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1753A -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 Google Patents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1753A
KR20130031753A KR1020110095496A KR20110095496A KR20130031753A KR 20130031753 A KR20130031753 A KR 20130031753A KR 1020110095496 A KR1020110095496 A KR 1020110095496A KR 20110095496 A KR20110095496 A KR 20110095496A KR 20130031753 A KR20130031753 A KR 20130031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receiving device
folded
main body
fol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1020110095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1753A/ko
Priority to CA2838483A priority patent/CA2838483A1/en
Priority to CN201280030066.4A priority patent/CN103619722B/zh
Priority to EP12774757.4A priority patent/EP2700589A4/en
Priority to PCT/KR2012/002969 priority patent/WO2012144802A2/ko
Priority to US14/355,960 priority patent/US20140305818A1/en
Publication of KR20130031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753A/ko
Priority to US14/963,853 priority patent/US2016009022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발명의 목적
종래의 기술로는, 상방의 접철부를 압박하면 하방의 천공부가 박판을 파괴하도록 한 기술이 있었으며,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발명의 구성
용기목에 결합하는 본체의 상방에 접철부를 두고, 상기한 접철부를 압박하면 하방에 있는 저장공간의 저장공간밀폐면이 파괴되면서 저장공간의 내용물이 용기 내부로 낙하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별도의 소재로 이중사출성형하여 접철성과 복원성을 향상시키며, 상방에 덮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수용장치이다.
발명의 효과
접철부가 하방으로 접철된 후 인위적인 압박이 해제되면 즉시 복원되는 바, 절철부의 상방에 별도의 배출대를 형성하기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omitted}
본 발명은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종물질 수용장치 선행으로는 일본특허 3,432,533호가 있다.
상기 일본특허 3,432,533호(1992.09.10 일본특허출원)의 경우(도면 37 내지 도면 40 참조) 돔 형태의 접철부에 수용부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하방으로 접철되며, 이와 동시에 돔 형태의 저장공간에 있던 이종물질이 용기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기술이며, 본 발명은 상기한 돔 형태의 접철부를 실리콘 등 연질의 재질로 이중 사출 성형하여 복원성과 베리어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접철부의 상부에는 접철부를 보호하는 덮개를 부설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내용물이 든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수용장치는, 본체의 상부에 절철이 되는 접철부를 두고, 상기한 접철부를 압박하면 상기 접철부의 내부 하방에 있는 수용부 내부의 저장공간에 있던 이종물질이 상기 접철부를 압박하는 과정에 저장공간밀폐면이 파괴되면서 낙하 혼합되는 이종물질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본체와 다른 연질의 소재로 형성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다색 사출 성형기에 의해서 사출 성형되어지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접철부는 실리콘 등 연질의 수지로 성형하여 복원성과 베리어성을 극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내용물 배출부인 밀폐마개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내용물 밀폐마개는, 접철부의 상방에 본체구부를 두고, 상기 본체구부에는 상하 이동형 배출마개를 조립하며, 상기 배출마개를 들어 올리면 배출공이 열리고, 상기 배출마개를 내리면 배출공이 밀폐되도록 구성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한 접철부는 캐릭터나 미니어쳐 등 각종 형상이나 형태로 하여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접철부는 투명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일부 면적 이상에 투명창을 두어 저장공간에 든 내용물을 용이하게 식별하게 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접철부를 압박하여 이종물질을 혼합시킨 후 그 혼합된 이종물질을 배출대를 통해 배출하는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음은 물론, 접철부는 캐릭터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품의 가치를 향상시키는 특징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수용장치가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2 내지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를 보인 사시도.
내용물이 든 용기(1000)의 용기구부(1001)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수용장치(1)는, 본체(100)의 상부에는 절철이 되는 접철부(F)를 두며, 상기한 접철부(F)를 압박하면 상기 접철부(F)의 내부 하방에 있는 수용부(101)저장공간(102)의 내부 이종물질이 상기 접철부(F)를 압박하는 과정에 접철부(F)의 저부로 길게 연장된 저장공간개방부(104)에 의해서 수용부(101)의 저장공간밀폐면(103)이 개방됨과 동시 낙하 혼합되며, 상기한 접철부(F)는 본체(100)와 다른 연질의 소재로 사출 성형되어지는 수용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F)의 상방에는 접철부(F)를 보호하는 덮개(200)를 조립하되, 상기한 덮개(200)는 조립돌기절취선(202)으로 구획된 조립돌기(201)가 접철부(F)의 끼움부(105)에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된 것이다.
이와 같은 수용장치(1)는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덮개(200)를 비틀게 되면 조립돌기절취선(202)이 파괴되면서 덮개(200)가 본체(100)로부터 이탈되고, 상기한 과정에 접철부(F)를 압박하면 접철부(F)가 접철되는 과정에 저장공간개방부(104)가 저장공간밀폐면(103)를 파괴하며, 동시에 저장공간(102)에 있던 이종물질은 용기(1000)의 내부 용기저장공간에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로서(도 2 참고), 접철부(F)는 본체(100)의 상부 접철부기준선(106)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 방향으로 접철부(F)가 절철이 되도록 접철부기준선(106)의 반대 방향에서 홈 형태로 시작된 하방으로 접철이 가능한 측방접철부(107)가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 시에는, 측방접철부(107) 방향의 접철부(F) 상단을 압박하면 접철부기준선(106)을 기준으로 하여 측방접철부(107)가 하방으로 접철이 되면서 저장공간멸폐면(103)이 파괴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방접철부(107)은 다색 사출기(이중사출기 등) 등에 의해 연질의 수지로 사출 성형되어지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3 참고), 접철부(F)의 하방에는 별도 제작된 수용부(101)가 조립된 것이며, 사용 시 접철부(F)를 압박하면, 뾰쪽하거나 발굽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저장공간개방부(104)가 별도 제작된 저장공간밀폐면(103)이나 또는 수용부(101) 일체형 저장공간밀폐면(103)을 파괴하면서 본체(100)의 내부 저장공간(102)에 든 이종물질을 낙하 혼합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4 참고), 수용부(101)의 하방에는 절취선(108)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108)의 내측 상방으로는 길게 연장된 돌기(109)를 둔 것이며, 상기한 것의 사용시에는 상방의 덮개(200)를 제거하고 접철부(F)를 압박하면 접철부(F)가 돌기(109)를 하방으로 밀고, 상기한 과정에 절취선(108)이 파괴되면서 수용부(101)의 저부 일부가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접철부(F)에는 본체구부(110)를 두고, 상기한 본체구부(110)에는 상하 이동하여 개폐되는 개폐형 밀폐마개(111)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5 참고), 내용물이 든 용기(1000)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수용장치(1)는, 본체(100)의 상부에는 절철이 되는 접철부(F)를 두며, 상기한 접철부(F)를 압박하면 상기 접철부(F)의 내부 하방에 있는 저장공간(102)의 내부 이종물질이 상기 접철부(F)를 압박하는 과정에 수용부(101)의 저장공간(102) 밀폐부(113)가 열리면서 낙하 혼합되며, 상기한 접철부(F)는 본체(100)와 다른 연질의 소재로 사출 성형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101)의 내부에는 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는 밀폐부(113)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한 밀폐부(113)는 상기 접철부(F)의 저부에서 길게 연장된 긴축(112)에 의해 연결된 것이며, 상기한 접철부(F)가 하방으로 접철되면 긴축(112)기 하향됨과 동시 밀폐부(113)가 열리면서 저장공간(102)이 열리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6), 접철부(F)의 일부 이상에는 투명창(100A)이 형성된 것이며, 따라서 내부의 이종물질이 투명창(100A)을 통해서 식별이 되는 특징이 있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7), 내용물이 든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수용장치(1)는, 본체(100)의 상부에는 절철이 되는 접철부(F)를 두며, 상기한 접철부(F)를 압박하면 상기 접철부(F)의 내부 하방에 있는 저장공간의 내부 이종물질이 상기 접철부(F)를 압박하는 과정에 수용부의 저장공간밀폐면이 열리면서 낙하 혼합되며, 상기한 접철부(F)는 본체와 다른 연질의 소재로 사출 성형되어지는 수용장치(1)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F)는 미니어처나 캐릭터 또는 각종 형상이니 형태로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접철부(F)에 형성된 캐릭터 등의 형상은 이중사출에 의해 형성되지 않고 본체(100)와 같은 재질로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의 이종물질 수용장치는 특수한 음료나 특한 먹는 물, 주류 등 다양한 제품에 엑기스나 파우더 등의 내용물을 낙하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으며, 또한 내용물을 분리하였다가 혼합하는 화공약품이나 기타 생활용품 등에 다양하게 접목될 수 있는 것이다.
1 : 수용장치 100 : 본체
101 : 수용부 102 : 저장공간
103 : 저장공간밀폐면 104 : 저장공간개방부
105 : 끼움부 106 : 접철부기준선
107 : 측방접철부 108 : 절취선
109 : 돌기 110 : 본체구부
111 : 밀폐마개 112 : 긴축
113 : 밀폐부 200 : 덮개
201 : 조립돌기 202 : 조립돌기절취선
F : 접철부

Claims (8)

  1. 내용물이 든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수용장치는, 본체의 상부에는 절철이 되는 접철부를 두며, 상기한 접철부를 압박하면 상기 접철부의 내부 하방에 있는 저장공간의 내부 이종물질이 상기 접철부를 압박하는 과정에 수용부의 저장공간밀폐면이 열리면서 낙하 혼합되며, 상기한 접철부는 본체와 다른 연질의 소재로 사출 성형되어지는 수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접철부를 보호하는 덮개를 조립하되, 상기한 덮개는 조립돌기절취선으로 구획된 조립돌기가 접철부의 끼움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한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본체의 상부 접철부기준선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 방향으로 접철부가 절철이 되도록 접철부기준선의 반대 방향에서 시작된 하방으로 접철이 가능한 측방접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하방에는 별도 제작된 수용부가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한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수용부의 하방에는 밀폐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하방에는 절취선이 형성되고, 상기 절취선의 내측 상방으로는 길게 연장된 돌기를 둔 것을 특징으로한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6. 내용물이 든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수용장치는, 본체의 상부에는 절철이 되는 접철부를 두며, 상기한 접철부를 압박하면 상기 접철부의 내부 하방에 있는 저장공간의 내부 이종물질이 상기 접철부를 압박하는 과정에 수용부의 저장공간 밀폐부가 열리면서 낙하 혼합되며, 상기한 접철부는 본체와 다른 연질의 소재로 사출 성형되어지는 수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천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천공부는 밀폐부에 의해 밀폐되며, 상기한 밀폐부는 상기 접철부의 저부에서 길게 연장된 긴축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한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일부 이상에는 투명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8. 내용물이 든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수용장치는, 본체의 상부에는 절철이 되는 접철부를 두며, 상기한 접철부를 압박하면 상기 접철부의 내부 하방에 있는 저장공간의 내부 이종물질이 상기 접철부를 압박하는 과정에 수용부의 저장공간밀폐면이 열리면서 낙하 혼합되며, 상기한 접철부는 본체와 다른 연질의 소재로 사출 성형되어지는 수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미니어처나 캐릭터 또는 각종 형상이니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한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20110095496A 2011-04-18 2011-09-21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30031753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496A KR20130031753A (ko) 2011-09-21 2011-09-21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CA2838483A CA2838483A1 (en) 2011-04-18 2012-04-18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CN201280030066.4A CN103619722B (zh) 2011-04-18 2012-04-18 异物收容装置
EP12774757.4A EP2700589A4 (en) 2011-04-18 2012-04-18 DEVICE FOR RECEIVING HETEROUS SUBSTANCES
PCT/KR2012/002969 WO2012144802A2 (ko) 2011-04-18 2012-04-18 이종물질 수용장치
US14/355,960 US20140305818A1 (en) 2011-04-18 2012-04-18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US14/963,853 US20160090222A1 (en) 2011-04-18 2015-12-09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496A KR20130031753A (ko) 2011-09-21 2011-09-21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984A Division KR20180014112A (ko) 2018-01-22 2018-01-22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20180153156A Division KR20180132578A (ko) 2018-11-30 2018-11-30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753A true KR20130031753A (ko) 2013-03-29

Family

ID=4818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496A KR20130031753A (ko) 2011-04-18 2011-09-21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17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3418A (zh) * 2015-08-17 2015-12-23 李宏 即用即配式饮料瓶盖组件
WO2017039424A3 (ko) * 2015-09-06 2017-04-20 이성재 리필용 캡슐장치
WO2017039423A3 (ko) * 2015-09-06 2017-04-27 이성재 캡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73418A (zh) * 2015-08-17 2015-12-23 李宏 即用即配式饮料瓶盖组件
WO2017039424A3 (ko) * 2015-09-06 2017-04-20 이성재 리필용 캡슐장치
WO2017039423A3 (ko) * 2015-09-06 2017-04-27 이성재 캡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387B1 (ko) 용기마개
KR20120058706A (ko) 이종물질 배출장치
CN103434744A (zh) 瓶盖组件及具有其的容器瓶
KR20130031753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CN203461295U (zh) 瓶盖组件及具有其的容器瓶
KR20140022330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20127062A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20110137003A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KR20100122825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CN104555056A (zh) 饮品瓶盖
KR20070065168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50090112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의 구조
KR101444020B1 (ko) 버튼식 용기마개
KR20130056126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80014112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2128116B1 (ko) 접철부상부밀폐부를 원터치방식으로 압박하여 수용부의 저장공간을 개방하는 병뚜껑
KR20130128753A (ko) 밀폐마개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0840386B1 (ko) 용기마개
KR102149642B1 (ko) 접철부상부밀폐부를 원터치방식으로 압박하여 수용부의 저장공간을 개방하는 병뚜껑
KR20130095356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보호덮개 구조
KR20130087649A (ko) 복수의 저장공간을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261338Y1 (ko)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0429596Y1 (ko) 음료용기
KR20130101749A (ko)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2619274B1 (ko) 음료 용기용 마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92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318

Effective date: 2020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