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115A -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에서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에서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115A
KR20030028115A KR1020010060087A KR20010060087A KR20030028115A KR 20030028115 A KR20030028115 A KR 20030028115A KR 1020010060087 A KR1020010060087 A KR 1020010060087A KR 20010060087 A KR20010060087 A KR 20010060087A KR 20030028115 A KR20030028115 A KR 20030028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blast furnace
particle size
hopp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8115A/ko
Publication of KR2003002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11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8Bell-and-hopper arrangements
    • C21B7/20Bell-and-hopper arrangements with appliances for distributing the burde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 C21B5/008Composition or distribution of the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14Agglomerating; Briquetting; Binding; Granulating
    • C22B1/16Sintering; Agglomer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소결 과정에서 발생되는 반광의 입도를 조절하는 반광 입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결공장에서의 소결광 회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은, 고로 반광 호퍼와 반광 호퍼 사이에 설치되는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가, 소결 배합원료로 사용되는 전체 반광의 입도가 -5mm로 되도록 고로 반광을 분리시켜 조절하되,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의 비율이 전체 반광의 비율중 3-5% 정도가 되도록 고로 반광의 입도를 조절하며, 또한 분리된 반광중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의 비율 만큼 상부광의 일부가 대체되도록 분리된 반광중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을 상부광 호퍼로 공급하여 이루어 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에 의하여 일정 크기의 고로 반광(입도가 -5mm)만 소결광의 제조에 이용되므로 소결 베드 내의 전체적인 반응성이 향상되므로 소결광의 회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에서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Screen Control Method for Blast Furnace Return Fine}
본 발명은 소결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로 반광의 입도를 조절하는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철용 고로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리턴되는 고로 반광(Blast Furnace Return Fine)을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에 통과시켜 일정 크기의 입도분포를 갖는 고로 반광으로 분리시키고, 분리된 고로 반광중 일정 크기 이상의 입도분포를 갖는 고로 반광은 상부광에 혼합시켜 소결공장에서의 소결광 회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용 고로의 원료인 소결광의 제조공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원료인 철광석과 각종 부원료를 포함하는 소결 원료와 연료인 분코크스가 배합된 후 소결 원료 호퍼(10)에 장입되고, 상기 소결 원료 호퍼에 장입된 배합원료는 드럼 피더(25)의 회전에 의하여 경사판(30)을 거쳐, 상부광 호퍼(20)를 통하여 이미 적재된 소결기 대차(15) 상의 상기 상부광 위로 장입된다. 이어서 상기 소결기 대차 상에 적재되어 운반되는 소결 원료는 점화로(35)를 통과하게 되고, 흡인 블로어(40)에 의하여 윈드 박스(Wind Box)(45)에서 하부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소결 원료층 내에서 코크스(Coke)가 연소되는 등의 소결반응이 진행되어 소결광이 제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윈드 박스(45)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주 배풍관(50)및 전기 집진기(55)를 거쳐 굴뚝(60)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소결광의 제조공정에서 소결을 행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에 의한 원료 사전처리 과정이 진행된다. 이 과정은 주원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부원료로 사용되는 석회석, 규석, 생석회 그리고 연료로 사용되는 코크스와 반광(7)이 드럼 믹서(Drum Mixer)(8)에서 1차 혼합된 후 리롤링 드럼(Rerolling Drum)(9)에서 2차 조립되어 소결 원료 호퍼(10)에 장입되며, 소결이 완료된 소결광이 스크린되어 일정 크기의 입도를 갖는 상부광(18)이 상부광 호퍼(20)에 장입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광은 대략적으로 입도가 10-15mm 사이의 것이 사용되는데, 그 중 작은 것은 8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것도 사용된다.
상기 반광은 소결 조업중 발생된 -5mm 이하의 입도를 가지며 통상 25% 이하로 관리되는 자체 반광(Return Fine)(4)과 고로로 직송된 소결광이 수송도중 발생된 -5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고로 반광(Blast Furnace Return Fine)(5)으로 나뉘어 진다. 상기 자체 반광의 양이 많다는 것은 소결광의 회수율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세밀한 스크린(Screen) 관리로 실제적으로 발생되는 반광의 입도를 철저히 관리하는 바, 대략적으로 반광중의 +5mm 입도를 갖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작아서 전체 반광의 비율중 3% 내외로 발생된다. 그런데 상기 고로 반광의 경우에는 고로 내부에서의 통기도 확보라는 측면에서 입도 관리를 소홀히 하여 고로 반광 호퍼(도면번호 미부여)로 유입되는 반광중 +5mm 입도를 갖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대략적으로 전체 반광의 비율중 15-40% 내외로 발생된다.
실질적으로 소결 배합원료로 사용되는 반광의 경우 상기 자체 반광과 고로 반광이 혼합되어 사용되므로 고로 반광의 입도가 크다는 것은 전체적인 반광의 입도가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은 소결광의 회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로 대두되는 것이다.
제철소에서 반광이라는 것은 소결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아도 생성되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의 생성량이 증가될 경우 소결광의 회수율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뿐만아니라 고로 원료로서의 소결광 수급 밸런스에도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 인하여 소결 공장에서는 이를 적극적으로 줄이려는 노력들을 행하여 오고 있다. 하지만 반광은 일단 열을 받아 소성된 것이기 때문에 반광을 소결에 재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신원료(Fresh Material)들에 비하여 부원료들의 열분해나 철광석 내에 존재하는 결정수들의 분해 등에 따른 열량의 소모가 작아질 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표면을 지닌 특성으로 인하여 소결 배합원료들의 조립에 유리하게 작용되어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어느 정도 이상의 반광 사용은 소결에 필수 불가결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사용되는 반광의 입도가 크다는 것은 입도가 작은 것에 비하여 그 반응성이 떨어진다라는 측면에서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고로 반광을 일정 크기의 입도 분포를 갖는 고로 반광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된 고로 반광중 일정 크기 이상의 입도 분포를 갖는 고로 반광은 상부광에 혼합시켜 소결공장에서의 소결광의 회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철광석 소결공정을 나타내는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을 이루기 위한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가 설치된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종래의 반광의 입도가 조절되기 전 소결 포트(Pot) 실험에서의 온도 패턴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에 의하여 반광의 입도가 조절되었을 경우 소결 포트(Pot) 실험에서의 온도 패턴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자체 반광5 : 고로 반광
6 :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7 : 반광
8 : 드럼 믹서9 : 리롤링 드럼
10 : 소결 원료 호퍼15 : 소결기 대차
18 : 상부광20 : 상부광 호퍼
C1 : 제1 스크린 장치C2 : 제2 스크린 장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은, 고로 반광 호퍼와 반광 호퍼 사이에 설치되어, 소결 배합원료로 사용되는 전체 반광(자체 반광+고로 반광)의 입도가 -5mm로 되도록 고로 반광을 분리시켜 조절하되,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의 비율이 전체 반광의 비율중 3-5% 정도 되도록 고로 반광의 입도를 조절하는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을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는, 분리된 반광중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의 비율 만큼 상부광의 일부가 대체되도록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을 상부광 호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 중 도 3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체 반광(4)은 자체 반광 호퍼(도면번호 미부여)를 통해 반광 호퍼(도면번호 미부여)로 유입되고 고로 반광(5)은 고로 반광 호퍼(도면번호 미부여)를 통해 상기 반광 호퍼로 유입되며 상기 반광 호퍼로 유입된 각 반광(7)은, 주원료인 철광석, 부원료인 석회석과 규석 및 생석회 그리고 연료로 사용되는 코크스와 함께 드럼 믹서(8)에서 1차 혼합되고, 이어서 리롤링 드럼(Rerolling Drum)(9)에서 2차 조립된 후 소결 원료 호퍼(10)에 장입되며, 소결이 완료된 소결광이 2차 스크린되어 일정 크기로 이루어진 상부광(18)이 상부광 호퍼(20)로 장입되는 제철소 소결공정의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고로 반광 호퍼와 반광 호퍼 사이에는, 소결 배합원료로 사용되는 전체 반광(자체 반광+고로 반광)의 입도가 -5mm로 되도록 고로 반광을 분리시켜 조절하되,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의 비율이 전체 반광의 비율중 3-5% 정도 되도록 고로 반광의 입도를 조절하는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6)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고로 반광 호퍼와 반광 호퍼 사이에 설치된 고로 반광 입도 조절장치(6)는 상기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를 통과하면서 분리된 반광중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의 비율 만큼 상부광(18)의 일부가 대체되도록 상기 분리된 반광중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을 상부광 호퍼(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6)의 설치에 따라 고로 반광 호퍼를 통과하는 비교적 입도가 큰 고로 반광이 그대로 소결광의 제조에 이용되지 않도록 걸러지고, 일정 크기의 고로 반광(입도가 -5mm)만 소결광의 제조에 이용되므로 소결 베드(미도시) 내의 전체적인 반응성이 향상되므로 융액 생성량의 증가로 인한 소결광들의 조직간 결합력이 강화되어 전반적으로 소결광의 회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6)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6)는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만 통과시킬 수 있는 직경의 다공을 지닌 제1 스크린 장치(C1)와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만 통과시킬 수 있는 직경의 다공을 지닌 제2 스크린 장치(C2)로 각각 구성하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제1 스크린 장치(C1)가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고 비스듬히(기울기 정도는 아래에서 설명) 설치되며, 그 하부에 제2 스크린 장치(C2)가 비스듬히 설치된다.
먼저, 입도 분리가 되지 않은 상태의 반광들이 상기 제1 스크린 장치(C1)가 설치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서 벨트 콘베이어(BC)에 적재된 채 이동되며, 이동중 상기 벨트 콘베이어(BC)의 구동에 따른 원심력 및 중력에 의하여 반광들은 상기 벨트 콘베이어의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낙하와 동시에 상기 반광들은 어느 정도 입도가 분리되는데, 이는 입도가 큰 반광들은 상대적으로 먼 곳(B방향)에 떨어지게 되고, 그리고 입도가 작은 반광들은 상대적으로 가까운 곳(A방향)에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입도가 작은 반광들이 떨어지는 위치에 제1 스크린 장치(C1)가 비스듬히(제1 스크린 장치를 통과하지 못하는 반광들은 상기 제1 스크린 장치에 부딪친 후 자중에 의해 자유낙하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로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스크린 장치(C1)의 다공 크기 즉, +5mm의 입도 또는 그 이하의 입도를 갖는 반광만 A방향(반광 호퍼쪽)으로 떨어지게 되며, +5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반광들(벨트 콘베이어(BC)를 타고 낙하하면서 먼 곳에 떨어지는 입도가 큰 반광 이외의 반광들-예를 들어 서로의 충돌에 의하여 입도가 작은 반광쪽으로 떨어지는 +5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반광들)은 상기 제1 스크린 장치에 충돌한 후 그 기울기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B방향(상부광 공급용 벨트 콘베이어(미도시)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 스크린 장치(C1)의 하부에는 제2 스크린 장치(C2)가 비스듬히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제1 스크린 장치를 통과하는 +5mm의 입도 또는 그 이하의 입도를 갖는 반광중 상기 제2 스크린 장치(C2)의 다공 크기 즉,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들만이 A방향(반광 호퍼쪽)으로 떨어지게 되며, 나머지인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들은 상기 제2 스크린 장치에 충돌한 후 그 기울기에 의하여 B방향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들만이 A방향으로 떨어지게 되지만 100%는 아니고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의 비율이 전체 반광의 비율중 3-5% 정도 되도록 고로 반광의 입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입도가 큰 반광 즉,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은 +5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반광과 함께 상부광 공급용 벨트 콘베이어(미도시)에 적재되어 상부광 호퍼(20)(도 3에 도시)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6)가 분리된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의 비율 만큼 상부광(18)(도 3에 도시)의 일부가 대체되도록, 상기 분리된 반광중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을 상부광 호퍼(20)로 공급함에 따라, 그 양만큼의 상부광을 고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소결광의 회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역할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6)를 제1 스크린 장치(C1)와 제2 스크린 장치(C2)로 각각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급 댐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구분 T/C #1최고온도(℃) T/C #2최고온도(℃) #1 1100℃ 이상 온도의 총합 #2 1100℃ 이상 온도의 총합
반광 입도 조절전 1,253 1,275 60,211 122,435
반광 입도 조절후 1,316 1,326 92,206 147,566
상기 [표 1]은 반광의 입도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의 최고온도(도 5에 도시)와 본 발명에 따른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에 의해 반광의 입도가 조절된 후의 최고온도(도 6에 도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반광 입도 조절전 즉, 반광의 입도가 클 경우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에 의하여 반광의 입도가 조절되어 반광의 입도가 작아진 경우에 비해 소결시 최고온도가 떨어졌으며, 소결에 있어 중요한 열량 관리 지표인 1100℃ 이상 온도의 총합 또한 반광 입도 조절전이 본 발명에 의한 반광 입도 조절후 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입도 조절 방법을 통하여 고로 반광의 입도를 조절해 주는 것이 소결 반응성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알려 주며, 이는 결국 소결광의 회수율 향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알려 주는 것이다.
(실시예 2)
주원료 철광석A 9.04 부원료 SL.F 0.14 코크스 3.7
철광석B 4.54 SP.F 1.65
철광석C 5.98 PH.LM 9.68
철광석D 3.95 BLM 1.12 반광 25.0
철광석E 25.81
철광석F 10.40
상기 [표 2]는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을 제철소 현장의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에 적용하기 전에 예비 실험으로서 소결 포트(Pot) 원료의 STD 배합안을 나타낸 것으로서, 필요한 부분을 변동시키면서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코크스(Coke) 사용량은 3.7%, 반광비는 25%로 동일하게 유지시키되 반광의 입도 변동이 소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 보기 위해 반광의 입도를 각각 +5mm(0%), +5mm(8%), +5mm(15%)가 되도록 임의로 조절을 행하였다.
또한, 반광의 입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코크스의 배합비를 변동시켜 가면서 실험을 행하여 반광 입도 조절을 통해 코크스의 사용량이 감소되는지의 효과 파악을 위해 실험을 행하였다.
우선, 동일 코크스(3.7%), 동일 반광비(25%) 하에서 반광의 입도 변화에 따른 실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반광 +5mm0%(이상적인 반광 입도 조절의 경우) 반광 +5mm5.0%(반광 입도 조절을 행한 경우) 반광 +5mm8.0%(반광 입도 조절을 행한 경우) 반광 +5mm15.0%(통상적인 소결 조업의 경우)
생산성 39.3 39.5 38.8 38.1
와 회수율 62.5 62.3 61.2 58.2
성품 회수율 72.2 72.0 71.5 67.4
강도 72.0 71.9 71.4 70.3
코크스 원단위 56.9 57.2 57.9 61.4
상기 [표 3]은 반광 입도 변화에 따른 소결성 및 소결 품질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동일한 반광비를 사용하더라도 반광의 입도가 큰 쪽이 작은 쪽에 비하여 생산성, 와 회수율, 성품 회수율 및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코크스 원단위의 경우에는 반광의 입도가 큰 쪽이 작은 쪽에 비해 높은 경향을 나타내는데, 이는 결국 동일한 연료비를 사용하였을 경우 반광의 입도가 큰 쪽이 작은 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효율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 원료로 사용되는 반광에 있어 자체 반광과 고로 반광의 사용 비율은 소결공장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전체 반광의 사용비를 기준으로하면 대략 자체 반광의 경우가 60-65%, 고로 반광의 경우가 35-4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자체 반광의 경우 +5mm 입도 크기를 갖는 비율이 약 15-40% 정도로 크게 차지하므로 통상적인 소결 조업의 경우 +5mm 입도 크기를 갖는 반광은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15% 정도가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을 사용하여 고로 반광의 입도 조절을 행할 경우 예상되는 반광의 입도 저하를 고려하여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도가 +5mm인 반광의 비율을 각각 8% 및 5%로 조절한 후 실험을 행한 결과, 입도가 +5mm인 반광의 비율이 15%에서 8%로 줄어 든 경우 생산성과 회수율 및 강도가 각각 향상됨을 알 수 있었고, 더구나 상기 비율을 8%에서 5%로 줄였을 경우 그 효과는 더욱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스크린 효율이 100%라고 하는 이상적인 조건을 가정하여 입도가 +5mm인 반광의 비율을 0%로 하였을 경우 입도가 +5mm인 반광의 비율이 5%인 경우에 비하여 회수율과 강도는 약간 증가되는 경향을 띄었으나 생산성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반광 입도가 작아짐에 따라 소결 베드 내의 통기도가 저하되어 소결시간이 늘어나게 되므로 이로 인한 약간의 생산성 저하로 이어진 것이다.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적절한 반광 입도 사용조건은 입도가 +5mm인 반광의 비율이 전체 반광중 약 3-5% 정도가 가장 적절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입도가 +5mm인 반광의 비율이 15%인 통상적인 경우와 입도가 +5mm인반광의 비율이 5%인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을 통해 반광의 입도를 조절한 경우에 있어서, 코크스의 배합 비율을 각각 3.70%, 3.65% 및 3.60%로 변동시킨 실험을 행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반광 +5mm5.0%코크스 3.60% 반광 +5mm5.0%코크스 3.65% 반광 +5mm15.0%코크스 3.70%
생산성 38.0 38.4 38.1
와 회수율 57.9 59.7 58.2
성품 회수율 67.2 71.2 67.4
강도 70.2 70.6 70.3
코크스 원단위 61.6 59.8 61.4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코크스의 사용시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에 의해 반광의 입도를 조절해 주고, 또한 코크스의 배합비를 점차 낮추었을 경우 통상적인 입도를 갖는 동시에 코크스의 배합비가 높은 경우보다 생산성이나 회수율 및 강도가 점차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에 의해 반광의 입도를 조절해 주고 코크스의 함량이 어느 정도 적게 적용되더라도 생산성이나 회수율 및 강도 측면에서 비교적 나쁜 영향을 받지 않고 조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통상적인 코크스의 배합비에 비하여 약 2.5% 이상 적게 사용되었을 경우 소결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에 의하여 고로 반광의입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일정 크기의 고로 반광만 소결광의 제조에 이용하므로 소결 베드 내의 전체적인 반응성이 향상되어 소결광의 회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을 통해 분리된 고로 반광중 일정 크기 이상의 입도를 갖는 반광의 비율 만큼 상기 일정 크기 이상의 입도를 갖는 반광이 상부광의 일부를 대체하도록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가 그 역할을 행하므로 결과적으로 소결광의 회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을 통한 반광의 입도 조절로 인하여 소결 베드 내의 반응성을 향상시켜 소결에서 사용되는 연료인 코크스의 사용량을 어느 정도 줄여도 소결광의 품질 및 성상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소결 조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코크스의 사용량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자체 반광(4)은 자체 반광 호퍼(도면번호 미부여)를 통해 반광 호퍼(도면번호 미부여)로 유입되고 고로 반광(5)은 고로 반광 호퍼(도면번호 미부여)를 통해 상기 반광 호퍼로 유입되며 상기 반광 호퍼로 유입된 각 반광(7)은 주원료인 철광석, 부원료인 석회석과 규석 및 생석회 그리고 연료로 사용되는 코크스와 함께 드럼 믹서(8)에서 1차 혼합되고, 이어서 리롤링 드럼(Rerolling Drum)(9)에서 2차 조립된 후 소결 원료 호퍼(10)에 장입되며, 소결이 완료된 소결광이 2차 스크린되어 일정 크기로 이루어진 상부광(18)이 상부광 호퍼(20)로 장입되는 제철소 소결공정의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만 통과시킬 수 있는 직경의 다공을 지닌 제1 스크린 장치(C1)와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만 통과시킬 수 있는 직경의 다공을 지닌 제2 스크린 장치(C2)로 각각 구성되어 상기 고로 반광 호퍼와 반광 호퍼 사이에 설치되는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6)가 소결 배합원료로 사용되는 전체 반광(자체 반광+고로 반광)의 입도가 -5mm로 되도록 고로 반광을 분리시켜 조절하되,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의 비율이 전체 반광의 비율중 3-5% 정도 되도록 고로 반광의 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로 반광 입도 조절 장치(6)가, 상기 고로 반광 입도 조절장치를 통하여 분리된 반광중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의 비율 만큼상부광(18)의 일부가 대체되도록 상기 +5mm의 입도를 갖는 반광을 상부광 호퍼(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
KR1020010060087A 2001-09-27 2001-09-27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에서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 KR20030028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087A KR20030028115A (ko) 2001-09-27 2001-09-27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에서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087A KR20030028115A (ko) 2001-09-27 2001-09-27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에서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115A true KR20030028115A (ko) 2003-04-08

Family

ID=2956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087A KR20030028115A (ko) 2001-09-27 2001-09-27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에서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81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60B1 (ko) * 2011-09-29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광 공급장치
CN108195199A (zh) * 2018-03-02 2018-06-22 唐山国丰钢铁有限公司 烧结烟道物料处理工艺及专用密封装置
CN108955259A (zh) * 2018-09-25 2018-12-07 陈伟 烧结机铺底料装置
EP4286546A1 (en) * 2023-02-23 2023-12-06 Tata Steel IJmuiden B.V.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sinter granu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9730A (ja) * 1987-11-25 1989-06-01 Kawasaki Steel Corp 焼結鉱最終篩による小塊焼結鉱の回収方法
JPH0621338A (ja) * 1992-07-01 1994-01-28 Seiko Epson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0173842B1 (ko) * 1994-09-21 1999-02-18 가타오카 겐지 고결정수 철광석을 원료로 사용하는 소결광의 제조방법
KR20010057130A (ko) * 1999-12-18 2001-07-04 이구택 반광 입도정립을 이용한 소결광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9730A (ja) * 1987-11-25 1989-06-01 Kawasaki Steel Corp 焼結鉱最終篩による小塊焼結鉱の回収方法
JPH0621338A (ja) * 1992-07-01 1994-01-28 Seiko Epson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0173842B1 (ko) * 1994-09-21 1999-02-18 가타오카 겐지 고결정수 철광석을 원료로 사용하는 소결광의 제조방법
KR20010057130A (ko) * 1999-12-18 2001-07-04 이구택 반광 입도정립을 이용한 소결광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60B1 (ko) * 2011-09-29 2013-03-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소결광 공급장치
CN108195199A (zh) * 2018-03-02 2018-06-22 唐山国丰钢铁有限公司 烧结烟道物料处理工艺及专用密封装置
CN108955259A (zh) * 2018-09-25 2018-12-07 陈伟 烧结机铺底料装置
EP4286546A1 (en) * 2023-02-23 2023-12-06 Tata Steel IJmuiden B.V.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of sinter granu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722B1 (ko) 용광로슬래그를사용하여시멘트클링커를제조하는방법및장치
RU2148559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цементного клинкера
KR20030028115A (ko) 원료 사전처리 시스템에서의 고로 반광 입도 조절 방법
US2004015718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ement clinker
KR100936872B1 (ko) 소결조업용 고로반광을 분급할 수 있는 반광호퍼
KR101696328B1 (ko) 원료 처리 장치, 원료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조립물
KR20140082820A (ko) 페로크롬의 제조 방법
KR101149156B1 (ko) 소결광의 제조방법
KR20040042543A (ko) 소결표층부 열원첨가를 위한 장입장치
JP2663803B2 (ja) 焼結用粉コークス整粒方法及び装置
KR102177527B1 (ko) 소결용 결합재의 사전 처리방법, 소결용 결합재의 사전 처리장치 및 소결광 제조방법
KR100893269B1 (ko) 소결광 제조 시스템
KR20060033803A (ko) 미분(fines)을 함유하는 그린 응집체(greenagglomerates)를 포함하는 광석의 생산방법
KR100406397B1 (ko) 소결배합원료의장입방법
KR0118997B1 (ko) 소결광 제조방법 및 장치
JP3220077B2 (ja) セメントクリン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S62130226A (ja) 焼結給鉱方法
KR100554668B1 (ko) 고로 반광의 상부광 대체 사용을 위한 고로 반광 분급장치 및 그 방법
CA2234909A1 (en) Method of producing cement clinker and associated device
KR20220030629A (ko) 소결광 제조방법
CN1011893B (zh) 在回转窑内直接还原含氧化铁物料的工艺
KR100913046B1 (ko) 소결광 제조방법
JPH03183732A (ja) 焼結機での生石灰の製造方法
CN113249566A (zh) 一种褐铁矿型红土镍矿的烧结系统及方法
JPS63128128A (ja) 焼結鉱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