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429B1 -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429B1
KR970011429B1 KR1019940030783A KR19940030783A KR970011429B1 KR 970011429 B1 KR970011429 B1 KR 970011429B1 KR 1019940030783 A KR1019940030783 A KR 1019940030783A KR 19940030783 A KR19940030783 A KR 19940030783A KR 970011429 B1 KR970011429 B1 KR 97001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announcement
service
caller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236A (ko
Inventor
홍선미
김태일
이형호
김영시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0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429B1/ko
Publication of KR96002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93Notifying the calling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ed or connecte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2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features of supplementary services
    • H04M2203/205Broad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2Broad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제 1 도는 일반적인 전전자 교환기의 구조도.
제 2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기의 구조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자 번호 확인 안내방송 송출 처리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입자 정합부2,22 : 교환 회로부
3,24 : 중계선 정합부4 : 지능망 서비스 처리부
5,25 : 공통선 신호방식(No.7) 처리부6 : 안내방송 처리부
7,23 : 운용 및 유지보수부8 : 제어부
21 : 가입자/중계선 정합부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 발신자로 부터 수신한 착신 번호를 확인하기 위한 안내방송 송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통신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화 이용자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용자의 통신 수요만큼 호의 완료율도 중요하며 호의 완료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통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가입자가 요구한 호가 불완료되는 요인에는 교환기 내부의 문제나 통신망에 그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서비스 이용자가 번호를 잘못 입력하여 원하지 않는 곳으로 착신되거나 결번 처리가 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런데, 종래에는 발신자로 부터 착신 번호를 수신하면 해당 번호로 번호 번역을 수행한 후, 착신자에게 호를 연결하였다. 이때, 발신자가 착신 번호를 잘못 입력하였거나 착신 번호에 데이타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교환기에서는 이 번호로 번호 번역을 수행하는데 가입자 결번 처리가 되거나 또는 제 3 자에게 착신이 되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회선의 낭비 뿐만아니라 서비스 이용의 혼돈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서비스 사용자로 부터 수신한 착신자 전화번호를 편집형 안내 메세지로 변환하여 가입자에게 음성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입력한 번호를 확인하게 하므로써, 다이얼링 오류에 의한 불완료 원인을 사전에 검증하여 이용자가 요구한 호의 완료율을 높이고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입자/중계선 라인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가입자/중계산 정합부, 각 구성요소간을 연결시키고 교환 회로부, 과금처리, 시스템 운용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운용 및 유지 보수부, 중계호를 처리하는 중계선 정합부 및 지능망과 종합정보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통선 신호방식 처리부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교환기 또는 서비스 이용자로 부터 서비스 요구가 발생하면 수신한 착신자 전화번호를 편집형 안내방송 메시지로 변환하여 가입자에게 편집형 음성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발신자에게 입력한 번호를 확인하게 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 수행 후, 발신자로 부터 착신번호 확인 식별자를 수신하거나 운영 체계로 부터 타이머 구동에 의하여 번호 확인을 인지하면 DTMFR(Dual Multiple Frequency Receiver) 해제를 요구하여 DTMFR 해제를 처리하고 발신자로 부터 착신번호 재입력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제1단계의 착신자 전화번호 수신 과정부터 반복하는 제 2 단계 및 제 2 단계 수행 후, 서비스호의 종류에 따라 호를 처리하고 종료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일반적인 전전자 교환기의 구조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가입자 정합부(1)는 가입자 라인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입자로부터 훅크 오프(hook off), 훅크 온(hook on), 훅크 플래쉬(hook flash)등을 감지하고 가입자로 부터 디지트를 수집하여 번호번역을 요구하여 착신자와 연결하도록 한다.
교환 회로부(2)는 시스템의 중심에 위치하여 가입자 정합부(1) 상호간, 안내방송 처리부(6), 중계선 정합부(3), 지능망 서비스 처리부(4), 제어부, 운용 및 유지보수부(7)를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T-S-T(타임-공간-타임)스위치 구조에서 공간 스위치가 위치하여 교환 기능을 수행한다.
중계선 정합부(3)는 중계호 처리를 수행하며 지능망 서비스 처리부(4)는 지능망 서비스호가 발생하면 이를 수신하여 해당 지능망 서비스 처리를 위한 응용 프로세스, 응용 서비스 요소, 문답처리기능응용부(TCAP) 등을 경유하여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한다. No.7 신호방식 처리부(5)는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ISDN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하다.
안내방송 처리부(6)는 가입자에게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안내방송 제공 형태에는 고정형 안내방송과 편집형 안내방송이 있다. 본 발명은 편집형 안내방송 장치를 이용하여 제공한다. 운용 및 유지보수부(7)는 과금 처리 및 시스템의 운용과 유지 보수기능을 담당하고 제어부(8)는 시스템의 각 모듈간의 통신 및 제어를 담당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기의 구조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전자 교환기의 트렁크 유니트에서 중계선 동작상태를 감시하여 중계선의 상태변화 즉, 입중계 트렁크 정유요구가 발생하거나 가입자 유니트에서 가입자 훅크 오프(Hook off)를 인지하면 기본호 처리부로 이를 보고한다.
중계호인 경우 기본호 처리부의 시그날링 제어의 입중계선으로 부터 디지트 및 필요한 정보를 받기 위해 R2 장비 점유와 스위치 통로 연결을 타임 스위치 제어로 요구한다. 타임 스위치 제어에서는 타임 스위치 유니트가 신호 장치와 타임 스위치(T-switch)를 연결하도록 요구를 하고, 신호 서비스 유니트(LSU)로 R2 장비 점유 요구를 한다. 이때, 신호 장비로 부터 디지트를 받을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시그날링 제어로 부터 통보받는다. R2 신호는 트렁크 유니트와 타임 스위치를 경유하여 신호 서비스 유니트(LSU)로 전달된다. 전달된 R2 신호는 신호 서비스 유니트(LSU)에서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디지트를 검출하여 번호 수신기로 디지트를 전송한다. 디지트 수신이 완료되면 연결된 모든 장비를 해제하고 가입자간의 통화로 즉, 타임 스위치를 연결하도록 처리한다.
일반호인 경우 가입자선으로 부터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디지트가 정확한가 확인하기 위하여 가입자/중계선 정합부(21)의 공통서비스 유니트(GSU)로 안내방송 연결 요구를 전송하고, 스페이스 스위치제어부로 스페이스 스위치 연결 요구를 하여 스위치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 안내방송 장치가 포함된 가입자/중계선 정합부(21)에서 서비스 요구가 발생하였으면 자체내의 타임 스위치를 연결한다. 입력 디지트에 대한 편집형 음성 안내 메세지를 송출하기 위하여 해당 디지트를 편집형 음성 메세지 처리부(VMHS)로 전달한다. 편집형 음성메시지 처리부(VMHS)에서는 타임 스위치-스페이스 스위치를 통하여 서비스 이용자에게 번호 확인을 위한 안내방송을 송출한다. 입력된 디지트가 정확하다고 인지되면 기본호 처리부는 해당 호가 지능망 서비스를 요구한 호인지 일반 호인지 분석한 후, 일반 호이면 번호번역을 수행한 후 착신자에게 루팅시키고 지능망 서비스호이면 지능망서비스 처리부의 응용 프로세스, 응용 서비스 요소, 문답처리기능 응용부(TCAP)를 경유하여 지능망 서비스호 처리를 진행한 후 호를 완료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착신자 번호 확인 안내방송 송출 처리흐름도로서, 톨(Toll)교환기에서 호를 수신하였을 경우와 로컬(Local) 교환기에서 호를 인지하였을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교환기의 종류를 판단하여(49) 톨(Toll)교환기인 경우 발신 교환기로 부터 중계선 점유 요구가 발생(50)하여 입중계선 점유요구가 발생(51)하면 입중계 호처리를 진행(52)한다. 로컬(Local)교환기인 경우 발신자가 훅크 오프(Hook off)(53)를 하면 발신자에게 발신음을 송출(54)하고 발신 가입자호처리를 진행(55)한다. 발신 교환기 또는 발신 가입자로 부터 첫번째 디지트를 수신(56)한 후에 번호 수집이 완료(57)되었는지 검사하여 번호 수집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번호 수집이 완료될 때까지 추가 디지트를 수집을(58) 반복한다. 이때, 앞서 입력한 번호의 오류로 인해 재 입력 식별자를 수신(59)하였으면 신호 서비스 유니트(LSU)로 DTMFR(Dual Tone Multiple Frequency Receiver : 이중음 다주파신호 수신기) 해제 요구(60)를 한 후 DTMFR 해제 처리(61)를 한다. DTMFR 해제 처리(61)가 완료되었거나 재입력 식별자를 수신하지 않았으면(59) 공통 서비스 유니트(GSU)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요구(62)를 한 후 신호 서비스 유니트(LSU)로 DTMFR 연결요구(63)를 한다. 공통서비스 유니트(GSU)에서는 안내방송 송출을 위한 착신자 번호 확인편집형 안내방송 메세지를 형성(64)하여 발신자에게 입력된 번호가 정확한지 착신자 번호확인 편집형 안내방송을 송출(65)한 후, 공통서비스 유니트(GSU)로 착신자 번호확인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해제를 요구(66)하여 착신자 번호확인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해제 처리(67)를 한다. 발신자로 부터 번호 확인 응답 대기(68)중에 입력 번호가 정확하면 발신자로 부터 번호 확인 식별자(*)를 수신(69)하거나 CROS(Concurrent Real-time Operating System)로 부터 타이머 구동에 의한 번호 확인을 인지(70)한다. 입력된 번호가 맞지 않을 경우 발신자로 부터 재입력 식별자(#)를 수신(71)하면 다시 착신 번호를 수신(56)한다. 발신자로 부터 번호 확인 식별자를 수신(69)하거나 타이머에 의해 번호 확인을 인지(70)하였으면 신호 서비스 유니트(LSU)로 DTMFR 해제요구(72)를 한 후 DTMFR 해제 처리(73)를 한다. 해당 서비스 호의 종류를 분석(74)하여 일반호인 경우 일반 호처리(75)를 수행한다. 착신자와 연결되어 통화중(76)에 일반호 해제요구(77)가 발생하면 일반호 해제 처리(78)를 한 후 호를 종료(79)한다. 지능망 서비스호이면(74) 지능망 서비스 호의 종류(80)가 신용통화 서비스(81), 착신과금 서비스(82), 정보료 수납대행 서비스(83)또는 기타 지능망 서비스(84)인지 분석하여 해당 지능망 서비스 호처리를 수행(85)한다. 지능망 서비스 통화중(86)에 지능망 서비스호 해제 요구를 수신(87)하면 지능망 서비스호 해제 처리를 수행(80)한 후 호를 종료(89)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서비스 이용자의 다이얼링 오류로 인해 호가 불완전 처리되거나 제 3 자로 착신되는 오류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이용자에게는 서비스 품질 향상 및 서비스 완료율을 증가시킬 수 있어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감을 줄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에게는 호 불완료에 따른 회선의 낭비를 제거하여 통신 수익을 증대시키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가입자/중계선 라인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가입자/중계선 정합부(21), 각 구성요소간을 연결시키고 교환 회로부(22), 과금처리, 시스템 운용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운용 및 유지보수부(23), 중계호를 처리하는 중계선 정합부(25) 및 지능망과 종합정보통신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통선 신호방신 처리부(25)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에 적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 교환기 또는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서비스 요구가 발생하면 수신한 착신자 전화번호를 편집형 안내방송 메시지로 변환하여 가입자에게 편집형 음성 안내방송을 송출하여 발신자에게 입력한 번호를 확인하게 하는 제 1 단계(49 내지 68), 상기 제 1 단계(49 내지 68) 수행 후, 발신자로 부터 착신번호 확인 식별자를 수신하거나 운영 체계로부터 타이머 구동에 의하여 번호 확인을 인지하면 DTMFR(Dual Multiple Frequency Receiver) 해제를 요구하여 DTMFR 해제를 처리하고 발신자로 부터 착신번호 재입력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제 1 단계(49 내지 68)의 착신자 전화번호 수신 과정부터 반복하는 제 2 단계(69 내지 73) 및 상기 제 2 단계(69 내지 73) 수행 후, 서비스호의 종류에 따라 호를 처리하고 종료하는 제 3 단계(74 내지 8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49 내지 68)는 , 서비스를 수행하는 교환기의 종류에 따라 호를 처리하는 제 4 단계(49 내지 55), 상기 제 4 단계(49 내지 55) 수행 후, 발신 가입자로 부터 순서대로 디지트를 수신하여 착신번호 수집을 완료한 후에 재입력 식별자수신 여부를 확인하는 제 5 단계(56 내지 59), 상기 제 5 단계(56 내지 59) 수행 후, 재입력 식별가가 수신되면 DTMFR 해제를 요구하여 DTMFR 해제 처리를 한 후에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을 요구하고 DTMFR 연결을 요구하여 안내방송 메세지를 형성하여 안내방송을 송출한 다음에 안내방송 송출해제를 요구하여 안내방송 송출을 해제하고 발신자로 부터 번호 확인응답을 대기하는 제 6 단계(60 내지 68) 및 제 5 단계(56 내지 59) 수행 후, 재입력 식별자가 수신되지 않으면 바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을 요구하고 DTMFR 연결을 요구하여 안내방송 메세지를 형성하여 안내방송을 송출한 후에 안내방송 송출 해제를 요구하여 안내방송 송출을 해제한 다음에 발신자로 부터 번호 확인 응답을 대기하는 제 6 단계(62 내지 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49 내지 55)는, 서비스를 수행하는 교환기의 종류를 판단하는 제 7 단계(49), 상기 제 7 단계(49) 수행 후, 톨(Toll)교환기인 경우에는 발신교환기로 부터 중계선 점유 요구가 발생하여 입중계선 점유 요구가 발생하면 입중계 호를 처리하는 제 8 단계(50,51,52) 및 상기 제 7 단계(49) 수행 후, 로컬(Local) 교환기인 경우에는 발신자 훅크 오프(Hook Off)를 하면 발신자에게 발신음을 송출하고 발신 가입자 호를 처리하는 제 9 단계(53,54,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74 내지 89)는, 발신자가 요구한 서비스 호의 종류를 분석하는 제10단계(74), 상기 제10단계(74) 수행 후, 일반호이면 일반호를 처리하여 통화를 연결한 후에 통화중에 일반호 해제 요구가 발생하면 일반호를 해제하고 호를 종료하는 제11단계(75 내지 79) 및 제10단계(74) 수행 후, 지능망 서비스호이면 지능망 서비스 호의 종류가 신용통화 서비스, 착신과금 서비스, 정보료 수납대행 서비스 또는 기타 지능망 서비스인지 분석하여 해당 지능망 서비스 호를 처리하여 통화를 연결한 후에 지능망 서비스 통화중에 지능망 서비스호 해제 요구를 수신하면 지능망 서비스호를 해제하고 호를 종료하는 제12단계(80 내지 8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KR1019940030783A 1994-11-22 1994-11-22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KR97001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783A KR970011429B1 (ko) 1994-11-22 1994-11-22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0783A KR970011429B1 (ko) 1994-11-22 1994-11-22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36A KR960020236A (ko) 1996-06-17
KR970011429B1 true KR970011429B1 (ko) 1997-07-10

Family

ID=19398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783A KR970011429B1 (ko) 1994-11-22 1994-11-22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612B1 (ko) * 2000-12-19 2007-02-27 엘지노텔 주식회사 양방향 씨아이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236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8711B1 (en) Call back service for a regulatory restrictive area
CA1299709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xisting telephone switching equipmentwith the capability of using the ss7 protocol
US4139739A (en) Telecommunications call back system
CA2143181C (en) Method for use in completing telephone calls
KR97001142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착신자 번호 확인을 위한 편집형 안내방송 송출 방법
US59434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n ISDN call between parties
KR0169035B1 (ko) 확장된 서비스 필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지능형 정보제공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제공되는 전화투표 서비스에서의 대량집중호 처리방법
KR100273058B1 (ko) 지능망을 이용한 악의호 차단 방법
US6005929A (en) Method of providing services to subscribers of a telephone network
KR0160346B1 (ko)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KR960016667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부재중 안내서비스 처리 방법
KR0160345B1 (ko) 고도 지능망에서 자동응답 대행 서비스의 부재중 등록/등록해제 구현 방법
US20030064740A1 (en) Method for status inquiry of at least one connector for user group and/or communication transmission device
KR9500094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서비스 번호를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인지 방법
KR100856999B1 (ko)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KR100594141B1 (ko) 사설교환기의 전용선 착신호 처리방법
KR970000071B1 (ko) 협대엽 종합정보통신망 교환기에서의 가입자 호전환 서비스 처리 방법
KR100674333B1 (ko) 지능망 전화카드서비스에서의 연속통화 제공방법
KR10024742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발신번 정보 요구 시점 선택 방법
KR100258248B1 (ko) 사설 교환기의 디지트 입력간 타임 아웃 제어 방법
KR100278740B1 (ko) 전자교환시스템에서의차세대지능망착신과금호처리방법
KR10021411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레지스터 콜 서비스 방법
KR100197405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가입자 정보 수신 방법
KR100242703B1 (ko) Isdn 교환기에서의 자기 단말 번호 디스플레이 방법
KR100235114B1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에서 중계호 자국 안내대 착신처리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