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0500A - 전자식 연료펌프 - Google Patents

전자식 연료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0500A
KR20030030500A KR1020010062665A KR20010062665A KR20030030500A KR 20030030500 A KR20030030500 A KR 20030030500A KR 1020010062665 A KR1020010062665 A KR 1020010062665A KR 20010062665 A KR20010062665 A KR 20010062665A KR 20030030500 A KR20030030500 A KR 20030030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fuel pump
gap
auxiliary w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라세세이지
장진욱
박상준
Original Assignee
현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담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담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2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0500A/ko
Publication of KR20030030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205Conventional flow pattern
    • F04D29/2222Construction and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연료펌프에 관한 것이다. 이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그 내부에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며 유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임펠러케이싱을 포함하는 전자식 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날개가 구비되고 양측면은 임펠러케이싱과 일정간격의 틈새를 이루는 원판형 임펠러로서 적어도 한쪽면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한 유체가 상기 틈새를 통해 구동축측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한 다수의 보조날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자식 연료펌프는, 임펠러케이싱의 챔버내에 유입된 연료가 임펠러와 임펠러케이싱간의 틈새를 통해 흘러나가는 것을 막음은 물론 오히려 연료를 상기 챔버로 되돌려 보내므로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펌핑량이 정확하고 펌핑효율이 높다.

Description

전자식 연료펌프{Electric fuel pump}
본 발명은 전자식 연료펌프(Electric fuel pump)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료펌프내의 임펠러와 임펠러케이싱 사이를 통한 연료누설을 방지하여 결과적으로 연료의 펌핑효율이 높도록 구성한 전자식 연료펌프에 관한 것이다.
연료펌프는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펌핑하여 연료공급계통에 보내는 장치로서 기계식펌프와 전자식펌프가 있다.
상기 전자식 펌프는 그 내부에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하는 임펠러를 갖는다.
도 1에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식 연료펌프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전자식 연료펌프(10)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13)와, 상기 모터(13)의 구동축(16)에 고정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22)와, 상기 임펠러(22)를 내부에 수용하며 하우징(11)에 지지되는 임펠러케이싱(24,25)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13)를 이루는 고정자(14)는 하우징(11)의 내벽면에 고정되고 회전자(12)는 상기 고정자(14)의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자(12)의 구동축(16)은 그 일단이 상기 임펠러케이싱(24,25)의 내부로 연장되고 임펠러케이싱(24,25)내부에서 임펠러(22)를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도면부호 20은 상기 임펠러(22)에 의해 가압된 연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이다.
상기 임펠러케이싱(24,25)에는 유입구(18) 및 유출구(도 3의 6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케이싱(24,25)은 유입구(18)를 통해 유입한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된다.
상기 임펠러(22)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날개(15)가 고정되어 있는 원판형 임펠러로서 양측면은 임펠러케이싱(24,25)에 대해 일정한 틈새(28)만큼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임펠러(22)의 날개(15)가 마련되어 있는 외주부와 케이싱(24,25)의 사이에는 연료가 이동하는 통로인 챔버(26)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연료펌프(10)에 있어서 모터(13)가 동작하면 임펠러(22)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임펠러(22)가 회전하면 연료가 유입구(18)를 통해 화살표 a방향을 따라 임펠러케이싱(24,25)내부로 흡인되고 챔버(26)를 따라 이동하여 유출구(도 3의 60)를 통해 빠져나간다. 유출구(60)를 통해 임펠러케이싱(24,25)으로부터 빠져나간 연료는 하우징내부를 거쳐 상기 토출구(20)로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식 연료펌프(10)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22)의 양측면과 임펠러케이싱(24,25) 사이의 틈새(28)를 따라 연료가 화살표 b방향으로 누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상기 임펠러(22)의 회전시에는 챔버(26) 내부에 높은 압력이 형성되므로 유출구(60)로 흘러가야 할 챔버(26)내의 연료가 상기 틈새(28)를 통해 화살표 b방향을 따라 구동축 측으로 누출되는 양이 많아 펌프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임펠러케이싱의 챔버내에 유입된 연료가 임펠러와 임펠러케이싱간의 틈새를 통해 흘러나가는 것을 막음은 물론 오히려 연료를 상기 챔버로 되돌려 보내므로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펌핑량이 정확하고 펌핑효율이 높도록 구성된 전자식 연료펌프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전자식 연료펌프를 예를 들어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 및 임펠러케이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 및 임펠러케이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 및 임펠러케이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 및 임펠러케이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를 부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연료펌프 11:하우징
12:회전자 13:모터
14:고정자 15:날개
16:구동축 18:유입구
20:토출구 22,54,62,72:임펠러
24,25,50,52:임펠러케이싱 64,66,74,76:임펠러케이싱
26:챔버 28:틈새
56:보조날개 58:보조날개홈
60:유출구 68,80:돌기링
70,78:링홈 80,82:임펠러케이싱
84:보조날개 86:보조날개설치홈
88:날개근접돌기 90:임펠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그 내부에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며 유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임펠러케이싱을 포함하는 전자식 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날개가 구비되고 양측면은 임펠러케이싱과 일정간격의 틈새를 이루는 원판형 임펠러로서 적어도 한쪽면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한 유체가 상기 틈새를 통해 구동축측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한 다수의 보조날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날개는 임펠러의 회전시 유체에 반지름방향으로 원심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임펠러의 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구동축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임펠러의 양측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임펠러케이싱에는 상기 보조날개가 그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가능한 링형태의 보조날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펠러의 측면에는 상기 보조날개가 그 내부에 고정되는 일정폭의 보조날개설치홈이 폐곡선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각 보조날개는 상기 보조날개설치홈의 내부에 고정되되 그 선단이 일펠러케이싱측으로 연장되어 임펠러케이싱에 대해 일정틈새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날개의 선단은 보조날개설치홈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임펠러케이싱의 보조날개설치홈에 대응하는 부위는 보조날개설치홈측으로 돌출되어 보조날개의 선단과 일정틈새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그 내부에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며 유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임펠러케이싱을 포함하는 전자식 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날개가 구비되고 그 양측면은 임펠러케이싱과 일정간격의 틈새를 이루는 원판형 임펠러로서, 적어도 한쪽면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틈새를 통해 구동축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케이싱에는 상기 임펠러의 요철부와 일정틈새간격을 이루는 대응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임펠러의 요철부는 임펠러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구동축을 중심으로 일정 반지름을 갖는 하나 이상의 돌기링이고, 상기 임펠러케이싱의 대응요철부는 상기 각 돌기링이 삽입되어 돌기링과 일정간격의 틈새를 이루는 링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임펠러의 요철부는 임펠러의 양측면에 일정깊이로 음각형성된 홈으로서 구동축을 중심으로 일정 반지름을 갖는 링홈이고, 상기 임펠러케이싱의 대응요철부는 상기 각 링홈에 삽입되어 링홈과 일정틈새 간격을 유지하는 돌기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전자식 연료펌프는, 종래의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및 임펠러케이싱의 구조를 변경하여 그 성능을 개선한 것으로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는 임펠러 및 임펠러케이싱에 대해 다룬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 및 임펠러케이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임펠러(54)의 양측면에 다수의 보조날개(5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날개(56)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축(16)으로부터 반지름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며 서로에 대해 등각을 이루어 구동축(16)에 대해 대칭을 이룬다.
상기 보조날개(56)는 챔버(26)로부터 틈새(28)를 통해 구동축(16)측으로 누출되는 연료를 다시 챔버(26)측으로 밀어낸다. 즉 상기 유입구(18)를 통해 화살표 a방향으로 유입한 연료는 임펠러(54)의 회전에 의해 챔버(26)내에서 도 3의 화살표 s방향으로 유동하며 유출구(도 3의 60)로 빠져나가는데 이중 일부의 연료가 상기 틈새(28)내로 흘러 들어갈 경우 상기 보조날개(56)가 흘러 들어온 연료를 도 3의 화살표 c방향으로 밀어내어 챔버(26)로 돌려보내는 것이다.
상기 각 보조날개(56)는 임펠러(54) 양측면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임펠러(54)의 양측면과 마주하는 임펠러케이싱(50,52)에는 상기 보조날개(56)가 삽입되는 보조날개홈(5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보조날개홈(58)은 보조날개(56)의 회전궤적에 따라 전체적으로 링의 형태를 취하는 홈으로서 보조날개(56)의 선단에 대해 상기 틈새(28)의 간격 만큼 이격되는 깊이 및 폭을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임펠러(54)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날개(15)가 구비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다수의 보조날개(5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조날개(56)는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화살표 c방향으로 원심력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보조날개(56)는 임펠러(54)의 일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구동축(16)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이룬다. 상기 보조날개(56)의 형상은 공지의 송풍기에서의 팬(fan)과 같이 설계되며, 상기 화살표 c방향으로의 원심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연료펌프에 있어서 유입구(18)를 통해 유입된 연료는 챔버(26)내부를 화살표 s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압축된 후 유출구(60)를 통해 빠져나간다. 그동안 연료 일부가 화살표 b방향을 따라 틈새(28)로 흘러들더라도 상기 보조날개(56)가 화살표 c방향의 원심력을 가하고 있으므로 흘러들던 연료는 챔버(26)측으로 다시 되돌아가 화살표 s방향 흐름에 합류하게 된다.
따라서 결국 상기 유입구(18)로 유입되어 유출구(60)로 빠져나가는 연료는 틈새(28)로 흘러들지 않고 누출됨 없이 모두 유출되어 그만큼 펌프의 효율이 높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 및 임펠러케이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90)의 양측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의 내부에 보조날개(8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홈은 보조날개설치홈(86)이다. 상기 보조날개설치홈(86)은 일정 폭 및 깊이를 갖는 사각 홈으로서 임펠러(90) 양측면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보조날개설치홈(86)은 구동축(16)으로부터 일정 반지름을 가져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보조날개(84)는 제 1실시예에서의 보조날개(도 3의 56)와 같은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날개(84)는 보조날개설치홈(86)의 내부에 위치한다. 즉, 보조날개(84)의 선단이 보조날개설치홈(86)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임펠러케이싱(80,82)에 있어서 상기 보조날개설치홈(86)에 대응하는 부위는 보조날개(84)측으로 돌출되어 날개근접돌기(88)를 이룬다. 상기 날개근접돌기(88)는 일정높이를 가지며 돌기면이 평평하게 가공된 일정폭의 선형돌기이다. 상기 보조날개설치홈(86)이 전체적으로 원의 형태를 취하므로 날개근접돌기(88)도 원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날개근접돌기(88)는 보조날개(84)의 선단에 대해 일정틈새의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보조날개(84)의 선단과 날개근접돌기(88)의 간격은 틈새(28)의 간격과 같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임펠러(90)의 측면에 일정폭의 보조날개설치홈(8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날개설치홈(86)의 내부에 보조날개(84)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조날개(84)는 구동축(16)을 중심으로 상호 등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연료펌프에 있어서 임펠러(90)의 작동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유입구(18)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챔버(26)내부를 화살표 s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유출구(60)를 통해 빠져나가는 동안 연료 일부가 화살표 b방향을 따라 틈새(28)로 흘러들더라도 상기 보조날개(84)가 연료에 화살표 c방향의 원심력을 가하고 있으므로 흘러들던 연료는 챔버(26)측으로 다시 되돌아가 화살표 s방향 흐름에 합류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 및 임펠러케이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펠러(62)의 양측면에는 두 줄의 돌기링(68)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두 줄의 돌기링(68)은 직사각의 단면형상을 갖는 링(ring)형 돌기로서 구동축(16)으로부터 일정 반지름을 가져 폐곡선을 이룬다.
상기 돌기링(68)은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임펠러(62)의 양측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곡선형돌기로서 임펠러(62)에 일체로 형성할 수 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 결합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비시킬 수 도 있다. 아울러 상기 돌기링(68)은 임펠러(62) 양측면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링(68)을 두 줄을 적용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의 돌기링만 형성하거나 또는 세 개 이상 형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임펠러(62)를 내부에 수용하는 임펠러케이싱(64,66)의 임펠러(62)를 향하는 면에는 두 줄의 링홈(7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홈(70)은 각 돌기링(68)이 삽입되는 홈으로서 상기 돌기링(68)의 형상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갖는다. 상기 돌기링(68)과 링홈(70)은 상호 대응하며 틈새(28)간격 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의 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케이싱(64,66)으로 유입되어 챔버(26)내를 이동하는 연료의 일부가 틈새(28)의 내부로 흘러들더라도 상기 돌기링(68)이 차단벽의 역할을 하므로 연료는 상기 돌기링(68)에 차단되어 더 이상 흘러들지 못하고 그 자리에 머물러 결과적으로 연료의 누출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임펠러(62)의 양측면에 두 줄의 돌기링(68)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돌기링(68)은 구동축(16)을 중심으로 각각 일정 반지름을 가지는 링(ring)형 돌기로서 상호 이격되고 임펠러(62)의 양측면에 대해서 직각을 이룬다.
아울러 각 돌기링(68)은 임펠러(62) 양측면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 및 임펠러케이싱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임펠러(72) 및 임펠러케이싱(74,76)의 요철형식이 상기 제 3실시예와 반대를 이룸을 알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의 임펠러(72)의 양측면에는 두 줄의 링홈(78)이 형성되어 있고, 임펠러케이싱(74,76)에는 상기 링홈(78)에 삽입되는 두 줄의 돌기링(8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링홈(78)은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임펠러(72)의 양측면에 형성한 두 줄의 홈으로서 일정폭 및 깊이를 갖는다. 상기 양 링홈(78)은 구동축(66)을 중심으로 각각 일정한 반지름을 가져 상호 평행하다. 상기 임펠러케이싱(74,76)에 형성된 두 줄의 돌기링(80)도 구동축(16)을 중심으로 각각 일정 반지름을 가짐은 물론이다.
상기 돌기링(80)은 링홈(78)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어 링홈(78)의 바닥면과 일정 틈새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펌프에 있어서, 임펠러케이싱(74,76) 내부로 유입되어 챔버(26)내를 이동하는 연료의 일부가 틈새(28)로 흘러들 경우 상기 링홈(78)이 연료의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틈새(28)를 통해 흘러들어가는 연료가 상기 링홈(78)을 만나면 링홈(78)을 건너지 않는 한 유동을 계속할 수 없게 되므로 결국 상기 링홈(78)이 연료의 내부 누출을 막는 것이다. 또한 틈새(28)사이를 이동하는 연료가 링홈(78)의 내부로 흘러들더라도 링홈(78)의 내벽면(도 7의 81)이 수직으로 형성되므로 연료의 흐름은다시 한번 막히게 된다.
상기 링홈(78) 및 돌기링(80)의 형성갯수를 많이 할수록 상기와 같은 내부유출의 방지는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연료펌프의 임펠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임펠러(72)의 양측면에 링홈(78)이 두 줄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홈(78)은 임펠러(72) 양측면의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벽면(81)은 임펠러(72)의 양측면에 대해 수직을 이룬다.
결국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자식 연료펌프는, 임펠러와 임펠러케이싱의 사이에 보조날개를 설치하거나 또는 요철을 형성하여, 챔버로부터 흘러나온 연료를 다시 챔버로 돌려보내거나 또는 그 흐름을 차단하므로, 결과적으로 임펠러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연료와 유출되는 연료의 양이 거의 같아 임펠러의 효율이 높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전자식 연료펌프는, 임펠러케이싱의 챔버내에 유입된 연료가 임펠러와 임펠러케이싱간의 틈새를 통해 흘러나가는 것을 막음은 물론 오히려 연료를 상기 챔버로 되돌려 보내므로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펌핑량이 정확하고 펌핑효율이 높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그 내부에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며 유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임펠러케이싱을 포함하는 전자식 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날개(15)가 구비되고 양측면은 임펠러케이싱(50,52,80,82)과 일정간격의 틈새(28)를 이루는 원판형 임펠러(54,90)로서 적어도 한쪽면에는 상기 유입구(18)를 통해 유입한 유체가 상기 틈새(28)를 통해 구동축측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한 다수의 보조날개(56,8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펌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날개(56,84)는 임펠러(54,90)의 회전시 유체에 반지름방향으로 원심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임펠러(54)의 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구동축(16)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임펠러(54)의 양측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펌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케이싱(50,52)에는 상기 보조날개(56)가 그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회전가능한 링형태의 보조날개홈(5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펌프.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90)의 측면에는 상기 보조날개(84)가 그 내부에 고정되는 일정폭의 보조날개설치홈(86)이 폐곡선을 이루어 형성되고, 상기 각 보조날개(84)는 상기 보조날개설치홈(86)의 내부에 고정되되 그 선단이 일펠러케이싱(80,82)측으로 연장되어 임펠러케이싱에 대해 일정틈새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펌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날개(84)의 선단은 보조날개설치홈(86)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임펠러케이싱(80,82)의 보조날개설치홈(86)에 대응하는 부위는 보조날개설치홈(86)측으로 돌출되어 보조날개(84)의 선단과 일정틈새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펌프.
  6.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모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그 내부에 상기 임펠러를 수용하며 유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는 임펠러케이싱을 포함하는 전자식 연료펌프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그 외주면에 다수의 날개가 구비되고 양측면은 임펠러케이싱과 일정간격의 틈새(28)를 이루는 원판형 임펠러(62,72)로서, 적어도 한쪽면에는 상기 유입구(18)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상기 틈새(28)를 통해 구동축(16)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막기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케이싱(64,66,74,76)에는 상기 임펠러(62,72)의 요철부와 일정틈새간격을 이루는 대응요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펌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62)의 요철부는 임펠러(62)의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구동축(16)을 중심으로 일정 반지름을 갖는 하나 이상의 돌기링(68)이고, 상기 임펠러케이싱(64,66)의 대응요철부는 상기 각 돌기링(68)이 삽입되어 돌기링(68)과 일정간격의 틈새를 이루는 링홈(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펌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72)의 요철부는 임펠러(72)의 양측면에 일정깊이로 음각형성된 홈으로서 구동축(16)을 중심으로 일정 반지름을 갖는 링홈(78)이고, 상기 임펠러케이싱(74,76)의 대응요철부는 상기 각 링홈(78)에 삽입되어 링홈(78)과 일정틈새 간격을 유지하는 돌기링(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연료펌프.
KR1020010062665A 2001-10-11 2001-10-11 전자식 연료펌프 KR200300305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665A KR20030030500A (ko) 2001-10-11 2001-10-11 전자식 연료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665A KR20030030500A (ko) 2001-10-11 2001-10-11 전자식 연료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500A true KR20030030500A (ko) 2003-04-18

Family

ID=2956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665A KR20030030500A (ko) 2001-10-11 2001-10-11 전자식 연료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0500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4195U (ko) * 1980-12-29 1982-07-15
JPS5927187U (ja) * 1982-08-12 1984-0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渦流式ポンプ
JPS6060294A (ja) * 1983-09-14 1985-04-06 Automob Antipollut & Saf Res Center 燃料タンク内蔵型燃料ポンプ
JPS63143794U (ko) * 1987-03-11 1988-09-21
JPH01247793A (ja) * 1988-03-28 1989-10-03 Hitachi Ltd 浸漬形ポンプ
KR960023425A (ko) * 1994-12-26 1996-07-20 배순훈 인버터세탁기의 파워모듈 주파수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4195U (ko) * 1980-12-29 1982-07-15
JPS5927187U (ja) * 1982-08-12 1984-02-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渦流式ポンプ
JPS6060294A (ja) * 1983-09-14 1985-04-06 Automob Antipollut & Saf Res Center 燃料タンク内蔵型燃料ポンプ
JPS63143794U (ko) * 1987-03-11 1988-09-21
JPH01247793A (ja) * 1988-03-28 1989-10-03 Hitachi Ltd 浸漬形ポンプ
KR960023425A (ko) * 1994-12-26 1996-07-20 배순훈 인버터세탁기의 파워모듈 주파수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7149A (en) Extended range regenerative pump with modified impeller and/or housing
US5158440A (en) Integrated centrifugal pump and motor
KR100231141B1 (ko) 재생펌프 및 그의 케이싱
US10066750B2 (en) Rotary machine
CN209959503U (zh) 对角风扇
JP2008075608A (ja) ポンプおよび流体供給装置
JP2019035374A (ja) 遠心回転機械
US4478550A (en) Pump apparatus
US6296439B1 (en) Regenerative turbine pump impeller
KR20180004968A (ko) 온수 순환펌프
KR101869953B1 (ko) 온수 순환펌프
JP2546943B2 (ja) 一体形遠心ポンプとモータ
JPS6229675Y2 (ko)
US7628577B2 (en) Vacuum pumps with improved pumping channel configurations
KR20030030500A (ko) 전자식 연료펌프
KR101827295B1 (ko) 온수 순환 펌프
KR102187770B1 (ko) 토출 가이드 베인을 구비한 원심펌프 임펠러
US20200291954A1 (en) Centrifugal Pump
JP4062007B2 (ja) 電動燃料ポンプ
KR100912526B1 (ko) 팬과 쉬라우드의 조립체
JP2004353564A (ja) 渦巻ポンプ
JP5481346B2 (ja) 遠心ポンプ
JP2008150961A (ja) ポンプ
KR102460339B1 (ko) 누설차단용 임펠러 및 이를 이용한 블로워
KR102313450B1 (ko) 원심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