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3339A -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3339A
KR20030033339A KR1020010065071A KR20010065071A KR20030033339A KR 20030033339 A KR20030033339 A KR 20030033339A KR 1020010065071 A KR1020010065071 A KR 1020010065071A KR 20010065071 A KR20010065071 A KR 20010065071A KR 20030033339 A KR20030033339 A KR 20030033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evel
digital value
voltage leve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형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5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3339A/ko
Publication of KR20030033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3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수개의 버튼 스위치를 하나의 입력포트를 통해 병렬 연결하고, 각 버튼 스위치에 따른 검출 전압을 상이하게 검출함으로써 한정된 H8 프로세서의 입력포트를 부가되는 장치에 할당할 수 있도록 한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이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다중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전압 레벨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전압 레벨 신호를 단일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해당 전압 레벨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H8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전자 기기등에 응용됨

Description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of multi-signal,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버튼을 하나의 입력포트를 통해 병렬 연결하고, 각 버튼에 따른 검출 전압을 상이하게 검출함으로써 한정된 H8 프로세서의 입력포트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는 입력 장치로 키보드 및 마우스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보통 키 보드는 서로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하이 신호가 H8 프로세서의 특정 입력포트로 입력되어, 상기 H8 프로세서는 입력된 신호에 의한 기능을 수행토록 제어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신호 인식 장치에 대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인식 장치는, 다수 개의 버튼 스위치(10 내지 30)와, 상기 버튼 스위치(10 내지 30)에 대응되는 각각의 입력포트(P1.P2.P3)를 갖는 H8 프로세서(40)를 포함한다.
하나의 버튼 스위치를 예를들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자가 제1 버튼 스위치(10)를 눌렀을 경우, 제1 버튼 스위치(10)는 온 상태로 스위칭 되어 대응되는 H8 프로세서(40)의 입력포트(P1)는 로우 상태에서 하이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상기 H8 프로세서(40)는 입력포트(P1)를 통해 입력된신호를 검출하여 제1 버튼 스위치(10)에 해당하는 장치의 제어를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H8 프로세서는 버튼 스위치를 모두 수용하기 위해서는 버튼 수에 대응되는 입력포트수를 구비해야 함으로, 다른 장치를 부가할 경우에는 대응되는 H8 프로세서의 입력포트가 없어 결국, 입력포트수가 확장된 H8 프로세서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버튼 스위치를 하나의 입력포트를 통해 병렬 연결하고, 각 버튼 스위치에 따른 검출 전압을 상이하게 검출함으로써 한정된 H8 프로세서의 입력포트를 부가되는 장치에 할당할 수 있도록 한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신호 인식 장치에 대한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신호 인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회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신호 인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20,140 : 버튼 스위치
200 : 전압 레벨 검출부 300 : H8 프로세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다중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전압 레벨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전압 레벨 신호를 단일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해당 전압 레벨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다중 신호 인식 장치에 적용되는 다중 신호 인식방법에 있어서, 스위칭 동작으로 검출된 전압의 레벨 값을 검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검출된 전압의 레벨 값을 단일의 입력포트로 입력받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변환된 디지털 값에 대응되는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신호 인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중 신호 인식 장치는, 제1 내지 제3 버튼 스위치(100,120,140), 전압 레벨 검출부(200) 및 H-8 프로세서(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버튼 스위치(100,120.140)의 입력단에는 저항(R1 내지 R4)과 전원(V1)이 접속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버튼 스위치(100,120,140)는 병렬로 접속되어 전압 레벨 검출부(200)에 연결되고, 상기 전압 레벨 검출부(200)는 단일의 신호선을 통해 H8 프로세서(300)의 입력포트(P1.P2,P3)중 제2 입력포트(P2)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제1 버튼 스위치(100)를 누르면, 상기 제1 버튼 스위치(100)는 온 상태로 스위칭되어 저항(R1,R4)에 의해 강하된 출력 전압(Vout1)이 전압 레벨 검출부(200)로 입력된다.
이때, 전압 레벨 검출부(200)에 입력된 전압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1 버튼 스위치의 출력 접압(Vout1) = (R4/R1+R4)*V1
따라서, 상기 전압 레벨 검출부(200)는 입력된 출력 전압(Vout1)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 레벨을 H8 프로세서(300)의 제2 입력포트(P2)에 인가한다,
이때, H8 프로세서(300)는 제2 입력포트(P2)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레벨 전압을 내장한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 하는데,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1V일 경우에는 "00H"의 값을 입력받는다.
따라서, 상기 H8 프로세서(300)는 제2 입력포트(P2)로 입력되는 "OOH"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1 버튼 스위치(100)가 오디오 볼륨 소거를 위한 버튼일 경우에는 상기 H8 프로세서(300)는 오디오 볼률을 뮤트를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2 버튼 스위치(120)를 누르면, 상기 제2 버튼 스위치(120)는 온 상태로 스위칭되어 저항(R1,R2,R4)에 의해 강하된 출력 전압(Vout2)이 전압 레벨 검출부(200)로 입력된다.
이때, 전압 레벨 검출부(200)에 입력된 전압은 하기의 (수학식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2 버튼 스위치의 출력 접압(Vout2) = (R4/R1+R2+R4)*V1
따라서, 상기 전압 레벨 검출부(200)는 출력 접압(Vout2)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압의 레벨을 H8 프로세서(300)의 제2 입력포트(P2)를 통해 인가한다, 이때, H8 프로세서(300)는 제2 입력포트(P2)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레벨 전압을 내장된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 한후 읽는데, 상기 레벨 전압이 3V일 경우에는 "88H"의 값을 입력 받는다.
따라서, 상기 H8 프로세서(300)는 제2 입력포트(P2)로 입력되는 "88H"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2 버튼 스위치(120)가 오디오 볼륨 상승을 위한 버튼일 경우에는 상기 H8 프로세서(300)는 오디오 볼륨을 업(Up)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3 버튼 스위치(140)를 누르면, 상기 제3 버튼 스위치(140)는 온 상태로 스위칭되어 저항(R1,R2,R3,R4)에 의해 강하된 출력 전압(Vout3)이 전압 레벨 검출부(200)로 입력된다.
이때, 전압 레벨 검출부(200)에 입력된 전압은 하기의 (수학식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제3 버튼 스위치의 출력 접압(Vout3) = (R4/R1+R2+R3+R4)*V1
따라서, 상기 전압 레벨 검출부(200)는 검출된 전압(Vout3)의 레벨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전압의 레벨을 H8 프로세서(300)의 제2 입력포트(P2)를 통해 인가한다, 이때, H8 프로세서(300)는 제2 입력포트(P2)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레벨 전압을 내장된 A/D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화 한후 읽는데, 상기 레벨 전압이 5V일 경우에는 "0FFH"의 값을 입력 받는다.
따라서, 상기 H8 프로세서(300)는 제2 입력포트(P2)로 입력되는 "0FFH"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3 버튼 스위치(140)가 오디오 볼륨을 줄이기 위한 버튼일 경우에는 상기 H8 프로세서(300)는 제3 버튼 스위치(140)가 온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오디오 볼륨을 다운(Down)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신호 인식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스위치가 눌러져 입력되는 전압의 레벨을 측정하고(S301), 상기 측정된 접압 레벨을 디지털 값으로 입력받아, 해당 디지털 값을 읽는다(S302). 그리고, 상기 읽은 디지털 값이 전압 레벨 1V에 해당하는 "00H" 인지를 판단한다(S302).
상기 과정(S302)에서 판단 결과, 읽은 디지털 값이 전압 레벨 1V에 해당하는 "00H"일 경우에는 오디오 볼륨을 뮤트를 수행후 본 루프를 종료하며(S304), 읽은 디지털 값이 전압 레벨 1V에 해당하는 "00H"가 아닐 경우에는 디지털 값이 전압 레벨 3V에 해당하는 "88H" 인지를 판단한다(S305).
상기 과정(S305)에서 판단 결과, 읽은 디지털 값이 전압 레벨 3V에 해당하는 "88H"일 경우에는 오디오 볼륨의 상승시키고 본 루프를 종료하며(S306), 읽은 디지털 값이 전압 레벨 3V에 해당하는 "88H"가 아닐 경우에는 디지털 값이 전압 레벨 5V에 해당하는 "0FFH" 인지를 판단한다(S307).
상기 과정(S307)에서 판단 결과, 읽은 디지털 값이 전압 레벨 5V에 해당하는 "0FFH"일 경우에는 오디오 볼륨의 다운을 수행 후 본 루프를 종료하며(S308), 읽은디지털 값이 전압 레벨 5V에 해당하는 "0FFH"가 아닐 경우에는 본 루프를 종료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은 다수개의 버튼 스위치를 하나의 입력포트를 통해 병렬 연결하고, 각 버튼 스위치에 따른 검출 전압을 상이하게 검출함으로써 한정된 H8 프로세서의 입력포트를 부가되는 장치에 할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입력포트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다중 신호를 인식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전압 레벨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입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전압 레벨 신호를 단일의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받아 해당 전압 레벨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다중 신호 인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상이한 전압값을 출력하는 다수의 스위치 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각각 전압값의 레벨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전압 레벨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전압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신호 인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입력되는 레벨 신호를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 변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 값에 대등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다중 신호 인식 장치.
  4. 다중 신호 인식 장치에 적용되는 다중 신호 인식 방법에 있어서,
    스위칭 동작으로 검출된 전압의 레벨 값을 검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검출된 전압의 레벨 값을 단일의 입력포트로 입력받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에서 변환된 디지털 값에 대응되는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신호 인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상기 스위칭 동작에 의해 각기 상이한 전압 값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압 값에 대등되는 레벨 값으로 바꾸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전압의 레벨값 검출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신호 인식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변환된 디지털 값이 1V에 해당하는 "00H"일 경우에는 오디오의 볼륨이 뮤트되도록 제어하고, 변환된 디지털 값이 3V에 해당하는 "88H"일 경우에는 오디오의 볼륨이 상승되도록 제어하며, 변환된 디지털 값이 5V에 해당하는 "0FFH"일 경우에는 오디오의 볼륨을 줄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신호 인식 방법
KR1020010065071A 2001-10-22 2001-10-22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333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071A KR20030033339A (ko) 2001-10-22 2001-10-22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071A KR20030033339A (ko) 2001-10-22 2001-10-22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339A true KR20030033339A (ko) 2003-05-01

Family

ID=2956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071A KR20030033339A (ko) 2001-10-22 2001-10-22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33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591A1 (ko) * 2013-04-30 2014-11-06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키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키보드
KR20170067392A (ko) * 2015-12-08 2017-06-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가산 회로를 이용한 멀티 버튼 인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251U (ko) * 1994-07-07 1996-02-16 김문숙 개폐식 홈통 배수구
KR970007585A (ko) * 1995-07-20 1997-02-21 김희수 키 매트릭스 회로 및 그 키 인식방법
KR19980036186A (ko) * 1996-11-16 1998-08-05 박병재 다수 스위치의 와이어링 구조
JPH11242552A (ja) * 1998-02-26 1999-09-07 Sanyo Electric Co Ltd キー入力装置
KR20000060561A (ko) * 1999-03-17 2000-10-16 김충환 키인식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251U (ko) * 1994-07-07 1996-02-16 김문숙 개폐식 홈통 배수구
KR970007585A (ko) * 1995-07-20 1997-02-21 김희수 키 매트릭스 회로 및 그 키 인식방법
KR19980036186A (ko) * 1996-11-16 1998-08-05 박병재 다수 스위치의 와이어링 구조
JPH11242552A (ja) * 1998-02-26 1999-09-07 Sanyo Electric Co Ltd キー入力装置
KR20000060561A (ko) * 1999-03-17 2000-10-16 김충환 키인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78591A1 (ko) * 2013-04-30 2014-11-06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키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키보드
KR20170067392A (ko) * 2015-12-08 2017-06-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가산 회로를 이용한 멀티 버튼 인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6848A (zh) 应用程序切换方法及系统
KR20030033339A (ko) 다중 신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JPH11119882A (ja) キー入力装置
KR19990077025A (ko) 상태 정보를 갖는 스위치 모드 전원
KR100687225B1 (ko) 다수의 키가 요구되는 단말기에서의 키인식 정확도 향상장치 및 그 방법
KR100424470B1 (ko)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
KR100736469B1 (ko) 다기능 연결 단자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5000078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유에스비 호스트/슬레이브 설정 장치
JP7032181B2 (ja) 情報処理装置
KR2006009792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키 독립 백라이트 장치 및 방법
KR100524759B1 (ko) 양면 키보드를 채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모드자동변환장치 및 방법
JP2001147749A (ja) 電子装置
JPS62144220A (ja) 静電容量式キ−ボ−ドスイツチ
JP2005149223A (ja) ボタン押下検出装置
KR100538609B1 (ko) 다차원 키 입력 회로 및 그 구현 방법
KR100365855B1 (ko) 감압센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방향키 제어장치 및방법
KR0169623B1 (ko) 펜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시스템의 배터리 잔류전원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0219623B1 (ko) 향상된 키 마진율을 갖는 키 스캔 장치 및 그에 따른 키 인식방법
KR20000046817A (ko) 아날로그/디지털 인터페이스 회로
KR100299036B1 (ko) 다채널펄스부호변조신호변환장치
JPS61264870A (ja) 映像変換装置における同期切換装置
KR20070013145A (ko) 키 인식이 개선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8867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50120505A (ko) 거리 센서를 이용한 조그다이얼형 방향 버튼 제어 장치와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98441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어폰 겸용 리모콘 인터페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