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733A - 회전 캐리어에 대한 환상의 리셉터클 - Google Patents

회전 캐리어에 대한 환상의 리셉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733A
KR20030027733A KR1020020058270A KR20020058270A KR20030027733A KR 20030027733 A KR20030027733 A KR 20030027733A KR 1020020058270 A KR1020020058270 A KR 1020020058270A KR 20020058270 A KR20020058270 A KR 20020058270A KR 20030027733 A KR20030027733 A KR 20030027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receptacle
chamber
pressure distribution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1222B1 (ko
Inventor
라이너 오브베거
Original Assignee
제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츠 아게 filed Critical 제츠 아게
Publication of KR2003002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3Electrolytic 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Wet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Cleaning Or Drying Semiconductors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Manipulator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환상의 리셉터클이 공지되었는데 특히 반도체 같이 디스크 형태의 물체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 캐리어에 관련된다.

Description

회전 캐리어에 대한 환상의 리셉터클{ANNULAR RECEPTACLE FOR A ROTATING CARRIER}
본 발명은 환상의 리셉터클에 관련되는데, 특히 반도체 같은 디스크 형식의 물체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캐리어에 대한 환상의 리셉터클에 관련된다. 반도체나 웨이퍼에 관해서만 아래에 설명되는데, 이러한 개념은 CD나 마그네틱 디스크 같이 모든 디스크 형태의 물체를 포함한다.
여러 가지 다른 산(acid)을 이용하여 실리콘 디스크(웨이퍼)를 에칭하는 것 같이 디스크 형태의 반도체를 처리하기 위해, 반도체를 회전캐리어(척-chuck)에 위치시키는 것이 공지되었다. 산(acid) 같은 처리액은 처리될 반도체 표면에 공급된다. 에칭액 자체는 반도체의 회전운동으로 인해서 상기 표면에 분배되고 반도체 둘레에 대해서 측면(방사형)쪽에서 가속화된다.
상기 처리액을 에칭하기 위해서, 유럽특허 0 444 714 B1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의 내부에 개방된 최소한 두 개의 링채널이 환상의 리셉터클(포트-pot)에 처리액을 모으기 위해 제공된다. 다시말해, 링채널은 처리될 반도체의 방사형 연장부에 있는 리셉터클에 배열된다. 독일 특허 198 07 460 A1에 이러한 종류의 환상의 리셉터클이 공지되었는데 환상의 채널에 추가하여 처리액이 제거되고 최소한 하나의 흡입장치를 갖는다. 이러한 해결책의 기본적인 개념은 처리액의 방사방향 흡수와를 분리되어 시스템에 있는 처리공기(처리가스)를 흡입 하는 것이다.
그러나 리셉터클의 회전대칭적인 구조로 인해서, 독일 특허출원 198 07 460 A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만약 링채널에 수집된 처리공기가 방사형 연결라인을 통해 흡입될 경우 균일하지 않은 흡입 성능에 대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리셉터클은 비교적 크다. 이러한 형태의 장치가 설치된 청정실에서 공간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요구되는 공간은 전체 제품의 가격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마지막으로 상이한 압력비(자이의 원주방향에 대해서 고려됨)로 인해서 종래의 장치는 직경이 30cm인 웨이퍼에 대해서 최고 1000m3/h까지 비교적 높은 흡입력이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음 사항들 중 최소한 하나, 선호적으로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전술된 형식의 장치(리셉터클)를 구조적으로 최적화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 장치는 처리될 물체의 크기에 대해서 가능한 작아야 한다.
- 가능한 균일해야 하는 압력 조건(장치의 원주방향에 대해서 고려됨)은 각각의 흡입장치에 대해서 고려된다.
- 필요한 흡입력은 비용 때문에 가능한 낮아야 한다.
- 처리 대기(processing atmosphere)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다른 처리매개물의 분리는 가능한 정확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름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에 기초한다. 만약 개별의 공급라인이 흡입라인이 멀어지는 접합부 주변채널 안으로 직접 방출될 경우 종류에 따라 리셉터클 같은 회전대칭 구성요소에서 균일한 압력비가 비교적 정확하게 부분적으로 작동하는 진공원(vacuum source)과 함께 리셉터클에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만약 제거될 대기가 초기에 흡입챔버로 안내되고 여기서부터 흡입라인이 연결된 분배채널로 안내될 경우 압력비는 현격히 개선된다.
이와 관련된 이점들은 처리될 물체에 대한 캐리어가 수직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다른 처리들이 여러 가지 수직높이에서 수행되는 장치인"다층 리셉터클(multistory receptacle)"에서 더욱 분명해진다. 그러므로 첫 번째 단계에서 웨이퍼가 에칭되고, 다음단계에서 웨이퍼 표면이 탈이온화된 물을 이용하여 세척된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처리단계에 상응하는 환상의 채널이 할당되며, 개별의 처리액은 제거된다. 각각 환상의 채널은 전술된 방식으로 구현된 흡입장치로 차례로 할당된다. 다중 흡입장치는 선호적으로 하나의 동일한 압력분배챔버 안으로 방출되고, 이로 인해 흡입력이 발생되며, 관련된 기술에서와 같이 부분적인 진공이 중앙 흡입라인에서 발생된다.
그러므로 가장 일반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디스크 형상의 물체를 수용하기 위해 캐리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환상의 리셉터클에 관련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리셉터클은 물체에 대한 캐리어의 지지표면 방사형 연장부에 있는 최소한 하나의 환상의 채널은 갖는다.
- 최소한 하나의 환상의 채널에 인접하여 최소한 하나의 흡입장치는 내부벽으로부터 시작하여 리셉터클에서 작동한다.
- 흡입장치는 흡입오프닝의 흡입단부에 방사형으로 인접한 환상의 흡입챔버 및 내부벽 영역에 위치한 흡입 오프닝을 포함한다.
- 최소한 하나의 압력분배챔버는 흡입챔버에 흡입라인을 연결시킨다.
웨이퍼 같은 처리될 물체같이 장치는 반드시 회전대칭이다. 이러한 경우에서"반드시 회전대칭(essenstially rotationally symmetric)"이라는 말은(중앙 흡입하인을 제외하고) 장치의 나머지 부분이 중앙 세로축 주위에 균일하게 분배된 것을 의미한다.
환상의 채널에 상응하여 흡입오프닝은 리셉터클의 내부벽의 다이렉트 요소가 될 수 있는 링표면을 다라 위치된다. 흡입 오프닝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된 바와 같이 환상의 채널 아래 혹은 위에서 작동한다. 흡입오프닝은 단순한 구멍(보어)이지만 흡입노즐 같이 설계될 수 있다. 흡입 슬롯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유동방향으로 흡입오프닝 하류측에 연결된 흡입챔버는 수평 평면에서 외부쪽에 방사형으로 된 흡입오프닝에 직접적으로 인접한다. 그러나 한가지 실시예를 따라서 최소한 하나의 흡입챔버는 리셉터클의 내부벽에서부터 시작하여 바깥쪽으로 경사지게 작동하거나 캐리어의 지지표면에 대해서 작동한다.
흡입챔버로부터 흡입된 가스는 "배플(baffle)"(횡단면에서 테이퍼진 위치)을 통해 연결된 압력분배챔버에 다다른다.
흡입챔버는 분리된 오프닝을 통해 압력분배채널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말해, 흡입챔버 및 리셉터클의 내부챔버 사이에 있는 흡입 오프닝 같이 흡입챔버 및 유동방향으로 인접한 압력분배챔버 사이의 연결부는 바람직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압력비를 최적화하기 위해서, 흡입챔버 및 압력분배챔버 사이의 오프닝이 회전대칭으로 배열되는 것이 제안된다.
리셉터클에서 서로에 대해 작동하는 다중 환상의 채널과 그에 할당된 흡입장치를 갖는 리셉터클에서, 한가지 실시예는 최소한 두개의 흡입장치, 가능한 모든 홉입장치가 동일한 압력분배채널에 연결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가스는 장치의 개별의 "층(story)"에서 서로 다른 흡입챔버 안으로 개별적으로 흡입되지만접합된 압력분배채널로 공급되며, 전체 등방성 압력비가 전체 설비장치에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도면에서 전술된 바와 같이 압력분배채널은 리셉터클의 전체높이에 대해서 연장되는 비교적 적은 폭을 갖는 주변챔버처럼 구현된다.
출구라인은 처리액이 유도되는 개별의 채널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처리액이 재순환, 즉 디스크 형상의 물체 위해 있는 스프레이 장치로 되돌아가도록 수행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다중 환상의 채널은 접합된 출구라인에 연결되는데, 특히 동일한 혹은 호환성이 있는 액체가 상응하는 채널을 통해 유도될 경우 그렇다.
전술된 구조는 흡입력이 관련된 기술에서 비교될 만한 장치에서 최고 75%까지 감소한다. 이것은 특히 압력비를 고르게 하고 공기유도작용을 최적화한 결과이다. 또한 리셉터클은 소형으로 설계될 수 있어서 공간을 덜 차지한다. 예를 들어 직경이 30cm인 웨이퍼를 처리하기 위해 장치의 외부직경은 약 60cm 이하로 제한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은 특징은 종속항의 특징과 다른 출원서로부터 기인한다.
본 발명은 전형적인 실시예와 관련되어 아래에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처리될 물체에 대한 캐리어가 없는 환상의 다중층 리셉터클의 종단면이며, 독일 특허 198 07 460 A1을 참고로 함.
* 부호 설명 *
10 : 내부챔버11,12 : 내부벽
14,14' : 링영역16 : 오프닝
18 : 흡입챔버20 : 오프닝
24 : 스페이서36 : 스퍼라인
38 : 흡입라인
리셉터클은 리셉터클의 내부벽(11)으로 한계가 지어진 실린뎌형 내부챔버(10)를 갖는다. 캐리어(도시 안됨)는 내부챔버(10)에서 수직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처리될 물체는 캐리어에 평평하게 놓인다.
주변이 방사형으로 연결된 흡입챔버(18)에 상응하는 흡입 오프닝(16)을 갖는 제 1 링영역(14)은 내부벽(12) 영역에 위치한다. 회전 대칭형으로 분포된 오프닝(20)은 챔버의 폭(채널 폭) 보다 수배나 큰 높이(중앙부 세로축(M)에 평행함)를 갖고 장치의 중앙부 세로축(M)과 동심으로 작동하는 압력분배채널로 방출하는 흡입챔버(18)의 플로어(floor)(18b)에 위치한다. 압력분배챔버(30)는 플로어 플레이트(floor plate)(22)에 의해 하측단부로 범위가 정해진다.
링영역(14)과 비슷한 구조인 추가적인 링영역(14')은 링영역(14) 아래(위) 쪽으로 떨어져 제공된다. 링챔버(18')는 링영역(14')의 외부와 인접한다. 링챔버(18)가 수평면에서 링영역(14)과 접하는 동안 흡입챔버(18')는 링영역(14')에서 시작하여 아래쪽 외부를 향하여 경사진다. 이러한 경우 대략적으로 삼각형 횡단면은 수직으로 된 외부벽을 갖는데, 오프닝은(20')은 원주방향으로 위치하고 분포되며, 관상의 스페이서(24)는 흡입챔버(18')에서 압력분배챔버(30)까지 연결시키기 위해 방사형 외부로 인접하게 된다.
실린더형 내부챔버(10)와 방사형 바깥쪽으로 인접하고 흡입챔버(18,18') 사이에서 작동하는 환상의 채널(26)은 링영역(14,14') 사이에서 범위가 제한된다.
외측에서 환상의 채널(26)은 채널(28) 안으로 되돌아가는데, 압력분배챔버(30)에 평행하게 작동하는 챔버(28) 안으로 되돌아가고 호스라인(34)이 멀어지는 플로어 그루브(floor groove)(32)로 방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4)는 채널(28)의 수직유동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채널(28)을 통해 가로질러 작동한다.
링영역(14,14')과 비슷하게 설계된 추가적인 링영역(14")은 링영역(14') 아래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작동한다. 링영역(14)에 비슷하게 흡입챔버(18")는 가장자리 벽면이 스페이서(24')가 인접한(오프닝(20') 같이) 오프닝(20")을 갖는 외측면에 인접하고, 흡입챔버(18") 및 압력분배챔버(30) 사이에 유동 연결부를 제공한다.
추가적인 채널(26')은 링영역(14',14") 사이에 구현되고 경사진 상단벽(26'w)에 추가하여 스퍼라인(spur line)(36)이 멀어지는 하측의 홈통 모양의 가장자리 부분(26'r)을 포함한다.
영역(26'r)은 내부벽(12)의 한 부분(12u)으로 안쪽에서 범위가 제한된다.
장치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웨이퍼를 갖는 캐리어는 링영역(14',14") 사이에 있는 위치로 안내되고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웨이퍼는 채널(26')의 에칭액을 이용하게 위에서부터 처리되어 스퍼라인(36)을 통해 유도된다. 동시에 처리공기는 스페이서(24) 및 흡입챔버(18')를 통해 링영역(14')을 통해 도면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 흡입라인(38)에 연결된 압력분배챔버(30)로 흡입된다.
동시에 링영역(14,14")을 통해 흡입이 수행되며, 전체적인 처리공기는 압력분배채널(30)로 방출되며 흡입라인(38)을 통해 방출된다.
이러한 처리단계 후에, 캐리어는 링영역(14,14') 사이로 오게된다. 여기서 원주방향으로 채널(26) 안으로 가속화되는 탈이온화된 물을 이용하여 처리되며, 채널(28)을 통해 플로어 트로프(floor trough)(32)로 들어가 호스라인(34)을 통해 배출된다.
장치 크기는 압력분배챔버(30)(가스 매개물을 위한 출구라인) 및 채널(28)(처리액을 안내하기 위함)을 평행하게 배열하여 축소된다.

Claims (10)

  1. 디스크 형상의 물체를 수용하기 위한 캐리어를 회전시키는 환상의 리셉터클에 있어서,
    - 리셉터클은 물체를 위한 캐리어의 지지표면 방사형 연장부에서 최소한 하나의 환상의 채널(26,26')을 갖고,
    - 최소한 하나의 환상의 채널(26,26')과 인접하여, 최소한 하나의 흡입장치는 내부벽(12)에서 시작하여 리셉터클에서 작동하고,
    - 흡입장치는 내부벽(12)에 위치한 흡입 오프닝(16) 및 흡입 오프닝(16)의 흡입단부와 방사형으로 인접한 환상의 흡입챔버(18,18',18")를 포함하고,
    - 압력분배챔버(30)는 흡입라인(38)을 흡입챔버(18,18',18")에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2.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 오프닝(16)은 환상의 채널(26,26') 위에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3.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 오프닝(16)은 리셉터클의 내부벽(12)을 따라 가능한 균일하게 분포된 여러개의 흡입노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4.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 오프닝(16)은 링표면(14,14',14")에 위치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5.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챔버(18,18',18")는 분리된 오프닝(20,20',20")을 통해 압력분배챔버(30)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6. 제 1 항에 있어서, 리셉터클에서 서로 상단에서 작동하는 다중 환상의 채널(26,26') 및 그에 할당된 흡입장치를 갖는데, 최소한 두 개의 흡입장치는 동일한 압력분배챔버(3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7. 제 1 항에 있어서, 최소한 하나의 흡입장치의 흡입챔버(18')는 리셉터클의 내부벽(12)에서부터 시작하여 캐러이의 지지표면에 대해서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8.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크 형태의 물체 위에 있는 스프레이 장치로 되돌아오는 환상의 채널(26,26')에 연결된 출구라인(34,3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9. 제 8 항에 있어서, 다중 환상의 채널(26,26')은 접합된 출구라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10. 제 1 항에 있어서, 압력분배챔버(30)는 비교적 폭이 작지만 리셉터클의 전체높이에 대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KR1020020058270A 2001-09-26 2002-09-26 회전 캐리어에 대한 환상의 리셉터클 KR100721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518/2001 2001-09-26
AT0151801A AT413162B (de) 2001-09-26 2001-09-26 Ringförmige aufnahmevorrichtung für einen rotierenden träger zur aufnahme eines scheibenförmigen gegenstandes wie eines halbleiterwaf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733A true KR20030027733A (ko) 2003-04-07
KR100721222B1 KR100721222B1 (ko) 2007-05-22

Family

ID=368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8270A KR100721222B1 (ko) 2001-09-26 2002-09-26 회전 캐리어에 대한 환상의 리셉터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052577B2 (ko)
EP (1) EP1298708B1 (ko)
JP (1) JP4234375B2 (ko)
KR (1) KR100721222B1 (ko)
CN (1) CN1305124C (ko)
AT (2) AT413162B (ko)
DE (1) DE50211641D1 (ko)
SG (1) SG105562A1 (ko)
TW (1) TW5782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8008A1 (en) * 2003-03-12 2004-12-02 Savas Stephen E.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semiconductor substrates using a reduced volume of liquid
JP2009064795A (ja) * 2005-12-27 2009-03-26 Tokyo Electron Ltd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TWI359456B (en) * 2006-12-15 2012-03-01 Lam Res Ag Device and method for wet treating plate-like arti
US9484229B2 (en) 2011-11-14 2016-11-01 Lam Research A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wafer-shaped articles
US8974632B2 (en) * 2011-11-30 2015-03-10 Lam Research Ag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wafer-shaped articles
RU2642907C2 (ru) * 2012-10-05 2018-01-29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Н.В. Поворо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89959B (de) * 1987-11-09 1990-02-26 Sez Semiconduct Equip Zubehoer Vorrichtung zum aetzen von scheibenfoermigen gegenstaenden, insbesondere von siliziumscheiben
JPH02130922A (ja) * 1988-11-11 1990-05-18 Toshiba Corp 半導体基板エッチング装置
JPH0444714A (ja) * 1990-06-12 1992-02-14 Masanobu Iguchi お茶の入れ方および用具
JPH05102028A (ja) * 1991-10-09 1993-04-23 Nec Corp フオトレジスト膜現像カツプ
US5273588A (en) * 1992-06-15 1993-12-28 Materials Research Corporation Semiconductor wafer processing CVD reactor apparatus comprising contoured electrode gas directing means
JPH0766272A (ja) * 1993-08-31 1995-03-10 Toshiba Corp ウェーハ保管、運搬ボックス
US5705223A (en) * 1994-07-26 1998-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a semiconductor wafer
JP3641115B2 (ja) * 1997-10-08 2005-04-20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JPH11238715A (ja) * 1998-02-20 1999-08-31 Sumitomo Heavy Ind Ltd 表面洗浄方法及び装置
DE19807460A1 (de) * 1998-02-21 1999-04-15 Sez Semiconduct Equip Zubehoer Ringförmige Aufnahme für einen rotierenden Träger
US6040011A (en) * 1998-06-24 2000-03-21 Applied Materials, Inc. Substrate support member with a purge gas channel and pumping system
TW504776B (en) * 1999-09-09 2002-10-01 Mimasu Semiconductor Ind Co Wafer rotary holding apparatus and wafer surface treatment apparatus with waste liquid recovery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222B1 (ko) 2007-05-22
AT413162B (de) 2005-11-15
US7052577B2 (en) 2006-05-30
DE50211641D1 (de) 2008-03-20
TW578252B (en) 2004-03-01
EP1298708A3 (de) 2005-12-07
JP4234375B2 (ja) 2009-03-04
SG105562A1 (en) 2004-08-27
CN1305124C (zh) 2007-03-14
CN1409385A (zh) 2003-04-09
US20030056898A1 (en) 2003-03-27
EP1298708B1 (de) 2008-02-06
ATE385611T1 (de) 2008-02-15
EP1298708A2 (de) 2003-04-02
JP2003115475A (ja) 2003-04-18
ATA15182001A (de) 200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337B1 (ko) 하나 이상의 처리 유체로 마이크로일렉트로닉 워크피스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용 배리어 구조물 및 노즐장치
US8899248B2 (en) Barrier structure and nozzle device for use in tools used to process microelectronic workpieces with one or more treatment fluids
JPS6038021B2 (ja) 集積回路の基板やウエハの洗浄/乾燥装置
KR20040045480A (ko) 반도체 웨이퍼 상에 프로세싱 가스를 고르게 유동시키는장치 및 방법
KR20170070812A (ko) 인 시츄 세정 능력을 가진 스핀 척
KR100721222B1 (ko) 회전 캐리어에 대한 환상의 리셉터클
JPS61283126A (ja) 処理ステ−シヨン内壁の洗浄方法と装置
KR20090003197A (ko) 디스크형 물품의 액체 처리 장치 및 방법
US11752516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KR100790600B1 (ko) 스핀처리장치
US4525938A (en) Spin drier for semiconductor material
JPH11243079A (ja) プラズマ処理装置
JP4544730B2 (ja) ウエハー洗浄装置
JP2002001240A (ja) スピン処理装置
WO2022252296A1 (zh) 半导体刻蚀设备
KR101899915B1 (ko) 게이트 도어 유닛 및 이를 갖는 기판 처리 장치
JP2003001178A (ja)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