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171A -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 - Google Patents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171A
KR20030028171A KR1020010060175A KR20010060175A KR20030028171A KR 20030028171 A KR20030028171 A KR 20030028171A KR 1020010060175 A KR1020010060175 A KR 1020010060175A KR 20010060175 A KR20010060175 A KR 20010060175A KR 20030028171 A KR20030028171 A KR 20030028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egulation
desiliconizer
molten steel
transfer
thr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5710B1 (ko
Inventor
이민수
조백석
김영종
이찬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0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710B1/ko
Publication of KR20030028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4Discharging devices, e.g. for sla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2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by applying additives, e.g. flux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2Making special pig-iron, e.g. by applying additives, e.g. oxides of other metals
    • C21B5/023Injection of the additives into the melting par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4Removing impurities other than carbon, phosphorus or sulf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4Charging or discharging liquid or molten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고로에서 출선되어 대탕도를 진행하는 용강에 직접 탈규제를 투입함은 물론, 그 투입되는 탈규제가 용강의 표면이 아닌 용강 속에 투입될 수 있게 하였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고로의 출선구 입 측에서도 탈규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여 용강이 대탕도를 진행하는 동안에 탈규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토페도레들카로 공급되는 용강에 목적하는 규소함량이 유지되게 한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고로(400)에서 출선되는 용강을 받아 토패도레들카()로 이송하는 대탕도(420)에 마련된 탈규제투입수단(100); 상기 탈규제투입수단과 끝단이 연결 설치되어 탈규제를 탈규제투입수단에 공급하도록 마련된 탈규제이송수단(200); 상기 탈규제이송수단의 선단과 연결 설치되어 탈규제를 탈규제이송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탈규제공급수단(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Desilicon throwing system of runner liquid steel}
본 발명은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로에서 출선되는 용강을 받아 토패도레들카로 이송하는 대탕도에 탈규제를 투입하여 그 대탕도를 진행하는 용강에 함유된 규소(Si)성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로에서 출선되는 용강에는 규소를 비롯한 많을 종류의 유해성분이 존재해 있게되고 그 유해성분들은 강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해성분들 중 규소를 제거하자는 것으로서, 종래의 규소제거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로(400)의 출선구(410)에서 출선되는 용강이 대탕도(420)를 통하여 토패도레들카(430)로 공급되게 되고 이때 탈규제 투입은 탈규제운반차(440)에 실려진 탈규제를 용강이 진행하는 대탕도(420) 상이나 토패도레들카(430)에 용강을 투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탈규제투입은 첫째, 대탕도(420)를 진행하는 용강의 표면에 투입되는 것으로서, 탈규제가 용강속으로 침입하지 못해 탈규가 골고루 이루어지지 못하고 상기 대탕도(420)를 진행하는 용강의 표면에서만 이루어져 탈규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둘째로는 탈규제를 규소가 함유된 용강과 함께 토패도레들카(430)에 직접 투입하는 것으로서, 이는 토페도레들카(430)내에서 탈규제와 용강이 반응하여 넘치게됨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포밍억제제를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포밍억제제의 사용으로 인한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또, 상기 토페도레들카(430)내에서 용강과 탈규제가 반응하여 슬래그가 발생하게 되면 그 슬래그에 의해 토페도레들카(430)내에 담겨져야 할 용강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짐으로 후 공정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토페도레들카(430)내에서 탈규제와 용강이 반응하여 넘치게되면 조업을 중단해야하고 그에 따른 조업속도가 늦어짐으로 생산성에 차질이 발생함은 물론, 상기 용강의 탈규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강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로에서 출선되어 대탕도를 진행하는 용강에 직접 탈규제를 투입함은 물론, 그 투입되는 탈규제가 용강의 표면이 아닌 용강 속에 투입될 수 있게 하였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고로의 출선구 입 측에서도 탈규제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여 용강이 대탕도를 진행하는 동안에 탈규처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토페도레들카로 공급되는 용강에 목적하는 규소함량이 유지되게 한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대탕도 탈규제 투입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탕도 탈규제 투입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규제투입수단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규제이송수단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규제공급수단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탕도 탈규제 투입장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면의 주용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탈규제투입수단 110 : 투입기
120 : 스크류 130 : 관통공
200 : 탈규제이송수단 210,210a : 이송관
211 : 삽입관 211a : 수용관
220,220a : 모터 230,230a : 이송스크루
240 : 실린더 250 : 토출관
300 : 탈규제공급수단 310 : 호퍼
320 : 슬라이딩게이트 330 : 바이브레이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탕도 탈규제 투입장치에 대한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대탕도 탈규제 투입장치는 고로에서 출선되는 용강을 받아 토패도레들카로 이송하는 대탕도에 마련된 탈규제투입수단과, 상기 탈규제투입수단과 끝단이 연결 설치되어 탈규제를 탈규제투입수단에 공급하도록 마련된 탈규제이송수단과, 상기 탈규제이송수단의 선단과 연결 설치되어 탈규제를 탈규제이송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탈규제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탈규제투입수단은 내화제로 된 투입기가 대탕도를 진행하는 용강에 잠기도록 마련되고 상기 투입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그 관통공에는 스크루를 설치하여 된 것이다.
또, 상기 탈규제이송수단은 상하부에 각각의 이송관이 설치되고 그 이송관의 내부에는 일 측단에 모터가 설치된 이송스크루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이송관의 선단 하부와 하부 이송관의 끝단 상부에는 삽입관과 수용관이 설치되어 그들이 상하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 이송관의 하부 중앙에는 실린더가 설치되고 선단에는 토출관을 설치하여 된 것이다.
또, 상기 탈규제공급수단은 하단이 이송관과 연결 설치되는 호퍼가 마련되고 그 호퍼의 하부에는 슬라이딩게이트와 바이브레이터를 설치하여 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대탕도 탈규제 투입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로(400)에서 출선구(410)를 통하여 배출되는 용강을 받아 토패도레들카(430)로 공급하는 대탕도(42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화제로 이루어진 유자형태의 몸체(42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용강의 온도를 보온하는 덮개(42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는 슬래그유출구(42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선택된 곳에는 댐(42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424)은 용강의 표면에 위치하여 진행하는 슬래그의 진행은 방지하고 용강만 하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421)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그 설치구조는 몸체(421)하부와 댐(424)의 하부간에 용강이 흐를 수 있는 용강로가 형성되게 설치하였다. 또, 상기 슬래그유출구(423)는 댐(424)의 전방에 설치되어 용강상에 떠서 진행하는 슬래그를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대탕도(420)의 선택된 곳에는 본 발명의 대탕도 탈규제 투입장치가 설치되어 탈규제가 공급되는데, 상기 대탕도 탈규제 투입장치의 설치위치는 슬래그유출구(423)가 형성된 대탕도 몸체(421)의 전방 또는 고로(400)의 출선구(410)로부터 용강이 떨어지는 대탕도 몸체(421)의 직상부 중 어느 한곳 또는 양쪽모두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대탕도 탈규제 투입장치를 양쪽모두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용강 중의 규소성분을 0.045%이하로 유지하고자 할 때이고, 대탕도 탈규제 투입장치를 어느 한곳에만 설치하여 사용할 때에는 용강 중의 규소성분을 0.07%이하로 유지하고자 할 때이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대탕도 탈규제 투입장치에서 탈규제투입수단(10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강에 견딜 수 있는 내화제로 이루어진 투입기(110)가대탕도(420)를 진행하는 용강에 하부가 잠기도록 마련되고 상기 투입기(11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관통공(130)에는 스크루(120)가 설치되어 있다. 단 상기 관통공(130)의 상단에는 프랜지(1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관통공(130)에 스크루(120)를 설치한 이유는, 탈규제가 관통공(230)으로 공급되면서 그 탈규제가 스크루(120)를 따라 회전을 하여 용강속으로 깊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래야 용강속의 규소를 골고루 반응시켜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탈규제이송수단(20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에 각각의 이송관(210,210a)이 설치되고, 그 이송관(210,210a)의 내부에는 일 측단에 모터(220,220a)가 설치된 이송스크루(230,230a)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이송관(210)의 선단 하부와 하부 이송관(210a)의 끝단 상부에는 삽입관(211)과 수용관(211a)이 설치되어 그들이 상하슬라이딩 가능하게 상호 결합되며, 상기 하부 이송관(210a)의 하부 중앙에는 실린더(240)가 설치되고 선단에는 토출관(2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출관(250)은 2개로 양분되어 있으며 그 양분된 각각의 토출관(250) 끝단은 플랜지(251)를 형성시켜 그 프랜지(251)와 투입기(110)의 관통공(130)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131)가 상호 연결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이송관(210a)의 하부 중앙에 설치된 실린더(240)는 탈규제의 투입작업이 끝나면 탈규제투입수단(100)을 대탕도(420)로부터 인출해내는 것으로서, 이는 실린더(240)가 작동하여 하부 이송관(210a)을 상부로 들어올리면 수용관(211a)이 삽입관(211)을 따라 상승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탈규제투입수단(100)이 대탕도(420)로부터 인출되는 것이다. 단 이때 각각의 스크루(230,230a)를 회전시키는 모터(220,220a)의 작동은 정지된 상태이다.
또한 본 발명의 탈규제공급수단(30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이 상부 이송관(210)과 연결 설치되는 호퍼(310)가 마련되고, 그 호퍼(310)의 하부에는 슬라이딩게이트(320)와 바이브레이터(33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슬라이딩게이트(320)는 호퍼(310)의 저부를 개폐하는 것이고, 바이브레이터(330)는 호퍼(310)내의 탈규제가 이송관(210)에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호퍼(310)를 진동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대탕도 탈규제 투입장치에 대한 작용을 첨부도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탕도(420)를 진행하는 용강에 탈규제를 투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어부(500)의 각 스위치(510)를 ON하여 호퍼(310)의 슬라이딩게이트(320)를 열고 바이브레이터(330)를 가동시켜 호퍼(310)내의 탈규제를 상부 이송관(210)에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상/하부 이송관(210,210a)에 설치된 모터(220,220a)의 가동으로 이송 스크루(230,230a)가 회전되면 탈규제는 상부 이송관(210)에서 하부 이송관(210a)으로 이송되며 투입기(110)의 관통공(130)으로 공급되고 그 공급된 탈규제는 스크루(120)를 따라 회전하며 대탕도(420)를 진행하는 용강속에 공급된다.
또, 상기 용강으로의 탈규제 공급작업이 완료되면 실린더(240)를 작동시켜 하부 이송관(230a)을 들어올림으로 투입기(110)가 따라 올라가 대탕도(420)로부터인출한다. 반대로 탈규제를 대탕도(420)의 용강에 공급하고자 할 때에는 실린더(240)를 역으로 작동시켜 투입기(110)를 하방으로 내림으로서 대탕도의 용강에 잠기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또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를 하나 가동할 때의 설명이고 2개 모두를 가동할 때에는 역시 제어부(500)의 각 스위치(510)를 ON하여 상기 하나 가동할 때와 동일 한 작동을 하게 하면 된다.
한편 대탕도에는 대기중의 산소가 용강에 접촉되지 않도록 불활성가스를 공급해야 하는데, 그를 위하여 대탕도(420)의 주위에는 질소분사노즐이 다수개 설치되고 그 질소분사노즐로의 질소공급 및 차단은 제어부(500)에서 이루어진다.
이상의 본 발명은 대탕도에 용강이 진행하면 탈규제투입수단(100) 및 탈규제이송수단(200)과 탈규제공급수단(300)을 작동시켜 탈규제를 용강속에 공급하고 대탕도에 용강이 진행하지 않으면 상기 탈규제투입수단(100) 및 탈규제이송수단(200)과 탈규제공급수단(300)의 작동을 정지시켜 탈규제의 투입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실린더(240)를 이용하여 투입기(110)를 들어올리고 슬라이딩게이트(320)는 호퍼(310)의 저부를 폐하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탈규제의 투입 및 정지를 기계적인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함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됨은 물론, 대탕도의 용강속에 투입함으로서 탈규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양질의 강을 생산할 수 있고, 또 용강이 규소함량 에 따라 선택적으로 탈규제를 투입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고로(400)에서 출선되는 용강을 받아 토패도레들카(430)로 이송하는 대탕도(420)에 마련된 탈규제투입수단(100);
    상기 탈규제투입수단과 끝단이 연결 설치되어 탈규제를 탈규제투입수단에 공급하도록 마련된 탈규제이송수단(200);
    상기 탈규제이송수단의 선단과 연결 설치되어 탈규제를 탈규제이송수단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탈규제공급수단(300)을 포함하는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규제투입수단은 내화제로 된 투입기(110)가 대탕도를 진행하는 용강에 잠기도록 마련되고 상기 투입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공(130)이 형성되며 그 관통공에는 스크류(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규제이송수단은 상하부에 각각의 이송관(210,210a)이 설치되고 그 이송관의 내부에는 일 측단에 모터(220,220a)가 설치된 이송스크루(230,230a)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이송관의 선단하부와 하부 이송관의 끝단 상부에는 삽입관(211)과 수용관(211a)이 설치되어 그들이 상하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 이송관의 하부 중앙에는 실린더(240)가 설치되고 선단에는 토출관(2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규제공급수단은 하단이 이송관과 연결 설치되는 호퍼(310)가 마련되고 그 호퍼의 하부에는 슬라이딩게이트(320)와 바이브레이터(3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
KR1020010060175A 2001-09-27 2001-09-27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 KR100805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175A KR100805710B1 (ko) 2001-09-27 2001-09-27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175A KR100805710B1 (ko) 2001-09-27 2001-09-27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171A true KR20030028171A (ko) 2003-04-08
KR100805710B1 KR100805710B1 (ko) 2008-02-21

Family

ID=2956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175A KR100805710B1 (ko) 2001-09-27 2001-09-27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7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384B1 (ko) 2017-05-08 2018-07-30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물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융물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625B1 (ko) * 2018-07-24 2020-05-19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의 주상 탈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011A (ja) * 1983-07-04 1985-01-23 Kawasaki Steel Corp 溶銑の脱けい処理方法
JPS60255911A (ja) * 1984-05-31 1985-12-17 Kawasaki Steel Corp 連続精錬における精錬剤供給量の制御方法
KR20000002644U (ko) * 1998-07-09 2000-02-07 이구택 탈규제 투입장치
KR200223208Y1 (ko) * 2000-12-23 2001-05-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용선제조를 위한 탈규제 제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384B1 (ko) 2017-05-08 2018-07-30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물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융물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710B1 (ko)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1237B1 (ko) 직접 제련 공정의 압력 제어 방법
US6399016B2 (en) Direct smelting plant
RU2343201C2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прямого плавления
JPH0518670A (ja) 熔融金属の生成装置及び生成方法
KR100805710B1 (ko) 대탕도의 탈규제 투입장치
CN107249785B (zh) 密封并修复耐火排出孔的方法
US4808219A (en) Method for treating metal melt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4829777B2 (ja) 直接製錬装置
JP6540632B2 (ja) 溶銑の脱燐処理方法
CN101194029B (zh) 热金属供应设备
JPS6176607A (ja) 溶銑の予備精錬による製鋼設備
KR20140028469A (ko) 용탕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CN218014848U (zh) 转炉钢渣无害化处理装置
JPS626722B2 (ko)
KR20010028870A (ko) 용선 출선시의 슬라그 혼입 방지장치
KR101443348B1 (ko) 용강 탈황제 공급장치
AU779218B2 (en) Direct smelting plant
RU2172456C1 (ru) Агрегат для внепечной обработки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и шлакового расплавов
JP5078318B2 (ja) 高炉鋳床の連続精錬方法
KR100328938B1 (ko) 전로슬래그유출방지장치
KR19980038140U (ko) 슬라그 개질층 상부에 알루미늄류를 투입하기 위한 장치
JPH0418004B2 (ko)
JPH01119613A (ja) 出銑状況に即応した連続脱珪処理方法
JPH0437131B2 (ko)
JPS6223916A (ja) 溶銑の連続予備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