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749A -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 Google Patents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749A
KR20130101749A KR1020120022733A KR20120022733A KR20130101749A KR 20130101749 A KR20130101749 A KR 20130101749A KR 1020120022733 A KR1020120022733 A KR 1020120022733A KR 20120022733 A KR20120022733 A KR 20120022733A KR 20130101749 A KR20130101749 A KR 20130101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terogeneous material
receiving device
coupling
materi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이수재
Original Assignee
이태근
김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근, 김도이 filed Critical 이태근
Priority to KR102012002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1749A/ko
Priority to CN201280030066.4A priority patent/CN103619722B/zh
Priority to PCT/KR2012/002969 priority patent/WO2012144802A2/ko
Priority to CA2838483A priority patent/CA2838483A1/en
Priority to US14/355,960 priority patent/US20140305818A1/en
Priority to EP12774757.4A priority patent/EP2700589A4/en
Publication of KR20130101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749A/ko
Priority to US14/963,853 priority patent/US2016009022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용기목의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측면부의 내벽부에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측면부의 상단에는 본체결합부를 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본체 결합부를 중심으로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를 둔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omitted}
본 발명은 용기의 목을 중심으로 결합되는 본체의 내부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를 갖는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는 PCT/KR2011/009641호가 있으며, 상기한 기술은 본체를 중심으로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가 구성된 기술이었다.
종래의 기술은, 용기목의 내벽면을 중심으로 결합되는 수용부의 접촉성이 문제가 되었고, 이는 결국 결합성과 밀폐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으며, 이러한 것은 용기를 만드는 금형의 정밀도 및 브로우 성형의 정확성 또는 냉각 및 폐기물 부담을 줄이려고 용기목 두께를 얇게 하는 데에서 기인된 것이다.
따라서, 용기를 제조하는 제조업자의 형편에 따라 용기목의 내경 편차가 많았기 때문이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용기목의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측면부의 내벽부에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측면부의 상단에는 본체결합부를 둔 본체와, 그리고 상기 본체의 본체결합부를 중심으로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를 둔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부 내벽부에 형성된 나사산은 제1나사산과 제2나사산으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제1나사산의 내경은 제2나사산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나사산은 1줄 나사인 것이고, 상기 제2나사산은 3줄 나사인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 형성된 본체결합부에는 조립식수용부의 결합부가 끼이는 방식으로 결합된 것이고, 상기 조립식수용부의 결합부는 본체결합부를 중심으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로는 결합돌기가 본체결합부 하방에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결합부를 중심으로 결합된 결합부는 일정 유격이 있어 본체결합부 상에서 결합부가 회전 가능한 공간으로 결합된 것이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절취선으로 구획된 덮개가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는 본체결합부의 상측 방향에 절취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조립식수용부의 상단에는 접철부가 있으며, 상기 접철부의 저부 저장공간에는 하부로 길게 된 개방부가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조립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의 저장공간 하부는 밀폐부에 의해 밀폐된 것이며, 상기 접철부의 상부에는 구부를 두고, 상기 구부에는 개폐용 밀폐마개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립식수용부의 외환부에는 연질의 용기목밀폐부를 형성한 것이고, 상기 용기목밀폐부는 다중 사출성형기에 의해서 사출 성형된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며, 상기 용기목밀폐부는 실리콘 등 연질의 물성을 갖는 수지인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의 상단에는 돌출된 형태의 압박부를 형성한 것이고, 상기 접철부의 상부에는 압박부결합면을 두며, 그 상부에 위치되는 덮개에는 덮개절취선으로 구획된 덮개일체형압박부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접철부의 상단에는 본체구부를 두고, 상기 본체구부의 상부에는 분리용절취선으로 구획된 절취막을 형성한 것이며, 상기 절취막에는 당김부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의 상단에는 본체구부를 두고, 상기 본체구부의 상부에는 본체구부밀폐부를 형성한 것이다.
수용부의 외환부에 연질의 용기목밀폐부를 형성한바, 용기목의 내경 편차에 따른 밀폐성 문제가 현저하게 개선된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를 보인 것으로서, 도 1 은 수용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2 는 본체의 덮개가 제거된 상태를 보인 것이며,
도 3 은 본체의 종단면도이며,
도 4 는 조립식수용부에 밀폐마개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 은 변형의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5 는 조립식수용부의 상부 접철부 부분이 변형된 예를 보인 것이고,
도 6 은 조립식수용부의 접철부 상방에 돌출된 압박부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 사시도이며,
도 7 은 도 6에 따른 조립식수용부의 종단면도이며,
도 8 은 조립식수용부의 상부 압박부가 변형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0 은 또 다른 변형의 예로서, 도 9 는 접철부의 상방에 덮개일체형압박부를 둔 것을 보인 것이며,
도 10 은 도 9에 따른 일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의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1 은 수용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2 는 수용장치의 본체구부가 변형된 예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용기목의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측면부(101)의 내벽부에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제1나사산(102),제2나사산(103))이 형성되고, 측면부(101)의 상단에는 본체결합부(104)를 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본체결합부(104)를 중심으로는 저장공간(202)이 있는 수용부(201)를 둔 조립식수용부(200)를 결합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측면부(101) 내벽부에 형성된 나사산은 제1나사산(102)과 제2나사산(10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나사산(102)의 내경은 제2나사산(10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나사산(102)은 1줄 나사이고, 상기 제2나사산(103)은 3줄 나사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101)의 상단에 형성된 본체결합부(104)에는 조립식수용부(200)의 결합부(203)가 끼이는 방식으로 결합된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립식수용부(200)의 결합부(203)는 본체결합부(104)를 중심으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203)의 하부로는 결합돌기(105)가 본체결합부(104) 하방에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결합부(104)를 중심으로 결합된 결합부(203)는 일정 유격이 있어 본체결합부(104) 상에서 결합부(203)가 회전 가능한 공간으로 결합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절취선(107)으로 구획된 덮개(106)가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106)는 본체결합부(104)의 상측 방향에 절취선(107)으로 구분되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립식수용부(200)의 상단에는 접철부(F)가 있고, 상기 접철부(F)의 저부 저장공간(202)에는 하부로 길게 된 개방부(204)가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조립된 것이며, 상기 수용부(201)의 저장공간(022) 하부는 밀폐부(205)에 의해 밀폐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F)의 상부에는 구부(206)를 두고, 상기 구부(206)에는 개폐용 밀폐마개(220)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립식수용부(200)의 외환부에는 연질의 용기목밀폐부(207)를 형성한 것이고, 상기 용기목밀폐부(207)는 다중 사출성형기에 의해서 사출 성형된 것이며, 상기 용기목밀폐부(207)는 실리콘 등 연질의 물성을 갖는 수지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상태에서 내용물이 든 용기목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본체(100)의 측면부(101) 내벽부에 형성된 제1나사산(102)이나 제2나사산(103)이 용기목의 나사산에 따라 각각 대응하여 결합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일정 규격을 갖는 단일 형태의 나사산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도 1 과 같은 상태에서 본체(100)를 용기목의 나사산을 중심으로 결합하면 조립식수용부(200)의 수용부(201)는 수직 방향으로 조립되고, 상기한 상태에서 본체(100)는 회전하면서 용기목에 결합되는 것인바, 적은 힘으로 본체(100)를 용기목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본체결합부(104)에 결합부(203)가 긴히 끼이는 방식으로 결합될 경우, 본체(100)와 조립식수용부(200)는 일체로 움직임은 당연한 일이다.
이와 같이 조립된 수용장치(1)는, 덮개(106)를 일측으로 밀거나 또는 일부 회전시키면 절취선(107)이 파괴되면서 덮개(106)가 분리되는 것이며, 상기한 상태를 보인 것이 도 2와 같다.
그리고 상기 도 2 와 같은 상태에서, 밀폐마개(220)를 압박하면 접철부(F)가 접철되고, 상기한 과정에 개방부(204)가 밀폐부(205)를 천공하며, 이와 같은 과정에 저장공간(202)에 든 이종물질이 용기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상태에서, 접철부(F)의 상방에 있는 밀폐마개(220)를 들어 올리면 개폐부(221)가 밀폐마개용밀폐부(208)를 벗어나고, 동시에 밀폐마개(220)의 상부공간(222)이 하방의 저장공간(202)과 연통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통된 상부공간(222)을 통해 용기 내부의 혼합된 내용물이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덮개(106)가 본체(100)의 본체결합부(104) 상방에 절취선(107)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측면부(101)의 내벽부에는 나사산이 복수개로 형성된 예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나사산은, 일예로, 제1나사산(102)은 28MM의 용기목나사산에 맞도록 형성되고, 제2나사산(103)은 26.78 또는 26.52MM와 유사한 3줄이 형성된 용기목에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3줄로 형성된 것이다.
도 4에 대한 설명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부(106)를 중심으로 밀폐마개(220)가 결합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조립식수용부(200)의 하부 수용부(201)의 하단부에는 밀폐부(205)가 밀폐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밀폐부(205)는 연질의 필름이 좋으며, 상기한 조립식수용부(200)의 내부 저장공간(202)에는 이종물질이 내입되고, 그 하부가 밀폐부(205)로 밀폐된 상태로 조립식수용부(200)가 본체(100)에 결합되거나, 또는 밀폐부(205)가 밀폐되지 않은 상태로 본체(100)에 결합된 후에 저장공간(202)에 내용물을 넣고 그 하부를 밀폐부(205)로 밀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로서, 도 5를 참고하면, 접철부(F)는 접철이 되는 단일의 기능을 갖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도 6의 경우는, 접철부(F)의 상부에 돌출된 형태의 압박부(209)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의 사용 시에는, 덮개(106)를 제거하고, 접철부(F)를 압박하면 개방부(204)가 밀폐부(205)를 파괴하는 형태이다.
그리고 도 6의 경우는, 접철부(F)를 형성하는 과정에 하방의 용기목밀폐부(207)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며, 상기한 것의 단면을 보인 것이 도 7과 같은 것이며, 이와 같은 것의 특징은, 돌출된 압박부(209)를 통해 접철부(F)를 압박하기 때문에 접철부(F)를 보다 안정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손톱이 길 경우라도 손톱을 다칠 염려 없이 압박부(209)를 압박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계속하여, 도 8은 접철부(F)의 상단에는 돌출된 형태의 압박부(209)를 상부로 임의 확장하여 형성하여 본 것이며, 그 사용의 예는 도 6,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과 같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9, 도 10 참고), 본 발명의 예에서는, 접철부(F)의 중앙 상부에 압박부결합면(210)을 두고, 압박부결합면(210) 상부에 위치되는 덮개(106)에는 덮개절취선(109)으로 구획된 덮개일체형압박부(108)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것의 사용 시에는, 덮개(106)를 일측으로 비틀게 되면 덮개절취선(109)이 절취되면서 덮개(106)가 본체(100)로부터 분리되며, 이때 중앙에 있는 덮개일체형업박부(108)는 압박부결합면(210)에 조립된 체로 남아 있게 된다.(도 10 참고)
그리고 상기 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덮개일체형압박부(108)를 압박하면 개방부(204)가 밀폐부(205)를 파괴하면서 저장공간(202)의 내용물이 낙하 혼합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도 11 참고), 본체(100)의 상단에 있는 접철부(F)의 상방에는 관 형태의 본체구부(211)를 두고, 상기 본체구부(211)의 상부에는 분리용절취선(213)으로 구획된 절취막(212)을 형성한 것이며, 상기 절취막(212)에는 손으로 당길 수 있는 탭이나 고리 형태의 당김부(214)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덮개(106)를 제거한 후에 본체구부(211)를 압박하면 접철부(F)가 접철이 됨과 동시에 개방부(204)가 밀폐부(205)를 파괴하며, 상기한 과정에 저장공간(202)에 든 이종물질이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에서, 당김부(214)를 당기면 분리용절취선(213)이 파괴되면서 절취막(212)이 분리되어 이탈되고, 동시에 본체구부(211)의 내부가 열리면서 외기가 저장공간(202)가 연통되는 것이며, 상기한 상태에서 재밀폐를 하고자 할 때에는 덮개(106)를 다시 닫으면 본체구부밀폐면(110)이 본체구부(211)의 상단부에 접촉되어 기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은, 혼합된 내용물을 배출하고자 할 때에 본체(100)를 용기목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상부에 형성된 본체구부(211)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12 참고), 본체(100)의 접철부(F) 상단에는 관통된 형태의 본체구부(211)를 두고, 상기 본체구부(211)의 상부에는 필름 형태 등으로 된 본체구부밀폐부(215)를 둔 것이며, 상기한 것의 사용 시에는, 손가락 등으로 본체구부밀폐부(215)를 당기면 본체구부(211) 내부가 외기와 관통되게 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에 거론된 조립식수용부(200)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수용부(200)에는 저장공간(202)이 있으나, 상기한 저장공간(202)의 활용에 있어서는, 상기 조립식수용부(200)를 본체(100)에 결합한 후에 저장공간(202)에 액체나 분말 등등의 내용물을 넣고 그 하부를 밀폐부(205)를 밀폐시키거나, 또는 조립식수용부(200)를 본체(100)에 조립하기 전에 저장공간(202)에 이종물질을 넣고 그 하부를 밀폐부(205)로 밀폐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접철부(F)의 상부에 형성된 본체구부(211)의 구성과, 또는 접철부(F)의 상방에 형태 변경되는 압박부(209)는 여러 설계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접철부(F)는 돔 형태로 수용부(201)의 상단에 일체형접철부(216)가단일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중 사출 등의 방법으로 연질의 접철부(F)가 일체형접철부(216)의 상부나 저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연질의 접철부(F) 단일재질로만 부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별도의 재질로 접철부(F)가 제작된 후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르게는 일체형접철부(216)의 상부에 베리어성 소개가 코팅되거나 또는 증착되거나 또는 열접착 되는 것도 가능하다.
계속하여, 상기 조립식수용부(200)는 본체(100)에 조립된 후에 일체로 고정되거나, 또는 본체(100)에 조립된 후, 본체(100)를 중심으로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유격이 형성되게 결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특히 본체(100)의 내부에서 조립식수용부(200)가 자체 회전이 가능할 경우, 본체(100)를 용기목에 결합하는 과정에 조립식수용부(200)는 회전하지 않고 수직으로 하강하면서 조립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조립식수용부(200)를 용기목의 내벽부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반대로 본체(100)를 개방하게 될 경우에도 본체(100)는 회전하지만 조립식수용부(200)는 결합돌기(105)에 걸려 수직 방향으로 개방이 되는 바, 적은 힘으로도 수용장치(1)를 개방하거나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수용부(200)의 수용부(201) 외환부에는 용기목밀폐부(207)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용기목밀폐부(207)는 연질의 수지로 제작된 바, 용기목 내벽부에 밀착되어 밀폐력을 유지하는 것이 아주 용이한 특징이 있다.
특히, 상기 용기목밀폐부(207)는 원 형태로 1개 또는 2개 등 용기목밀폐부(207)를 단이진 복수의 구성을 할 수 있고, 이 경우 복수의 용기목밀폐부(207) 크기인 치수를 달리하여 용기목 내벽부 치수 차이에 따른 공차 범위를 보다 효율적으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도 4에서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치수가 다르게 제2용기목밀폐부(217)를 부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되는 결합돌기(105)는 도 1 등 일부에 한해서 도시하였으나, 기술적 적용은 본 발명 전체에 적용 또는 응용될 것이다.
참고적으로, 도 5에서 보인 덮개공간부(S)에는 경품이나 상품 또는 캐릭터 등 다양한 물품을 넣는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용장치는 음료나 먹는 물 기타 제약 등의 분야에 적용가능하다.
1 : 수용장치
100 : 본체
101 : 측면부
102 : 제1나사산
103 : 제2나사산
104 : 본체결합부
105 : 결합돌기
106 : 덮개
107 : 절취선
108 : 덮개일체형압박부
109 : 덮개절취선
110 : 본체구부밀폐면
200 : 조립식수용부
201 : 수용부
202 : 저장공간
203 : 결합부
204 : 개방부
205 : 밀폐부
206 : 구부
207 : 용기목밀폐부
208 : 밀폐마개용밀폐부
209 : 압박부
210 : 압박부결합면
211 : 본체구부
212 : 절취막
213 : 분리용절취선
214 : 당김부
215 : 본체구부밀폐부
216 : 일체형접철부
217 : 제2용기목밀폐부
220 : 밀폐마개
221 : 개폐부
222 : 상부공간
S : 덮개공간부

Claims (21)

  1. 용기목의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측면부의 내벽부에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측면부의 상단에는 본체결합부를 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본체 결합부를 중심으로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를 둔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부 내벽부에 형성된 나사산은 제1나사산과 제2나사산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산의 내경은 제2나사산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산은 1줄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나사산은 3줄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 형성된 본체결합부에는 조립식수용부의 결합부가 끼이는 방식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수용부의 결합부는 본체결합부를 중심으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부로는 결합돌기가 본체결합부 하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결합부를 중심으로 결합된 결합부는 일정 유격이 있어 본체결합부 상에서 결합부가 회전 가능한 공간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절취선으로 구획된 덮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본체결합부의 상측 방향에 절취선으로 구분되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수용부의 상단에는 접철부가 있고, 상기 접철부의 저부 저장공간에는 하부로 길게 된 개방부가 일체로 연결되거나 또는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저장공간 하부는 밀폐부에 의해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상부에는 구부를 두고, 상기 구부에는 개폐용 밀폐마개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수용부의 외환부에는 연질의 용기목밀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목밀폐부는 다중 사출성형기에 의해서 사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목밀폐부는 실리콘 등 연질의 물성을 갖는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상단에는 돌출된 형태의 압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상부에는 압박부결합면을 두고, 그 상부에 위치되는 덮개에는 덮개절취선으로 구획된 덮개일체형압박부가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상단에는 본체구부를 두고, 상기 본체구부의 상부에는 분리용절취선으로 구획된 절취막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막에는 당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상단에는 본체구부를 두고, 상기 본체구부의 상부에는 본체구부밀폐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20120022733A 2011-04-18 2012-03-06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30101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33A KR20130101749A (ko) 2012-03-06 2012-03-06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CN201280030066.4A CN103619722B (zh) 2011-04-18 2012-04-18 异物收容装置
PCT/KR2012/002969 WO2012144802A2 (ko) 2011-04-18 2012-04-18 이종물질 수용장치
CA2838483A CA2838483A1 (en) 2011-04-18 2012-04-18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US14/355,960 US20140305818A1 (en) 2011-04-18 2012-04-18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EP12774757.4A EP2700589A4 (en) 2011-04-18 2012-04-18 DEVICE FOR RECEIVING HETEROUS SUBSTANCES
US14/963,853 US20160090222A1 (en) 2011-04-18 2015-12-09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33A KR20130101749A (ko) 2012-03-06 2012-03-06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749A true KR20130101749A (ko) 2013-09-16

Family

ID=49451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733A KR20130101749A (ko) 2011-04-18 2012-03-06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17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203A1 (ko) * 2017-01-05 2018-07-12 153 홀딩스 엘엘씨 다중 나사산을 갖는 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8203A1 (ko) * 2017-01-05 2018-07-12 153 홀딩스 엘엘씨 다중 나사산을 갖는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193381A (ja) 異種物質収容装置
US9650190B2 (en) Accommodating device for different types of material
JP2014069854A (ja) 吐出容器
US20070262044A1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US8631933B2 (en) Bottle cap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KR20110137003A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CN112875037A (zh) 一种高密封性多料腔即配式瓶盖及采用此瓶盖的瓶
KR20130101749A (ko) 본체에 조립식수용부를 결합한 이종물질 수용장치
US20120097677A1 (en) Hermetic Container
CN216302028U (zh) 一种高密封性即配式瓶盖及采用该瓶盖的瓶
JP5736240B2 (ja) 薬液容器
KR20130031753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1444309B1 (ko) 첨가제 첨가용 이중캡
KR20180014112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40082536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2090337B1 (ko) 용기 목에 결합되는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밀폐면 구조
CN212424013U (zh) 瓶盖
KR20120128738A (ko) 내용물 배출용 병뚜껑의 구부 주위 밀폐구조
KR20130056126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80132578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10005335U (ko) 빨대 일체형 음료용기
KR200270814Y1 (ko) 일체형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100452119B1 (ko) 일체형 디스펜싱 밸브 클로우져
KR200295520Y1 (ko) 마개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