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346B1 -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346B1
KR0160346B1 KR1019950053954A KR19950053954A KR0160346B1 KR 0160346 B1 KR0160346 B1 KR 0160346B1 KR 1019950053954 A KR1019950053954 A KR 1019950053954A KR 19950053954 A KR19950053954 A KR 19950053954A KR 0160346 B1 KR0160346 B1 KR 0160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ervice
iscp
transmitting
c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3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재
김태일
최고봉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53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346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자동수신자 부담(전화 자동응답) 서비스가 요구되면 발신번호와 발신등급을 수신하여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결과 메시지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결과 메시지가 성공응답이면 발신측으로부터 착신번호(digit)와 발신자의 이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착신번호 번역 및 루팅을 수행하여 착신 상태를 파악하는 제2단계;상기 착신 상태 판단 결과, 착신이 가능한 경우이면 통화로를 구성하여 착신측에 신호장치를 할당하고 가입자/중계선으로 국간 신호 및 링 연결을 요구하여 착신측의 응답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착신측이 응답하면 확인 식별자를 통한 수신자 부담 전화의 수락여부에 따라 통화거부 안내방송을 발신측으로 송출하거나 발착신간 통화로를 구성하여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시작하는 제4단계: 및 발착신 가입자간에 통화가 종료되면 서비스 통화 과금을 종료하고 통화요금 통보 안내방송을 착신측에 통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의 구성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 내부 호처리 구조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CCS) 120 : 연결망 서브시스템(INS)
200 : ASS-S/T 400 : ASS-T
600 : ASS-7 610 : CSU
220,510,420,620 : 기본호 처리부(BCPP)
621 : 메시지 전달부(MTP) 622 : 신호 연결 제어부(SCCP)
240,420,630 : 타임 스위치 유니트(TSWU)
210 :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ISCP)
211 : 제어 분석부(Control Analysis)
212 : 착신과금 응용 서비스 요소(FP-ASE)
213 : 신용통화 응용 서비스 요소(CC-ASE)
214 : 정보료 수납대행 응용 서비스 요소(PR-ASE)
215 : 자동 수신자 부담 응용 서비스 요소(ACC-ASE)
216 : 문답처리 기능 응용부(TCAP)
221 : 신호 연결부(Signalling Conn.)
222 : 디지트 수신기(Digit Reception)
223 : 통화료 연결부(Speech Path Conn.)
230 : 가입자 유니트/트렁크 유니트(ASU/TU)
250 : 글로벌/로컬 서비스 유니트(G/LSU)
520 : 공간 스위치
본 발명은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신망 기술의 발전으로 지능망 개념이 대두되어 이를 통한 지능망 서비스도 통신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환원의 도움없이 수신자 부담으로 전화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서의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는 발신자의 수신자 부담 전화 연결 요청을 교환원이 접수하여 연결하는 주는 특수 서비스로서 그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자가 공주전화에서는 107번을, 일반전화에서는 102번을 눌러 교환원을 호출 한 후, 수신자 부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데, 호출된 교환원은 발신자에게 착신자의 전화번호와 성명을 문의하고 발신자를 잠시 기다리게 한다.
그리고 나서 교환원은 발신자가 요구한 번호로 전화를 걸어 착신자가 응답하면 어떤 발신자로부터 수신자 부담 전화연결 요청이 있는데 이 전화를 받을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만약 착신자가 수신자 부담 전화연결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경우 교환원은 발신자와 착신자간을 연결하여 통화를 하게 해준다. 그렇지 않고 착신자가 전화연결에 대하여 거부 의사를 나타내면 교환원은 발신자에게 착신자가 통화를 거부한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수신자 부담 전화호를 종료한다.
발신자와 착신자가 통화를 종료하게 되면 교환원은 착신자 전화번호에 과금을 한 후, 착신자를 호출하여 착신자에게 통화요금이 얼마인지를 알려주고 종료한다.
즉, 상기와 같은 기존의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는 많은 인력에 의존해야 하는 서비스로서, 교환원의 도움없이는 발신자의 수신자 부담 전화 연결 요청을 해결할 수 없어 경제적인 면에서 통신 사업자에게 유리하지는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TDX-10)에 지능망의 서비스 교환기능을 이식한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를 이용하여 교환원의 도움없이 수신자 부담으로 전화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신호 장치 점유를 수행하는 글로벌과 로컬 서비스 유니트(Gloval/Local Service Unit, 이하 G/LSU라 칭함)(250)와, 특정 지능망 서비스의 종류를 통보받아 발신 번호와 발신 등급을 수집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Intelligent Service Contrl Part, 이하 ISCP라 칭함)(210)를 구비하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 적용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자동수신자 부담(전화 자동응답) 서비스가 요구되면 발신번호와 발신등급을 수신하여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결과 메시지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결과 메시지가 성공응답이면 발신측으로부터 착신번호(digit)와 발신자의 이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착신번호 번역 및 루팅을 수행하여 착신 상태를 파악하는 제2단계;상기 착신 상태 판단 결과, 착신이 가능한 경우이면 통화로를 구성하여 착신측에 신호장치를 할당하고 가입자/중계선으로 국간 신호 및 링 연결을 요구하여 착신측의 응답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착신측이 응답하면 확인 식별자를 통한 수신자 부담 전화의 수락여부에 따라 통화거부 안내방송을 발신측으로 송출하거나 발착신간 통화로를 구성하여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시작하는 제4단계: 및 발착신 가입자간에 통화가 종료되면 서비스 통화 과금을 종료하고 통화요금 통보 안내방송을 착신측에 통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를 조기에 확산 보급하여 고도 정보화 사회를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기존의 전화망, 종합 정보 통신망 등과 지능망을 상호 연결시켜주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ervice Switching Point, 이하 SSP라 칭함)가 개발되었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의 구성 블록도로서, 110은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이하 CCS라 칭함), 111은 운용자 기계 통신 서브시스템(이하 MMCS라 칭함), 112는 운영 및 유지 보수 제어 서브시스템(이하 MMCS라 칭함), 113은 중앙 제어 유지 보수 서브시스템(이하 CCMS라 칭함), 114,125,140은 망간 제어 서브시스템(이하 CIS라 칭함), 120은 연결망 서브시스템(이하 INS라 칭함), 121은 연결망 제어 서브시스템(이하 INCS라 칭함), 122는 번호 번역 제어 서브시스템(이하 NTCS라 칭함), 123은 중간 교환 서브시스템(이하 CSS라 칭함), 124는 연결망 유지보수 서브시스템(이하 INMS라 칭함), 130은 교환 서브 시스템(이하 ASS라 칭함), 131은 응용 서비스 요소(ASE)와 문답처리 기능 응용부(TCAP) 수행 서브시스템(이하 ATHS라 칭함), 132는 신호메시지 실행 서비스시템(이하 SMHS라 칭함), 133은 라인과 트렁크 액세스 서브시스템(이하 LTAS라 칭함), 134는 트래픽 제어 서브시스템(이하 TCS라 칭함), 135는 지능망 서비스 서브시스템(이하 ISS라 칭함), 136은 신호 서비스 서브시스템(이하 SSS라 칭함), 137은 전화 데이터망 서브시스템(이하 TDIS라 칭함), 138은 교환유지 보수 서브시스템(이하 ASMS라 칭함), 139는 로칼 스위치 서브시스템(이하 LSS라 칭함)을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는 기본적으로 CCS(110), INS(120), ASS(130)의 3개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CCS(10)는 시스템의 총괄적인 운용 및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시스템으로서 시스템 차원의 보전 관리 기능, 장애 제어 관리 기능, 진단 및 장애 처리 기능, 과금 기능, 측정 및 통게 기능, 운용자 정합 기능 등을 제공하고 보조 기억 장치인 디스크 및 마그네틱 테이프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ASS(130)는 가입자 접속 장치, 중계선 접속 장치, 타임 스위치(T-Switch)장치 및 각종 신호장치 등을 구비하여 호처리 기능과 자체 유지 보수 기능 등을 수행하고, 필요시 ASS(130) 단위로 증설 가능한 수평 분산 구조를 가지며, 종합 정보 통신망(이하 ISDN라 칭함)디지틀 가입자 접속 장치, SS NO.7 신호 장치, 패킷 통신 처리 장치, 망 연동장치 등을 구비하여 ISDN 교환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ASS(130)는 응용 단계로 ASS-S(가입자), ASS-T(중계선), ASS-S/T(가입자/중계선), ASS-7(SS No.7), ASS-I(ISDN), ASS-P(패킷)등의 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INS(120)는 상기 ASS(130)와 데이터 링크라 부르는 광전송매체로 연결되어 ASS(130) 상호간 혹은 ASS(130)와 CCS(110)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공간 스위치(S-Switch)를 이용하여 상기 ASS(30) 상호간 통화 경로를 구성하거나 가입자에게 녹음 안내 정보의 제공이나 호 혼합을 위한 다중호 접속 경로를 구성한다.
이제, 상기 각각의 서브시스템(110,120,130)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ASS(130)는 일반 전화기, 라인과 트렁크 및 공통선 신호망에 연결되는 것으로, 지능망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어 시스템(service Control Point, 이하 SCP라 칭함)과 통신하기 위한 SS No.7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ATHS(131)과, SS No.7에서 신호 유니트를 전달하기 위한 메시지 전달부(이하 MTP라 칭함) 및 신호 연결 제어부(SCCP) 기능을 수행하는 SMHS(132)과, 가입자 및 중계선 접속의 감시/제어/시험 기능 등을 수행하고 분산 제어 방식으로 제어하며 이중화 되어있는 LTAS(133)과, 호 성립, 호 감시, 호 절단의 모든 과정을 제어하고 총괄하는 TCS(134)과, 특정 지능망 서비스를 처리하는 기능, 서비스호에 관련된 과금 처리 기능, 트래픽 제어 관리 기능, SSP(지능망 서비스 교환기) 유지 보수 및 운용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ISS(135)과, DTMFR(Dual Tone Multi-Frequency Receiver), R2 MFC(Multi-frequency Compelled), CCT(Continuity Check Tone) 및 각종 톤 신호를 발생하여 타임 스위치로 송출하는 기능 및 검출 기능을 수행하는 SSS(136)과, 전화 교환망의 데이터 호와 망 연동 기능을 수행하는 TDIS(137)과, 오류를 수집하여 유지 보수를 수행하는 ASMS(138)과, 상기 ATHS(131), SMHS(132), LTAS(133), TCS(134), ISS(135), SSS(136), TDIS(137), ASMS(138)에 연결되어 망간 제어를 수행하는 CIS(140)과, 로칼 스위치 서브시스템인 LSS(139)로 구성된다.
상기 INS(120)는 T-S-T(타임-공간-타임) 스위치의 통화로 탐색, 연결 및 절단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호 추적 및 경로 설정과 같은 유지 보수 기능도 수행하는 INCS(121)과, 상기 ASS(130)에서의 번호 번역 요청을 받고나서 해당 프로세서로 번호 번역 결과를 통보하며 망관리 기능을 위한 루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NTCS(122)와, T-S-T 스위치 구조중 공간 스위치가 위치하며 공간 스위치 연결 제어, 망 동기 기능과 상기 ASS(130) 또는 CCS(110)과의 데이터 링크 기능도 수행하는 CSS(123)과, 연결망을 유지 보수하는 INMS(124)과, 상기 INCS(121), NTCS(122), CSS(123), INMS(124)에 연결되어 망간 제어를 수행하는 CIS(125)로 구성된다.
상기 CCS(110)는 발생되는 오류를 수집하는 CCMS(113), 상기 CCMS(113), INMS(124), ASMS(138)에서 수집된 각종 오류의 등급을 판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OMCS(112), 상기 경보를 운용자에게 송출하는 MMCS(11)과, 상기 CCMS(113),OMCS(112), MMCS(111)에 연결되어 망간 제어를 수행하는 CIS(114)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 내부 호처리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가입자가 후크 오프(Hook-off, 이하 H/off라 칭함)하여 다이얼링한 지능망 서비스 요청 코드는 발신국에서 국번 번역 후 SSP(지능망 서비스 교환기)로 루팅되어 전달되는데, 상기 SSP의 ASS-S/T(200)는 트렁크 유니트(Trunk Unit, 이하 TU라 칭함(230)에서 중계선 동작 상태를 감시하여 입중계 트렁크 점유 요구가 일어나거나 가입자 유니트(이하 ASU라 칭함)(230)에서 가입자 상태를 감시하여 가입자 상태 변화가 일어나면 기본호 처리부(Basic Call Processing Part, 이하 BCPP라 칭함)(220)로 이를 보고한다.
상기 BCPP(220) 내부에서는 신호 연결부(signalling Conn.)(221)가 디지트 및 필요한 정보를 받기위해 R2 장비 점유 및 R2용 스위치 통로 연결을 통화로 usrufqn(Speech Path Conn.)(223)로 요구하면 상기 통화로 연결부(223)는 타임 스위치 유니트(time Switch Unit, 이하 TSWU라 칭함)(240)가 신호 장치와 타임 스위치를 연결하도록 요구하고, 글로벌과 로컬 서비스 유니트(Global/Local Service Unit, 이하 G/LSU라 칭함(250)로 R2 장비 점유 요구를 한다. 이때 신호 장치로부터 디지트를 받을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신호 연결부(221)로부터 통보 받는다.
R2 신호가 TU(230)와 TSWU(240)를 거쳐서 G/LSU(250)로 전달되면 상기 G/LSU(250)에서 디지트를 검출하여 디지트 수신기(Digit Reception(222)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트 수신기(222)는 지능망 서비스를 인지하여 착신과금 서비스, 신용통화 서비스, 정보료 수납대행 서비스, 전화 자동응답 서비스 등에 해당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추가로 디지트 및 필요 정보를 신호 연결부(221)로 요구한다. 이후, 모든 디지트 및 필요 정보를 수집한 디지트 수신기(222)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Intelligent Service Control Part, 이하 ISCP라 칭함)(210)로 특정 지능망 서비스(착신과금 서비스, 신용통화 서비스, 정보료 수납대행 서비스, 전화 자동응답 서비스 등)임을 통보한다.
상기 ISCP(210)에서는 발신 번호와 발신 등급 등의 정보를 상기 BCPP(220)로 요구하고 그 정보를 수신받는다. 상기 BCPP(220)는 상기 ISCP(210)와 발신측으로 착신 상태를 통보하고 R2 경로 전달과 통화로 연결을 요구한다. 상기 ISCP(210)의 제어 분석부(Control Analysis(211)는 각종 트리거 테이블을 통해 지능망 서비스호의 서비스를 식별, 판단하고 서비스 요구의 타당성과 서비스 제공 여부를 검사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면 상기 SCP에서 적격 검사 및 루팅 정보 번역을 수행한다.
즉, 착신과금 서비스일 경우에는 착신과금 응용 서비스 요소(Free Phone-Application Service Element, 이하, FP-ASe라 칭함)(212)에게, 신용통화 서비스일 경우에는 신용통화 응용 서비스 요소(Credit Card-Application Service Element, 이하 CC-ASE라 칭함(213)에게, 정보료 수납대행 서비스일 경우에는 정보료 수납대행 응용 서비스 요소(Premium Rate-Application Service Element, 이하 PR-ASE라 칭함(214)에게, 전화 자동응답 서비스일 경우에는 자동 수신자 부담 응용 서비스 요소(Automatic Collect Call-Application Service Element, 이하 ACC-ASE라 칭함(215)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그리고, ASE(Application Seervice Element)는 상기 제어 분석부(211)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오퍼레이션을 발생시키고 이에 대한 컴포넌트를 구성하여 문답처리 기능 응용부(Transaction Capability Application Part, 이하 TCAP라 칭함)(216)로 전달하고, 상기 TCAP(216)는 상기 FP-ASE(212), CC-ASE(213), PR-ASE(214) 또는 ACC-ASE(215)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TCAP(216) 메시지를 구성한 후, 상기 ASS-7(600)의 BCPP(620)로 전달한다.
상기 ASS-7(600)의 BCPP(620)는 SS No.7의 신호 연결 제어부(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 이하 SCCP라 칭함)(622) 및 메시지 전달부(Message Transfer Part, 이하 MTP라 칭함(621)를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ISCP(210)로부터 받은 TCAP(216) 메시지를 SCP로 전달한다. 이때 SSP와 SCP간의 신호 데이터 링크는 MTP(621) 요구에 의해 ASS-S/T(200)내 BCPP(220)의 통화로 연결부(223)가 형성한 T-S-T(630-520-430) 형태의 지정통로(Nailed-up Path)를 이용한다. 그리고 SCP로부터 결과를 받아 TCAP(216) 메시지를 상기 ISCP(210)로 전달한다.
상기 ICSP(210)는 SCP로부터 받은 TCAP(216) 메시지의 오류 및 트랜젝션 상태를 점검하고 이에 대한 컴ㅍ넌트를 구성하여 FP-ASE(212), CC-ASE(213), PR-ASE(214) 또는 ACC-ASE(215)로 전달하면 오퍼레이션 및 에러 정의를 참조하여 TCAP(216)로부터 받은 컴포넌트의 파라미터에 대한 해독 기능 등을 수행하고, 해독된 정보를 제어 분석부(211)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 분석부(211)는 FP-ASE(212), CC-ASE(213), PR-ASE(214) 또는 ACC-ASE(215)로부터 받은 정보들을 분석하여 지능망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면 BCPP(220)로 서비스호 연결을 요구하고 BCPP(220)에서 실제 착신 번호를 받고 INS(120)내에 있는 BCP(510)로 번호와 루트 번역을 요구한다.
상기 INS(120)에서 번호를 번역하여 ASS-S/T(200)로 번호 번역 결과를 통보하고 착신측 점유를 요구한다. 그리고 INS(120)내의 공간 스위치(520)를 이용하여 통화로를 형성한 후, 발신측으로 링백톤(Ring Back Tone) 연결을 요구하고 착신측으로는 링을 연결한다. 착신측에서 응답통보를 수신하여 발신측으로 이 사실을 통보하고 착신 응답 통보를 상기 ISCP(210)에게 알려준다.
지능망 서비스 통화중에 발신 가입자가 후크 온(Hook-On, 이하 H/on 이라 칭함)하여 발신측에서 착신측으로 전방향 복구 신호를 보내면 착신측에서 전방향 복구 신호를 인지하여 ASS-S/T(200)의 BCPP(220)로 중계선 전방향 절단 요구를 보낸다. 그러면 상기 BCPP(220)는 상기 ISCP(210)로 지능망 서비스호 해제를 요구하고 발신 가입자 통화로의 S-T 스위치(240-520)를 절단하고 착신측 ASS-T(410)의 BCPP(420)로 발신측 절단 통보를 보내고 끝난다. 상기 착신측 ASS-T(410)의 BCPP(420)에서도 타임 스위치를 절단하고 ICSP(210)는 과금 정보를 CCS(110)로 보내 과금 처리를 하도록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처리 흐름도로서, SSP가 서비스 이용자에 의해 지능망 서비스호가 요구되었을 때, 가입자/중계선(발신선)으로부터 가입자 발신 요구 또는 중계선 점유 요구가 수신되면(701), 발신측 신호 장치를 할당하여(702) 디지트를 수집한다(703). 상기 수집된 디지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인지 및 번호 번역을 수행하여 호 종류를 판단한다(704).
상기 호의 종류가 일반호인 경우 일반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고(705), 지능망 서비스 호인 경우 지능망 서비스 관련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Data Base, 이하 DB라 칭함)에서 지능망 서비스 번호를 이용하여 지능망 서비스의 종류를 판별하는데, 검색된 지능망 서비스 번호와 수집된 디지트를 비교하여 요구된 서비스 종류를 판단한다(706, 708).
상기 서비스 종류가 착신과금 서비스인 경우 착신과금 서비스 호처리절차를 수행하고(707), 정보료 수납대행 서비스인 경우 정보료 수납대행 서비스 호처리 절차를 수행하며(709), 신용통화 서비스인 경우 신용통화 서비스 호처리 절차를 수행한다(710).
그리고, 자동 수신자 부담(전화 자동응답) 서비스인 경우 서비스 제공 여부를 판단하여(711), 정상처리가 불가능한 경우 G/LSU(250)로 DTMFR 연결 요구 및 정상처리 불가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고(721,722), 가입자 또는 중계선(발신선)을 통하여 정상처리 불가 안내방송을 송출한다(723). 또한, ISCP(210)로도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불가 통보를 전송하고(724), G/LSU(250)로 DTMFR 해제요구를 하며(725), 발신선의 H/on을 통하여 호를 종료한다(726).
상기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상기 ISCP(210)로 자동 수신자 부담 서비스를 요구하고(712), 상기 ISCP(210)로부터 발신번호 및 발신등급 요구를 수신받는다(713). 그리고, 발신번호를 발신국으로 요구하여 발신번호를 수신하고(714,715), 발신등급을 발신국으로 요구하여 발신등급을 수신한다(716,717).
그리고, 서비스 처리에 관한 정보를 SCP로 요청하기 위하여 수신된 발신번호 및 발신등급을 ISCP(210)로 전송하고(718),상기 ISCP(210)는이 메시지를 ASE, TCAP 프로토콜 처리한 후, SS No.7 망을 통하여 SCP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발생하도록 한다(719).
상기 SCP에서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처리에 관한 정보를 SS No.7 프로토콜 처리 절차를 거쳐 SSP로 보내게 되고, 자동 수신자 부담 서비스에 대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720).
상기 SCP로부터 수신된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결과 메시지가 실패 응답인 경우(727), 상기 G/LSU(250)로 DTMFR 연결 요구 및 적격검사 및 번호 번역 실패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고(742,743), 가입자 또는 중계선을 통하여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실패 안내방송을 송출하며(744), ISCP(210)로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불가 통보를 전송하고(745), 상기 G/LSU(250)로 DTMFR 해제 요구를 하며(746), 가입자/중계선(발신선)의 H/on을 통하여 호를 종료한다(747).
한편, 상기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결과 메시지가 성공 응답인 경우(727), ISCP로부터 착신번호 요구를 수신하고(728), G/LSU(250)로 DTMFR 연결 요구 및 착신번호 입력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고 (729,730),가입자 또는 중계선(발신선)을 통하여 착신번호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한다(731).
그리고, 상기 가입자/중계선으로부터 착신번호(digit)를 수신하여(732), 착신번호 오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733), 오류 입력일 경우 재시도 횟수를 비교하여(734), 최대 2회를 초과하면 G/LSU(250)로 재시도 횟수 초과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고(737), 가입자 또는 중계선을 통하여 재시도 횟수 초과 안내방송을 송출하며(738), ISCP(210)로 자동 수신자 부담 서비스 불가 통보를 전송한다(739). G/LSU(50)로 DTMFR 해제 요구를 하며(740), 발신선의 H/on을 통하여 호를 종료한다(741).
상기 재시도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G/LSU(250)로 착신번호 오류 입력 및 재입력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고(735), 가입자 또는 중계선을 통하여 착신번호 오류 입력 및 재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한 후(736), 상기 가입자로부터 다시 착신번호를 수신하여 착신번호 오류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732,733)로 천이한다.
한편, 착신번호 정상입력인 경우 ISCP(210)로부터 발신자 이름 요구를 수신하고(748), G/LSU(250)로 발신자 이름 녹음 입력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며(749), 가입자 또는 중계선을 통하여 발신자 이름 녹음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한다(750). 상기 가입자로부터 발신자 이름을 녹음하여 저장하고(751), 상기 G/LSU(250)로 대기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여(752), 가입자 또는 중계선을 통하여 대기 안내방송을 송출한 후(753), 가입자의 수신자 부담 서비스 호 연결 요청에 대한 처리를 SCP로 요청하기 위하여 수신된 착신번호와 발신자 이름에 대한 녹음완료를 ISCP(210)로 통보한다(754).
상기 ISCP(210)는 상기 녹음완료 메시지를 ASE(215), TCAP(216)프로토콜 처리한 후 SS. No.7 망을 통하여 SCP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발생하도록 한다(755). 상기 SCP에서는 수신자 부담 서비스처리를 위하여 처리 결과를 SS No.7 프로토콜 처리 절차를 거쳐 SSP로 보내게 되고, 착신번호 및 녹음완료의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756). 상기 ISCP(210)로부터 실제 착신번호를 수신하여 착신번호 번역 및 루팅을 수행하여(757,758), 착신번호 번역 결과에 대한 호 종류를 ISCP(210)로 통보하고(759), 루팅 처리를 통하여 착신 비가용 상태를 파악한다(760).
그 결과, 착신 비가용 상태이면 G/LSU(250)로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여(764), 가입자에게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을 송출하고(765), ISCP(210)로 자동 수신자 부담 서비스 불가 통보를 전송한 후 (766), G/LSU(250)로 DTMFR 해제를 요구하고(767), 발신선의 H/on을 통하여 호를 종료한다(768).
한편, 착신이 가능한 경우이면, 통화로를 구성하며 착신측에 신호장치를 할당하고(761), 가입자/중계선으로 국간 신호 및 링 연결을 요구한 후(762), 착신선의 응답여부를 판단하여(763), 착신선이 무응답일 경우는 상기 자동 수신자 부담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 연결을 요구하는 단계(764)로 천이하고, 상기 가입자/중계선(착신선)이 훅 오프(H/off)로 응답하면(769), ISCP(210)로부터 확인 식별자 요구를 수신하고(770), G/LSU(250)로 확인 식별자 입력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한 후(771), 가입자 또는 중계선을 통하여 확인 식별자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한다(772).
가입자로부터 확인 식별자(77)를 수신하여(773), 확인 식별자 오류 입력 여부를 판단하고(774), 오류 입력일 경우 재시도 횟수를 비교하여(776), 최대 2회를 초과하면 G/LSU(250)로 재시도 횟수 초과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고(779), 가입자 또는 중계선을 통하여 재시도 횟수 초과 안내방송을 송출한다(780). 그리고, ISCP(210)로 자동 수신자 부담 서비스 불가 통보를 전송하고(781), G/LSU(250)로 DTMFR 해제요구를 하며(782), 발신선의 훅 온(H/on)을 통하여 호를 종료한다(783).
또한, 상기 재시도 횟수가 최대 2회를 초과하지 않으면, G/LSU(250)로 확인 식별자 오류 입력 및 재입력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고(777), 가입자 또는 중계선을 통하여 확인 식별자 오류 입력 및 재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한 후(778), 상기 확인 식별자를 수신하고 확인 식별자 오류입력 여부를 파난하는 단계(73)로 천이한다.
상기 확인 식별자가 정상입력인 경우 확인 식별자가 1이면(775), G/LSU(250)로 통화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고(784), 가입자/중계선(발신선)을 통해 발신자에게 착신측의 수신자 부담 전화통화 수락에 대한 통화 안내방송을 송출한다(785). 그리고 G/LSU(250)로 DTMFR 해제를 요구하고(786), 발착신간 통화로를 구성하여(787), 과금이 시작되며(788), 발착신 가입자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789).
그리고, 가입자/중계선으로부터 발신선 또는 착신선의 H/on을 통하여 서비스 통화 과금을 종료하며(790,791), 발착신간 통화로를 해제하고(792), 착신측 가입자에 대한 통화요금 정보를 SCP로 요청하기 위하여 과금 정보를 ISCP(210)로 통보하고(793), ISCP(21)는 이 메시지를 ACC-ASE(215), TCAP(216) 프로토콜 처리하여 SS No.7 망을 통해 SCP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발생하도록 한다(794). 상기 SCP에서는 수신자 요금부담 처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착신측 가입자에게 통보하기 위하여 SS No.7 프로토콜 처리 절차를 거쳐 SSP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보내게 되고, SSP는 통화요금 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795).
그리고, ISCP(210)로부터 수신한 실제 착신번호로 착신번호 번역 및 루팅을 수행하고(796), 착신번호 번역 결과에 대한 호 종류를 ISCP로 통보하며(797), 루팅 처리를 통하여 착신 비가용 상태를 파악한다(798). 착신 비가용 상태이면 ISCP(210)로 통화요금 정보 통보 불가를 통보하고(803), 서비스 호를 종료한다.
착신이 가능한 경우 통화로를 구성하며 착신측에 신호 장치를 할당하고(799), 국간 신호 및 링을 연결한다(800). 착신선의 응답여부를 판단하여(801), 착신선이 무응답일 경우는 상기 ISCP(210)로 통화요금 정보 통보 불가를 통보하고(803), 서비스 호를 종료하는 단계로 천이한다.
착신선이 훅 오프(H/off)로 응답하면 ISCP(210)로부터 통화요금 통보 요구를 수신하고(802,804), G/LSU(250)로 DTMFR 연결 요구 및 통화요금 통보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고(805,806), 가입자 또는 중계선을 통하여 통화요금 통보 안내방송을 송출한다(807). ISCP(210)로 통화요금 통보 성공을 전송하고(808), G/LSU(250)로 DTMFR 해제 요구를 하며(809), 착신선의 훅 온(H/on)을 통하여(810), 호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확인 식별자가 정상입력이면서 2이면(775), G/LSU(250)로 통화거부 안내방송 연결을 요구하고(811), 가입자/중계선(발신선)을 통해 통확부 안내방송을 송출하며(812), ISCP(210)로 수신자 부담 통화거부를 통보한 후(813), G/LSU(250)로 DTMFR 해제를 요구하고(814), 가입자/중계선으로부터 발신선의 훅 온(H/on)을 통하여(815), 호를 종료한다.
상기한 바에 의하면 지능망의 한 요소인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 하드웨어의 변경없이 소프트웨어의 변경 및 호처리 기능 추가로 기 구현된 착신 과금 서비스, 신용통화 서비스, 정보료 수납대행 서비스 뿐만 아니라 전화 자동응답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를 여러 가입자에게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신호 장치 점유를 수행하는 글로벌과 로컬 서비스 유니트(Global/local Service Unit, 이하 G/LSU라 칭함)(250)와, 특정 지능망 서비스의 종류를 통보받아 발신 번호와 발신 등급을 수집하는 지능망 서비스 제어부(Intelligent Service Control Part, 이하 ISCP라 칭함(210)을 구비하는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 적용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에 있어서, 이용자로부터 자동 수신자 부담(전화 자동응답) 서비스가 요구되면 발신번호와 발신등급을 수신하여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결과 메시지를 확인하는제1단계; 상기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결과 메시지가 성공응답이면 발신측으로부터 착신번호(digit)와 발신자의 이름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착신번호 번역 및 루팅을 수행하여 착신 상태를 파악하는 제2단계; 상기 착신 상태 판단 결과, 착신이 가능한 경우이면 통화로를 구성하여 착신측에 신호장치를 할당하고 가입자/중계선으로 국간 신호 및 링 연결을 요구하여 착신측의 응답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 상기 착신측이 응답이면 확인 식별자를 통한 수신자 부담 전화의 수락 여부에 따라 통화거부 안내방송을 발신측으로 송출하거나 발착신간 통화로를 구성하여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시작하는 제4단계: 및 발착신 가입자간에 통화가 종료되면 서비스 통화 과금을 종료하고 통화요금 통보 안내방송을 착신측에 통보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발신측으로부터 가입자 발신 요구 또는 중계선 점유 요구를 수신하면 호의 종류와 서비스 종류를 판단하여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인 경우 서비스 제공 여부를 판단하는 제6단계; 상기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 ISCP(210)로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를 요구하고 발신번호 및 발신등급 요구를 수신받는 제7단계; 발신국으로 발신번호와 발신등급을 요구하여 수신되면 이를 ISCP(210)로 전송하여 상기 ISCP(210)에서 ASE, TCAP 프로토콜 처리한 후, SS No.7망을 통하여 서비스 제어 시스템(Service Control Point, 이하 SCP라 칭함)이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발생하도록 하는 제8단계; 및 상기 SCP가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에 대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결과 메시지를 확인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 G/LSU(250)로 DTMFR 연결 요구 및 정상처리 불가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여 발신측으로 정상처리 불가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6단게: 및 ISCP(210)로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불가 통보를 전송하고 G/LSU(250)로 DTMFR 해제요구를 하여 발신측의 훅 온(H/on)을 통하여 호를 종료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결과 메시지가 성공 응답인 경우, 발신측으로 착신번호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수신되는 착신번호가 정상입력이면 발신측으로 발신자 이름 녹음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6단계; 상기 발신측으로 부터 발신자 이름을 녹음하여 저장하고 발신측으로 대기 안내방송을 송출한 후, 수신된 착신번호와 발신자 이름에 대한 녹음완료 메시지를 ISCP(210)로 전송하는 제7단계; 상기 녹음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ISCP(210)가 ASE(215), TCAP(216)프로토콜 처리한 후, SCP가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발생 하도록 하여 착신번호 및 녹음완료의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제8단계: 및 상기 ISCP(210)로부터 실제 착신번호를 수신하여 착신번호 번역 결과에 대한 호 종류를 ISCP(210)로 통보하고 루팅 처리를 통하여 착신 상태를 파악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결과 메시지가 성공 응답인 경우, 발신측으로 착신번호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10단계: 발신측으로부터 착신번호(digit)를 수신하고 착신번호 오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제11단계: 및 착신번호가 정상입력인 경우 ISCP(210)로부터 발신자 이름 요구를 수신하여 G/LSU(250)로 발신자 이름 녹음 입력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고 발신측으로 발신자 이름 녹음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0단계는, 상기 적격 검사 및 번호 번역 결과 메시지가 성공 응답인 경우, ISCP로부터 착신번호 요구를 수신하는 제13단계; G/LSU(250)로 DTMFR 연결 요구 및 착신번호 입력 안내방송 연결요구를 전송하는 제14단계: 및 발신측으로 착신번호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1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착신번호가 오류 입력일 경우 재시도 횟수를 비교하는 제13단계:상기 재시도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면 발신측으로 재시도 횟수초과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ISCP(210)로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불가 통보를 전송하는 제14단계: 상기 재시도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지 않았으면 G/LSU(250)로 착신번호 오류 입력 및 재입력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는 제15단계: 및 발신측으로 착신번호 오류 입력 및 재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상기 제11단계로 천이하는 제1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5단계는, 상기 재시도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면 G/LSU(250)로 재시도 횟수 초과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는 제17단계: 발신측으로 재시도 횟수 초과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18단계: 및 ISCP(210)로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불가 통보를 전송하고 G/LSU(250)로 DTMFR 해제를 요구하여 발신측에서 훅 온하면 호를 종료하는 제1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상태 판단 결과, 착신이 불가능한 경우이거나 착신측 응답여부 판단결과, 착신측이 무응답인 경우에는 G/LSU(250)로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여 가입자에게 서비스 불가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6단계: 및 ISCP(210)로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불가 통보를 전송하고 G/LSU(250)로 DTMFR 해제를 요구하여 발신측의 훅 온을 통하여 호를 종료하는 제7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착신측이 응답하면 확인 식별자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수신되는 확인 식별자의 오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제6단계; 상기 확인 식별자 오류 입력이면 재시도 횟수에 따라 발신측으로 확인 식별자 오류 입력 및 재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하거나 자동 수신자 부담 서비스 불가를통보하는 제7단계; 상기 확인 식별자가 정상 입력이면 확인 식별자의 번호를 확인하는 제8단계; 상기 확인 식별자가 소정 번호이면 통화거부 안내방송을 발신측으로 송출하는 제9단계: 및 상기 확인 식별자가 소정 번호이면 발착신간 통화로를 구성하여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에 대한 과금을 시작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착신측이 응답하면 ISCP(210)로부터 확인 식별자 요구를 수신하는 제11단계; G/LSU(250)로 확인 식별자 입력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여 발신측으로 확인 식별자 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12단계: 및 발신측으로부터 확인 식별자를 수신하여 확인 식별자 오류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7단계는, 상기 확인 식별자가 오류 입력일 경우 재시도 횟수를 비교하는 제14단계; 상기 재시도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면 G/LSU(250)로 재시도 횟수 초과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여 발신측으로 재시도 횟수 초과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15단계; ISCP(210)로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불가 통보를 전송하고 G/LSU(250)로 DTMFR 해제요구를 하여 발신측의 훅 온을 통하여 호를 종료하는 제16단계; 상기 재시도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G/LSU(250)로 확인 식별자 오류 입력 및 재입력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는 제17단계: 및 발신측으로 확인 식별자 오류 입력 및 재입력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상기 제13단계로 천이하는 제18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는, 상기 확인 식별자가 소정 번호이면 G/LSU(250)로 통화거부 안내방송 연결을 요구하여 발신측으로 통화거부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11단계: 및 ISCP(210)로 수신자 부담 통화거부를 통보하고 G/LSU(250)로 DTMFR 해제를 요구하여 발신측의 훅 온을 통하여 호를 종료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0단계는, 상기 확인 식별자가 소정 번호이면 G/LSU(250)로 통화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여 발신측으로 착신측의 수신자 부담 전화통화 수락에 대한 통화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11단계: 및 G/LSU(250)로 DTMFR 해제를 요구하고 발착신간 통화로를 구성하여 과금이 시작되는 제1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발신측 또는 착신측의 훅 온을 통하여 서비스 통화 과금을 종료하고 발착신간 통화로를 해제하며 과금 정보를 ISCP(210)로 통보하는 제6단계; 상기 ISCP(210)가 과금 정보를 처리하여 SCP로 명령제공 오퍼레이션을 발생하도록 하고 그 응답이 수신되면 착신번호 번역 결과에 대한 호 종류를 ISCP로 통보하고 루팅 처리를 통하여 착신 상태를 파악하는 제7단계; 착신 비가용 상태이면 ISCP(210)로 통화요금 정보 통보 불가를 통보하고 착신이 가능하면 통화로를 구성하여 착신측의 응답여부를 판단하는 제8단계: 및 상기 착신측이 무응답이면 상기 ISCP(210)로 통화요금 정보 통보 불가를 통보하고 착신선이 응답하면 착신측으로 통화요금 통보 안내방송을 송출하는 제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9단계는, 상기 착신측이 무응답이면 상기 ISCP(210)로 통화요금 정보 통보 불가를 통보하고 상기 착신선이 응답하면 ISCP(210)로부터 통화요금 통보 요구를 수신하는 제10단계; 상기 ISCP(210)로부터 통화요금 통보 요구를 수신하면 G/LSU(250)로 DTMFR 연결 요구 및 통화요금 통보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는 제11단계; 착신측으로 통화요금 통보 안내방송을 송출하고 ISCP(210)로 통화요금 통보 성공을 전송하는 제12단계: 및 G/LSU(250)로 DTMFR 해제 요구를 하고 착신측의 훅 온을 통하여 호를 종료하는 제1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방법.
KR1019950053954A 1995-12-22 1995-12-22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KR0160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954A KR0160346B1 (ko) 1995-12-22 1995-12-22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954A KR0160346B1 (ko) 1995-12-22 1995-12-22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0346B1 true KR0160346B1 (ko) 1998-12-01

Family

ID=1944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954A KR0160346B1 (ko) 1995-12-22 1995-12-22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3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533A (ko) * 2001-11-28 2003-06-02 정찬익 사용자 설정 조건에 따른 수신자 요금 부담 전화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528842B1 (ko) * 2002-08-26 2005-1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에서 선택적 수신자 과금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533A (ko) * 2001-11-28 2003-06-02 정찬익 사용자 설정 조건에 따른 수신자 요금 부담 전화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100528842B1 (ko) * 2002-08-26 2005-11-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에서 선택적 수신자 과금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03233C (en) Post answer telephone call redirection or rerouting
JP3734498B2 (ja) 遠隔通信フォローミーサービス
KR19990067316A (ko) 규제받는 제한된 지역을 위한 콜백서비스
US5966660A (en) User controlled call setup through manual switchboard
GB2294179A (en) Telecommunication networks
RU2111624C1 (ru) Способ резервирования вызова атс для абонента, используя сигнал n 7
USH1941H1 (en) Agent interworking protocol and call processing architecture for a communications system
JPH0311845A (ja) ファクシミリ呼び出し方法、ファクシミリ呼の設定方法および処理方法、交換システム、特殊化された呼種に対する呼確立方法、ファクシミリ・メッセージの送信方法
KR0160346B1 (ko)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JP2834993B2 (ja) 全電子中継交換機における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呼処理方法
KR0128236B1 (ko)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서 전화 자동응답 서비스의 호처리 방법
KR0139586B1 (ko) 중계 서비스 교환기를 이용한 단국 서비스 교환기의 지능망 서비스 호처리 방법
KR100273058B1 (ko) 지능망을 이용한 악의호 차단 방법
KR960013264B1 (ko) 신용통화 서비스의 단축번호 및 재시도 방법
KR970004824B1 (ko) 서비스 교환기(tdx-10 ssp)의 안내 방송 장치 다중화 방법
JP2785000B2 (ja) 着信者情報の収集通知方法
KR9500094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서비스 번호를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인지 방법
KR93001095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KR100215967B1 (ko) 자국안내대의 타국가입자에 대한 중계호처리방법
KR100215969B1 (ko) 자국안내대의 타국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방법
KR100856999B1 (ko)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KR930004924B1 (ko) 전전자 교환시스팀의 착신 과금 서비스 방법
KR100275507B1 (ko) 서비스 교환기 시뮬레이터에서의 지능망 서비스 호 처리 방법
KR100242699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리셋 호 서비스 방법
KR97001142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