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749A -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749A
KR20030031749A KR1020010063626A KR20010063626A KR20030031749A KR 20030031749 A KR20030031749 A KR 20030031749A KR 1020010063626 A KR1020010063626 A KR 1020010063626A KR 20010063626 A KR20010063626 A KR 20010063626A KR 20030031749 A KR20030031749 A KR 20030031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dash panel
vehicle crash
pedal
s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1749A/ko
Publication of KR2003003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74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0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detecting bag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3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등과 같은 사고시에 차량의 페달에 의해 운전자의 발목이나 정강이가 상해를 입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페달이 고정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페달암의 반대편에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돌기부와, 대쉬판넬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상기 회전돌기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된 가압수단으로 구성된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를 제공하여,
차량이 충돌사고에 의해 엔진룸의 심한 등으로, 사고시에 각종 페달이 운전자의 발목이나 정강이를 상해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A PREVENTING DEVICE OF SHIN INJURY ON CAR CRASH}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 등과 같은 사고시에 차량의 브레이크페달 등 각종 페달에 의해 운전자의 발목이나 정강이가 상해를 입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속페달이나 클러치페달에도 사용될 수 있는 사상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브레이크페달을 예로 들어 기술하기로 한다.
브레이크페달(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의 크래쉬패드(C) 하측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운전자가 발로 이를 조작함에 의해 차속을 낮추고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페달(100)의 구체적인 설치상태는 통상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쉬판넬(102)에 마운팅브라켓(104)을 통하여 힌지축(106)을 형성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브레이크페달(100)이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페달(100)에는 작동로드(108)가 연결되어 있어서, 마스터실린더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100)을 밟으면 상기 힌지축(106)을 회전축으로 하여 브레이크페달(100)이 회동되고, 이때 여기에 연결된 작동로드(108)가 직선운동하면서 마스터실린더에서 제동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브레이크페달(100)은 차량의 충돌사고시에는 운전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위험물로서 작용되는 경우가 많은바, 이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에 운전자는 통상 브레이크페달(100)에 급히 발을 올려 제동을 하려고 하는데, 이때 충돌에 의해 차량이 변형되면서 엔진룸이 심하게 변형되면서 엔진 등이 뒤로 물러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쉬판넬(102)이 승객실쪽으로 밀리게 되고 동시에 브레이크부스터 및 마스터실린더도 승객실쪽으로 침입하게 되는데, 이 경우 브레이크페달(100)은 운전자의 발을 뒤로 밀면서 동시에 상방으로 치켜올려지게 되어 운전자의 발목이나 정강이에 큰 부상을 야기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충돌사고에 의해 엔진룸의 심한 변형으로 엔진 등이 뒤로 물러나 브레이크페달 등 각종 페달이 운전석을 침범하여 운전자의 발목이나 정강이를 상해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브레이크페달이 차내에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브레이크페달의 설치상태 및 충돌사고시의 거동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1,31; 페달1-2,22,32; 회전돌기부
3; 힌지축5,25,35; 대쉬판넬
7,23,33; 브라켓9,24,34; 강도약화부
11; 가압돌기20; 스프링
27,38; 가압로드28; 가이드브라켓
29; 부트36; 가압브라켓
37; 가압파이프39; 인플레이터
40; 에어백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는 페달이 고정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페달암의 반대편에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돌기부와, 대쉬판넬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상기 회전돌기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된 가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페달(1)이 고정된 힌지축(3)을 기준으로 페달암(1-1)의 반대편에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돌기부(1-2)와, 대쉬판넬(5)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상기 회전돌기부(1-2)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된 가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페달의 힌지축(3)을 고정하도록 대쉬판넬(5)에 설치되는 브라켓(7)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강도약화부(9)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가압수단은 대쉬판넬(5)에 상기 회전돌기부(1-2)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가압돌기(11)로 구성하였는바, 상기한 바와 같은 가압돌기(11)는 엔진룸이 붕괴되면서 엔진이 뒤로 밀려날 때 대쉬판넬(5)의 운전석쪽의 이동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돌기부(1-2)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차량이 충돌하여 엔진룸이 변형됨에 의해 엔진 및 변속기 등 중량물이 운전석쪽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대쉬판넬(5)을 변형시키면, 상기 대쉬판넬(5)에 고정되어 있는 가압돌기(11)는 상기 페달(1)의 회전돌기부(1-2)를 가압하여 페달은 그 힌지축(3)을 회전축으로 하여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향하여 운전자의 하체에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브라켓(7)의 강도약화부(9)에서는 변형이 발생하면서 페달(1)의 힌지축(3) 자체가 후방으로 물러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페달(21)에는 회전돌기부(22)를 구비하고 브라켓(23)에는 강도약화부(2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돌기부(22)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은 대쉬판넬(25)에 형성된 가압구멍(26)과, 상기 가압구멍(26)에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대쉬판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로드(27)와, 상기 가압로드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대쉬판넬(25)에 고정된 가이드브라켓(28)과, 상기 가압로드의 엔진룸쪽 단부를 지지하며 변형이 용이하도록 된 부트(29)와, 상기 가압로드를 상기 부트쪽으로 밀착시키는 상태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부트(29)는 통상 고무재질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여 엔진룸쪽에서 밀려오는 중량물에 의해 쉽게 변형되면서 상기 가압로드(27)에 중량물의 이동에너지를 손쉽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차량의 충돌에 의해 중량물이 운전석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부트(29)를 밀면, 그 힘은 그대로 상기 가압로드(27)에 전달되어 가압로드(27)가 직선이동하여 상기 회전돌기부(22)를 가압하여 페달(2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향되게 하는 것이다.
본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보다 유리한 점은 제1실시예에서는 대쉬판넬 자체의 변형이 있어야 페달의 페달암이 하향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데에 비하여 제2실시예에서는 대쉬판넬 자체의 변형 이전에 미리 페달암이 하강하도록 하는 회전력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다음,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가 도시된 바, 페달(31)에는 회전돌기부(32)를 구비하고 브라켓(33)에는 강도약화부(3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돌기부(32)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은 대쉬판넬(35)에 고정된 가압브라켓(36)과, 길이방향이 상기 회전돌기부(32)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브라켓(36)에 고정된 가압파이프(37)와, 상기 가압파이프(37)에 삽입된 가압로드(38)와, 상기 가압파이프(38)의 내부에 설치된 인플레이터(39)와, 에어백센서(40)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39)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30)로 구성되었다.
즉, 에어백의 작동조건이 되면 본 장치가 작동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30)는 에어백컨트롤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의 작용을 살펴보면, 차량의 충돌상태가 감지되어 에어백센서(40)가 이를 감지하면, 상기 컨트롤러(30)는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 상기 가압파이프(37) 내부의 인플레이터(39)를 작동시키는바, 상기 인플레이터(39)는 순간적으로 폭발하여 팽창하면서 상기 가압로드(38)에 추진력을 주게 되고, 이렇게 추진력을 받은 가압로드(38)는 상기 가압파이프(37)의 가이드를 받으며 이동하여 상기 회전돌기부(32)를 가압함으로써, 페달(31)이 그 힌지축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그 페달암을 하향시켜 운전자와의 접촉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는 상기한 제1,2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빠른 응답성을 가질 수 있는바, 엔진룸과 대쉬판넬의 변형이 상기 가압로드(38)에 이르기 전에 가압로드에 추진력을 주어 상기한 바와 같이 페달암을 하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충돌사고에 의해 엔진룸의 심한 변형으로 엔진 등이 뒤로 물러나 브레이크페달 등 각종 페달이 운전석을 침범하여 운전자의 발목이나 정강이를 상해하게 되는 것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Claims (5)

  1. 페달이 고정된 힌지축을 기준으로 페달암의 반대편에 돌출되어 형성된 회전돌기부와;
    대쉬판넬에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 상기 회전돌기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된 가압수단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의 힌지축을 고정하는 브라켓에는 강도약화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대쉬판넬에 상기 회전돌기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가압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대쉬판넬에 형성된 가압구멍과,
    상기 가압구멍에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대쉬판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가압로드와,
    상기 가압로드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대쉬판넬에 고정된 가이드브라켓과,
    상기 가압로드의 엔진룸쪽 단부를 지지하며 변형이 용이하도록 된 부트와, 상기 가압로드를 상기 부트쪽으로 밀착시키는 상태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대쉬판넬에 고정된 가압브라켓과,
    길이방향이 상기 회전돌기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브라켓에 고정된 가압파이프와,
    상기 가압파이프에 삽입된 가압로드와,
    상기 가압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상기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KR1020010063626A 2001-10-16 2001-10-16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KR20030031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626A KR20030031749A (ko) 2001-10-16 2001-10-16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626A KR20030031749A (ko) 2001-10-16 2001-10-16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749A true KR20030031749A (ko) 2003-04-23

Family

ID=2956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626A KR20030031749A (ko) 2001-10-16 2001-10-16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17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1659B2 (en) Driver leg safeguard structure in automobile
KR100391674B1 (ko)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KR20030031749A (ko) 차량충돌시 운전자 정강이 상해 방지장치
JP2003502762A (ja) 自動車用操作装置
KR100600198B1 (ko)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밀림 방지 장치
JP2002528320A (ja) 自動車の少なくとも1個の電気機械式運転装置を制御する装置
WO1999060457A1 (en) A foot pedal arrangement
KR100580508B1 (ko) 운전자 보호장치
KR100387870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CN110654342A (zh) 用于触发车辆中的乘员保护机构的方法
KR100527735B1 (ko)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KR100197883B1 (ko) 충돌 사전 감지 및 시트 자동 후진 장치
KR20080053619A (ko) 브레이크 페달 밀림방지장치
KR100489079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JP3224952U (ja) 踏み間違いによる急加速防止装置
KR100839441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페달 장치
KR101000189B1 (ko) 운전자 보호장치
KR100527734B1 (ko)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KR0122063Y1 (ko) 자동차의 2차 추돌사고 방지장치
KR20040029747A (ko) 브레이크 페달의 상해방지장치
KR20030079010A (ko) 운전자의 보호장치
KR20010000866U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 장착구조
KR20050049091A (ko) 운전자 보호장치
KR101020971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
KR100401884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에서의 브레이크페달조작감향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