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449B1 -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 제공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449B1
KR0130449B1 KR1019930031734A KR930031734A KR0130449B1 KR 0130449 B1 KR0130449 B1 KR 0130449B1 KR 1019930031734 A KR1019930031734 A KR 1019930031734A KR 930031734 A KR930031734 A KR 930031734A KR 0130449 B1 KR0130449 B1 KR 0130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call
time information
predetermined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397A (ko
Inventor
최규식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1019930031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449B1/ko
Publication of KR95002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 H04M3/4876Time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가 원하는 경우에 통화중 및 통화종료후 해당 통화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방법은, PSTN가입자 또는 ISDN가입자중 소정의 가입자로부터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가 요구되면, 서비스요구 접수처리를 하는 단계; 소정의 가입자에 대한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가 접수되면, 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중인 지를 체크하는 제1 체크단계; 제1 체크단계를 수행한 결과, 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중이 아니면 접수처리 후, 제1 소정시간(T1)이 경과하였는 지를 체크하는 제2 체크단계; 제1 소정시간(T1)이 경과된 상태에서 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중이면 해당 통화가 완료될 때가지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해당 통화가 완료되면 소정의 가입자를 호출하는 제1 호출단계; 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중이면, 제2 소정시간(T2)이 경과하였는 지를 체크하는 제3 체크단계; 제2 소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현재까지 통화시간정보를 소정의 가입자에게 통보하는 제1 통화시간정보 통보단계; 제2 소정시간(T2)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의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거나 적어도 1구간이상의 제2 소정시간(T2)이 경과된 시점에서 소정의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소정의 가입자를 호출하는 제2 호출단계; 제2 호출단계 수행후, 소정의 가입자가 응답하면 해당 호에 대한 전(Full) 통화시간정보를 통보하는 제2 통화시간정보 통보단계; 제1 호출단계에 대하여 소정의 가입자가 응답하거나 제2 통화시간정보 통보단게 수행이 완료되면, 소정 가입자에 대한 상기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요구접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Description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 제공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제공 절차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제1도에 도시된 기능 블럭도를 중심으로한 처리절차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PSTN 가입자 2 : ISDN 가입자
3 : 전전자 교환기 4 : PSTN 가입자 정합장치
5 : ISDN 가입자 정합장치 6 : 스위치
7 : 트렁크 정합장치 8 : 서비스정보 송출장치
9 : 번호인식 및 호출장치 10 : 자동음성 안내장치
11 : 서비스제어 프로그램
본 발명은 교환기에 접속된 가입자에게 통화시간 정보를 통보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가 원할 경우에 통화진행중 및 통화종료 후에 해당되는 통화시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전자 교환기가 출현한 이래 교환기의 자체 기능이 계속 발전, 추가되어 왔으며,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거나 신규 수요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특수 서비스 및 부가 서비스 기능도 함께 발전,추가되어 왔다. 특히 특수서비스나 부가서비스의 경우 신규 수요 창출을 위한 사업자의 노력에 의해 그 종류나 서비스의 질이 계속해서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추세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가입자가 원하는 경우에 통화중 및 통화종료후 해당 통화시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제공방법은, PSTN 가입자 정합장치, ISDN 가입자 정합장치, 서비스 정보 송출장치, 번호인식 및 호출장치, 자동음성안내장치 및 스위치를 구비한 교환기에 적용되는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PSTN가입자 또는 ISDN가입자중 소정의 가입자로부터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가 요구되면, 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등록 가입자인지를 확인하여 소정이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요구 접수처리를 하는 단계; 서비스요구 접수처리에 의하여 소정의 가입자에 대한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가 접수되면, 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중인 지를 체크하는 제1 체크단계; 제1 체크단계를 수행한 결과, 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중이 아니면 접수처리 후, 제1 소정시간(T1)이 경과하였는 지를 체크하는 제2 체크단계; 제1 소정시간(T1)이 경과된 상태에서 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중이면 해당 통화가 완료될 때가지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해당 통화가 완료되면 소정의 가입자를 호출하는 제1 호출단계; 제1 체크단게의 체크결과, 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중이면, 제2 소정시간(T2)이 경과하였는 지를 체크하는 제3 체크단계; 제3 체크단계 수행결과, 제2 소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현재까지 통화시간정보를 소정의 가입자에게 통보하는 제1 통화시간정보 통보단계; 제2 소정시간(T2)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소정의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거나 적어도 1구간이상의 제2 소정시간(T2)이 경과된 시점에서 소정의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소정의 가입자를 호출하는 제2 호출단계; 제2 호출단계 수행후, 소정의 가입자가 응답하면 해당 호에 대한 전(Full) 통화시간정보를 통보하는 제2 통화시간정보 통보단계; 제1 호출단계에 대하여 소정의 가입자가 응답하거나 제2 통화시간정보 통보단게 수행이 완료되면, 소정 가입자에 대한 상기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요구접수를 해제하는 단계; 서비스 접수 완료시, 서비스요구 접수 해제시, 제1 및 제2 통화시간정보 통보시 자동음성안내장치(10) 또는 서비스정보 송출장치(8)를 제어하여 해당되는 안내방송 또는 정보를 소정의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로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가입자(1), ISDN(Integratde Service Digital Nwtwork) 가입자(2), PSTN 가입자와 ISDN가입자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전자 교환기(3), PSTN 가입자 정합장치(4), ISDN 가입자 정합장치(5), 전자 교환기(3)내의 통화로를 제공하는 스위치(6), 중계선과 정합처리를 하는 트렁크 정합장치(7), 서비스정보 송출장치(8), 번호인식 및 호출장치(9), 자동음성 안내장치(10), 본 발명에 따른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를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드웨어 환경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은 PSTN 가입자 정합장치(4), ISDN 가입자 정합장치(5), 서비스정보 송출장치(8), 번호인식 및 호출장치(9), 자동음성 안내장치(10)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제어에 의해 발생된 해당 서비스정보는 스위치(6)와 해당 가입자 정합장치(4,5)를 통해 서비스동록 가입자에게 제공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제공 절차도로서, 서비스동록된 소정의 가입자(가)와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절차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를 참조하여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절차에 대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서비스 동록된 가입자(가)가 현재 시도하려는 호에 대한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를 요구하면(21),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은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요구를 접수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은 접수된 가입자(가)라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인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가 아닌 경우에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은 가입자(가)에게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거부 정보를 통보하고(22-1),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인 경우에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은 가입자(가)에게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요구 접수 완료정보를 통보한다(22-2). 그리고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은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를 개시하게 되고, 가입자(가)는 가입자(나)와 호를 시도하여 통화를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은 가입자(나)와 통화 진행하고 있는 가입자(가)에게 일정한 시간 단위로 현재의 통화시간정보를 송출한다(23). 이 때,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은 상술한 일정한 시간단위로 가입자(가)가 통화중인지를 체크하고, 통화중인 경우에 현재의 통화시간정보를 송출한다.
이와 같이 일정한 시간단위로 통화시간정보를 송출하는 과정(23)은 가입자(가)가 통화를 종료할 때까지 계속 수행된다. 그리고 가입자 (가)가 통화를 종료하면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이 가입자(가)를 호출하고(24), 가입자(가)가 응답하면, 통화 종료후 통화시간 정보를 통보한다(25). 그 다음,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은 서비스 요구 접수 해제정보를 가입자(가)에게 통보한 후(26), 가입자(가)에 대한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를 종료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의 동작 흐름도이다.
즉, 소정의 가입자로부터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접수가 요구되면,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은 제31단계에서 제32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가입자가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등록가입자인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해당 가입자가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 등록 가입자가 아닌 경우에는 제33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가입자에게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거부 정보를 송출하고 작업을 종료한다.
그러나 제32단게의 확인결과, 해당 가입자가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등록 가입자이면 제34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가입자에 대한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접수를 완료하였다는 정보를 해당 가입자에게 송출한 뒤, 제35단계로 진행된다.
제35단계에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은 해당 가입자가 통화중인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해당 가입자가 통화중이 아니면 제36단계로 진행되어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요구에 대한 접수후 일정시간 T1이 경과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T1은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호시도시 발생될 수 있는 지연시간을 고려하여 설정된 시간이다. 제36단계의 확인결과, 상술한 일정시간 T1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35단계로 리턴된다.
그러나 제36단계의 확인결과, 상술한 T1이 경과한 경우에는 제37단계로 진행되어 재차 해당 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인 지를 확인한다. 확인결과, 통화중 상태가 아니면 제44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가입자를 호출하고, 제46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가입자에 대한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요구 접수가 해제되었음을 통보한 다음 작업을 종료한다.
제37단계의 확인결과, 해당 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이면 해당 호가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호가 아닌 것으로 인식하여 제45단계로 진행되어 일정시간 T3동안 대기상태를 유지한 다음, 제37단계로 리턴되어 통화중상태인 지를 체크한다. 이때 계속해서 통화중인 경우에 제45단계로 진행되어 다시 T3동안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T3시간동안 대기상태를 유지한 후, 체크한 결과 해당 가입자가 통화중이 아닌 경우에는 제44단계로 진행되어 가입자를 호출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요구접수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T1이 경과한 후 이루어지는 호시도는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호로 인정하여 호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한 후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요구접수를 해제한다.
한편 제35단계의 체크결과, 해당 가입자가 통화중 상태이면 제38단계로 진행되어 T2시간이 경과하였는 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T2는 통화시 해당되는 통화시간정보가 통보되는 서비스 주기가 된다. 체크결과,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 제39단계로 진행되어 통화가 종료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제39단계의 체크결과, 통화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제38단계로 리턴된다. 그러나 제39단계의 체크결과, 통화가 종료되었으면 제42단계로 진행되어 해당 가입자를 호출한다.
제38단계의 체크결과, T2가 경과한 경우에는 제40단계로 진행되어 통화가 종료되었는 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통화가 종료된 경우에 제42단계로 진행되어 가입자를 호출한다. 그러나 제40단계의 체크결과, 통화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 제41단계로 진행되어 현재 통화시간 정보를 해당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제38단계로 리턴된다.
그리고 제42단계에서 가입자가 호출되면, 제43단계로 진행되어 통화종료 후 해당 호에 대한 전(Full) 통화시간 정보를 해당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제46단계로 진행되어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요구 접수를 해제하고, 해제정보를 해당 가입자에게 통보한 다음 작업을 종료한다.
상술한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거부정보,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요구접수 완료정보,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요구접수 해제정보, 해당되는 통화시간정보는 자동음성안내장치(10) 또는 서비스 정보 송출장치(8)로부터 발생되도록 제어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하여 제1도에 도시된 기능 블럭도를 중심으로한 처리절차도이다.
제4도의 신호선 a는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요구에 따른 처리경로로서, 가입자의 자신의 단말기(1 또는 2)를 이용하여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용 특수코드, 서비스번호 그리고 자신의 전화번호를 송출하면 해당 정합장치(라인정합장치라고도 함)(4 또는 5)와 스위치(6)를 거쳐서 번호인식 및 호출장치(9)로 전달되고, 전달된 특수코드에 대한 번호인식 및 호출장치(9)의 분석에 의하여 해당 가입자의 전화번호가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으로 전달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의 신호선 b는,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거부 정보 통보에 따른 처리경로로서, 가입자로 부터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요구를 받은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이 가입자가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등록 가입자인지를 검사하여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자동음성안내장치(10) 또는 서비스정보송출장치(8)로 서비스거부 안내방송 또는 서비스거부정보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이에 따라 자동음성안내장치(10) 또는 서비스정보송출장치(8)는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거부 안내방송 또는 서비스거부정보를 스위치(6)와 가입자 정합장치(4,5)를 통해 해당 가입자단말기(1,2)로 전달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의 신호선 c는,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요구 접수를 완료하였다는 정보를 통보하는 처리경로로서, 가입자(1,2)로 부터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요구를 받은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이 가입자가 해당 서비스 등록 가입자인지를 검사하여 등록가입자인 경우에 자동음성안내장치(10) 또는 서비스정보송출장치(8)로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요구접수 완료안내방송 또는 서비스요구접수 완료정보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이에 따라 자동음성안내장치(10) 또는 서비스정보송출장치(8)는 서비스요구접수 완료를 알리는 안내방송 또는 정보를 스위치(6)와 해당 가입자 정합장치(4 또는 5)를 통해 가입자에게 전달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의 신호선 d는 통화시 통화시간 정보 통보에 따른 처리경로로서,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이 해당 가입자가 통화중일 때, 통화시간정보 통보의 필요 유무를 검사하여 통보가 필요하면 서비스정보 송출장치(8)로 통화시간정보를 통보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이에 따라 서비스정보 송출장치(8)가 해당 통화시간정보를 스위치(6)와 해당 가입자 정합장치(4 또는 5)를 통해 가입자(1,2)에 전달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의 신호선 e와 f는, 통화종료후 통화시간정보 통보에 따른 처리경로로서,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이 해당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하면 통화시간정보 통보의 필요유무를 검사하여 통보가 필요하면 번호인식 및 호출장치(9)로 가입자 호출을 명령하고(신호선 e), 가입자가 호출에 응답하면 자동음성안내장치(10)로 통화종료후 통화시간정보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내려, 자동음성안내장치(10)가 통화종료후 통화시간정보를 스위치(6)와 해당 가입자 정합장치(4 또는 5)를 통해 해당 가입자(1 또는 2)에게 전달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신호선 f).
제4도의 신호선 g는,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요구 접수를 해제하는 정보통보에 따른 처리 경로로서, 서비스 제어 프로그램(11)이 통화종료에 따른 통화시간정보 통보를 한 후, 바로 서비스정보 송출장치(8) 또는 자동음성안내장치(10)로 서비스 요구접수 해제정보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이에 따라 서비스정보 송출장치(8) 또는 자동음성안내장치(10)는 서비스요구 접수해제정보를 스위치(6)와 해당 가입자 정합장치(4 또는 5)를 통해 해당 가입자(1 또는 2)에게 전달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입자가 원할 경우에 통화중 및 통화완료시 해당되는 통화시간정보를 통보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입자가 통화중에 통화시간 및 통화료를 고려한 통화를 할 수 있도록하여 장시간 통화로 인한 회선효율의 저하를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접수요구에 의해 수행되지 않고 최초에 서비스 제어프로그램이 서비스등록된 가입자에게 항상 통화시간 정보를 통보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다가 가입자가 현재 시도하려는 호에 대해 서비스 제공중지를 요청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1)

  1. PSTN 가입자 정합장치(4), ISDN 가입자 정합장치(5), 서비스 정보 송출장치(8), 번호인식 및 호출장치(9), 자동음성안내장치(10) 및 스위치(6)를 구비한 교환기에 적용되는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PSTN가입자 또는 ISDN가입자중 소정의 가입자로부터 상기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가 요구되면, 상기 소정의 가입자가 상기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등록 가입자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소정의 가입자에 대한 서비스요구 접수처리를 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요구 접수처리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가입자에 대한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가 접수되면, 상기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중인 지를 체크하는 제1 체크단계;상기 제1 체크단계를 수행한 결과, 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중이 아니면 접수처리 후, 제1 소정시간(T1)이 경과하였는 지를 체크하는 제2 체크단계; 상기 제1 소정시간(T1)이 경과된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중이면 해당 통화가 완료될 때가지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해당 통화가 완료되면 상기 소정의 가입자를 호출하는 제1 호출단계;상기 제1 체크단계의 체크결과, 상기 소정의 가입자가 통화중이면, 제2 소정시간(T2)이 경과하였는 지를 체크하는 제3 체크단계; 상기 제3 체크단계 수행결과, 상기 제2 소정시간이 경과하였으면 현재까지 통화시간정보를 상기 소정의 가입자에게 통보하는 제1 통화시간정보 통보단계; 상기 제2 소정시간(T2)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거나 적어도 1구간이상의 상기 제2 소정시간(T2)이 경과된 시점에서 상기 소정의 가입자의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소정의 가입자를 호출하는 제2 호출단계; 상기 제2 호출단계 수행후, 상기 소정의 가입자가 응답하면 해당 호에 대한 전(Full) 통화시간정보를 통보하는 제2 통화시간정보 통보단계; 상기 제1 호출단계에 대하여 상기 소정의 가입자가 응답하거나 상기 제2 통화시간정보 통보단계 수행이 완료되면, 상기 소정 가입자에 대한 상기 통화시간정보 통보서비스 요구접수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요구 접수 완료시, 상기 서비스요구 접수 해제시, 상기 제1 및 제2 통화시간정보 통보시 상기 자동음성안내장치(10) 또는 상기 서비스정보 송출장치(8)를 제어하여 해당되는 안내방송 또는 정보를 상기 소정의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제공방법.
KR1019930031734A 1993-12-30 1993-12-30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 제공 방법 KR0130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734A KR0130449B1 (ko) 1993-12-30 1993-12-30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734A KR0130449B1 (ko) 1993-12-30 1993-12-30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397A KR950022397A (ko) 1995-07-28
KR0130449B1 true KR0130449B1 (ko) 1998-04-14

Family

ID=1937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734A KR0130449B1 (ko) 1993-12-30 1993-12-30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4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397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159B1 (ko) 전기통신시스템에서 호출을 자동으로 라우팅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5668861A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notification hold
KR980013191A (ko) 호출 가입자 식별 고지 서비스용 장치 (Calling party identification announcement service)
WO1997050231A2 (en) Providing feature logic control in a telephone system
RU2111624C1 (ru) Способ резервирования вызова атс для абонента, используя сигнал n 7
KR0130449B1 (ko) 통화시간 정보 통보서비스 제공 방법
US6005929A (en) Method of providing services to subscribers of a telephone network
EP0726008B1 (en) Device for multimedia communication
KR0161129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비밀번호를 이용한 선택호 수용방법
KR100219038B1 (ko) 교환망에서의 변경번호 자동연결 서비스 처리방법
JPH1042047A (ja) 交換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95001258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통화중 대기 서비스 방법
KR930010954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재시도 서비스 방법
KR0160346B1 (ko)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JPS5830261A (ja) 待合せ接続方式
KR100233462B1 (ko) 교환시스템의 착신거부상태 안내방송 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KR100225733B1 (ko) 전전자교환기의 안내대 호접속제어방법
KR20000042764A (ko) 통화중 대기 상태하에 할입 기능 처리 방법
KR100210767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안내대 호전환제어방법
KR19980061510A (ko) 상대방 통화해제 후 사용자의 메세지를 자동전송해주는 서비스가 부가된 교환기
KR100215969B1 (ko) 자국안내대의 타국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방법
CA2255848C (en) Holding party call back subscriber feature
KR96001664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공중전화 과금절차 처리 방법
KR20000004114A (ko) 전전자 교환기의 통화 확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