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543A -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543A
KR20030027543A KR1020010060878A KR20010060878A KR20030027543A KR 20030027543 A KR20030027543 A KR 20030027543A KR 1020010060878 A KR1020010060878 A KR 1020010060878A KR 20010060878 A KR20010060878 A KR 20010060878A KR 20030027543 A KR20030027543 A KR 20030027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msc
subscriber
igs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6999B1 (ko
Inventor
정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60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99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7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999B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전화망에서 이동전화망으로의 호가 발신되면 유선전화망이 이동전화망의 HLR에서 착신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착신가입자가 위치한 MCS로 직접 호 접속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선가입자로부터 이동전화가입자를 호출하는 호가 발생하면, 상기 유선전화망의 상호 접속 관문 교환기(IGS)가 이동전화가입자가 등록된 이동전화망의 홈 위치 등록기(HLR)에서 상기 이동전화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제1과정과; 수집된 상기 이동전화가입자의 위치정보에 근거로 상기 이동전화가입자가 등록된 이동교환기(MSC)의 위치를 인식하는 제2과정; 상기 IGS가 상기 MSC를 요청하여 상기 MSC에 의해 상기 이동전화가입자가 호출되도록 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선전화망에서도 이동전화망과 동일하게 원거리(Far-end) 접속구조로 라우팅을 행하므로서,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시설운용 및 투자가 이루어지고, 또한 사업자간 사호 지불되는 접속비용 지불도 대칭적 구조로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Method for Call Processing between PSTN network and mobile network}
본 발명은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선전화망에서 이동전화망으로의 호가 발신되면 유선전화망이 이동전화망의 HLR(Home Location Register)에서 착신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착신가입자가 위치한 이동교환기(MCS; Mobile Gateway System)로 직접 호 접속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유선전화망은 단국교환기(local exchange)(10), 상호접속 관문교환기(IGS; Interconnection Gateway System)(20) 등의 교환기와, 중계국간 전송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동전화망은 이동중계 및 관문국(MGS; Mobile Gateway System)(30), 이동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60) 등의 교환기와 전송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망 구성에서는, 유선전화망에 수용된 발신가입자가 이동전화망에 수용된 착신가입자를 호출하면, 상기 발신 유선가입자가 수용된 단국교환기(10)가 IGS(20)로 호 요청을 하고, 상기 IGS(20)는 상기 이동망에 대해 가장 근접하게 위치한 MGS(30)로 호 요청을 한다.
이어, 호 요청을 받은 MGS(30)가 HLR(40)에 등록된 가입자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착신 이동가입자가 현재 등록된 MSC(60)로 호 요청을 하기 위해 상기 MSC(60)를 관리하는 MGS(50)로 호 요청을 한다.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상기 MSC(60)로 호 요청이 전송되면, 상기 MSC(60)는 착신 이동가입자를 호출하여 상기 발신 유선가입자와 착신 이동가입자간의 호 경로가 설정되게 한다.
상술되어진 호 접속방식은 상기 IGS(20)가 착신 이동가입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이동전화망의 MGS 중 자신과 가장 근접한 MGS(30)로 호 요청을 하는 근거리(Near-end)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와 달리 발신 이동가입자가 유선전화망의 가입자에게호를 요청하게 되면, 이동통신망의 MGS(30)는 상기 유선 발신가입자를 수용하는 단국교환기를 관리하는 IGS(20)로 호를 요청하는 원거리(Far-End)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차이로 인해,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시설운용 및 투자가 비효율적이고, 또한 사업자간 상호 지불되는 접속비용 지불이 비합리적으로 된 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발신 유선가입자는 호발신 처리시 착신 이동가입자가 위치한 MSC(60)로 호를 전달하기 까지 이동전화망의 MGS(50)를 최소한 1개 이상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접속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선전화망에서 이동전화망으로의 호가 발신되면 유선전화망이 이동전화망의 HLR에서 착신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착신가입자가 위치한 MCS로 직접 호 접속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국교환기20, 200, 300 : IGS
30, 50 : MGS40 : HLR
60, 70 : MSC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은,
단국교환기(local exchange), 상호접속 관문교환기(IGS; Interconnection Gateway System)등의 교환기와, 중계국간 전송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선전화망과; 이동중계 및 관문국(MGS; Mobile Gateway Syatem), 이동교환기(MSC;MobileSwitching Center) 등의 교환기와, 가입자 정보의 위치정보가 저장된 HLR, 전송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전화망; 간의 호접속 방법에 있어서,
유선가입자로부터 이동전화가입자를 호출하는 호가 발생하면, 상기 IGS가 이동전화가입자가 등록된 이동전화망의 HLR에서 상기 이동전화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제1과정과;
수집된 상기 이동전화가입자의 위치정보에 근거로 상기 이동전화가입자가 등록된 MSC의 위치를 인식하는 제2과정;
상기 IGS가 상기 MSC를 요청하여 상기 MSC에 의해 상기 이동전화가입자가 호출되도록 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상술되어진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IGS(200)는 유선전화망에서 이동전화망으로의 호가 발신되면 유선전화망이 이동전화망의 HLR에서 착신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착신가입자가 위치한 MCS로 직접 호 접속을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기 IGS(20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을 구체화시킨다.
먼저, 상기 단국교환기(10)로부터 이동전화망으로의 발신호에 따른 호 요청이 전송되면(S10), 상기 발신호에 대한 착신번호를 분석하여 그 착신번호에 해당하는 이동전화망의 HLR(40)로부터 이동 착신가입자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집한 다음(S 20), 그 위치정보를 근거로 현재 착신 이동가입자가 등록된 MSC의 위치를 인식한다(S30).
이러한 IGS(200)는 상기 MSC(60)와 가장 근접한 IGS(300)를 검색한 다음, 검색된 상기 IGS(300)를 통해 상기 MSC(60)로 호 요청을 전달한다(S40).
본 발명에서 상기 IGS(200)는 MA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신호중계교환기(STP; 도시 생략)를 통해 상기 HLR(40)로 단문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HLR(40)은 MAP 프토토콜을 이용하여 MAP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상기 IGS(200)로 MSC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응답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IGS(200)는 상기 응답메시지에 의거하여 상기 MSC(6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IGS(200)와 HLR(40)간에 적용되는 프로토콜의 계층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에서 제시된 OSI 7계층 프로토콜은 회선관련 서비스(일반전화 및 부가서비스)는 메시지처리부(MTP 1.2.3 : Message Transfer Part)(100), 종합 디지털 통신망 사용자부(ISUP: ISDN User Part)(110) 층의 프로토콜 구조를 바탕으로 호 처리를 수행하고, 비회선관련 서비스(지능망, 이동망 서비스)는 메시지처리부(MTP 1,2,3)(100), 신호연결제어부(SCCP; 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120), 문답처리 기능 응용부(TCAP)(130), 지능망 응용 프로토콜(INAP; IntelligentNetwork Apprication Protocol)(140), 응용서비스 요소(ASE; Application Service Logic)(150) 등의 프로토콜 구조에서 호처리를 수행하고 있다.
여기서, 비회선 관련 프로토콜 구조에 이동망 응용부(MAP)(160) 프로토콜에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 메시지인 SMS 요구 메시지(160)를 구현하여 이동단말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되어진 과정을 통해 착신 이동가입자가 등록된 MSC의 위치정보를 수집한 IGS(200)는 상기 MSC(60)의 위치를 감안하여 상기 MSC(300)와 근접한 IGS(300)로 호 요청을 전달하고, 호 요청을 받은 상기 IGS(300)는 MSC(60)로 호 요청을 전달한다.
이에, 상기 MSC가 착신 이동가입자를 호출하여 상기 발신 유선가입자와 착신 이동가입자간의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50).
상술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신요청을 받은 유선전화망의 IGS가 근접한 이동전화망의 MGS로 호 요청을 행하지 않고, 이동전화망의 HLR로부터 수집한 착신가입자가 등록된 MSC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SC에 바로 호 요청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이동전화망의 자원을 불필요하게 점유하여 접속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경우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선전화망에서도 이동전화망과 동일하게 원거리(Far-end) 접속구조로 라우팅을 행하므로서,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시설운용 및 투자가 이루어지고, 또한 사업자간 사호 지불되는 접속비용 지불도 대칭적 구조로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3)

  1. 단국교환기(local exchange), 상호접속 관문교환기(IGS; Interconnection Gateway Syatem)등의 교환기와, 중계국간 전송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유선전화망과; 이동중계 및 관문국(MGS; Mobile Gateway Syatem), 이동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 등의 교환기와, 가입자 정보의 위치정보가 저장된 HLR, 전송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전화망; 간의 호접속 방법에 있어서,
    유선가입자로부터 이동전화가입자를 호출하는 호가 발생하면, 상기 IGS가 이동전화가입자가 등록된 이동전화망의 HLR에서 상기 이동전화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제1과정과;
    수집된 상기 이동전화가입자의 위치정보에 근거로 상기 이동전화가입자가 등록된 MSC의 위치를 인식하는 제2과정;
    상기 IGS가 상기 MSC를 요청하여 상기 MSC에 의해 상기 이동전화가입자가 호출되도록 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MSC의 위치를 인식한 다음, 상기 MSC와 가장 근접한 IGS를 검색하여 상기 MSC와 가장 근접한 IGS를 통해 상기 MSC로 호요청을 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에서,
    상기 IGS가 OSI 7계층의 문답 처리 기능 응용부(TCPA)의 상위에 이동망 응용부(MAP) 프로토콜을 형성하고, 그 이동망 프로토콜에 이동전화가입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SMS 요구메시지를 구성하여 상기 HLR로 전송하면, 상기 HLR이 상기 이동전화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검색하여 그 검색된 이동전화가입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SMS 요구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IGS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KR1020010060878A 2001-09-29 2001-09-29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KR100856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878A KR100856999B1 (ko) 2001-09-29 2001-09-29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878A KR100856999B1 (ko) 2001-09-29 2001-09-29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543A true KR20030027543A (ko) 2003-04-07
KR100856999B1 KR100856999B1 (ko) 2008-09-04

Family

ID=2956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878A KR100856999B1 (ko) 2001-09-29 2001-09-29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9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422B1 (ko) * 2001-06-30 2008-03-10 주식회사 케이티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8093B1 (ko) * 1997-11-26 2000-03-15 서정욱 이동통신 단말기와 유선통신망간의 직접 접속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422B1 (ko) * 2001-06-30 2008-03-10 주식회사 케이티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6999B1 (ko)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77441B2 (ja) 遠距離通信ネットワーク内での短メッセージ・サービス(sms)メッセージの輸送
JP4061602B2 (ja) セルラー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個々の加入者へのサービスの提供
US5884179A (en) Optimized routing of terminating calls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100297987A1 (en) Integrated Wireless/Wireline Registration
KR980013191A (ko) 호출 가입자 식별 고지 서비스용 장치 (Calling party identification announcement service)
JPH08500956A (ja) 電話呼を完成させるのに用いる方法
WO1998011752A1 (en) Optimized routing of calls to roaming subscriber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447038B1 (ko) 링백톤 대체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H1941H1 (en) Agent interworking protocol and call processing architecture for a communications system
KR20030028540A (ko) 국제 로밍 전화 착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RU2335862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стоимости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услуг в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ой сети
JP3144762B2 (ja) 電気通信接続の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0041865A (ko) 통신 시스템
KR100856999B1 (ko)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KR100302367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통신서비스제공방법
KR100638020B1 (ko) 지능망 착신형 서비스에서의 근거리 루팅장치 및 방법
KR20000019457A (ko) 분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위한 호 제어 방법
KR100876795B1 (ko) 소프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지능망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3313302B2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制御のアクセス方式及び方法
KR100807907B1 (ko) 국제 로밍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0160346B1 (ko)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KR10024742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발신번 정보 요구 시점 선택 방법
KR100285504B1 (ko) 지능망시스템과지능형부가장치간접속방법
KR100630623B1 (ko) 링백톤 대체음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6724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지역 기반 가상 사설망서비스와 상한 요금제 서비스의 연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