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0954B1 -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0954B1
KR930010954B1 KR1019900022860A KR900022860A KR930010954B1 KR 930010954 B1 KR930010954 B1 KR 930010954B1 KR 1019900022860 A KR1019900022860 A KR 1019900022860A KR 900022860 A KR900022860 A KR 900022860A KR 930010954 B1 KR930010954 B1 KR 930010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ubscriber
calling
called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105A (ko
Inventor
정동수
김승희
이봉철
윤병남
안지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통신공사, 이해욱,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to KR1019900022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0954B1/ko
Publication of KR920014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0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9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기 서브시스팀 구성도.
제2도는 호재시도 서비스를 처리하는 전체 기능 흐름도.
제3도는 발신 가입자로 부터 호재시도 서비스 요구를 받아 등록하는 기능 흐름도.
제4도는 자국 착신 가입자에 대한 호재시도 기능흐름도.
제5도는 타국 착신 가입자에 대한 호재시도 기능 흐름도.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서 구현된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가동중인 TDX-1A, TDX-1B와 같은 대부분의 전전자 교환기에는 호재시도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으며 일부 교환기에서는 다른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 서비스를 등록한 가입자가 통화를 시도하였으나 착신 가입자가 이미 통화중일 경우 서비스 요구 코드를 돌리면 단축 다이얼 서비스와 유사하게 그 전에 다이얼한 번호로 다시 한번 호를 시도해 주는 정도의 서비스만 제공하거나, 특정 그룹 가입자가 그 그룹내의 가입자를 호출한 경우에만 호재시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착신 가입자가 계속 통화중일 가능성이 높아 별 효과가 없고, 또한 그룹내의 가입자를 호출한 경우에만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대부분의 호에 대해서는 호재시도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본 발명은 가입자에게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여러 가지 특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통화량이 폭주함에 따라 착신 요구가 너무 많은 가입자에게 통화를 시도해서 성공하기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 가입자가 미리 호재시도 서비스를 요구해 두면 착신 가입자가 통화를 끝낼때 바로 연결시켜 주며 타국의 가입자를 호출한 경우에도 호재시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전전자 교환기에 수용한 가입자가 같은 교환기에 수용되었거나 다른 교환기에 수용되어 있는 가입자에게 호를 시도하였으나 그 가입자가 이미 통화중이어서 통화를 실패했을때 호재시도 서비스 요구를 다이얼하면 가능한한 실패없이 호를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였다.
그래서 통화를 실패한 가입자가 후크 플래시를 하면 호재시도 서비스가 가능함을 알리는 예약음을 연결하며, 같은 교환기 내의 가입자를 호출한 경우에는 호재시도 요구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였다가, 착신 요구된 가입자가 통화를 끝낼때 발신 가입자와 착신 가입자 사이에 통화를 연결시켜 준다.
또한 다른 교환기 내의 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에는 교환기 간의 중계선 신호 특성상 호재시도 요구중임을 알릴 수 없으므로 교환기가 매 2분 마다 출중계호를 발생시키며 통화에 실패한 경우는 다시 2분 후에 호를 시도한다. 만약 10회 시도를 해도 통화성공을 못한 경우에는 서비스를 취소한다.
또한 통화가 확실히 보장된 이후에 호재시도 서비스를 요구한 발신 가입자에게 호를 연결하기 위해 착신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먼저 연결하고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며 호재시도 중임을 알리는 녹음 안내를 연결하며 발신 가입자에게 호출신호를 연결한다. 그리고 발신 가입자가 응답할 때 발신과 착신 가입자 사이에 통화를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전자 교환기의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착신 가입자가 통화중이어서 화중음을 연결하고 호재시도 서비스를 준비하는 제1단계, 가입자로부터 호재시도 서비스 요구를 받고 저장된 가입자 번호를 분석하여 착신 가입자가 자국의 가입자일 경우 착시 복구를 기다리고, 착신 가입자가 타국의 가입자일 경우 2분 타이머가 동작되기를 기다리는 제2단계, 자국의 착신 가입자가 복구를 하여 발신과 착신 사이를 연결하고,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면 호재시도 녹음 안내를 들려주고 발신 가입자에게는 호출 신호를 연결하는 제3단계, 발신 가입자가 응답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울리던 호출 신호를 절단하고 착신 가입자가 듣던 녹음 안내를 절단하여 서로 통화를 시작한 후 두 가입자가 통화를 끝내고 복구하는 제4단계, 2분 타이머가 동작하면, 호재시도 출중계 호를 시작하여 루팅을 처리하고 출중계선을 점유하여 타국으로 착신번을 송출한 뒤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면 착신 가입자에게 호재시도 녹음 안내를 들려주고 발신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연결하는 제5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호재시도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서브스시스팀의 구성도로, ASS서브시스팀 계열에는 가입자와 중계선 정합을 제어하는 서브시스팀(LTAS), 시분할 스위치를 제어하는 서브시스팀(LSS), R2 MFC와 DTMF 신호 송수신과 각종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서브시스팀(SSS), 일반적인 호처리 전반을 제어하는 서브시스팀(TCS), 각종 특수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브시스팀(OSS)이 그리고 INS 서브시스팀 계열에는 번호번역 및 루팅을 처리하는 서브시스팀(NHS), 공간 스위치와 녹음 안내 자원 및 디자간 통화 스위치 자원을 관리하는 서브시스팀(SNS), 망동기 및 공간 스위치를 제어하는 서브시스팀(CSS)이 속해 있다. 서브시스팀 OSS는 서브시스팀 TCS로 부터 호제어 요구를 받아 호재시도 서비스를 위한 각종 처리를 제어하며 나머지 서브시스팀에 필요한 처리를 요구한다.
제2도는 호재시도 처리의 간략적인 전체 흐름도이다. 발신 가입자가 호출한 착신 가입자가 이미 통화중이면(도면 2-1), 그 가입자가 호재시도 서비스 등록 가입자인지를 조사하여(도면 2-2), 호재시도 서비스를 등록하지 않은 가입자일 경우에는 호재시도 서비스를 하기 위한 처리를 한다.(도면 2-3)
그리고 발신 가입자가 예약음을 들으면서 호재시도 요구 코드를 다이얼하면(도면2-5), 그전 호에서 다이얼했던 착신 가입자의 번호를 분석하여(도면 2-6), 착신 가입자가 자국에 수용된 가입자인지 또는 타국에 수용된 가입자인지를 판단하고(도면 2-7), 타국에 수용된 가입자의 번호일 경우는 호재시도 출중계 처리를 한다.(도면 2-8)그리고 자국에 수용된 가입자일 경우에는 다시 착신 가입자가 착신 가능한 가입자인지를 조사하여(도면 2-9), 착실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실패 처리를 하고(도면 2-10), 착신이 가능할 경우에는 호재시도 자국 처리를 한다.(도면 2-11)상세한 처리는 다음의 제3도와 제5도 사이에서 기술하였다.
제3도는 호재시도 서비스 요구를 수신하는 처리이다. 발신 가입자가 호출한 착선 가입자가 이미 통화중이면(도면 3-1), 발신 가입자가 호재시도 서비스를 등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도면 3-2), 등록되지 않은 가입자 경우 회중음을 연결하고(도면 3-4)복구 처리를 하나, 발신 가입자가 호재시도 서비스를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중음을 연결하고(도면 3-3), 복구 처리를 하지 않고 있다가, 발신 가입자가 후크 프래시 하면(도면 3-5), 화중음을 절단하고(도면 3-6), 발신음 대신 예약음을 들려줘서(도면 3-7), 호재시도 서비스가 가능함을 알려준다.
그리고 가입자가 다이얼하면(도면 3-8), 그 번호를 분석하고(도면 3-9), 호재시도 서비스 요구인지를 조사하여(도면 3-10), 호재시도 서비스 요구일 경우에는 그전에 호처리 도중발신 가입자가 다이얼하여 저장하고 있는 착신 가입자의 번호로 호재시도 번호 분석을 하며(도면 3-11), 호재시도 요구가 아닐 경우에는 가입자가 요구한 해당 서비스를 처리한다. (도면 3-12) 호재시도 번호분석 결과(도면 3-13), 착신 가입자가 타국에 수용된 가입자일 경우에는 발신 가입자에게 확인음을 연결하며(도면 3-14), 발신 가입자가 절단하면(도면 3-15), 확인음을 끊고(도면 3-16), 2분 타이머를 동작시켜(도면 3-17), 출중계 처리를 대기한다. 또한 착신 가입자가 자국에 수용된 가입자일 경우에는 착신 가입자 관련 정보를 조사하여(도면 3-18), 착신이 가능하다면 호재시도 서비스 요구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뒤(도면 3-20), 발신 가입자에게 확인음을 연결하며(도면 3-21), 발신 가입자가 절단하면(도면 3-22), 확인임을 절단하고(도면 3-23) 착신 가입자가 통화 끝내기를 기다린다. 그리고 착신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호재시도 서비스가 불가능함을 알리기 위해 발신 가입자에게 오류임을 들려주고(도면 3-24), 발신 가입자가 절단하면(도면 3-25), 오류음을 절단하고(도면 3-26)복구 처리를 한다.
제4도는 자국의 착선 가입자에 대한 호재시도 서비스 처리이다. 제3도에서 호재시도 서비스를 요구중이던 자국의 착신 가입자가 통화를 끝내면(도면 4-1), 발신 및 착신 가입자가 다른 호를 처리할 수 없게 점유 상태로 바꾸고 착신 정보를 저장하며(도면 4-2), 발신과 착신 가입자 사이의 스위치를 연결하고(도면 4-3), 착신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울려준다.(도면 4-4) 호출 신호를 듣고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면(도면 4-5), 호출 신호를 절단하고(도면 4-6), 현재 호재시도 중임을 알리는 녹음 안내를 연결하며(도면 4-7), 발신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울려준다. (도면 4-8)발신 가입자가 응답하면(도면 4-9), 호출 신호를 절단하고(도면 4-10), 착신 가입자가 듣던 녹음 안내를 절단하며(도면 4-11), 통화로를 연결하고 서로 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도면 4-12) 그리고 두 가입자가 통화를 끝내면(도면 4-13), 최종 과금, 스위치 절단 등의 복구 처리를 하여(도면 4-14), 호재시도 자국 서비스 처리가 종료된다.
제5도는 타국의 착신 가입자에 대한 호재시도 서비스 처리이다. 제3도에서 등록시킨 2분 타이머가 동작하며(도면 5-1), 저장되어 있는 착신 가입자 번호를 분석하고(도면 5-2), 루팅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출중계선을 찾아 점유시키고(도면 5-3), 착신국으로 미리 정해진 신호 방식에 따라 착선번을 송출하며(도면 5-4), 발신과 중계선 사이의 스위치를 연결하는데(도면 5-5), 착신 교환국으로 부터 착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도면 5-6), 이를 저장한다. (도면 5-10) 그리고 착신 가입자가 아직도 통화중이거나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기 전에 여러 원인에 의해 통화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도면 5-7), 그 호를 절단하고 서비스 제공횟수를 조사하여(도면 5-8), 10회가 안된 경우에는 다시 2분 타이머를 동작시킨뒤(도면 5-9) 2분 후에 다시 제5도의 과정을 되풀이하고, 서비스 회수가 10회가 되면 서비스를 취소한다. 또한 착신 가입자가 호출신호를 듣고 응답하면(도면 5-11), 착신가입자에게 호재시도 중임을 알리는 녹음 안내를 연결하고(도면 5-12), 발신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울려준다.(도면 5-13) 발신 가입자가 응답하면(도면 4-9), 발신 가입자가 듣던 호출 신호를 절단하고(도면 4-10), 착신 가입자가 듣던 녹음 안내를 절단하면(도면 4-11), 통화로를 연결하여(도면 4-12), 서로 통화를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두가입자가 통화를 끝내고 복구를 하면(도면 4-13), 최종 과금, 통화로 절단 등의 복구처리를 한뒤(도면 4-14)호재시도 출중계서비스가 종료된다.
본 발명의 효과로 착신 요구가 폭주하고 있는 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에도 손쉽게 통화를 성공할 수 있다. 또한 타국의 가입자를 호출한 경우에도 시스팀 내부에서 호를 시도하여 착신 가입자가 응답한 경우에만 발신 가입자에게 호출신호를 연결하므로 발신 가입자 입장에서는 호출신호를 듣고 응답했을때 다시 화중음을 듣거나 또는 가입자가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 당하지 않아 편리하다.

Claims (5)

  1. 가입자와 중계선 정합, 시분할 스위치 제어, R2 MFC와 DTMF 신호 송수신과 각종 신호음을 발생, 일반적인 호처리 전반과 부가 서비스를 제어하는 ASS 서브시스팀, 및 번호번역 및 루팅 처리, 공간 스위치 및 녹음 안내 자원을 관리, 망동기 및 공간 스위치를 제어하는 INS 서브시스팀을 구비한 전전자 교환기의 호 재시도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 발신 가입자가 호출한 착신 가입자가 통화중이면 화중음을 연결하고 호재시도 서비스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후, 발신가입자로 부터 호재신호 서비스 요구를 받으면 저장된 가입자 번호를 분석하여 착신 가입자가 자국의 가입자일 경우 착신 복구를 기다리고, 착신 가입자가 타국의 가입자일 경우에는 전전자 교환기 간에 주로 사용되는 신호 방식인 R2 MFC 신호 방식으로는 호재시도 정보를 보낼 수 없으므로 매 2분 마다 교환기에서 호를 시도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후, 자국의 착신 가입자가 복구를 하면 발신과 착신 사이를 연결하고,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면 호재시도 녹음 안내를 들려주고 발신 가입자에게는 호출 신호를 연결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 수행후, 발신 가입자가 응답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울리던 호출 신호를 절단하고 착신 가입자가 듣던 녹음 안내를 절단하여 서로 통화를 시작한 후 두 가입자가 통화를 끝내고 복구하는 제4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후, 호재시도 출중계 호를 시작하여 루팅을 처리하고 출중계선을 점유하여 타국으로 착신번을 송출한 뒤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면 착신 가입자에게 호재시도 녹음 안내를 들려주고 발신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연결하는 제5단계를 구비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재시도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발신 가입자가 호출한 착신 가입자가 이미 통화중이면 발신 가입자가 호재시도 서비스를 등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등록되지 않은 가입자 경우 화중음을 연결하고 복구 처리를 하나, 발신 가입자가 호재시도 서비스를 등록하고 있는 경우에는 호중음을 연결하고 복구 처리를 하지 않고 있다가, 발신 가입자가 후크 플래시하면 화중음을 절단하고 발신음 대신 예약음을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등록된 발신가입자로 부터 호재시도 서비스 요구를 받으면 서비스가 가능함을 알려주고 그 전에 호처리 도중 발신 가입자가 다이얼하여 저장하고 있는 착신 가입자의 번호를 호재시도 번호 분석을 하는 단계, 호재시도 번호 분석 결과 착신 가입자가 타국에 수용된 가입자일 경우에는 발신 가입자에게 확인음을 연결하며 발신 가입자가 절단하면, 확인음을 끊고 2분 타이머를 동작시켜, 출중계 처리를 대기하는 단계, 착신 가입자가 자국에 수용된 가입자일 경우에는 착신 가입자 관련 정보를 조사하여 착신이 가능하다면 호재시도 서비스 요구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한 뒤 발신 가입자에게 확인음을 연결하며 발신 가입자가 절단하면 확인음을 절단하고 착신 가입자가 통화 끝내기를 기다리고, 착신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호재시도 서비스가 불가능함을 알리기 위해 발신 가입자에게 오류임을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호재시도 서비스 요구중이던 자국의 착신 가입자가 통화를 끝내면 발신 및 착신 가입자가 다른 호를 처리할 수 없게 점유 상태로 바꾸고 착신 정보를 저장하면 발신과 착신 가입자 사이의 스위치를 연결하고 착신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울려주는 단계와, 호출신호를 듣고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면, 호출 신호를 절단하고 현재 호재시도 중임을 알리는 녹음 안내를 연결하며 발신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울려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출중계 대기상태에서 2분 타이머가 동작하면 저장되어 있는 착신 가입자 번호를 분석하고 루팅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출중계선을 찾아 점유시키고 착신국으로 미리 정해진 신호 방식에 따라 착신번을 송출하며 발신과 중계선 사이의 스위를 연결하는데 착신 교환국으로 부터 착신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이를 저장하는 단계와, 착신 가입자가 아직도 통화중이거나 착신 가입자가 응답하기전에 여러 원인에 의해 통화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호를 절단하고 서비스 제공횟수를 조사하여 10회가 안된 경우에는 다시 2분 타이머를 동작시킨뒤 2분 후에 다시 출중계 대기상태로 리턴하고, 서비스 회수가 10회가 되면 서비스를 취소하는 단계와, 착신 가입자가 호출신호를 듣고 응답하면 착신 가입자에게 호재시도 중임을 알리는 녹음 안내를 연결하고 발신 가입자에게 호출 신호를 울려 주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KR1019900022860A 1990-12-31 1990-12-31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KR930010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60A KR930010954B1 (ko) 1990-12-31 1990-12-31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860A KR930010954B1 (ko) 1990-12-31 1990-12-31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105A KR920014105A (ko) 1992-07-30
KR930010954B1 true KR930010954B1 (ko) 1993-11-17

Family

ID=19309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860A KR930010954B1 (ko) 1990-12-31 1990-12-31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0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8360A (ko) * 1997-08-27 1999-03-15 윤종용 사설교환시스템에서 자동 네트워크 다이얼링 예약방법
KR100327404B1 (ko) * 1998-09-07 2002-04-17 서평원 휴대이동전화에서착신상태가해제되는경우즉시연결서비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105A (ko) 199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8782A (en) Telephone call connection method with automated paging and call bridging
CN1076570C (zh) 个人移动通信系统
CA2159529C (en) Method in a telephone system for reaching a subscriber under busy/no answer conditions and ring/no answer conditions
US5918179A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wo-way paging to provide call control
CA2190672C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wo-way paging to provide call control
CA2190670C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wo-way paging to provide call control
US8116443B1 (en) Automatic callback and caller ID method and system
KR93001095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JP3097114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制御方式ならびに電話機およびファクシミリ装置
CA2190671C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wo-way paging to provide call control
JPH05236123A (ja) 呼び返し交換方式
KR0161129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선택호 수용방법
KR95001258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 방법
KR0160346B1 (ko)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KR100674335B1 (ko) 지능망에서 통화자간 자동연결 방법
JP3150264B2 (ja) 内線電話番号変更時での着信接続制御方法
KR100295414B1 (ko)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KR100208964B1 (ko) 국설 전전자교환기에서의 호예약처리방법
AU1697299A (en) A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answering and recording of messages in a telephone system
KR0130449B1 (ko)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 제공 방법
JP3397719B2 (ja) 電気通信網による呼の保留・接続方法
KR95001258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대기 취소 서비스 방법
KR19980061505A (ko) 상대방 통화해제 후 사용자와 상대방을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서비스가 부가된 교환기
JPH08274879A (ja) 着信者情報の収集通知方法
KR0146642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편집형 착신거부 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