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246A -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246A
KR20030027246A KR1020010059846A KR20010059846A KR20030027246A KR 20030027246 A KR20030027246 A KR 20030027246A KR 1020010059846 A KR1020010059846 A KR 1020010059846A KR 20010059846 A KR20010059846 A KR 20010059846A KR 20030027246 A KR20030027246 A KR 20030027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essel
stock solution
push butto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한
Original Assignee
배경한
류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한, 류병환 filed Critical 배경한
Priority to KR1020010059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7246A/ko
Publication of KR20030027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24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33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81/3238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용기에 담겨진 두 가지의 물질을 하나의 용기에 별도로 나누어 보관하고, 혼합 후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물이 담겨진 용기의 상부에 원액이 담겨진 별도의 원액용기를 내장시켜 보관하고,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원액용기를 터트려서 즉석으로 물과 함께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원액은 과일, 녹즙 등의 음료수 원액을 보관하거나 특히, 인삼, 약재 등의 생약성분의 엑기스를 그 자체로 보관 및 유통시킬 수 있어 변질을 예방할 수 있고 맛과 향, 고유의 성분을 보존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A DRINK VESSEL WITH A BUILT-IN PRESSURE UNDILUTED SOLUTION VESSEL}
본 발명은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가지의 물질을 하나의 용기에 별도로 나누어 보관하고, 이들을 혼합한 후 음용할 수 있는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용을 위한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병)는 거의 투명으로 되어 있고 상단에는 내용물과 외부 공기를 차단시키기 위한 뚜껑이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 내부에 저장되는 액상의 물질들은 용기에 주입하기 전에 미리 혼합하여 하나의 혼합물질로 만든 다음 용기 안에 저장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종(異種)의 물질들을 혼합하였을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빠른 변질이라는 문제가 발생되어 법적으로 유효기간을 정하여 판매하도록 유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식물의 열매나 줄기, 뿌리 등에서 채취한 식물성 농축액들을 재료로 한 음료로 사용하기 위해서 물과 혼합하여 용기에 저장하여야 하는데, 이는 너무 쉽게 변질이 되므로 장시간 용기에 넣어 보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되고, 따라서 바람직한 상품화를 꾀할 수 없다는 폐단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용기 안에 담겨진 내용물의 품질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느냐가 문제인데, 사실상 소비자들은 용기의 표면에 부착된 생산자 측의 안내문을 전적으로 믿을 수밖에 없는 입장에 처해져 있어 내용물의 진실성을 확인할 방법이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담겨진 용기의 물 안에 원액이 담겨진 투명한 원액용기를 별도로 내장시켜 원액만을 따로 보관하고,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원액용기를 터트리고 즉석에서 물과 함께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이 담긴 용기의 뚜껑에 원액이 담겨진 원액용기가 결합되어 내장된 2중구조의 음료용기에 있어서;
내측 중심으로 하향 돌출된 중공의 지지부(22)가 형성되고 지지부(22)의 하방에는 원액용기의 개구부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홈(16)이 형성되며, 상기 홈(16)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절개날(26)들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날들의 하방에는 상기 절개날들이 출입될 수 있는 절개홈(27)들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지지부(22)의 안쪽에 삽입되며 상측으로 탄지부(29)가 돌출되고 그 아래로 걸림턱(28)을 가진 채 누름버튼이 항상 상승될 수 있도록 탄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걸림턱(38)이 탄성부재의 하단에 걸려 상승하지 못하면서 하방으로는 상기 절개날들과 접촉되는 경사면(34)이 형성되어서 강제적인 압력에 의해 하향 이동을 할 때 경사면이 절개날들을 바깥쪽으로 밀어서벌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누름버튼과; 절개날들의 위치에 맞도록 원주길이에 걸쳐 박막부(14a)가 형성되며 그 아래로는 원액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투명한 고무제 원액용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뚜껑(20)의 중간부에 오목하게 요입부(21)가 형성되어 탄성부재(24)와 누름버튼(30)이 삽입되도록 한 후 커버(36)를 결합시켜서 누름버튼을 은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른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원액용기에 원액을 담는 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3,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12: 개구부
14: 원액용기16: 홈
20: 뚜껑22: 지지부
24: 탄성부재26: 절개날
27: 절개홈28: 걸림턱
29: 탄지부30: 누름버튼
32: 홈34: 경사면
36: 커버38: 걸림턱
40: 금형100: 물
110: 원액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의 구성은 도면에 상세히 나타내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뚜껑(20)의 요입부(21)에는 커버(36)가 삽입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는 반드시 사용되지 않아도 무방함을 미리 밝혀둔다. 즉, 누름버튼(30)은 뚜껑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어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작동될 우려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뚜껑의 아래쪽으로는 중심 방향으로 지지부(22)가 돌출되는데, 아래쪽 중간 부분에는 원액용기(14)의 개구부가 삽입된 채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16)이 형성되어 있고, 홈(16)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최소 2개 이상) 절개날(26)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절개날들의 뾰족한 부분은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절개날들의 뾰족한 부분들이 출입될 수 있을정도의 틈을 유지하는 절개홈(27)이 절개날들의 숫자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의 뚜껑(20) 및 지지부(22), 절개날(26), 절개홈(27)은 사출로 제작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 지지부(22)의 안쪽에는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으로 된 탄성부재(24)가 삽입되는데, 위쪽으로는 뚜껑의 요입부(21) 하단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28)이 원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위로는 관 형태의 탄지부(2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부재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누름버튼(30)이 지지부(22)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누름버튼의 중앙에 돌출되어 있는 링 형태의 걸림턱(38)을 간섭하여 일단 조립된 누름버튼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면서 소비자가 본 발명의 사용을 위해 누름버튼을 하강시킨 후 누름버튼을 누르고 있는 힘을 제거시키면 자체적인 탄성에 의해 누름버튼을 상승시켜 준다. 즉, 누름버튼의 상측에는 원주방향으로 홈(32)이 형성되어 있어서 누름버튼이 하강하게 되면 탄성부재(24)의 탄지부(29)는 상기의 홈(32) 쪽으로 누우면서 높이가 찌그러지게 되고 누름버튼에 가한 힘을 제거시키면 탄지부(29)의 탄성에 의해 누름버튼은 상승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누름버튼의 하방에는 경사면(34)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날들은 경사면에 접촉되어 있어서 누름버튼을 누르면 경사면(34)이 하강함에 따라 절개날들은 바깥쪽으로 벌어져서 원액용기의 박막부(14a)를 찢어주게 되는 것이다.
다음, 원액용기(14)는 투명한 천연고무 또는 투명한 무독성 고무나 합성수지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내부에 원액(110)이 충진되었을 때의 직경은 용기(10)의 개구부의 내경보다 약간 작아야 한다. 그 이유는 원액이 안쪽에 충진된 원액용기를 뚜껑에 먼저 조립시킨 후 최종적으로 용기(10)와 결합시켜서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원액용기(14) 안에 원액(110)을 충진시키는 요령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살펴보면, 분리와 결합이 가능한 한 쌍의 금형(40)에는 중앙부에 공간부(42)가 형성되는데, 원액용기가 최대한 팽창하였을 때의 체적과 동일하다. 상기 공간부(42)는 금형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흡입구멍(44)이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구멍(44)은 공기흡입장치(도면에 미도시)와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 금형(40)의 공간부(42)의 상부로 개방된 좁은 통로를 통해 뚜껑(20)의 지지부(22)에 결합된 원액용기(14)를 삽입시키고, 상기 흡입구멍(44)을 통해 금형의 공간부(4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 상기 금형의 내부는 진공이 되므로 원액용기(14)가 팽창되면서 금형의 내벽에 밀착되어져 팽창된 상태가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지지부(22)의 중심부 통로를 통해 통상의 액체 주입 자동기계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원액(110)을 원액용기 안으로 주입한 후 누름버튼(30)을 결합시켜 밀폐시킨 다음, 금형(40)을 분리시킨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은 요령을 통해 원액(110)이 담겨진 원액용기(14)를 용기(10)의 개구부 안으로 삽입시킴과 동시에 뚜껑(20)을 용기(10)의 개구부(12)와 결합시켜 밀폐함으로써 서로 다른 2종의 물질을 하나의 용기에 별도로 보관할 수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의 중간부에 오목하게 요입부(21)가 형성되어 탄성부재(24)와 누름버튼(30)이 삽입되고 요입부(21)를 덮는 커버(36)가 결합될 수도 있다. 용기(10) 안의 물은 미네랄워터, 생수 등을 사용하며, 상기 원액(110)은 과일, 녹즙 등의 음료수 원액이거나 특히, 인삼, 약재 등의 생약성분의 엑기스가 해당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36)를 분리시키고(커버가 없는 경우에는 바로 누름버튼을 누름) 누름버튼(30)을 엄지손가락으로 눌러주면 상기 탄지부(29)가 홈(32)으로 들어가면서 압축됨과 동시에 누름버튼(30)이 하강하여 누름버튼의 경사면(34)에 접촉되어 있던 절개날(26)들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후 누름버튼에 가하고 있던 힘을 제거시키면 탄성부재의 탄지부(29)의 복원력에 의하여 누름버튼은 다시 원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절개날들의 뾰족한 부분은 원액용기의 박막부(14a)를 찢게 되고 이와 동시에 원액용기 안에서 압력을 받고 있던 원액은 박막부의 찢어진 틈을 통해 신속히 배출되어 용기 안의 물과 혼합되는 것이다. 이후 용기를 가볍게 흔들어서 물과 원액을 충분히 혼합시킨 다음 뚜껑(20)을 개방하여 음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와 같이 팽팽하게 압력을 받고 있던 원액용기 내부의 원액이 전부 배출이 되면 원액용기 자체는 최소의 부피로 축소되어 지지부(22)의 하방에 머물게 되고 뚜껑을 열어서 용기 내부의 혼합된 음료를 마시는데 아무런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이종의 물질을 별도로 용기에 나누어 담아 혼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의 용기에 보관할 수 있어서 혼합에 의한 저장물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로 하여금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 때 즉석에서 원액용기를 터트려 물과 원액을 혼합시킨 후 이를 흔들어 마시면 되므로 항상 신선한 상태의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액용기에 담겨진 원액은 진공상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변질을 예방할 수 있고 맛과 향, 고유한 성분이 최상의 상태로 보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안에 담겨진 물 안으로 색상을 가지는 원액이 담겨진 투명한 원액용기가 마치 무중력 상태로 떠 있는 것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느끼면서, 음용을 위해 원액용기를 터트리면 색상을 가지는 원액이 투명한 물 속으로 신속히 퍼져 나가는 시각적인 효과로 인하여 소비자가 생산자의 제품을 확실히 신뢰할 수 있음은 물론 재미있게 사용할 수 있어 부가가치가 상승되는 등의 다수 유용한 효과가 있다 할 것이다.

Claims (2)

  1. 물이 담긴 용기의 뚜껑에 원액이 담겨진 원액용기가 결합되어 내장된 2중구조의 음료용기에 있어서;
    내측 중심으로 하향 돌출된 중공의 지지부(22)가 형성되고 지지부(22)의 하방에는 원액용기의 개구부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홈(16)이 형성되며, 상기 홈(16)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절개날(26)들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날들의 하방에는 상기 절개날들이 출입될 수 있는 절개홈(27)들이 형성된 뚜껑과;
    상기 지지부(22)의 안쪽에 삽입되며 상측으로 탄지부(29)가 돌출되고 그 아래로 걸림턱(28)을 가진 채 누름버튼이 항상 상승될 수 있도록 탄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걸림턱(38)이 탄성부재의 하단에 걸려 상승하지 못하면서 하방으로는 상기 절개날들과 접촉되는 경사면(34)이 형성되어서 강제적인 압력에 의해 하향 이동을 할 때 경사면이 절개날들을 바깥쪽으로 밀어서 벌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누름버튼과;
    절개날들의 위치에 맞도록 원주길이에 걸쳐 박막부(14a)가 형성되며 그 아래로는 원액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투명한 고무제 원액용기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의 중간부에 오목하게 요입부(21)가 형성되어 탄성부재(24)와 누름버튼(30)이 삽입되도록 한 후 커버(36)를 결합시켜서 누름버튼을 은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1020010059846A 2001-09-27 2001-09-27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0300272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846A KR20030027246A (ko) 2001-09-27 2001-09-27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846A KR20030027246A (ko) 2001-09-27 2001-09-27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762U Division KR200261338Y1 (ko) 2001-09-27 2001-09-27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246A true KR20030027246A (ko) 2003-04-07

Family

ID=2956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846A KR20030027246A (ko) 2001-09-27 2001-09-27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72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8301A1 (en) * 2004-09-07 2006-03-16 Cntek, Corp. Water tan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8745A (ja) * 1989-11-06 1991-09-26 Tokuriki Honten Co Ltd 歯科用カプセル
KR950028770A (ko) * 1994-04-05 1995-11-22 쟝-마리 까제 사용 직전에 혼합될 수 있는 친수성 담체 및 비타민c를 갖는 화장품 및/또는 피부 병리학적 조성물
JPH08126683A (ja) * 1994-10-31 1996-05-21 Fujisawa Pharmaceut Co Ltd 輸液用容器
KR200170084Y1 (ko) * 1999-08-18 2000-02-15 김진영 프림 및 설탕이 내장된 일회용 커피용기
KR20000008551U (ko) * 1998-10-23 2000-05-15 유효상 술과 원액이 불리된 술병
KR20010029762A (ko) * 1999-07-27 2001-04-16 이철진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방출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18745A (ja) * 1989-11-06 1991-09-26 Tokuriki Honten Co Ltd 歯科用カプセル
KR950028770A (ko) * 1994-04-05 1995-11-22 쟝-마리 까제 사용 직전에 혼합될 수 있는 친수성 담체 및 비타민c를 갖는 화장품 및/또는 피부 병리학적 조성물
JPH08126683A (ja) * 1994-10-31 1996-05-21 Fujisawa Pharmaceut Co Ltd 輸液用容器
KR20000008551U (ko) * 1998-10-23 2000-05-15 유효상 술과 원액이 불리된 술병
KR20010029762A (ko) * 1999-07-27 2001-04-16 이철진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방출 표시소자의 제조 방법
KR200170084Y1 (ko) * 1999-08-18 2000-02-15 김진영 프림 및 설탕이 내장된 일회용 커피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8301A1 (en) * 2004-09-07 2006-03-16 Cntek, Corp. Water ta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387B1 (ko) 용기마개
RU2568567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контейнеры
KR20150083129A (ko) 안전 봉인된 저장 캡
US20180362249A1 (en) Single-use capsule for machines for the dispensing of infused beverages
KR20120058706A (ko) 이종물질 배출장치
WO2011080022A1 (en)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KR20100001096A (ko) 건강식품 혼합용 병 또는 용기의 탑재형 뚜껑.
KR20110047715A (ko) 음료용 병의 이중구조 원 터치 뚜껑 및 제조방법
KR101450181B1 (ko) 캡슐의 장착이 가능한 컵 뚜껑
KR20080016771A (ko) 용기 출구용 뚜껑 구조체
KR200261338Y1 (ko)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101376289B1 (ko) 혼합음료제조키트
KR20030027246A (ko)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0450908Y1 (ko) 자연향 추출물이 저장되는 음료 용기 뚜껑
KR20090041265A (ko) 고형 및 액상물질을 분리 수용하는 용기
KR200410221Y1 (ko) 소주용 필터 용기
KR20130031753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JP2001206428A (ja) 飲料容器
KR102602968B1 (ko) 보존 기한이 향상된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패키징방법
KR100360035B1 (ko) 식품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WO2003055758A1 (en) Beverage dispenser having pressurized undiluted solution container
JP2003072822A (ja) 飲料用混合容器
KR200429596Y1 (ko) 음료용기
KR20240015761A (ko) 음료 즉석 혼합을 위한 뚜껑 구조체
KR200338762Y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