테레프탈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신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등과 같은 공지의 디카르복실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디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과 같은 공지의 디올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디올 성분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폴리에스테르 또는 그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하, '폴리에스테르'로 통칭함)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서는 가격과 수축성 면에서 테레프탈산이나 이소프탈산 등이 바람직하고, 디올 성분으로서는 수축성 면에서 에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폴리에스테르는, 전술한 디카르복실산 및 디올 성분 외에,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사슬이 선형 중합체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한, 옥시카르복실산 성분(예, p-옥시벤조산 , p-옥시에톡시벤조산 등), 폴리올 성분(예, 글리세린,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 트리메틸렌프로판 등) 등과 같은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전술한 폴리에스테르는 폴리에스테르 사슬의 말단에 모노카르복실산(예, 벤조산, 벤조일 벤조에이트), 메톡시폴리알킬렌 글리콜 등과 같은 단일작용성 화합물 잔기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다수의 미세 공동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미세 공동을 함유한다는 것은 5∼50 부피%, 바람직하게는 10∼40 부피%의 기공률로 공동을 함유함을 의미한다. 미세 공동이란 평균 기공 크기가 1∼100 μm, 바람직하게는 2∼50 μm 범위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다공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바람직한 백색도를 갖는다. 공동을 함유함으로써 필름은 적당한 겉보기 비중을 갖게 된다.
공동은 혼합물 등의 형태로 발포제 등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압출시키는 방법 등의 임의의 공지 방법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성인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하고 그 혼합물을 적어도 단축 방향으로 연신시켜서 공동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성인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어떤 수지라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예,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등),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설폰 수지, 셀룰로스 수지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공동을 쉽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폴리스티렌 수지, 및 폴리메틸펜텐,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 수지는 기본 성분으로서 스티렌 단량체 유닛을 함유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말한다. 그 예에는 혼성배열(atactic) 폴리스티렌, 규칙배열(syndiotactic) 폴리스티렌, 동일배열(isotactic) 폴리스티렌 등과 같은 스티렌 동종중합체, 다른 성분이 동종중합체와 그래프트 또는 블록 공중합되어 있는 변성 폴리스티렌 수지(예, 고충격 폴리스티렌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 에테르 수지 등) 및 그러한 폴리스티렌 수지와 상용성인 열가소성 수지(예, 폴리페닐렌 에테르)와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폴리메틸펜텐 수지는 80 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몰% 이상의 비율로 4-메틸펜텐-1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유닛을 함유하고, 4-메틸펜텐-1 이외의 성분으로서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1,3-메틸부텐-1 등으로부터 유도된 단량체 유닛을 함유하는 중합체이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에는 동일배열 폴리프로필렌, 규칙배열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외에, 동종중합체가 프로필렌 이외의 성분과 그래프트 또는 블록 공중합된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포함된다.
기공률이 본 발명에 규정된 범위 내에 들도록 하기 위해서,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는 전술한 폴리에스테르의 1∼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25 중량%로 혼합된다. 이 혼합물을 후술되는 방법에 의해 필름으로 형성시킨 후, 연신하여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는 임의의 방법으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칩과 열가소성 수지 칩을 혼합하여 용융한 다음, 압출기에서 혼련하여 압출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혼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두 칩을 혼합-혼련기에서 혼련한 다음, 압출기로부터 용융 압출시킬 수 있다. 혼합 단계는 폴리에스테르의 중합 중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첨가하고, 그 칩을 교반 분산시킨 후, 그 칩을 용융 압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얻은 비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후술하는 방법으로 적어도 단축 연신시켜서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라벨로 제조할 때 필름의 슬립성 및 마스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기 윤활제 또는 무기 윤활제의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 미립자의 예에는, 카올린, 클레이, 탄산칼슘,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인산칼슘, 플루오르화리튬 등과 같은 무기 윤활제 미립자, 폴리에스테르 합성용 금속 화합물 촉매,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화합물, 알칼리 토류 금속 화합물 등, 테레프탈산칼슘과 같은 유기 윤활제 미립자,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용융 형성 중에 불용성인 고융점의 유기 화합물(예, 폴리아크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등), 가교 중합체(예, 멜라민 수지 등) 등이 있다.
전술한 유기 또는 무기 윤활제 미립자는 평균 입경이 0.001∼5.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0.001 μm 미만인 경우, 라벨로서의 슬립성을 얻을 수 없고, 라벨에 마스킹성을 부여할 수 없으며, 평균 입경이 5.0 μm 이상이면 필름 표면에서 입자들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전술한 유기 또는 무기 윤활제 미립자는 전술한 폴리에스테르에 0.01∼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10 중량%의 비율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 미립자의 비율이 1 중량% 미만이면, 라벨로서의 슬립성을 얻을 수 없고, 라벨에 마스킹성을 부여할 수 없으며, 그 비율이 30 중량% 이상이면 필름 표면에서 입자들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
전술한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는 0.50∼1.0 dl/g, 바람직하게는 0.60∼0.90 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65∼0.85 dl/g이다. 폴리에스테르의 고유 점도가 0.50 dl/g미만이면, 결정성이 너무 높아져서 필름으로 가공 처리할 때 충분한 수축률을 얻을 수 없다. 고유 점도가 1.0 dl/g 이상이면, T-다이로부터의 압출이 어려워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는 필요에 따라 전술한 윤활제 이외에 안정제, 착색제, 항산화제, 소포제 등과 같은 첨가제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술한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층의 적어도 한 면에 다른 층이 형성되어 있는,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2층 구조를 가진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술한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층 A와 층 A보다 기공률이 작고 층 A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층 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 B는 층 A와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원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층 B를 형성할 때, 층 B는 층 A보다 기공률이 작아야 한다. 구체적으로 층 B의 기공률은 0∼20%, 바람직하게는 0∼10%이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상기 2층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층 A 및 층 B의 원료를 각각 다른 압출기에 투입, 용융하고, T-다이 앞 또는 다이 내에서 용융 상태로 부착시키고, 냉각 롤에 밀착하여 냉각시킨 후, 후술하는 방법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층 B의 원료 중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을 0∼10%로 조정하면, 층 B가 연신 후에 전술한 범위의 기공률을 갖게 된다.
층 A와 층 B의 2층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 층 B에 대한 층 A의 두께 비는 1.5∼30, 바람직하게는 4∼10이다. 두께 비가 1.5 미만이면, 우수한 인쇄 미관 및 낮은 겉보기 비중을 쉽게 얻을 수 없다.
그러한 2층 구조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층 B의 표면 조도가 작고 층 A로 인해 적당한 백색도 및 전 광선투과율를 갖는다. 따라서, 필름은 인쇄성과인쇄된 필름의 외관이 우수하다. 그러한 필름은 층 B의 표면 조도가 더 낮아서 용제에 의한 층 B 면에서의 부착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튜브 형태로의 가공이 용이해지고, 튜브의 접합부는 우수한 외관을 갖는다. 더욱이, 층 B가 강화 부재로서 작용하는 그러한 필름은, 층 A에 공동이 다수 존재하는 경우에도 유연하여 쉽게 파단되지 않으며, 우수한 열수축성과 장착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술한 2층 구조의 층 A가 층 B가 있는 반대면에 층 C를 더 가짐으로써 B/A/C 구조를 형성하는 3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층 C는 층 A와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원료로 제조될 수 있다.
층 C는 윤활제 미립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 미립자의 예는 층 A와 관련하여 전술한 유기 또는 무기 윤활제 미립자이다. 윤활제 미립자는 라벨인 열수축성 필름과 병 등 사이의 슬립성을 개량하고 마스킹성을 개량하기 위해서 층 C의 폴리에스테르에 0.1∼5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술한 어떤 구조의 경우든 두께가 10∼100 ㎛가 바람직하다. 필름 두께가 100 ㎛ 이상인 경우, 수축이 불균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필름 두께가 10 ㎛ 미만인 경우, 바람직한 백색도 또는 전 광선투과율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7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백색도를 갖는다. 백색도가 70 미만이면, 병 등의 라벨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내용물이 들여다 보이거나 라벨 표면의 인쇄물이 보기 어렵게 되어 제품 외관을 크게 손상시킨다. 백색도는 예를 들면 JIS-L1015-1981-B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 광선투과율이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전 광선투과율이 30% 이상이면, 병 등의 라벨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내용물이 들여다 보이거나, 라벨 표면의 인쇄물이 보기 어렵게 되어 제품 외관을 손상시켜서 바람직하지 않다. 전 광선투과율은 예를 들면 JIS-K7105-1981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95℃ 열풍 중에서 한 방향에서의 열수축율이 30∼90%, 바람직하게는 40∼9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90%이다.
전술한 필름의 한 방향에서의 열수축률이 30∼90%이고 그 방향과 수직 방향에서의 열수축률이 0∼10%, 바람직하게는 0∼5%,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이면, 열수축시 필름의 웨이브 형성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필름이 우수한 외관을 갖는다. 전술한 필름의 수직 방향에서의 열수축률이 10% 이상이면, 변형된 포장 물품의 라벨로서 사용되는 경우 필름에 웨이브가 형성되어 외관을 손상시킨다. 전술한 필름의 두 방향에서의 열수축률이 30% 미만인 경우, 필름을 변형된 포장 물품의 표면에 장착할 때, 포장 물품의 부위별로 필요한 수축을 얻기 어렵다.
전술한 열수축율은 압출법이나 카렌더법 등 임의의 방법으로 형성시켜서 얻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연신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주수축 방향으로 3.0배 내지 7.0배, 바람직하게는 4.4배 내지 6.2배로 연신하고, 그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1.0배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1.1배 내지 1.8배로 연신한다. 주수축 방향으로 상기 연신비로 연신시킴으로써, 필름의 열수축률을 얻을 수 있다. 주수축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연신비로 연신시킴으로써, 주수축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의 내충격성과 내인열성을 개량할 수 있다. 필름을 주수축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2.0배 이상으로 연신하면, 필름의 열수축 시 두 방향간의 열수축율 차가 지나치게 커져, 웨이브가 형성된다. 주수축 방향과 그 수직 방향의 연신 순서는 어느 쪽이 먼저라도 상관없다.
전술한 연신 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롤 연신법, 장주기(long interval) 연신법, 텐터 연신법 등을 응용할 수 있다. 연신하고자 하는 필름의 형태는 판형, 튜브형 등 어느 것이라도 좋다.
비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순차 2축 연신, 동시 2축 연신, 1축 연신 또는 이들의 조합 등으로 연신시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
전술한 연신법에서, 대상물에 따라 열 경화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여름철의 고온 하에서 열수축 필름이 치수 변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30∼150℃의 가열 존을 약 1초에서 30초간 통과시키는 것이 장려된다. 또 필름은 이러한 처리 전 또는 처리 후 또는 양쪽에서 최고 70%까지 연신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 필름은 주수축 방향으로 신장시키고, 주수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는 완화시키되 그 수직 방향으로의 연신은 수행하지 않는 편이 좋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열수축률을 개량하기 위해서, 전술한 연신비를 조절하고, 폴리에스테르의 평균 유리 전이점(Tg) 이상의 온도, 예컨대Tg+80℃ 정도 하에서 예열, 연신한다. "평균 유리 전이점"이란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열가소성 수지 등의 평균 Tg이다. 특히, 주수축 방향 연신을 위한 전술한 예열 온도는 그 주수축 방향과 수직 방향의 열수축률을 억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주수축 방향 연신을 위한 예열 온도를 전술한 범위 내에서 유지함으로써, 수직 방향에서의 열수축율이 80±25℃의 온도 범위에서 최소치(즉, 0)가 되도록 한다. 연신 후, 필름을 신장 또는 긴장 상태로 유지하고 필름에 스트레스를 가하면서 냉각시킨다. 그 후, 계속해서 더 냉각시킴으로써, 열수축 특성을 보다 양호하고 안정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겉보기 비중은 바람직하게는 1.1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95 미만이다. 겉보기 비중이 그 범위에 들도록 함으로써, 그 필름을 PET 병의 라벨로서 사용한 후에 비중 차를 이용하여 PET로부터 분리, 회수하기가 쉬워진다. 겉보기 비중이 1.0을 넘으면, 라벨과 PET에 사용된 분쇄 필름의 혼합물을 수중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기 곤란하다. 겉보기 비중이 1.1을 넘으면, 비중 차를 이용하여 라벨과 PET에 사용된 필름의 혼합물을 분리 및 회수하기가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어도 한 방향으로 5∼50% 열수축된 후의 비중이 1.1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비중은 수축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병 등의 라벨로서 사용된 후 또는 완전 수축 후에 비중이 1.1 미만이기만 하면 된다. 열수축 후 비중이 1.1 미만이면, 병 등의 라벨로서 사용된 후의 본 발명의 필름 혼합물의 분리 및 회수가 쉬워져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한 면 이상의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가 0.5 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μ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μm 이하이다. 한 면 이상의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가 0.5 μm 이상이면, 인쇄를 한 경우의 외관이 불량해진다. 또한, 한 면 이상의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1)는 상기 범위에 들도록 하고, 그 반대면의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2)보다 0.05 μ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μ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μm 이상 큰 것이 좋다. Ra1과 Ra2의 차가 0.05 미만이면, 열수축 중에 포장 물품과 접촉하는 필름 표면과 포장 물품의 표면 사이의 슬립성이 불량해지기 때문에, 그 결과 라벨의 외관과 장착성이 불량해진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하나 이상의 표면에 인쇄물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쇄물은 대상물 등에 따라 반대면 또는 양면에 존재할 수 있다. 인쇄는 어떤 공지의 방법으로 수행해도 좋으며, 그라비아 인쇄, 옵셋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쿠션율이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쿠션율이 10% 이상이면, 라벨로서 사용될 때 병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쿠션율이 10% 미만이면, 병 등의 파손을 방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용제에 의한 부착성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필름의 접합부를 용제(팽윤제 포함)에 의해 부착하고 튜브 형태로 가공하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얻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제에 의한 부착 가능성"이란 후술하는 용제(팽윤제 포함)를 3 g/m의 양의 중첩 폭으로 도포한 후, 고무 롤러를 이용하여 50 m/분으로 가압 부착한 필름을 박리하는 데 필요한 힘(박리 강도)가 200 mN/15 mm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박리 강도의 단위 "mN/15 mm"는 다양한 폭을 가진 필름을 박리하는 데 필요한 힘을 15 mm 폭 당의 값으로 환산한 것이다. 이것은 필름의 폭이 꼭 15 mm이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접합부"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튜브로 가공할 때 부착에 기여하는 부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필름의 단부를 말한다. 전술한 접합부의 부착 폭은 가능한 가장 좁은 폭에서부터 50 mm 이상까지일 수 있으며, 그 폭은 용기의 종류에 따라 적당히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1∼5 mm이다. 접합부의 형태는 단일선 또는 복수선일 수 있다.
용제에 의한 접합부의 부착은 드물게 튜브로의 가공 중에 필름의 접합부에 손상을 초래하기도 하지만, 폴리에스테르의 특성은 유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의 우수한 열수축성, 인쇄성, 외관, 낮은 겉보기 비중, 파손 방지성 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열수축 중의 접합부의 배향도의 감소, 장착 중의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예를 들면, 열처리로 인한 접합부의 백화 및 취성화)을 방지하기 때문에 상당히 유익하다.
전술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는 용해도 파라미터가 8.0∼13.8 범위내인 용제(팽윤제 포함)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제를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합부의 한면 이상에 도포하는 단계, 70℃ 이하의 온도에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부착시키는 단계, 및 부착된 필름을 건조시켜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얻는 단계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용제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물질의 용해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두 성분간의 용해도 파라미터의 차가 작을수록 두성분의 상용성이 더 크다. 용제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예컨대 "용제 핸드북"(일본접착협회편, 일간공업신문사 발행) 등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에 사용된 용제(팽윤제 포함)의 용해도 파라미터는 8.0∼13.8 범위로 하며, 이것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적당한 부착을 실현할 수 있다. 용해도 파라미터가 8.0 미만이면, 필름 접합부의 표면은 용제(팽윤제 포함)의 작용에 의해 용해(또는 팽윤)되지 않아서 부착이 불충분해진다. 용해도 파라미터가 13.8 이상이면, 필름 접합부의 표면은 용제(팽윤제 포함)의 작용에 의해 용해(또는 팽윤)되지 않아서 부착이 불충분해진다.
그러한 용제(팽윤제 포함)에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트리메틸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페놀, m-페놀 등의 페놀류; 벤질 알콜 등의 방향족 알콜; 니트로벤젠 등의 니트로 방향족 탄화수소; 아세토니트릴 등의 지방족 니트릴; n-부틸아민,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지방족 아민; 피리딘, 모르폴린 등의 헤테로시클릭 아민; 아세톤, 메틸에틸 케톤, 메틸이소부틸 케톤 등의 지방족 케톤;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시클로알칸; 1,3-디옥솔란,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의 시클릭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등의 지방족 에스테르; 포름산, 아세트산, 플루오로아세트산 등의 유기산; 황산, 질산 등의 무기산; 이황화탄소 등의 황 유도체가 포함된다. 그러한 용제는 전술한 범위의 용해도 파라미터가 유지되는 한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바람직한 용제는 1,3-디옥솔란(용해도 파라미터: 10.5), 메틸에틸 케톤(용해도 파라미터: 9.3), 1,3-디옥솔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의 9:1(중량비) 용액(용해도 파라미터: 10.4) 등이다.
전술한 건조 단계의 온도는 용제의 비점 등에 따라 적당히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라벨로 붙일 수 있는 포장 대상 물품의 예에는, 용기류[예, 병(PET 병 등의 플라스틱 병 등), 캔류, 트레이류 등], 봉상물(파이프, 봉, 목재 등) 등이 포함된다. 포장 물품은 주원료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함유하는 PET 병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을 라벨로 포함하는 PET 병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필름의 겉보기 비중이 작기 때문에, 사용 후 비중 차를 이용하여 라벨과 PET 병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이 필름은 재활용을 위해 수집된 PET 병의 원료에 소량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도 쉽게 착색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라벨로서 본 발명의 필름을 포함하는 PET 병은 회수가 극히 용이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아무런 제약도 받지 않으며, 그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부"는 "중량부"를, "%"는 "중량%"를 의미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1. 열수축률의 측정
폭이 15 mm인 샘플 필름에 2개의 선(간격 200 mm)을 표시하였다. 그 샘플 필름을 95℃의 열풍(풍속: 10m/분)을 이용하여 1분간 가열하였다. 가열 후, 필름 위의 두 선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열수축율(%)을 하기 식으로 계산하였다.
열수축율(%) = {(가열 전의 선간 거리)-(가열 후의 선간 거리)}/(가열 전의
선간거리) ×100
2.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의 측정
JIS-B0601-1994에 따라, 서프콤 300A형 표면 조도계(도쿄정밀(주) 제조)를 이용하여 촉침경 2 μm, 촉침압 30 mg, 측정압 30 mg, 컷오프 0.8 mg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양 표면의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1, Ra2)를 측정하였다.
3. 백색도의 측정
백색도는 JIS-L1015-1981-B법에 의해 일본전색공업(주) 제품인 Z-1001DP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전 광선투과율의 측정
일본전색공업(주)에서 제조한 NDH-1001DP로써 전 광선투과율을 구하였다.
5. 필름의 겉보기 비중의 측정
상기 1의 조건으로 열수축 전 및 열수축 후의 필름을 10×10 mm 크기로 절단하여 샘플을 얻었다. 물, 에탄올 및 염화칼륨 또는 브롬화칼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0.75 g/cm3에서 1.4 g/cm3의 다양한 비중을 가진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용액에 절단 필름을 넣어, 밸런스를 이룬 곳을 그 샘플의 비중으로 하였다.
6. 용제에 의한 필름 부착성의 평가
메틸에틸 케톤(용해도 파라미터, 9.3)(용제 A) 및 1,3-디옥솔란과 테트라히드로푸란을 9: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액(용제 B)을 필름의 접합부에 도포하고, 필름 표면이 건조되기 전에 즉시 접합부를 중첩시키고, 부착용 고무 롤러로 가압하여 필름을 튜브로 가공함으로써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얻었다. 가공 속도는 50 m/분이었다.
튜브의 접합부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외관이 깨끗하면 ○, 외관 불량 및/또는 부착 실패의 경우는 ×로 평가하였다.
용제에 의한 접합부의 부착성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를 위해서, 전술한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폭 15 mm로 가공하면서 기계 방향(튜브의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여 접합부가 있는 샘플(폭 15 mm, 길이 120 mm)을 얻었다. 그 샘플을 샘플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향해 인장시험기(도요 발드윈(주) 제조; STM-T)를 이용하여 연신시키고, 접합부를 박리하는 데 필요한 스트레스(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7. 수축 마무리성의 평가
인쇄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절단하고 상기 6의 방법으로 가공하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얻었다. 이 튜브를 PET 병(500 ml) 을 둘러싸도록 장착하여 95℃ 열풍(풍속 10 m/초)의 열수축 터널을 통과시켜, 라벨로 둘러싸인 PET 병을 얻었다. 마무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5 등급으로 판정하였다. 5: 마무리성 최량, 4: 마무리성 양호, 3: 수축 불균일 조금 있음(2개소 이내), 2: 수축 불균일 있음(3∼6개소), 1: 수축 불균일 많음(6개소 이상)으로 하여 4 이상을 합격등급으로 하였다.
8. 필름의 인쇄 얼룩의 평가
열수축성 필름에 그라비아 인쇄를 하고, 상기 7과 동일한 방법으로 95℃의 열수축 터널(풍속 10 m/분)을 통과시켜 수축시켰다. 열수축 후 필름 표면의 인쇄 얼룩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인쇄 불균일이 없으면 ○, 인쇄 불균일이 있으면 ×로 판정하였다.
9. 필름 기공률의 평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각 층의 기공률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필름의 일부를 주수축 방향과 평행하게 절단하고, 주사 전자 현미경(히타치(주) 제품, S-510)으로 1000배 확대하여 사진을 찍었다. 이 사진으로부터, 필름의 횡단면적에 대한 공동의 횡단면적의 비를 구하여 그 값을 기공률(%)로 하였다.
10. 라벨의 마스킹성의 평가
상기 7에서 얻은 라벨을 포함하는 PET 병(500 ㎖)에 오렌지 쥬스를 채웠다. 라벨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그 안에 들어 있는 오렌지 쥬스가 보이지 않거나 잘 보이지 않을 때는 라벨을 마스킹성 우수(○)라 평가하고, 그것이 들여다 보일 때는 마스킹성 불량(×)이라고 평가하였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폴리에스테르는 하기 조성을 갖는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I) 테레프탈산/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 = 100/60/40(몰비)
(폴리에스테르 II) 테레프탈산/에틸렌글리콜/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00/60/40(몰비)
실시예 1
A층의 원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고유 점도 0.75 dl/g; 35 중량%);
폴리에스테르 I(45 중량%);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FO-50F, (주)그랜드폴리머 제조; 10 중량%);
이산화티탄(TA-300 후지티탄(주) 제조; 10 중량%)
B층의 원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고유 점도 0.75 dl/g; 40 중량%);
폴리에스테르 II(60 중량%)
전술한 두 종류의 원료를 각각 별도의 2축 스크류 압출기에 투입하여, 혼합, 용융하고 피드 블록으로 접합한 다음, T-다이로부터 285℃로 용융 압출하고, 정전기적으로 냉각 회전 롤에 밀착, 냉각시켜서, 두께 180 μm(층 B/층 A=15 μm/165 μm)의 비연신 필름을 얻었다. 그 비연신 필름을 롤 연신기를 이용하여 주수축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110℃에서 1.2배 연신하고, 텐터 연신기로 주수축 방향으로 70℃에서 5.0배 연신한 다음, 70℃에서 주수축 방향으로 약 1% 신장하에 냉각시켜서, 두께 40 μm의 본 발명의 열수축성 필름을 얻었다.
상기 필름의 층 B에 그라비아 인쇄를 하였다. 이어서, 1,3-디옥솔란과 테트라히드로푸란을 9: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액을 그 필름의 접합부에 도포하고, 필름 표면이 건조되기 전에 필름을 중첩, 부착시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얻었다. 가공 속도는 50 m/분이었다.
얻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PET 병(500 ml)에 장착하고, 95℃ 열풍(풍속 10 m/초)의 열수축 터널을 통과시켜서 PET 병에 부착시켰다.
실시예 2
층 A 원료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고유 점도 0.75 dl/g; 30 중량%); 폴리에스테르 II(40 중량%); 및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FO-50F; 그랜드폴리머(주) 제조; 20 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두께: 40 μm)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PET 병에 부착시켰다.
실시예 3
층 A 원료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고유 점도 0.75 dl/g; 40 중량%); 층 B 원료를, 폴리에스테르 II(50 중량%); 및 이산화티탄(TA-300; 후지티탄(주) 제조; 10 중량%)로 하고, 층 B 원료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고유 점도 0.75 dl/g; 4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II(60 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PET 병에 부착시켰다.
비교예 1
층 A 원료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고유 점도 0.75 dl/g; 40 중량%); 및 폴리에스테르 I(60 중량%)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튜브를 PET 병에 부착시켰다.
비교예 2
층 A의 원료를,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FO-50F; (주) 그랜드폴리머 제조; 90 중량%) 및 이산화티탄(TA-300; 후지티탄(주) 제조; 10 중량%)로 하고, 층 B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의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필름으로부터 튜브를 얻었다. 이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튜브를 PET 병에 부착시켰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1에 요약한다.
특성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1. 열수축율(%)(주수축방향/수직방향) 55/1 57/2 54/1 50/2 3/2
2. 중심선 평균 표면 조도(Ra2/Ra1) 0.35/0.10 0.40/0.11 0.15/0.09 0.04/0.05 0.30/0.32
3. 백색도 81 85 71 12 74
4. 전 광선투과율(%) 20 14 25 81 21
5. 겉보기 비중(-)(수축전/수축후) 1.10/1.15 0.90/0.96 1.35/1.36 1.36/1.36 0.95/1.02
6. 용제에 의한 부착성(육안관찰) ×
7. 용제에 의한 부착성(박리강도, mN/15mm) 530 420 610 590 측정불능(부착불능)
8. 수축 마무리 5 5 5 5 1
9. 인쇄 얼룩 ×
10. 기공률(%)(층 A/층 B) 13/0 33/0 1/0 0/0 30/24
11. 마스킹성 ×
실시예 1, 2 및 3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외관이 우수하였다. 라벨로서 실시예 1, 2 및 3의 필름을 포함하는 PET 병은 라벨의 외관 및 장착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이에 반해, 비교예 1 및 2의 필름은 어느 것도 본 발명의 제특성을 만족하는 것이 없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합한 열수축성과, 우수한 인쇄성과, 용제에 의한 부착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포장용(예를 들면, 피복용, 결속용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우수한 외관과 우수한 장착성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겉보기 비중이 작고, 병(예, PET 병)의 라벨로서 사용되는 경우 병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수집된다.
즉, 본 발명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광범위한 분야에 이용될 수 있는 포장재로서 우수하고 상당히 유리하다.

Claims (21)

  1. 백색도가 70 이상이고, 용제로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공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은 비상용성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를 필름으로 형성시키고 그 필름을 적어도 단축으로 연신시킴으로써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2항에 있어서, 다수의 미세 공동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층(층 A)과 층 A보다 기공률이 작고 층 A의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되어 있는 폴리에스테르 층(층 B)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층 A는 기공률이 5∼50%인 다공성 폴리에스테르 층이고 상기 층 B는 기공률이 0∼20%인 것이 특징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층 B와 접촉하고 있는 면과 반대쪽의 층 A의 표면에기공률이 0∼50%인 폴리에스테르 층(층 C)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가 0.5 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전 광선투과율이 30% 이하이고, 95℃ 열풍 속에서의 열수축률이 어느 한 방향으로 3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상기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에서의 열수축률이 0∼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7항에 있어서, 한 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Ra1)가 0.5 μm 이하이고 반대면의 중심선 평균 조도(Ra2)가 Ra1보다 0.05 μm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평균 입경이 0.001∼5.0 μm인 유기 또는 무기 윤활제 미립자를 0.01∼30 중량%의 비율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층 A는 평균 입경이 0.001∼5.0 μm인 유기 또는 무기 윤활제 미립자를 0.01∼30 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겉보기 비중이 1.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 5∼50% 열수축시킨 후의 겉보기 비중이 1.1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성분으로서 네오펜틸글리콜 잔기 및 시클로헥산디메탄올 잔기에서 선택된 하나의 잔기를 1종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제1항에 있어서, 필름 두께가 10∼1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7. 제4항에 있어서, 층 B에 대한 층 A의 두께 비가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면에 인쇄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9. 제1항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용제로 부착시켜서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
  20. 제1항에 기재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1. 제1항에 기재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합부의 적어도 한 면에 용해도 파라미터가 8.0∼13.8의 범위 내에 있는 용제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제를 도포하고,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합부를 70℃ 이하의 온도로 부착시킨 다음, 부착된 필름을 건조시켜 튜브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튜브의 제조 방법.
KR1020010066293A 2001-10-26 2001-10-26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828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293A KR100828524B1 (ko) 2001-10-26 2001-10-26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293A KR100828524B1 (ko) 2001-10-26 2001-10-26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628A true KR20030034628A (ko) 2003-05-09
KR100828524B1 KR100828524B1 (ko) 2008-05-13

Family

ID=3741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293A KR100828524B1 (ko) 2001-10-26 2001-10-26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5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194B1 (ko) * 2001-11-02 2004-08-0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15093799A (zh) * 2022-06-01 2022-09-23 江苏伊诺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可塑性可再生硅胶保护膜制造工艺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8615B2 (ja) * 1992-06-01 1996-06-19 東洋紡績株式会社 空洞含有フィルム
JP3509079B2 (ja) * 1993-08-09 2004-03-22 東洋紡績株式会社 空洞含有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TWI249548B (en) * 1998-12-08 2006-02-21 Toyo Boseki Void-containing polyester-based film
KR100503991B1 (ko) * 1999-10-08 2005-07-2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194B1 (ko) * 2001-11-02 2004-08-0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N115093799A (zh) * 2022-06-01 2022-09-23 江苏伊诺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可塑性可再生硅胶保护膜制造工艺
CN115093799B (zh) * 2022-06-01 2023-08-04 江苏伊诺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可塑性可再生硅胶保护膜制造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8524B1 (ko) 2008-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0085B2 (en) Heat shrinkable polyester film
KR101491876B1 (ko) 백색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백색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 라벨, 및 포장체
KR101689417B1 (ko) 공동 함유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EP2008811B1 (en) Shrink film
JP5577601B2 (ja) 白色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5604823B2 (ja) 空洞含有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585735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5761281B2 (ja) 白色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白色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包装体
EP1304219B1 (en) Heat shrinkable polyester film
KR100828524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1219522A (ja) ポリ乳酸系積層2軸延伸フィルム
JP2022062054A (ja) 熱収縮性ラベル用溶剤組成物、および熱収縮性ラベルの製造方法
JP5637272B2 (ja) ラベル
JP2009173041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熱収縮性チューブ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ラベルとそれを装着した容器
JP5200519B2 (ja) 包装体
JP2005068392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908717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4636067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8922481A (zh) 聚丙烯系热收缩性薄膜
JPS6232028A (ja) ポリエステル系チュ−ブを製造する方法
JP2006297708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ラベル
KR20230079116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JP4867985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JP2006265464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ラベル
JPS6292826A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チュ−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