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1422B1 -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1422B1
KR100811422B1 KR1020010039056A KR20010039056A KR100811422B1 KR 100811422 B1 KR100811422 B1 KR 100811422B1 KR 1020010039056 A KR1020010039056 A KR 1020010039056A KR 20010039056 A KR20010039056 A KR 20010039056A KR 100811422 B1 KR100811422 B1 KR 100811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ll
msc
hl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363A (ko
Inventor
유준모
정태진
오원욱
박기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39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14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1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1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8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networks
    • H04M3/42306Number translation services, e.g. premium-rate, freephone or vanity number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망의 IGS 교환기에서 이동통신 응용 프로토콜 오퍼레이션을 이용하여 HLR 과의 연동을 통해 이동 통신망으로 착신되는 호를 라우팅하는 유선 망에서의 HLR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망으로의 경로 설정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유선 망에서 이동통신 망으로의 트래픽에 대한 정확한 통계 자료를 산출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 sending call i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의 주요 블럭구성도.
도 2, 도 4, 도 5,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가 적용되는 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유선 발신 단말 10 : PSTN 망
15 : 시내 교환기 20 : 이동통신망
25 : HLR 30 : MSC
35 : 무선 기지국 37 : 착신자 단말
40 : 이동망 접속 교환기 100,100a, 100b : IGS 교환기
110 : ASS_T 112 : 중계호 처리부
114 : MAP처리부 116 : 과금데이터 생성부
120 : 연결망 서브 시스템 122 : 번호번역부
124 : 루팅제어부 200 : IGS/TOLL 교환기
본 발명은 공중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이하, 'PSTN'이라 함)에서 발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PSTN의 가입자가 이동통신호를 발신하면 홈위치 등록기와 연동하여 호처리절차를 행하는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유선망의 PSTN 가입자가 이동통신망 가입자에게로 호를 발신하면, IGS(Interconnection Gateway Switch) 교환기는 해당 발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IGS교환기에서 가장 가까운 이동망 접속 교환기 예컨대, CGS, PGS로 전송하며, 상기 이동망 접속 교환기는 해당 발신호를 착신자에 대한 이동통신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칭한다)로 전송하여 처리하는 Near-End 방식으로 발신호를 처리한다.
한편, 상술되어진 Near-End 발신호 처리방식은 공중전화 교환망의 IGS 교환기가 해당 MSC의 위치와 상관없이 무조건 자신과 가까운 이동망 접속 교환기로 발신호를 라우팅하기 때문에, 경로설정이 비효율적일 뿐 아니라 유선 망에서 이동 통신 망으로의 트래픽에 대한 통계 산출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IGS 교환기가 이 동통신 응용 프로토콜(Mobile Appliction Protocol : 이하 MAP이라 칭한다) 오퍼레이션(Operation)을 이용하여 HLR과 연동하여 착신자에 대한 MSC의 위치에 대응하여 발신호를 라우팅할 수 있도록 하는 유선망에서 이동통신망에 대한 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에 의하면, 입중계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행하여 번호번역된 착신번호가 이동통신 가입자번호이면 번호번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착신번호가 이동통신 가입자번호가 아니면 번호번역결과를 생성하는 번호번역부와, 상기 번호번역결과에 의거하여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루팅제어부를 구비한 연결망 서브시스템과, 유선 망에서 입중계호가 발생하면 상기 번호번역부로 번호번역을 요청하고, 내장된 MSC(Mobile Switching Center) 릴레이션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번호를 관리하는 MSC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중계호처리부와, 상기 중계호처리부를 통해 상기 번호번역부에서 생성된 상기 번호번역정보를 전송받으면 HLR(Home Location Register)과 연동하여 상기 HLR로부터 상기 MSC의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정보를 중계호처리부로 전달하는 MAP(Mobile Application Protocol) 처리부 및, 유선망에서 이동통신 가입자에게로 발신된 호에 대한 호종류와 과금데이터를 저장하는 과금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 중계선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방법에 의하면,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이동통신 망으로 착신되는 입중계호를 처리하는 IGS 교환기가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HLR(Home Location Register)와 연동하여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이동통신호에 대한 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IGS 교환기가 유선망 가입자의 단말인 발신 단말로부터 발생된 입중계호에 대한 번호 번역을 수행하는 제 1과정과, 상기 번호 번역 결과 상기 입중계호가 이동통신 망으로 착신되는 입중계호로 판단되면, 번호번역 정보로부터 착신측 이동통신 가입자의 정보가 저장된 HLR의 SPC 값을 추출하는 제 2과정과, 상기 SPC 값에 해당하는 HLR로 착신측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 및 지리 정보를 요청하는 제 3과정과, 상기 HLR로부터 착신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 및 지리 정보에 해당하는 DPC값을 수신되면 상기 DPC로부터 MSC의 SPC 값을 추출하는 제 4과정, 및 상기 MSC의 SPC값에 의거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가입자를 관리하는 상기 MSC로 입중계 호를 라우팅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가 적용되는 IGS교환기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서, 동 도면에 의하면 상기 IGS교환기(110)는 중계호처리부(112)와, 과금데이터생성부(116), MAP처리부(114)를 구비한 중계선 정합교환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for Trunks : 이하 "ASS_T"라 칭한다)(110)과, 루팅번역부(122)와 루팅제어부(124)를 구비한 연결망 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 INS)(120)을 갖추어 구성된다.
이어, 상기 ASS_T(110)의 내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ASS_T(110)의 중계호처리부(112)는 발신 이동통신호의 착신번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의뢰하고, 번호번역결과에 의거하여 HLR에서 착신번호에 대한 MSC정보를 수집하여 MSC 릴레이션을 저장하며, MAP처리부(114)로부터 MSC의 SPC(Signal Point Code)값인 목적지 부호(Dastination Point Code: 이하 "DPC"라 함)값을 수신받으면 MSC 릴레이션을 참조하여 라우팅을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MSC 릴레이션은 망사업자 코드 정보와 DPC 정보와 루트 시퀀스 정보와 교환기 정보 및 지역번호 정보 등으로 구성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망사업자 코드 정보는 각각의 이동통신 사업자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코드이고, 상기 DPC 정보는 MSC의 SPC값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루트 시퀀스 정보는 MSC로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루트 시퀀스(Route Sequence)에 대한 정보이다.
또한, 상기 교환기 정보는 루트 시퀀스 정보에 따라 라우팅할 상대 교환기의 종류(예: 시내교환기(Local Switch), IGS, 시외교환기(Toll Switch), MSC, 중 계 교환기(Tandem) 등)에 대한 정보로서, 해당 MSC와 직접 연결될 경우엔 MSC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지만, 해당 MSC가 다른 IGS 교환기나 시외 교환기를 통해서 연결될 경우에는 해당 교환기의 정보를 나타낸다.
또, 상기 지역번호 정보는 해당 MSC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에 대한 정보로서, 해당 MSC가 동일 지역에 존재하지 않아 다른 교환기로 라우팅할 경우 지역번호정보도 포함하여 전송한다.
ASS_T(110)의 MAP 처리부(114)는 HLR로부터 이동전화 가입자가 위치한 MSC의 SPC값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SPC값을 얻기 위해 SMS 요구 오퍼레이션을 취급하고, 그 처리결과를 수신하여 수신된 파라미터로부터 이동 망 MSC의 DPC 값을 추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특히, 상기 MAP 처리부(114)는 TIA/EIA(Telephone Industry Association/Electronics Industries Association)의 규격 IS.41C를 따르고,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문답처리 기능부(Transaction Capability Application : 이하 "TCAP"이라 함) 메시지 포맷은 ITU-T의 기준에 따르며, 이동가입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MAP메시지는 SMS 요구 오퍼레이션을 사용하는데, 상기 MAP 처리부는 SMS 요구 오퍼레이션에 대하여 SMS 요구 타이머를 구동한다.
참고로, [표 1]은 HLR로부터 전송되는 TCAP 응답메시지의 유형이다.
[표 1]
TCAP 응답메시지 처리 방법
REJECT -REJECT 메시지의 문제코드를 출력하며, 필요에 따라 복구 수행
RETURN ERROR -RETURN ERROR 메시지의 장애코드 출력
RETURN RESULT -SMS 주소인 경우 중계호 처리부로 전달 -SMS Access Denied Reason인 경우 이유 출력

또, ASS_T(110)의 과금데이터 생성부(116)는 유선망에서 이동 통신가입자에게로 발신된 호에 대하여 HLR과의 연동을 시도한 시도 호와 연동에 성공한 성공 호와 연동에 실패한 실패 호로 호의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발신호에 대하여 해당 이동통신망 사업자별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여 디스크에 저장한다.
여기서, 과금데이터 생성부(116)는 이동통신망 사업자별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서, 호의 종류에 따라 HLR 연동을 통해 라우팅 한 호에 대해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연동 과금데이터와, 해당 IGS 교환기(100)가 호를 착신시킨 지점에 따라 호의 종류별로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착신지점 별 과금데이터 및, 중계 루트 별로 호의 종류에 따라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중계 루트별 과금 데이터로 분류한다.
상기 연동 과금데이터는 HLR 연동에 대해 과금을 산출하기 위한 과금데이터로, IGS 교환기(100)가 착신 단말의 위치 및 지리 정보(착신측 MSC의 SPC 값)를 이동 통신 망의 HLR로 조회한 호수를 산출하는 과금데이터로서, 그 분류 상태는 하기에 기재된 [표 2]과 같다.
[표 2]
호의 종류 과금 데이터
시도 호수 이동통신 사업자별 홈위치 등록기 조회 시도 호수, Far-End 시도호수, Near-End 시도호수
성공 호수 이동통신 사업자별 홈위치 등록기 조회 성공 호수, Far-End 성공호수, Near-End 성공호수
실패 호수 이동통신 사업자별 홈위치 등록기 조회 실패 호수, Far-End 실패호수, Near-End 실패호수

이어, 도 1에 도시된 연결망 서브시스템(12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연결망 서브시스템(120)의 번호번역부(122)는 ASS_T(110)의 중계호처리부 (112)로부터 번호번역요구에 대해 착신번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행하여 착신번호가 이통통신망에 대한 것으로 판단되면 내장된 국번정보 릴레이션을 참조하여 번호번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중계호 처리부(112)로 전송하고, 상기 착신번호가 유선통신망에 대한 것으로 판단되면 루팅제어부(124)로 번호번역결과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국번정보 릴레이션은 이동통신 망 사업자의 국번 정보로서, 망사업자 코드 정보와 국번코드 정보와 HLR SPC 정보 및 HLR 플래그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번호번역 정보는 입중계호에 대한 HLR의 SPC 값을 포함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루팅제어부(124)는 이동통신망으로 발신되는 호를 제외한 모든 호에 대해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서 설명되어진 IGS교환기는 도 2와 같은 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2에 의하면 A지역에 설치된 IGS교환기(100a)는 B지역에 설치된 IGS(100b), 시내교환기(15)와 연결되며, 상기 시내교환기(15)에는 유선 단말(5)이 접속되고, 상기 IGS교환기(100b)에는 착신대상이 되는 이동통신망의 이동단말(37)에 대한 무선 기지국(35)을 관리하는 MSC(3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IGS교환기는 HLR(25)과 연동가능하다.
도 1, 도 2와 같이 구성된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의 동작을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선 단말인 발신 단말(5)로부터 호가 발생하여 시내 교환기(15)를 거쳐 IGS교환기(100a)로 전송되면(S2), 상기 IGS 교환기(100a)의 ASS_T(110)의 중계호처리부(112)는 해당 호를 입중계호로서 처리하기 위해 연결망 서브시스템(120)의 번호번역부(122)로 번호번역을 요구하고(S4), 상기 번호번역부는 해당 입중계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실행한 후 그 번호번역결과를 근거로 해당 입중계호가 홈위치등록기(25)와의 연동을 필요로 하는 호 즉, 이동통신망 호인지 판단하여(S6), 그 판단결과 이동통신호망 호가 아니면(S6에서 "아니오") 상기 루팅제어부(124)로 번호번역결과를 전송하여 해당 입중계호가 상기 루팅제어부(124)에 의해 설정된 착신측 교환기로 전송되도록 한다(S8).
그러나 이와 달리, 상기 단계 S6에서의 판단 결과, 해당 입중계호가 이동통신망 호로 판단되면(예), 상기 번호번역부(122)는 내장된 국번정보 릴레이션을 참조하여 번호번역 정보를 생성한 다음, 그 번호 번역 정보를 상기 ASS_T(110)의 중계호처리부(112)로 전송한다(S10).
이어, 상기 중계호처리부(112)는 상기 번호 번역 정보를 MAP처리부(114)로 전송하고, 상기 MAP처리부(114)는 상기 번호 번역 정보에서 이동통신망 사업자의 식별번호를 추출하여 MAP 메시지를 생성하여 그 MAP메시지를 이용하여 HLR(25)로 전송하여 착신측 이동 단말(37)의 현재 위치 및 지리 정보(해당 MSC의 SPC값)를 요청한다(S12).
이어, 상기 MAP처리부(114)는 SRT 타임 아웃이 발생하였는지 판단하여 (S14), 그 결과를 중계호처리부(112)로 보고하는데 SRT 타임 아웃이 발생하면, 상기 중계호처리부(112)는 내부 자원을 회수하고 Near-End 방식으로 입중계 호를 라우팅한다(S16).
그러나 이와 달리, SRT 타임 아웃이 발생하지 않았으면, 상기 중계호처리부(112)는 대기하고 있다가 HLR(25)로부터 소정 TCAP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S18), 그 TCAP 응답메시지가 'RETURN RESULT' 메시지인지 판단하여(S20), 'RETURN RESULT' 메시지가 아니면(아니오),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고(S22), Near-End 방식으로 입중계호를 라우팅 한다(S16).
그러나, S20에서의 판단결과 TACP 응답 메시지가 'RETURN RESULT'이면, SMS 주소를 포함하는가를 판단하여(S24), SMS 주소를 포함하지 않으면 SMS 엑세스 거절 이유를 출력하고(S26), Near-End 방식으로 입중계호를 라우팅 한다(S16).
한편, 상기 S24에서의 판단결과 'RETURN RESULT'가 SMS 주소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인지면(예), 상기 중계호처리부(112)는 SMS 주소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37)이 위치한 MSC(30)의 DPC를 추출하여 SPC값을 획득한다(S28).
이어, 상기 중계호처리부(112)는 내장된 MSC 릴레이션을 참조하여 상기 착신측 MSC(30)가 A 지역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고(S30), A 지역 내에 존재하면, 해당 MSC(30)로 라우팅하고(S32), 해당 입중계호가 MSC(30)와 무선 기지국(35)을 통해 착신 단말(37)로 라우팅되도록 한다(S34).
그러나, S30의 판단 결과, 해당 MSC(30)가 A 지역 내에 존재하지 않고 B 지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MSC 릴레이션의 루트 시퀀스 정보를 통해 B 지역의 IGS 교환기(100b)와 A 지역의 IGS 교환기(100a) 간의 경로를 설정한다(S36).
그 상태에서, 상기 중계호처리부(112)는 해당 입중계호를 IGS교환기(100b)로 전송함과 더불어 MSC 릴레이션을 참조하여 해당 MSC(30)에 대한 SPC 값과 MSC(30)가 존재하는 지역의 지역번호 정보를 추출하여 그 SPC 값과 지역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종합정보통신망 사업자부(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User Part : 이하 ISUP이라 칭한다) 메시지인 IAM(Initial Address Message)의 망관리 제어 파라메터(Parameter)를 B 지역의 IGS(100a) 교환기로 전송한다(S38).
이에, B 지역의 IGS 교환기(100b)는 A 지역의 IGS 교환기(100b)로부터 수신 받은 입중계호에 대하여 번호번역을 실행하고, HLR(25)와의 연동이 불필요한 이동통신 망으로 착신되는 호임을 인지한다(S40).
상기 ISUP 메시지로부터 해당 MSC(30)에 대한 SPC 값을 추출하고(S42), 해당 MSC(30)로 라우팅을 수행한다(S44).
상기 IGS 교환기(100a, 100b)는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입중계호를 라우팅한 후 과금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입중계 호 처리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 후 디스크에 저장한다.
상기 S12에서 HLR(30) 연동 실패 시, 그 실패 원인에 따라 입중계호 처리 방법을 살펴보면, HLR(25)의 데이터 베이스 접근 실패나 R2 연동 방식에서 No.7 신 호메시지 처리장치의 비정상적인 종료 및 TCAP 메시지 에러로 인해 HLR(30)와의 연동이 실패하면 Near-End로 입중계호를 처리한다.
이와 달리, 상기 HLR(30) 연동의 실패 원인이 ISUP 연동 방식에서 No.7 신호메시지 처리장치의 비정상적인 종료나 일반 호처리 데이터 베이스의 접근 실패 또는 중계선 정합교환 장치의 자원 부족 등에 있으면 호를 종료한다.
도 4는 도 1의 IGS 교환기와 IGS/TOLL 교환기를 통한 유선 망에서 이동 통신 망으로의 호처리를 나타내는 망 구성도로, 동 도면을 참조하여 자국의 IGS 교환기(100)가 HLR 연동을 통해 입중계 호를 타 지역의 IGS/Toll 교환기(200)로 전송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4의 IGS/Toll 교환기(200)는 IGS 교환기(100)를 수용하며, 시외호를 처리하고, 이동망 접속교환기와의 연동 및 타 지역의 IGS/Toll 교환기와의 연동을 수행한다.
상기 도 4에서 IGS 교환기(100)는 HLR(25)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MSC(35)의 SPC 값을 획득하고, 해당 MSC(35)가 타 지역의 IGS/Toll 교환기(200)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MSC(30)에 대한 SPC 값과 MSC(30)가 존재하는 지역의 지역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ISUP 메시지를 입중계호와 함께 IGS/Toll 교환기(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IGS/Toll 교환기(200)는 수신 받은 ISUP 메시지로부터 지역번호를 추출하고, 지역번호를 통해 해당 MSC(30)가 자기와 동일 지역내에 존재함을 인지하고, 그 MSC(30)를 통해 착신 이동단말과의 접속을 시도한다.
또한, 상기 IGS 교환기(100)에서 HLR(25)와의 연동이 실패하면, 이동망 접속 교환기(40)로 입중계호를 전송하고, 이동망 접속 교환기(40)는 해당 MSC(30)로 입중계호를 라우팅한다.
도 5는 도 1의 IGS 교환기와 IGS/TOLL 교환기 간의 HLR 연동을 나타내는 망 구성도로, 동 도면을 참조하여 자국 교환기인 IGS/Toll 교환기(200a)에서 타 지역의 IGS/Toll 교환기(200b)로 이동통신 망으로 착신되는 입중계호를 라우팅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도 5에서 이동통신 망으로 착신되는 입중계 호를 최초로 수신 받은 IGS 교환기(100)는 입중계호 대한 번호 번역을 실행한다. 그리고, 번호 번역의 결과에 따라 해당 HLR(25)와의 연동을 통해 홈위치 등록기(25)로부터 해당 MSC(30)의 SPC 값을 수신 받는다.
상기 IGS 교환기(100)는 해당 MSC(30)의 SPC 값을 포함하는 입중계호를 IGS/Toll 교환기(200a)로 전송하며, IGS/Toll 교환기(200a)는 번호 번역을 통해 HLR(25) 연동이 상기 IGS 교환기(100)에서 이루어 졌음을 인지하고, 상기 IGS교환기(100)로부터 전송된 SPC값을 근거로 해당 MSC(30)가 동일 지역내에 위치하는지 판단한다.
해당 MSC(30)가 동일 지역내에 존재하면, 해당 MSC(30)로 입중계호를 라우팅하고, 해당 MSC(30)가 동일 지역내에 존재하지 않고 타 지역에 존재하면, SPC 값을 포함하는 입중계호를 타 지역의 IGS/Toll 교환기(200b)로 전송한다.
상기 타지역의 IGS/Toll 교환기(200a)는 번호 번역을 통해 해당 MSC(30)로 입중계호를 라우팅한다. 그리고, 만약 해당 지역의 IGS/Toll 교환기(200b)에서도 해당 MSC(30)가 정의되어있지 않으면, IGS/Toll 교환기(200b)는 자신과 제일 가까운 이동망 접속 교환기(40)로 입중계호를 라우팅한다.
도 6은 도 1의 IGS 교환기와 TOLL 교환기간의 HLR 연동을 나타내는 망 구성도로, 동 도면을 참조하여 자국 교환기인 IGS/Toll 교환기(200)가 시외 교환기(60)로부터 입중계 호를 수신 받아 라우팅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에서 HLR(25)와의 연동은 입중계호를 처음으로 수신 받은 IGS 교환기(100)에서 이루어지며, IGS 교환기(100)는 HLR(25)와의 연동을 통해 획득한 해당 MSC(30)의 SPC 값과 MSC(30)가 존재하는 지역의 지역번호 정보를 ISUP 메시지에 포함하여 입중계호와 함께 TOLL 교환기(60)로 전송한다.
상기 TOLL 교환기(60)는 ISUP 메시지를 통해 지역 번호를 추출하고, 해당 지역의 IGS/Toll 교환기(200)인 자국 교환기로 ISUP 메시지와 함께 입중계 호를 전송한다.
상기 IGS/Toll 교환기(200)는 ISUP 메시지를 통해 해당 MSC(30)의 SPC 값을 추출하고, 해당 MSC(30)로 입중계호를 라우팅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도 4 ∼ 도 6를 살펴보면 HLR(25)과의 연동은 최초로 입중계호를 수신 받은 IGS 교환기에서 이루어지며, 그 다음에 입중계호를 수신 받는 유선망의 교환기들은 최초로 HLR(25)와 연동을 한 IGS 교환기로부터 해당 MSC의 SPC 값과 해당 MSC가 존재하는 지역번호 정보를 수신 받아 이를 통해 입중계호를 라우팅한다.
상술되어진 바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유선망의 가입자가 이동통신망의 가입자를 호출한 경우 IGS교환기는 HLR과 연동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의 가입자를 관리하는 MSC에 대한 정보를 취득한 후, 그 MSC와 동일 지역에 있는 교환기로 해당 입중계호를 전달함으로써, 유선망에서 이동통신망으로의 경로설정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선망에서 이동통신 망으로 착신되는 입중계호 처리 시, IGS 교환기와 HLR 간의 연동을 통해 라우팅함으로써, 이동통신 망으로의 경로 설정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유선 망에서 이동통신 망으로의 트래픽에 대한 정확한 통계 자료를 산출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입중계호에 대한 번호번역을 행하여 번호번역된 착신번호가 이동통신 가입자번호이면 번호번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착신번호가 이동통신 가입자번호가 아니면 번호번역결과를 생성하는 번호번역부와,
    상기 번호번역결과에 의거하여 라우팅 경로를 설정하는 루팅제어부를 구비한 연결망 서브시스템과;
    유선 망에서 입중계호가 발생하면 상기 번호번역부로 번호번역을 요청하고, 내장된 MSC(Mobile Switching Center) 릴레이션을 참조하여 상기 이동통신 가입자번호를 관리하는 MSC로의 경로를 설정하는 중계호처리부와,
    상기 중계호처리부를 통해 상기 번호번역부에서 생성된 상기 번호번역정보를 전송받으면 HLR(Home Location Register)과 연동하여 상기 HLR로부터 상기 MSC의 정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정보를 중계호처리부로 전달하는 MAP(Mobile Application Protocol) 처리부 및,
    유선망에서 이동통신 가입자에게로 발신된 호에 대한 호종류와 과금데이터를 저장하는 과금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 중계선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번역 정보는 입중계호에 대한 HLR의 SPC(Signal Point Code)값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SC릴레이션은 망사업자 코드 정보, DPC(Dastination Point Code)정보, 루트 시퀀스 정보, 교환기 정보 및 지역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PC정보는 MSC의 SPC(Signalling Point Co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호처리부는 상기 MAP처리부로부터 MSC의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MSC릴레이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번역부는 내장된 국번정보 릴레이션을 참조하여 번호번역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국번정보 릴레이션은 이동통신망 사업자의 국번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데이터 생성부는 호의 종류에 따라 HLR 연동을 통해 라우팅한 호에 대해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연동 과금데이터와, 호를 착신시킨 지점에 따라 호의 종류별로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착신지점 별 과금데이터 및, 중계 루트 별로 호의 종류에 따라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중계 루트별 과금데이터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8.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이동통신 망으로 착신되는 입중계호를 처리하는 IGS 교환기(Interconnection Gateway Switch)가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HLR(Home Location Register)과 연동하여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이동통신호에 대한 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IGS 교환기가 유선망 가입자의 단말인 발신 단말로부터 발생된 입중계호에 대한 번호 번역을 수행하는 제 1과정과;
    상기 번호 번역 결과 상기 입중계호가 이동통신 망으로 착신되는 입중계호로 판단되면, 번호번역 정보로부터 착신측 이동통신 가입자의 정보가 저장된 HLR의 SPC(Signal Point Code)값을 추출하는 제 2과정과;
    상기 SPC 값에 해당하는 HLR로 착신측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 및 지리 정보를 요청하는 제 3과정과;
    상기 HLR로부터 착신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 및 지리 정보에 해당하는 DPC(Dastination Point Code)값이 수신되면 상기 DPC로부터 MSC의 SPC 값을 추출하는 제 4과정; 및
    상기 MSC의 SPC값에 의거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가입자를 관리하는 상기 MSC로 입중계 호를 라우팅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IGS교환기는 내장된 국번정보 릴레이션을 참조하여 상기 입중계호가 이동통신망으로 착신되는 호인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국번정보 릴레이션은 망사업자 코드 정보와 국번코드 정보와 HLR SPC정보 및 HLR 플래그 정보로 구성된 이동통신망 사업자의 국번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방법.
KR1020010039056A 2001-06-30 2001-06-30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811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056A KR100811422B1 (ko) 2001-06-30 2001-06-30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056A KR100811422B1 (ko) 2001-06-30 2001-06-30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363A KR20030003363A (ko) 2003-01-10
KR100811422B1 true KR100811422B1 (ko) 2008-03-10

Family

ID=27712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056A KR100811422B1 (ko) 2001-06-30 2001-06-30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14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41B1 (ko) * 2001-11-12 2008-02-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습성을 이용한 서로 다른 망간의 연동방법
KR101055035B1 (ko) * 2004-06-04 201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망 시스템의 번호이동성 장치 및 방법
KR100871618B1 (ko) * 2007-01-19 2008-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맵 통계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165A (en) * 1996-12-24 1999-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changing subscriber service feature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00045588A (ko) * 1998-12-30 2000-07-25 김영환 이동통신망에서 타망 가입자 로밍 및 호처리 방법
KR20000051750A (ko) * 1999-01-26 2000-08-16 윤종용 이동 교환국과 홈 위치등록기간의 장애시 자국호 처리방법
KR20030027543A (ko) * 2001-09-29 2003-04-07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3165A (en) * 1996-12-24 1999-06-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for changing subscriber service features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00045588A (ko) * 1998-12-30 2000-07-25 김영환 이동통신망에서 타망 가입자 로밍 및 호처리 방법
KR20000051750A (ko) * 1999-01-26 2000-08-16 윤종용 이동 교환국과 홈 위치등록기간의 장애시 자국호 처리방법
KR20030027543A (ko) * 2001-09-29 2003-04-07 주식회사 케이티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363A (ko) 200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2382A (en) Optimized routing of mobile call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867788A (en) Coverting a routing address with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657124B1 (ko) 이동전화의 번호이동성 제공방법
US662546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mpatibility between telecommunication networks using different transmission signaling systems
US699034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bile application part (MAP) screening
EP1197096B1 (en) Number portability service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070230680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cessing mobile originated query messages for prepaid mobile subscribers in a number portability environment
US7349693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a call connection between a non-local calling subscriber and a local called subscriber who is an intelligent network subscriber
AU6223294A (en) A method of restructuring a call signal frame in a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US8060087B2 (en) CDMA intelligent network system and its method, device for realizing international roaming service
KR100811422B1 (ko) 공중전화 교환망에서의 발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EP1555844B1 (en) Method, apparatus and network arrangement for establishing cal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U768480B2 (en) Signalling message transport mechanism
KR100638020B1 (ko) 지능망 착신형 서비스에서의 근거리 루팅장치 및 방법
US7155220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ccess to intelligent network services from a plurality of telecommunications networks
KR100764431B1 (ko) 발신자 정보 전송 서비스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JPH11275622A (ja) 局間ハンドオフ処理装置及び局間ハンドオフ方法
US7130407B1 (en) Method for processing call establishment requests
KR100876795B1 (ko) 소프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지능망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856999B1 (ko) 유선전화망과 이동전화망간의 호 접속방법
US73662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signaling messages
KR960015362B1 (ko) 위치 등록 레지스터의 이동 호 제어 방법
KR100220343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중계호 처리방법
KR100277236B1 (ko) 범세계 이동통신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내의이동 지능망 호처리방법
KR19980063113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입중계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