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7731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및 재생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및 재생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7731A
KR20060117731A KR1020050040232A KR20050040232A KR20060117731A KR 20060117731 A KR20060117731 A KR 20060117731A KR 1020050040232 A KR1020050040232 A KR 1020050040232A KR 20050040232 A KR20050040232 A KR 20050040232A KR 20060117731 A KR20060117731 A KR 20060117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stream
format
clear
storage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형훈
지석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0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7731A/ko
Publication of KR20060117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77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MB 방송을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방법과 저장된 DMB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및 DMB 방송의 저장과 재생 기능을 갖는 DMB 수신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 저장 및 재생 기능을 갖는 단말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와, 상기 튜너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신호의 저장 및 재생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수단과, 상기 신호 처리수단에서 처리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수단과, 상기 신호 처리수단에서 처리된 신호를 저장 포맷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하여 저장 및 재생시키는 방송신호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DMB 신호를 프로그램 스트림(PS),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 등의 형태로 적절하게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파일 포맷에 따라 적절한 신호처리 과정을 거치도록 제어함으로써, 해당 콘텐츠의 영상 및 음성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MB 수신기, DMB 저장장치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및 재생 제어방법{METHOD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ONTENTS STORAGE AND REPRODUCING}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기의 블록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기의 DMB 방송 저장 제어방법의 플로우차트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기의 DMB 방송 재생 제어방법의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튜너부 20: 신호 처리부
30: 디코더부 40: 저장부
11: 안테나 12: 튜너
21: CA 처리부 22: 디멀티플렉서
31: AV 디코더 32: EPG 디코더
41: 저장 처리기 42: 저장 장치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DMB 방송을 수신하여 이를 저장하는 방법과 저장된 DMB 방송신호를 재생하는 방법 및 DMB 방송의 저장과 재생 기능을 갖는 DMB 수신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은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구분되며, 어느 경우나 DMB 수신기의 기본 기능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이지만, DMB 수신기에 저장 장치를 부착할 경우에는 방송신호의 실시간 저장과 재생이 가능하다. 여기서, 방송신호 저장 장치는 탈부착의 가능 여부에 따라서 내장형과 외장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종류에 따라서는 메모리 저장장치나, 하드 디스크 타입의 저장 장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HDR(Hard Disk Recorder) 또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이라고도 불리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는 하드 디스크(HDD)와 같은 대용량의 저장장치를 기반으로 하여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신호는 물론 디지털 방송신호를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사용자가 이를 재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 저장기기이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는 저장장치로 하드 디스크(HDD) 이외에도 기록가능한 DVD 매체를 사용하는 기기도 있지만, DVD 매체는 매체를 쉽게 바꿀 수 있다는 장점에 비하여 매체 하나당 녹화할 수 있는 용량이 약 2시간(SD급, single alyer 기준) 정도이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HDD)를 기반으로 하는 대용량 저장장치에 비하여 데이터 저장 용량이나 일목요연한 데이터 관리 상에서의 제약이 따른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의 기본적인 기능은 방송국에서 보내는 프로그램을 저장하였다가 재생하여 시청한다는 것이지만, 하드 디스크(HDD)에 정보를 기록하여 컴퓨터와 같은 파일 재생방식으로 재생하고, 재생을 위한 중앙처리장치와 운 영체제, 재생 소프트웨어를 담은 메모리칩, 그리고 하드 디스크(HDD)가 구비되어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VCR 등과는 차별화되고 있다. 즉, 텔레비젼 튜너, 저장 및 재생 소프트웨어, 모뎀, 하드 디스크(HDD)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컴퓨터에 채용되고 있는 하드 디스크를 결합시킴으로써 TV 프로그램을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하드 디스크(HDD)에 저장하고 또 이를 필요시 재생한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더구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는 기본 기능인 녹화 기능 이외에도 타임 쉬프트(Time-Shift), 생방송 시청 중 순간 재생(Instance Replay) 및 기타 다양한 트릭 플레이(Trick Play)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아날로그 VCR 등과 견주어 볼 때 훨씬 향상된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HD급 고화질 디지털 방송을 언제든지 하드 디스크(HDD)에 저장하여 볼 수 있다는 장점과, 각종 부가 서비스 기능은 사용자에게 큰 효용성을 제공해 준다.
이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와 저장장치가 결합됨으로써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을 수신함에 있어서는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에 따라서 저장 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스크램블(Scambled) 저장과 클리어(Clear) 저장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저장 포맷에 따라서는 저장 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프로그램 스트림(PS: Program Stream) 또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Transport Stream),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Multimedia File)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 수신기에 구비되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을 재생할 때는 상기 저장 방법에 따라 재생 방법도 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위성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이나 지상파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에서 해당 방송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재생하는 방법이나 그 장치는 제한 수신(CA) 여부를 비롯하여 다양한 포맷 등에 따른 적절한 저장 및 재생 처리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을 수신하여 이를 제한 수신(CA) 여부나 저장 포맷 등에 따라 적절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기능을 갖는 단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을 수신하여 이를 제한 수신(CA) 여부나 저장 포맷 등에 따라 적절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수신하여 이를 제한 수신(CA) 여부나 저장 포맷 등에 따라 적절하게 저장하고, 저장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 신호를 재생하는 단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을 수신하여 이를 제한 수신(CA) 여부나 저장 포맷 등에 따라 적절하게 저장하고, 저장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제어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기반으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저장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된 저장 포맷에 따라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제어방법에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포맷은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이거나,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이거나, 프로그램 스트림(PS: Program Stream),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 포맷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제어방법에서, 상기 저장 포맷이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인 경우에는 해당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그 포맷 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제어방법에서, 상기 저장 포맷이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인 경우에는 디스크램블 키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디스크램블 키를 토대로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을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제어방법에서, 상기 저장 포맷이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인 경우에는 이를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이나 프로그램 스트림(PS),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제어방법은, 저장 장치로부터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된 포맷에 따라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제어방법에서, 상기 저장 장치로부터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은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이거나,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이거나, 프로그램 스트림(PS: Program Stream),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 포맷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제어방법에서, 상기 저장 장치로부터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이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인 경우에는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바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제어방법에서, 상기 저장 장치로부터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이 프로그램 스트림(PS)인 경우에는 해당 프로그램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여 AV 스트림과 EPG 스트림을 분리하고 이들을 각각 AV 디코더와 EPG 디코더를 통해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제어방법에서, 상기 저장 장치로부터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이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인 경우에는 디스크램블 키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디스크램블 키를 토대로 스크 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을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제어방법에서, 상기 저장 장치로부터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이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인 경우에는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디멀티플렉싱하여 AV 스트림과 EPG 스트림을 분리하고 이들을 각각 AV 디코더와 EPG 디코더를 통해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 저장 및 재생 기능을 갖는 단말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와, 상기 튜너에 의하여 수신된 방송신호의 저장 및 재생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수단과, 상기 신호 처리수단에서 처리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디코딩수단과, 상기 신호 처리수단에서 처리된 신호를 저장 포맷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하여 저장 및 재생시키는 방송신호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및 재생 방법을 살펴본다.
도1은 지상파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 수신기의 구조를 나타낸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 수신기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부(10), 상기 수신된 방송신호의 처리를 위한 신호 처리부(20), 상기 신호 처리부(20)에서 처리된 수신 방송신호나 저장부(40)로부터 재생되는 방송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코더부(30), 상기 신호 처리부(20)에서 처리 된 방송신호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재생하기 위한 저장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튜너부(1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DMB RF 신호)를 수신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생성하고, 이 것을 신호 처리부(20)에 공급한다. 신호 처리부(20)는 튜너부(10)로부터 입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해석하고,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대해서는 디스크램블 처리를 수행하며,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중에서 CA 정보를 해석하여 디스크램블 키(descramble key)를 찾아내고, 이 디스크램블 키를 토대로 상기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으로 변환하며, 상기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과 EPG 스트림을 구분해서 후단의 디코더부(30)에 공급한다.
디코더부(30)는 상기 신호 처리부(30)가 전달한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또한 상기 신호 처리부(30)가 전달한 EPG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저장부(40)는 상기 신호 처리부(20)가 전달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의 저장 포맷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하였다가 사용자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되었던 방송신호를 디코더부(30)에 공급하여 재생, 출력할 수 있도록 해준다.
위와 같은 DMB 신호 처리를 위하여 상기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튜너부(1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1)와,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 신호의 선국을 위한 튜너(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호 처리부(20)는 제한 수신 관련 정보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CA(Conditional Access)처리부(21)와, 수신된 신호 해석을 위한 디멀티플렉서(Demux)(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디코더부(30)는 신호 처리부(20)에서 출력되는 AV(Audio Video)신호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기 위한 AV 디코더(31) 및,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를 디코딩하여 출력하기 위한 EPG 디코더(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부(40)는 저장할 신호 포맷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는 저장 처리기(41)와, 저장 처리기(41)의 제어를 받아 해당 디지털 멀티미디어 자원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장치(4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장치의 동작을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BM)은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ransport Stream) 이지만 스크램블(Scrambled) 또는 클리어(Clear)로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포맷에 따라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또는 프로그램 스트림(Program Stream),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Multimedia File)로 저장될 수 있다.
튜너부(10)는 안테나(11)를 통해서 DMB RF를 수신하고, 수신된 DMB RF신호를 기반으로 튜너(12)에서 TS(Transport Stream)를 생성한다. 이 TS는 스크램블 여부에 따라서 스크램블 TS(Scrambled TS)와 클리어 TS(Clear TS)로 구분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0)는 튜너(12)에서 생성한 TS를 해석하는 디멀티플렉서(Demux)(22)와 스크램블 TS(Scrambled TS)에 대해서 디스크램블(Descramble)을 수행하기 위한 CA 처리부(21)로 이루어진다. 디멀티플렉서(Demux)(22)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중에서 CA 정보를 해석해서 디스크램블 키(Descramble Key)를 찾아낸 후 이를 CA 처리부(21)로 전달하고, CA 처리부(21)는 이 키(Key)를 이용해서 스크램블 TS(Scrambled TS)를 클리어 TS(Clear TS)로 변환한다. 디멀티플렉서(Demux)(22)는 상기 클리어 TS(Clear TS)로부터 AV 스트림과 EPG 스트림을 구분해서 각각 디코더부(30)의 AV 디코더(31)와 EPG 디코더(32)에 전달한다.
디코더부(30)는 신호 처리부(20)의 디멀티플렉서(Demux)(22)가 전달한 AV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AV 디코더(31), 디멀티플렉서(Demux)(22)가 전달한 EPG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EPG 디코더(3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AV 디코더(31)는 상기 디멀티플렉서(Demux)(22)가 전달한 AV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이를 영상 출력장치 및 음성 출력장치로 전달하게 되며, EPG 디코더(32)는 EPG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전자적인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사용자 요구에 응답하여 영상 출력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한편, 저장부(400)는 신호 처리부(20)가 전달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의 저장 포맷을 생성하는 저장 처리기(41)와 이를 저장하는 메모리, 디스크 등의 저장 장(42)치로 이루어진다. 저장 처리기(41)는 신호 처리부(20)가 전달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에 대하여 적절한 저장 포맷으로 해당 콘텐츠를 저장 장치(42)로 전달해 주고, 저장 장치(42)는 저장 처리기(41)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를 저장한다. 저장 장치(42)에 저장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콘텐츠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저장 처리기(41)의 제어를 받아 출력되고, 이를 AV 디코더(31)에 전달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 디코딩을 거쳐서 영상출력장치 및 음성출력장치를 통해서 재생, 출력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동작을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에 대한 저장 및 재생의 경우와,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에 대한 저장 및 재생의 경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저장]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 상기 저장부(40)는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를 저장할 수 있다. 도2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 대한 저장 제어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제 1 단계(S201)에서, 튜너부(10)는 수신된 DMB RF 신호에서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을 생성한다.
제 2 단계(S202)에서, 상기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포맷으로 저장할 것인지, 혹은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의 포맷으로 저장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제 2 단계(S202)의 판별 결과,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의 포맷으로 저장할 경우에는 제 3 단계(S203)로 이행한다.
제 3 단계(S203)에서, 디멀티플렉서(Demux)(22)는 튜너부(10)에서 전달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으로부터 디스크램블 키(Descramble Key)를 추출하고, 이 추출된 디스크램블 키(Descramble Key)를 CA 처리부(21)로 전달한다.
제 4 단계(S204)에서, CA 처리부(21)는 상기 디스크램블 키(Descramble Key) 를 토대로, 상기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을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으로 변환한다.
제 5 단계(S205)에서, 멀티플렉서(Demux)(22)는 상기 변환된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을 저장부(40)로 전달한다.
제 6 단계(S206)에서, 상기 저장부(40)의 저장 처리기(41)는 상기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을 포맷 변환 없이 트랜스포트 스트림(TS)으로 저장 장치(42)에 저장하도록 전달하거나, 상기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을 프로그램 스트림(Program Stream: PS)으로 변환하여 저장 장치(42)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을 멀티미디어 파일(Multimedia File: MM File)로 변환하여 저장 장치(42)에 전달한다.
제 7 단계(S207)에서, 저장 장치(42)는 상기 저장 처리기(41)로부터 전달된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을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 처리기(41)로부터 전달된 프로그램 스트림(PS)을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저장 처리기(41)로부터 전달된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을 저장한다.
한편, 상기 제 2 단계(S202)의 판별 결과,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의 포맷으로 저장하는 경우에는 제 8 단계(S208)로 이행한다.
제 8 단계(S208)에서, 디멀티플렉서(Demux)(22)는 튜너부(10)에서 전달된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을 저장부(40)로 전달한다.
제 9 단계(S209)에서, 저장 처리기(41)는 상기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을 포맷 변환 없이 저장 장치(42)로 전달하여,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의 포맷으로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저장 장치(42)에 저장하게 된다.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재생]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저장 포맷 등에 따라 적절하게 출력 및 재생된다.도3은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 대한 재생 제어방법의 플로우 차트이다.
저장 장치(42)에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또는 프로그램 스트림(PS)을 재생할 때에는 저장 처리기(41)가 이를 신호 처리부(20)에 전달하고, 신호 처리부(20)의 디멀티플렉서(Demux)(22)는 이를 해석해서 AV 스트림과 EPG 스트림을 디코더부(30)에 전달한다. 저장 장치(42)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을 재생할 때는 저장 처리기(41)가 이를 해석해서 AV 스트림을 디코더부(30)의 AV 디코더(31)로 전달한다.
제 1 단계(S301)에서, 저장 장치(42)는 사용자의 재생 요구에 응답하여 저장 처리기(41)의 제어를 받아 재생모드로 진입한다.
제 2 단계(S302)에서, 저장 처리기(41)는 재생이 요구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현재 파일 포맷을 판별한다. 파일 포맷이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 형태이면 제 3 단계(S303)로 이행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포맷이면 제 5 단계(S305)로 이행하고, 프로그램 스트림(PS) 포맷이면 제 10 단계(S310)로 이행한다.
파일 포맷이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이면 제 3 단계(S303)에서 저장 처리기(41)는 저장 장치(42)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 형태의 해당 콘텐츠를 출력 처리하고, 제 4 단계(S304)에서 상기 출력된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을 디코더부(30)의 AV 디코더(31)로 전달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디코딩이 이루어짐으로써 해당 콘텐츠의 영상 및 음성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단계(S302)의 판별 결과,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이 프로그램 스트림(TS)이면 제 10 단계(S310)로 이행한다. 저장 처리기(41)는 저장 장치(42)에 저장된 프로그램 스트림(PS) 포맷의 해당 콘텐츠를 출력 처리하고, 이 것을 신호 처리부(20)의 디멀티플렉서(22)에 전달한다. 디멀티플렉서(22)는 입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해석하여 AV 스트림과 EPG 스트림을 각각 디코더부(30)의 AV 디코더(31)와 EPG 디코더(32)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 4 단계(S304)에서 디코더부(30)의 AV 디코더(31) 및 EPG 디코더(32)가 상기 AV 스트림 및 EPG 스트림을 디코딩함으로써 해당 콘텐츠의 영상 및 음성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단계(S302)의 판별 결과,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이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이면 제 5 단계(S305)로 이행한다.
제 5 단계(S305)는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인지, 혹은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인지를 판별하는 단계이다. 제 5 단계(S305)의 판별 결과,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이면 제 6 단계(S306)로 이행하고,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이면 제 9 단계(S309)로 이행한다.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이면 제 9 단계(S309)에서, 저장 처리기(41)는 저장 장치(42)에 저장된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 트림(Clear TS) 포맷의 해당 콘텐츠를 출력 처리하고, 이 것을 신호 처리부(20)의 디멀티플렉서(22)에 전달한다. 디멀티플렉서(22)는 입력된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 해석하여 AV 스트림과 EPG 스트림을 각각 디코더부(30)의 AV 디코더(31)와 EPG 디코더(32)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 4 단계(S304)에서 디코더부(30)의 AV 디코더(31) 및 EPG 디코더(32)가 상기 AV 스트림 및 EPG 스트림을 디코딩함으로써 해당 콘텐츠의 영상 및 음성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 5 단계(S305)의 판별 결과,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이면 제 6 단계(S306)에서, 저장 처리기(41)는 저장 장치(42)에 저장된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 포맷의 해당 콘텐츠를 출력 처리하고, 이 것을 신호 처리부(20)의 디멀티플렉서(Demux)(22)에 전달한다. 디멀티플렉서(Demux)(22)는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으로부터 디스크램블 키(Descramble Key)를 추출하여 이 것을 CA 처리부(21)로 전달한다.
다음, 제 7 단계(S307)에서, CA 처리부(21)는 디스크램블 키(Descramble Key)를 토대로 상기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을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로 변환하여 디멀티플렉서(Demux)(22)로 전달한다.
다음, 제 8 단계(S308)에서, 디멀티플렉서(22)는 입력된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 해석하여 AV 스트림과 EPG 스트림을 각각 디코더부(30)의 AV 디코더(31)와 EPG 디코더(32)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 4 단계(S304)에서 디코더부(30)의 AV 디코더(31) 및 EPG 디코더(32)가 상기 AV 스트림 및 EPG 스트림을 디코 딩함으로써 해당 콘텐츠의 영상 및 음성 출력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DMB 수신기에 적용하여 DMB 방송을 적절하게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다. 특히, DMB 수신기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트랜스포트 스트림, 프로그램 스트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형태로 적절하게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고, 또한 이 저장된 포맷에 따라 적절한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치도록 제어하여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이나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 등의 포맷으로 저장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적합한 신호 처리 과정을 거쳐서 해당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11)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여 트랜스포트 스트림 기반으로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트랜스포트 스트림 저장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된 저장 포맷에 따라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 포맷은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이거나,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이거나, 프로그램 스트림(PS: Program Stream),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 포맷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포맷이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인 경우에는 해당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그 포맷 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포맷이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인 경우에는 디스크램블 키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디스크램블 키를 토대로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을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 송 저장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포맷이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인 경우에는 이를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이나 프로그램 스트림(PS),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제어방법.
  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저장 장치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을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된 포맷에 따라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로부터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은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이거나,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이거나, 프로그램 스트림(PS: Program Stream), 또는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 포맷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제어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로부터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이 멀티미디어 파일(MM File)인 경우에는 해당 멀티미디어 파일을 바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제어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로부터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이 프로그램 스트림(PS)인 경우에는 해당 프로그램 스트림을 디멀티플렉싱하여 AV 스트림과 EPG 스트림을 분리하고 이들을 각각 AV 디코더와 EPG 디코더를 통해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제어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로부터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이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인 경우에는 디스크램블 키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디스크램블 키를 토대로 스크램블 트랜스포트 스트림(Scrambled TS)을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제어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로부터 재생할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포맷이 클리어 트랜스포트 스트림(Clear TS)인 경우에는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디멀티플렉싱하여 AV 스트림과 EPG 스트림을 분리하고 이들을 각각 AV 디코더와 EPG 디코더를 통해서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제어방법.
KR1020050040232A 2005-05-13 2005-05-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및 재생 제어방법 KR20060117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32A KR20060117731A (ko) 2005-05-13 2005-05-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및 재생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232A KR20060117731A (ko) 2005-05-13 2005-05-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및 재생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7731A true KR20060117731A (ko) 2006-11-17

Family

ID=3770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232A KR20060117731A (ko) 2005-05-13 2005-05-13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및 재생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77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0892B2 (en) 2015-08-17 2023-11-21 Ticona Llc Liquid crystalline polymer composition for camera modu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20892B2 (en) 2015-08-17 2023-11-21 Ticona Llc Liquid crystalline polymer composition for camera modu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441B1 (ko) 저장 매체에 저장된 서비스의 중지 시점부터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60066636A (ko) Pvr 시스템 및 그 방송 재생 방법
JP4076428B2 (ja) 映像・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5111134B2 (ja) 録画再生装置
KR20060117731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저장 및 재생 제어방법
KR100615242B1 (ko) 타임 쉬프트 구현이 가능한 디지털 텔레비전 및 동작 방법
CN101169958B (zh) 存储和再现交互数字广播信号的方法及其装置
JP5444722B2 (ja) ダビング装置
JP4735560B2 (ja) デジタル放送再生装置
KR20070110670A (ko) Pvr 장치에서 타임 쉬프트 기능을 이용한 복수 채널예약 녹화 방법
KR20070107545A (ko) 영상출력기기의 재생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37071B1 (ko) Pvr 시스템의 타임쉬프트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452614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에서의 트릭 플레이 방법
KR100782650B1 (ko) 비디오 녹화 장치에 있어서 녹화물에 대한 제목 부여 방법
KR101386820B1 (ko) 방송수신기에서의 방송녹화 및 재생 제어 방법
KR20050091374A (ko) 전송 스트림 데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0903432B1 (ko) 디지털 방송 기록 장치 및 그 장치에서 실행되는 최종 재생위치 탐색을 통한 재생 제어 방법
JP2006311278A (ja) 受信装置
KR20070057293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녹화 장치 및 방법
KR20070057499A (ko) Pvr 시스템의 타임쉬프트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060080984A (ko) 오디오 신호 변환 인코더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 수신시스템 및 오디오 신호 변환 방법
KR20060117495A (ko) Pvr에서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이용한 광고시간 대체방법
KR20030075576A (ko) 단일 디스크램블러를 구비한 방송신호 수신기와 그수신기에서의 유료 방송 스트림 저장 및 재생 방법
KR20080066196A (ko) 방송 수신 시스템의 스크램블 스트림 저장 및 재생 장치와방법
KR20040079042A (ko) 티브이 방송에 대한 오디오 녹음 및 재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