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9834A -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9834A
KR20030029834A KR10-2003-7002505A KR20037002505A KR20030029834A KR 20030029834 A KR20030029834 A KR 20030029834A KR 20037002505 A KR20037002505 A KR 20037002505A KR 20030029834 A KR20030029834 A KR 20030029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recording medium
recorded
transport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6914B1 (ko
Inventor
오히로도시히사
가메야마고이치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9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9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전환부(107)를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를 구비하여, 기록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데이터 방식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프로그램 스트림과 트랜스포트 스트림 중 어느 쪽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多)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종래, MPEG 스트림에는 DVD 등의 축적계에 이용되는 프로그램 스트림(PS)과 디지털 방송계에서 이용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의 두 가지가 있다. 따라서 그들의 특성을 살려, 축적계의 장치에서는 프로그램 스트림, 방송계의 장치에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기록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45512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는 항상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기록을 행하고,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하는 경우는 항상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을 행하고 있었다.
이하에, 종래의 기술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서설명한다.
도 12는 종래의 기술로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이 혼재해 가는 속에서, 시스템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만을 취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아날로그 방송을 아날로그 방송 수신부(101)에서 수신하여, A/D 변환부(102)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MPEG 인코더(103)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을 디지털 방송 수신부(104)에서 수신한다.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할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할지의 전환을 전환부(107)에서 실행하여,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 매체(109)로부터의 데이터를 MPEG 디코더(110)로 MPEG 디코딩을 실행하여, D/A 변환부(111)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한다.
도 13은 시스템에서 프로그램 스트림만을 취급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아날로그 방송을 아날로그 방송 수신부(101)에서 수신하여, A/D 변환부(102)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MPEG 인코더(103)에서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을 디지털 방송 수신부(104)에서 수신하여, TS/PS 변환부(105)에 의해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할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할지의 전환을 전환부(107)에서 실행하여,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또한 기록 매체(109)로부터의 데이터를 MPEG 디코더(110)로 MPEG 디코딩을 실행하여, D/A 변환부(111)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한다.
그러나,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이 혼재해 가는 속에서, 디지털 방송은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전송되지만,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다(多)채널 다중화된 데이터로서 이용되고, 프로그램 스트림에 비해 데이터량이 매우 많다. 그 때문에, 트랜스포트 스트림만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 의도하지 않고 있는 채널의 데이터를 기록하여, 기록 매체의 용량을 쓸데없이 사용하게 된다. 또한 프로그램 스트림만으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경우,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다중화되어 다채널 전송되어 있음에도 관계없이 하나의 프로그램밖에 기록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기록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또한 디지털 방송으로 송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는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이 혼재해 가는 속에서, 랜덤 액세스 가능한 디스크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른 데이터 방식의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또한, 도 12는 트랜스포트 스트림만을 취급하는 종래의 영상 기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프로그램 스트림만을 취급하는 종래의 영상 기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을 혼재시켜 하나 또는 복수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MPEG 방식에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및 프로그램 스트림(PS)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방식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선택하는 데이터 방식 선택 수단과, 상기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 제어 수단을 구비하여, 선택한 어느 하나의 데이터 방식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프로그램 스트림과 트랜스포트 스트림과의 양쪽의 데이터 방식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전환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상태로서, 일시 기록 모드 및 보존 기록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방식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일시 기록 모드의 경우,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상기 보존 기록 모드의 경우,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선택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모드에 따라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에, 다채널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시청할 수 있어, 보존하고 싶은 것만을 보존할 수 있고, 또한,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시 기록 모드 및 상기 보존 기록 모드 시에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모드에 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에, 다채널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시청할 수 있어, 보존하고 싶은 것만을 보존할 수 있고, 또한,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제어 수단은,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상기 시스템의 상태로서 관리하고, 상기 데이터 방식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빈 용량이 많을 때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상기 빈 용량이 적을 때는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선택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빈 용량에 따라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전환할 때의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설정한 빈 용량에 따라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기 위한 데이터량 삭감 수단과, 기록 매체의 용량을 관리하여 상기 데이터량 삭감 수단을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이 적어졌을 때, 상기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빈 용량에 따라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낼 때의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빈 용량에 에 따라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청 빈도 장르 정보를 기록, 작성하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 수단과,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다채널 정보를 솎아내기 위한 데이터량 삭감 수단과, 기록 매체의 용량을 관리하여 상기 데이터량 삭감 수단을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 수단을 구비하여, 기록 가능한 용량이 적어졌을 때, 상기 다채널의 정보로부터 시청 빈도가 낮은 장르의 채널을 솎아낸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다채널의 정보로부터 시청 빈도가 낮은 채널 정보를 솎아낸 데이터를 기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할 때, 영상 데이터와 별도의 기록 영역에 상기 양 스트림 중 어느 쪽의 데이터 방식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갖춘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에 데이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여,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간이화함으로써, 재생 시의 CPU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할 때,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각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하여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각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하여, 데이터를 기록하여,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간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 시의 CPU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 방식의 기록 영역의 크기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각 데이터 방식마다의 각 기록 영역의 용량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기록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한 각 기록 영역 내에서 상기 보존 기록의 영역과, 상기 일시 기록의 영역과 분할하여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일시 기록 및 보존 기록한 데이터의 재생 처리도 간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 시의 CPU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할 때,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하여,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해당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한 각 기록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방식마다의 기록 영역을 변경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상기 각 데이터 방식의 기록 영역의 크기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서 각 데이터 방식마다의 기록 영역을 변경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상기의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방식마다의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각각의 데이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을 혼재시켜 하나 또는 복수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의 상태에 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방식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전환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이, MPEG 방식에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및 프로그램 스트림(PS)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프로그램 스트림과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방식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전환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상태인, 일시 기록 모드 및 보존 기록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기록하는 경우, 상기 기록 모드에 에 따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모드에 따라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에, 다채널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시청할 수 있어, 보존하고 싶은 것만을 보존할 수 있고, 또한, 기록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하는 상기 데이터 방식이, MPEG 방식에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및 프로그램 스트림(PS)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일시 기록 모드에서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고, 상기 보존 기록 모드에서는,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모드에 따라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에, 다채널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시청할 수 있어, 보존하고 싶은 것만을 보존할 수 있고, 또한, 기록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일시 기록 모드 및 보존 기록 모드 시에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모드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에, 다채널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시청할 수 있어, 보존하고 싶은 것만을 보존할 수 있고, 또한,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상기 시스템의 상태인, 기록 매체의 빈 용량에 따라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빈 용량에 따라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하는 상기 데이터 방식이, MPEG 방식에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및 프로그램 스트림(PS) 중 어느 하나이며, 기록 매체의 기록 가능한 빈 용량이 많을 때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고, 기록 매체의 기록 가능한 빈 용량이 적을 때는,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빈 용량에 따라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전환할 때의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설정한 빈 용량에 따라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하는 상기 데이터 방식이, MPEG 방식에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포함하고 있고,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상기 시스템의 상태로서 관리하여, 기록 가능한 빈 용량이 적어졌을 때, 상기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빈 용량에 따라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낼 때의 상기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빈 용량에 따라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하는 상기 데이터 방식이, MPEG 방식에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포함하고 있고, 사용자의 시청 빈도 장르 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시청 빈도 장르 정보에 의해,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다채널의 정보로부터 시청 빈도가 낮은 장르의 채널을 솎아낸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다채널의 정보로부터 시청 빈도가 낮은 채널 정보를 솎아낸 데이터를 기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청 빈도 장르 정보는, 사용자가 빈번히 액세스하는 장르의 정보를 기록해 두고, 해당 기록한 정보로부터 취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취득한 장르의 정보를 근거로 하여, 다채널의 정보로부터 시청 빈도가 낮은 채널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하기 때문에,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할 때에, 상기 양 스트림 중 어느 쪽의 데이터 방식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에 데이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여,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간이화함으로써, 재생 시의 CPU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영상 데이터의 기록 영역과 다른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영상 데이터와 다른 영역에 데이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여,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간이화함으로써, 재생 시의 CPU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데이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데이터 방식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간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 시의 CPU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하는 경우,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각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각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하여 데이터를 기록해서,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간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 시의 CPU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 내에서의 각 데이터 방식의 기록 영역의 크기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각 데이터 방식마다의 각 기록 영역의 용량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기록 영역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분할된 기록 영역 내에서 보존 기록 영역과 일시 기록 영역을 분할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일시 기록 및 보존 기록한 데이터의 재생 처리도 간이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재생 시의 CPU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하는 경우, 데이터 방식마다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분할하여,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해당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한 각 기록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방식마다의 기록 영역을 변경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기록 매체 내에서의 상기 각 데이터 방식의 기록 영역의 크기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설정에 맞춘 기록 영역에 변경하는 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은, 상기의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 방식의 기록 영역의 크기를, 각각의 데이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따라 이것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영상 기록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는 아날로그 방송 수신부(101), 아날로그 방송 수신부(101)에서 수신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102), A/D 변환부(102)에서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MPEG 스트림인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MPEG 인코더(103),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104), 디지털 방송으로 송신되는 데이터 방식인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TS/PS 변환부(105), 디지털 방송 수신부(104)에서 수신한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TS/PS 변환부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프로그램 스트림(PS)에 변환한 신호와 중 어느 하나에 전환하는 전환부(106), 아날로그 방송을 MPEG 인코딩한 데이터와 전환부(106)의 출력을 전환하는 전환부(107), 전환부(107)에서 전환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109), 기록 매체(109)의 용량 등을 관리하여, 전환부(106) 및 전환부(107)를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 데이터의 MPEG 디코딩을 실행하는 MPEG 디코더(110), MPEG 디코딩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는 D/A 변환부(111)로 구성된다.
우선,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할지,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할지 선택한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이 아날로그 방송인 경우, 아날로그 방송 수신부(101)에서 수신을 행하고, 그 수신한 신호를 A/D 변환부(102)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그 신호를 MPEG 인코더(103)에서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사용자에 의해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전환부(107)에서 아날로그 방송측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방송이 디지털 방송인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부(104)에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한다. 수신한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방식은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며, 그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TS/PS 변환부(105)에 입력하고, 또한 전환부(106)에 직접 입력한다.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에 의해,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이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라고 판단된 경우, 전환부(106)를 디지털 방송 수신부측에 전환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환부(107)로 출력한다. 또한,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에 의해,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이 프로그램 스트림이라고 판단된 경우, 전환부(106)를 TS/PS 변환부의 출력측으로 전환하여, 프로그램 스트림을 전환부(107)로 출력한다. 사용자에 의해,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이 선택되어 있기 때문에, 전환부(107)에서 디지털 방송측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재생하는 경우는 기록 매체(109)에 기록된 데이터를 MPEG 디코더(110)로 MPEG 디코딩을 실행하여, MPEG 디코더(110)의 출력을 D/A 변환부(111)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 1에 따르면, DVD 등의 축적계에 이용되는 프로그램 스트림과, 다채널 전송되어, 디지털 방송계의 처리에 이용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과의 각 데이터 방식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서, 각 데이터 방식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전환부(106, 107)로 전환하는 수단과,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여, 시스템을제어하는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에서의 흐름도이다. 또,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의 양쪽을 수신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을 사용자가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단계 S1),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단계 S3). 다음에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하고(단계 S1), 또한, 보존 기록 모드를 선택한 경우(단계 S2), 기록 매체(109)에는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한다(단계 S3). 또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하고(단계 S1), 또한, 일시 기록 모드를 선택한 경우(단계 S2), 기록 매체(109)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기록한다(단계 S4).
이 신호의 흐름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우선 아날로그 방송 수신부(101)로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여, A/D 변환부(102)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A/D 변환부(102)에서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MPEG 인코더(103)에서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MPEG 인코더(103)에서 변환한 프로그램 스트림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하고, 또한 보존 기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부(104)에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TS/PS 변환부(105)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에 있어서 전환부(106)를 TS/PS 변환부(105)의 출력측으로 하고, 또한 전환부(107)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측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109)에 프로그램 스트림을 기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하고, 또한 일시 기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부(104)에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에 있어서 전환부(106)를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출력측으로 하고, 또한 전환부(107)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측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109)에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 2에 따르면,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이 혼재하는 속에서, 효율적인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기 위해서,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에 의해 전환부(106, 107)를 제어하고, 일시 기록의 경우 데이터량이 많은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기록하고, 보존 기록의 경우 데이터량이 적은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하는 것에 의해, 다채널의 정보를 일시적으로 시청할 수 있어, 보존하고 싶은 것만을 보존할 수 있고, 또한, 기록 매체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또,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301은 기록 매체(109)에 기록 가능한 영역인 빈 영역을 나타낸다.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의 양쪽을 수신하여,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을 사용자가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우선, 기록 매체(109)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기록을 한다.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에 있어서, 빈 영역의 용량(301)이 적어지면, 기록 매체(109)에는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한다.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변경할 때의 기록 매체(109)의 용량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한다.
이 신호의 흐름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우선 아날로그 수신부(101)로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여, A/D 변환부(102)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A/D 변환부(102)에서 변환한 디지털 신호를 MPEG 인코더(103)에서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변환하여, MPEG 인코더(103)에서 변환한 프로그램 스트림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부(104)에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에 있어서 전환부(106)를 디지털 방송 수신부의 출력측으로 하고, 또한 전환부(107)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측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109)에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한다. 여기서,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에 있어서 기록 매체(109)의 빈 영역(301)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용량이 된 것을 확인한 경우, 디지털 방송 수신부(104)에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TS/PS 변환부(105)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에 있어서 전환부(106)를 TS/PS 변환부(105)의 출력측으로 하고, 또한 전환부(107)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측을 선택하여, 기록 매체(109)에 프로그램 스트림을 기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에서의 흐름도이다.
우선,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의 양쪽을 수신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단계 S1),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단계 S5). 다음에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하고(단계 S1), 또한 보존 기록 모드를 선택한 경우(단계 S2), 기록 매체(109)에는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한다(단계 S5). 또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하고(단계 S1), 또한, 일시 기록 모드를 선택하고(단계 S2), 또한,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이 많이 있는 경우는(단계 S3),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단계 S4). 다음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하고(단계 S1), 또한, 일시 기록 모드를 선택하고(단계 S2), 또한,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이 적어진 경우는(단계 S3),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단계 S5).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 3에 따르면, 트랜스포트 스트림 및 프로그램 스트림의 각 데이터 방식의 특성을 살리고, 또한, 기록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에 의해, 기록 매체(109)의 빈 용량을 관리하여, 기록 매체의 빈 용량에 따라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시스템 LSI(501)은 다채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데이터를 수 채널분의 데이터에 솎아내고, 출력하는 것이다. 시스템 상태 관리부(502)는 기록 매체(109)의 용량을 관리하여, 시스템 LSI(501)을 제어하는 것이다. 여기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솎아내는 채널수는 기록 매체(109)의 용량에 따라 시스템 상태 관리부(502)가 관리한다.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의 양쪽을 수신하여,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기록 매체(109)에는 다채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기록을 한다. 시스템 상태 관리부(502)에 있어서, 빈 영역의 용량(301)이 적어지면, 시스템 LSI(501)에 있어서 다채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 채널분의 데이터에 솎아내고,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솎아낼 때의 기록 매체(109)의 용량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에서의 흐름도이다.
우선,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의 양쪽을 수신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단계 S1),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단계 S3). 다음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단계 S1), 방송국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다채널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전부가 기록 매체(109)에 기록되고자 한다. 여기서, 기록 매체(109)의 빈 용량을 조사한다(단계 S2). 빈 용량이 많이 남아 있는 경우는 그대로 방송국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다채널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전부를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단계 S4). 다음으로 빈 용량이 적은 경우는 다채널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솎아낸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단계 S5).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 4에 따르면,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기록할 때, 시스템 상태 관리부(502)에 의해, 기록 매체(109)의 빈 용량을 관리하여, 해당 빈 용량에 따라 시스템 LSI(501)에 의해,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냄으로써 기록 매체의 기록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시청 빈도 장르 정보 기록부(701)는, 사용자가 EPG(Electronic Programming Guide)에 의해, 선택한 채널 및 장르를 기록하고, 또한, 사용자의 선택한 회수 등을 기록하는 것이다.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의 양쪽을 수신하여,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다음에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 기록 매체(109)에는 다채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기록을 한다. 시스템 상태 관리부(502)에 있어서, 빈 영역의 용량(301)이 적어지면, 시스템 LSI(501)에 있어서 다채널 포함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 채널분의 데이터에 솎아내고,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여기서, 시스템 LSI(501)에 있어서 솎아내는 채널은, 시청 빈도 장르 정보 기록부(701)에 기록된 사용자의 선택하고 있는 채널 및 장르의 정보와 그 회수를 기초로, 시스템 상태 관리부(502)가 어떤 채널을 솎아낼지 결정하여, 그 정보를 바탕으로 시스템 LSI(501)가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영상 기록 방법에서의 흐름도이다.
우선,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의 양쪽을 수신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아날로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단계 S1),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단계 S4). 다음으로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는 것을 선택한 경우(단계 S1), 방송국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다채널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전부가 기록 매체(109)에 기록되고자 한다. 여기서, 기록 매체(109)의 빈 용량을 조사한다(단계 S2). 빈 용량이 많이 남아 있는 경우는 그대로 방송국측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다채널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전부를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단계 S5). 다음으로 빈 용량이 적은 경우는 사용자가 빈번히 시청하고 있는 채널 및 장르의 체크를 실행한다(단계 S3). 그래서, 사용자가 빈번히 시청하고 있는 채널 및 장르를 우선적으로 기록 매체(109)에 기록하도록 다채널 다중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를 솎아내고,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다(단계 S6).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 5에 따르면,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기록할 때, 시청 빈도 장르 정보 기록부(701)로 취득한 시청 빈도 장르 정보를 근거로 하여, 시스템 상태 관리부(502)로 관리하는 기록 매체(109)의 빈 용량에 따라 시스템 LSI(501)에 의해, 다채널 정보로부터 시청 빈도가 낮은 채널 정보를 솎아냄으로써,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의 다채널의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index 기억 영역(901)에는 기록 매체(109) 내부의 영상 기억 영역(902)에 기록한 각각의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 방식으로 기록되어 있는 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프로그램 스트림이 혼재되어 기록 매체(109)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 MPEG 데이터가 MPEG 디코더(110)로 디코딩된다. MPEG 디코더(110)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D/A 변환부(111)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래서, MPEG 데이터를 MPEG 디코더(110)로 디코딩할 때, 입력하는 MPEG 데이터가 프로그램 스트림인지, 트랜스포트 스트림인 가를 MPEG 디코더(110)는 인식해야 한다. 그래서, 시스템 관리 제어부(108)에 있어서 기록 매체(109)의 index 기억 영역(901)에 기록한 정보를 바탕으로 기록 매체(109)로부터 현재 출력되고 있는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 방식인지를 인식하여, MPEG 디코더(110)에 알린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 6에 따르면, 데이터를 기록할 때, index 기억 영역(901)에 데이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함으로써,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간이화하여, 재생 시의 CPU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예 7)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프로그램 스트림이 혼재되어 기록 매체(109)에 기록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기록 매체(109)에 기록한 MPEG 데이터를 MPEG 디코더(110)로 디코딩한다. MPEG 디코더(110)로부터 출력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D/A 변환부(111)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래서, MPEG 데이터를 MPEG 디코더(110)로 디코딩할 때, 입력하는 MPEG 데이터가 프로그램 스트림인지, 트랜스포트 스트림인 가를 MPEG 디코더(110)는 인식해야 한다. 그래서, 기록 매체(109)의 영역을 프로그램 스트림을 기록하는 영역인 프로그램 스트림 영역(1001),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는 영역인 트랜스포트 스트림 영역(1002)으로 분할한다. 그래서, 기록 매체(109)에 MPEG 스트림을 기록할 때, 프로그램 스트림을 기록하는 경우는 프로그램 스트림 영역(1001)에 기록해 두고,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는 경우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영역(1002)에 기록해 둔다. 그래서, 재생하는 경우, 현재 MPEG 디코더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스트림이 프로그램 스트림인지, 트랜스포트 스트림인지를 시스템 관리 제어부에서, 용이하게 인식하여 MPEG 디코더에 알린다.여기서, 프로그램 스트림 영역(1001)의 용량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 영역(1002)의 용량은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 7에 따르면, 기록 매체(109)의 기록 영역을 프로그램 스트림 영역(1001)과 트랜스포트 스트림 영역(1002)으로 분할함으로써,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간이화하여, 재생 시의 CPU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실시예 8)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하여, 기록 매체의 영역을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하는 경우, 트랜스포트 스트림 영역(1101)과 프로그램 스트림 영역(1102)의 각 영역의 용량은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기록하는 것이 많은 경우, 자동으로 트랜스포트 스트림 영역(1102)의 용량을 크게 하거나,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기록하는 것이 많은 경우는 프로그램 스트림 영역(1101)의 용량을 크게 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그 용량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 8에 따르면, 기록 매체(109) 내의 프로그램 스트림 영역(1101)과 트랜스포트 스트림 영역(1102)을 변경할 수 있게 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상황에 따라 각 영역을 변동시키는 것에 의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고, 또한, 기록 매체의 기록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기록 장치는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을 혼재시켜 기록 가능한 DVD, 하드디스크 리코더, 셋톱 박스 등에 유용하다.

Claims (37)

  1.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을 혼재시켜 하나 또는 복수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영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MPEG 방식에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및 프로그램 스트림(PS) 중 어느 하나의 데이터 방식을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선택하는 데이터 방식 선택 수단과,
    상기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선택한 어느 하나의 데이터 방식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상태로서, 일시 기록 모드 및 보존 기록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방식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일시 기록 모드의 경우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선택하고, 상기 보존 기록 모드의 경우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선택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기록 모드 및 상기 보존 기록 모드 시에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 제어 수단은,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상기 시스템의 상태로서 관리하고, 상기 데이터 방식 선택 수단에 의해, 상기 빈 용량이 많을 때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선택하고, 상기 빈 용량이 적을 때는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선택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으로 전환할 때의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다(多)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기 위한 데이터량 삭감 수단과,
    기록 매체의 용량을 관리하여 상기 데이터량 삭감 수단을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이 적어졌을 때, 상기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낼 때의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청 빈도 장르 정보를 기록, 작성하는 사용자 데이터 관리 수단과,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다채널 정보를 솎아내기 위한 데이터량삭감 수단과,
    기록 매체의 용량을 관리하여 상기 데이터량 삭감 수단을 제어하는 시스템 관리 수단을 구비하고,
    기록 가능한 용량이 적어졌을 때, 상기 다채널의 정보로부터 시청 빈도가 낮은 장르의 채널을 솎아낸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할 때, 영상 데이터와 별도의 기록 영역에, 상기 양 스트림 중 어느 쪽의 데이터 방식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할 때,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각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하여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 방식의 기록 영역의 크기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한 각 기록 영역 내에서 상기 보존 기록의 영역과, 상기 일시 기록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기록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할 때,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하고,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해당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한 각 기록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기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 방식의 기록 영역의 크기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 방식의 기록 영역의 크기를, 각각의 데이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장치.
  16. 디지털 방송과 아날로그 방송을 혼재시켜 하나 또는 복수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영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상기 데이터 방식은, MPEG 방식에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및 프로그램 스트림(PS)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상태인, 일시 기록 모드 및 보존 기록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기록하는 경우, 상기 기록 모드에 따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상기 데이터 방식은 MPEG 방식에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및 프로그램 스트림(PS)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일시 기록 모드에서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고,
    상기 보존 기록 모드에서는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일시 기록 모드 및 보존 기록 모드 시에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상태인, 기록 매체의 빈 용량에 따라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상기 데이터 방식은 MPEG 방식에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및 프로그램 스트림(PS) 중 어느 하나이며,
    기록 매체의 기록 가능한 빈 용량이 많을 때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고,
    기록 매체의 기록 가능한 빈 용량이 적을 때는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데이터 방식을 전환할 때의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상기 데이터 방식은 MPEG 방식에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포함하고 있고,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상기 시스템의 상태로서 관리하여, 기록 가능한 빈 용량이 적어졌을 때, 상기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내고,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채널의 정보를 솎아낼 때의 상기 기록 매체의 빈 용량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27. 제 16 항에 있어서,
    기록하는 상기 데이터 방식은 MPEG 방식에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포함하고 있고,
    사용자의 시청 빈도 장르 정보를 작성하며,
    상기 시청 빈도 장르 정보에 의해,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다채널의 정보로부터 시청 빈도가 낮은 장르의 채널을 솎아낸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청 빈도 장르 정보는, 사용자가 빈번하게 액세스하는 장르의 정보를 기록해 두고, 해당 기록한 정보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2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할 때에, 상기 양 스트림 중 어느 쪽의 데이터 방식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영상 데이터의 기록 영역과는 다른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31. 제 29 항에 있어서,
    기록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데이터 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 데이터 방식을 선택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3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하는 경우,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각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 내에서의 각 데이터 방식의 기록 영역의 크기를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34. 제 32 항에 있어서,
    분할된 기록 영역 내에서 보존 기록 영역과 일시 기록 영역을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3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프로그램 스트림을 혼재시켜 기록하는 경우, 데이터 방식마다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분할하여,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해당 데이터 방식마다 분할한 각 기록 영역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기록 매체 내에서의 상기 각 데이터 방식의 기록 영역의 크기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37.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 방식의 기록 영역의 크기를, 각각의 데이터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기록 방법.
KR1020037002505A 2001-06-22 2002-06-24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 KR1005469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90100 2001-06-22
JP2001190100A JP2003009086A (ja) 2001-06-22 2001-06-22 映像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PCT/JP2002/006302 WO2003001802A1 (fr) 2001-06-22 2002-06-24 Appareil d'enregistrement video et procede d'enregistr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9834A true KR20030029834A (ko) 2003-04-16
KR100546914B1 KR100546914B1 (ko) 2006-01-26

Family

ID=1902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505A KR100546914B1 (ko) 2001-06-22 2002-06-24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70008A1 (ko)
EP (1) EP1377053A4 (ko)
JP (1) JP2003009086A (ko)
KR (1) KR100546914B1 (ko)
CN (1) CN1275463C (ko)
WO (1) WO20030018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5314B (zh) * 2003-04-10 2011-04-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记录装置及信息记录方法
KR101029807B1 (ko) * 2004-01-09 201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 및 pvr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6966B2 (ja) * 2003-06-13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5033622A (ja) * 2003-07-08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信号記録装置および映像信号記録方法
CN101707705B (zh) * 2004-04-07 2012-11-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可以高速转换的流的信息记录介质,及其记录装置和记录方法
JP2005322977A (ja) * 2004-05-06 2005-11-17 Canon Inc 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
KR20060053425A (ko) * 2004-11-15 2006-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스트림내의 픽처 데이터의 기록구간을 지정하고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872637B (zh) * 2004-12-01 2013-02-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装置和再现方法
JP4604806B2 (ja) * 2005-04-12 2011-01-0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
US20080172697A1 (en) * 2007-01-16 2008-07-17 Hanashima Masato Program recording apparatus
JP4289404B2 (ja) 2007-02-13 2009-07-01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放送記録装置
JP5057820B2 (ja) * 2007-03-29 2012-10-24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ストリームの記録方法、再生方法、記録装置、および再生装置
JP4854039B2 (ja) * 2008-05-11 2012-01-11 株式会社ニコンシステム デジタル放送データのデータ解析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ジタル放送データ解析装置
JP6981454B2 (ja) * 2019-09-17 2021-1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0982B2 (ja) * 1997-04-30 2004-10-2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JPH1145512A (ja) * 1997-07-25 1999-02-16 Hitachi Ltd ディジタルディスクレコーダ
JPH1173737A (ja) * 1997-08-29 1999-03-16 Sony Corp 記録装置及び方法、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0511250B1 (ko) * 1998-04-09 2005-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탈오디오/비디오(a/v)시스템
US6525775B1 (en) * 1998-10-09 2003-0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updating software in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ing recorded data
CA2289958C (en) * 1998-11-19 2003-01-21 Tomoyuki Okada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data thereof
EP1021048A3 (en) * 1999-01-14 2002-10-02 Kabushiki Kaisha Toshiba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and its recording medium
MY130203A (en) * 1999-05-06 2007-06-29 Sony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data reproducing and recording media
JP2001054068A (ja) * 1999-08-17 2001-02-23 Sharp Corp 録画装置
CN1174625C (zh) * 1999-09-02 2004-11-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装置及编码装置
US7106946B1 (en) * 1999-09-28 2006-09-12 Sony Corporation Transport stream process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ology of generating and aligning source data packets in a physical data structure
EP1091577B1 (en) * 1999-10-05 2006-12-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pparatus that records a broadcast program and ID information for a broadcast station on a recording medium, and a playback apparatus for recorded programs
US7046805B2 (en) * 2001-03-20 2006-05-16 Digeo, Inc.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storing and processing multimedia cont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5314B (zh) * 2003-04-10 2011-04-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信息记录装置及信息记录方法
KR101029807B1 (ko) * 2004-01-09 201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Pvr 및 pvr 기능을 갖는 dmb 수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5463C (zh) 2006-09-13
JP2003009086A (ja) 2003-01-10
CN1463546A (zh) 2003-12-24
KR100546914B1 (ko) 2006-01-26
EP1377053A4 (en) 2010-09-08
EP1377053A1 (en) 2004-01-02
WO2003001802A1 (fr) 2003-01-03
US20030170008A1 (en) 200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4022B1 (en) Video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293751B1 (ko) 디지털방송녹화재생장치
KR100546914B1 (ko) 영상 기록 장치 및 영상 기록 방법
JP3903912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KR19990079812A (ko) 디지탈 오디오/비디오(a/v) 시스템
EP1775947A1 (en)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thod
KR100424480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이 수용가능한 데이터 포맷의 고밀도 광 기록매체와, 그에 따른 재생장치
CN1867054A (zh) 数字视频记录装置及其记录方法
EP1766968B1 (en) 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4076428B2 (ja) 映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US20080037950A1 (en) Video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20080152310A1 (en) Audio/video stream compressor and audio/video recorder
US6813281B1 (en) Method of assigning audio channel identification, method for selecting audio channel using the same,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suitable therefor
KR20030039090A (ko) 퍼스널 컴퓨터와 인터페이스 가능한 개인용 디지털 비디오녹화장치
US7231268B1 (en) Method of assigning audio channel identification, method for selecting audio channel using the same, and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suitable therefor
KR100605187B1 (ko) 디지털 데이터스트림의 선택적 기록방법
KR100578246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한 오디오 데이터 전송방법
US20020001456A1 (en) Audio and video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KR100300984B1 (ko) 2개 언어 오디오신호의 기록/재생이 가능한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및 그에 따른 기록/재생방법
JP2007266651A (ja) データ記録装置
CN1728802A (zh) 个人视频录像机系统及摄像节目编辑方法
KR20050115573A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방법
JP4412202B2 (ja) ディスク装置
KR20060117731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및 재생 제어방법
JP2004310916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再生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