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590A - 카드 조회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및고객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카드 조회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및고객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590A
KR20030025590A KR1020010058718A KR20010058718A KR20030025590A KR 20030025590 A KR20030025590 A KR 20030025590A KR 1020010058718 A KR1020010058718 A KR 1020010058718A KR 20010058718 A KR20010058718 A KR 20010058718A KR 20030025590 A KR20030025590 A KR 20030025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ustomer
data
menu key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주식회사 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주식회사 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넷
Priority to KR102001005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5590A/ko
Publication of KR2003002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59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18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magnetically detectable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조회 단말 장치에 발신 표시 기능을 부여하고, 발신 전화번호를 DB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및 고객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부는 카드 조회 단말 시스템 기동을 위한 프로그램, 신용 결과 조회, 콜아이디 및 고객 정보를 저장하고, 콜아이디 처리부는 공중 전화망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링신호를 분석하여 링신호에 콜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콜아이디를 출력하며, 제어부는 콜아이디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콜아이디를 근거로, 메모리부에 저장된 콜아이디의 추출을 요청하고, 그의 응답에 따라 제공되는 콜아이디 또는 콜아이디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디스플레이 출력한다.
그 결과,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해당 발신자 정보를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하여 고객 관리로 확장시키므로써, 매장내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고객별 포인트를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 조회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및 고객 관리 방법{CARD CHECKER, AND METHOD FOR CALLING IDENTIFICATION DISPLAY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드 조회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및 고객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에 발신 표시 기능을 부여하고, 발신 전화번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및 고객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드 조회 단말 장치는 널리 보급된 신용 카드, 직불 카드 또는 요즈음 보급되기 시작한 캐시백 카드 등의 포인트 카드를 이용하여 물품의 구매, 잔액 조회, 포인트 적립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카드들은 모두 마그네틱 띠에 자기적으로 카드 소지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시 단말 장치는 카드 리더기를 통하여 이 정보를 판독, 이용하고 있다.
또한 최근 보급되기 시작한 전자화폐, 즉 스마트카드는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마그네틱 카드 보다 훨씬 많으며, 무엇보다도 보안 문제에 있어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미래의 구매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마그네틱카드이든 전자화폐이든 모두 데이터 변복조 장치인 모뎀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거나, 아니면 이보다 속도가 빠른 전용망, 예를 들어, 코랜(COLAN)이나 하이넷 피(HiNET_P)를 이용하기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조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카드 조회 단말 장치(10)에서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마그네틱카드나 IC카드의 아이디 정보를 읽고, 상기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금액 정보와 비밀 번호 등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면 공중전화망(20)을 통하여 VAN사 호스트 시스템(30)측에 접속한다.
이어 VAN사 호스트 시스템(30)측에서는 다시 카드사 시스템(40)에 인증을 요청하고, 카드사 시스템(40)으로부터 처리 결과를 받아 해당 카드 조회 단말 장치(10)로 전송한다.
이어 카드 조회 단말 장치(10)는 VAN사 호스트 시스템(30)으로부터 전송되어진 데이터를 받아 디스플레이부에 그 결과를 표시하고, 저장 장치에 저장한 후, 출력 장치인 프린터를 이용하여 카드 영수증을 인쇄하여 카드 소지자로부터 확인을받아 조회 절차를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카드 조회 단말 장치는 단순히 마그네틱 카드나 스마트카드 판독기를 이용하여 유선이나 전용망을 통하여 VAN사 호스트 시스템에 접속하여 신용 구매나, 직불 구매 또는 전자 화폐를 이용한 구매 및 결제 등의 필요한 서비스를 받는데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과 과제는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드 조회 단말 장치에 발신자 표시 기능을 부여하여 발신측 콜아이디를 데이터베이스화 저장하고, 상기 콜아이디 정보를 근거로 고객 관리 및 고객별 포인트 관리, 전화 걸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발신자 표시 기능을 갖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발신자 표시 기능을 갖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고객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조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조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한 도 2의 발신자 표시 기능을 갖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조회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ID 데이터의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포인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카드 조회 단말 장치20 : 공중전화망
30 : VAN사 호스트 시스템40 : 카드사 시스템
50 : 발신측 시스템110 : 모뎀
120 : CID 처리부130 : CPU
142 : 메모리부142-a : 포인트 저장부
142-b : CID 저장부144 : RTC부
146 : 전원 공급부148 : 배터리부
150 : 키입력부160 : 오디오 출력부
165 : 디스플레이부170 : 통신부
180 : 카드 인식부182 : 마그네틱 카드 인식부
184 : IC 카드 인식부190 : 프린터 제어부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카드 조회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시스템 기동을 위한 프로그램, 신용 결과 조회, 콜아이디 및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공중 전화망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링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링신호에 콜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콜아이디를 출력하는 콜아이디 처리부; 및
상기 콜아이디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콜아이디를 근거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콜아이디의 추출을 요청하고, 그의 응답에 따라 제공되는 콜아이디 또는 상기 콜아이디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은, 전화기에 연결 가능한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공중전화망을 경유하는 링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콜아이디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콜아이디 데이터가 미존재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발신측과의 통화호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콜아이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저장된 등록 고객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에서 미등록 고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콜아이디 데이터로부터 고객 정보를 추출하고, 등록 고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기저장된 해당 고객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e) 소정의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발신측과의 통화호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콜아이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고객 관리 방법은, 전화기에 연결 가능한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고객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발신자 정보 표시를 위한 콜아이디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콜아이디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최근 데이터를 읽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읽은 최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콜아이디 메뉴키가 방향키인 경우에는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
(d)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콜아이디 메뉴키가 편집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이름을 편집하는 단계;
(e)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콜아이디 메뉴키가 입력키인 경우에는 다음 데이터를 읽고,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
(f)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콜아이디 메뉴키가 삭제키인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고, 데이터를 정렬한 후 상기 단계(a)로 피드백하는 단계;
(g)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콜아이디 메뉴키가 종료키인 경우에는 전체 데이터를 삭제하고 종료하는 단계; 및
(h)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콜아이디 메뉴키가 전화걸기키인 경우에는 모뎀을 초기화한 후 해당 전화 번호를 착신으로 하여 전화를 거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특징에따른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고객 관리 방법은,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고객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발신자 표시 정보를 근거로 저장한 고객별 포인트 관련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포인트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적립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전화 번호와, 금액 정보를 입력받은 후 포인트를 가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취소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전화 번호와, 금액 정보를 입력받은 후 포인트를 감산하는 단계;
(d)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조회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전화 번호를 입력받아 DB를 검색한 후 포인트를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사용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전화 번호와, 점수를 입력받은 후 포인트를 가산하는 단계;
(f)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삭제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전화 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고객에 대응하는 DB를 삭제한 후 DB를 정렬하는 단계;
(g)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등록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전화 번호와, 해당 고객에 대응하는 DB를 입력받은 후 DB를 추가하는 단계;
(h)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검색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별 DB를 검색하고, 최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i)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지움 메뉴키인 경우에는 모든 고객별 DB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카드 조회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과 고객 관리 방법에 의하면,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통해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해당 발신자 정보를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하여 고객 관리로 확장시키므로써, 매장내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고객별 포인트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으로 발신자 정보 표시(CID : Calling Identification Display) 서비스는 통화 개시 전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이름을 착신 가입자의 표시 단말 장치에 표시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CID 서비스를 통하여 상대방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알 수 있어서 장난, 음란전화 및 폭력전화의 방지나 부재중 걸려온 전화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CTI(Computer Telecommunication Intergration)분야 등과 연동된 서비스가 가능하다.
지난 1987년 미국에서 CLASS(Custom Local Area Signalling Services)를 제공하면서부터 Call ID 시대를 열었다. 현재 미국 내 대부분의 전화사업자들이 Call ID 서비스를 기본으로 전화번호 소지자의 주소까지 안내하는 각종 패키지 서비스를 개발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미국이나, 일본,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이 서비스를 시행하면서 조회 단말 장치의 부족 현상이 나타날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나, 대한민국에서는 개인의 사생활 침해를 우려해서 시행이 미뤄지다가 2001년 10월부터 시행키로 정보통신부에서 발표를 하였다. 사생활 침해라고 생각하던 것과는 달리 한국통신과동아일보에서 공동으로 여론조사 한 결과 84.52%가 CID 서비스에 찬성하며,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통신 발신자 정보 표시 표준안에 따른 Call I D 주요서비스 기능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수신자의 전화기/표시 단말 장치에 통화개시전에 표시하는 발신번호표시기능, 통화중 대기 발신자 정보표시기능, 발신자의 익명 통화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발신자가 원하면 상대방에게 번호를 송출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 번호표시 방지가 된 전화를 수신자가 거부할 수 있는 발신자 번호표시방지, 오프-후크 상태에서 서비스 가입자를 호출하는 신규호의 발신자 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플래쉬를 사용하여 호간 스위칭 기능 제공하는 익명 전화 수신 거부 기능 등이다.
그러면,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조회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한 도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도 1에서 설명한 대금 결제 기능 외에 발신자 표시 기능을 갖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100)는 공중전화망(20)을 경유하여 발신측 시스템(50)으로부터 링신호를 받으면 콜아이디(CID)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분석한다.
이때 발신측 시스템(50)은 공중전화망(20)을 경유하는 유선 전화(52)일 수도 있고, 이동통신망(60)과 공중 전화망(20)을 경유하는 휴대폰(54)일 수도 있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인터넷 백본망을 경유하여 통화호 설정을 요청하는 인터넷 폰일 수도 있다.
이어 콜아이디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100)에 내장된 관련 DB를 검색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DB를 업데이트 한 다음, 카드 조회 단말 장치에 연결된 유선 전화기(105)를 통해 카드 조회 단말 장치의 사용자와 발신측과의 통화호를 설정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한 카드 조회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을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상기한 도 2의 발신자 표시 기능을 갖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표시 기능을 갖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는 모뎀(110), CID 처리부(120), CPU(130), 메모리부(142), RTC부 (144), 전원 공급부(146), 배터리부(148), 키입력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디스플레이부(165), 통신부(170), 카드 인식부(180) 및 프린터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모뎀(110)은 공중전화망으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CPU(130)에 전달하거나 또는 CPU(13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전화기(105)는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메모리에 저장된 콜아이디(Call ID; 이하 CID) 번호로 전화를 걸 때, 고객 관리 데이터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때 사용된다. 물론 도면상에는 유선 전화가 연결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상기한 모뎀에 RF 기능을부여한다면 휴대폰이 연결된 구조가 가능할 것이다.
CID 처리부(120)는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신자 전화번호를 분석하여 CPU(130)에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링신호와 링신호간의 일정 구간에 소정의 부가 정보를 포함시켜 착신측에 전달될 수 있는데, 이때 전달되는 부가 정보는 헤더(HEADER) 블럭과 발신자 전화번호와 태그(TAG) 블럭을 포함하는 패킷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CID 처리부(120)에서는 헤더 블럭과 태그 블럭을 해제하는 방식을 통해 발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CPU(130)는 데이터의 송/수신, 키 입력 처리, 카드 리더 동작 제어, 출력 장치 제어, 메모리 입/출력 제어, 디스플레이부 제어, 단말 장치 시스템의 시간 설정 등 카드 조회 단말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부(142)는 포인트 저장부(142-a)와 CID 저장부(142-b)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발신자 표시 관련 데이터, 바람직하게는 발신자의 전화번호, 주소 등을 저장한다. 특히, 상기한 포인트 저장부(142-a)는 가맹점 자체에서 운영하는 고객별 포인트와, 고객 이름, 최근 방문 일자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CID 저장부(142-b)는 과거의 통화호 설정을 요청한 발신측의 전화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로그램 저장에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쉬 메모리가 사용되며, 상기한 메모리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기억된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이와는 달리 조회 데이터나, 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는데, 휘발성 메모리는 전원이 차단되면 기억된 데이터가 손실된다. 물론 전원 차단시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배터리로부터 즉시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현하는 경우에는 그 손실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메모리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편집/삭제/전화 걸기 등 사용자가 자유로이 관리할 수 있으며, 카드 조회 단말 장치에 자체 내장된 한글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한글, 영문, 기타 특수 문자 등을 이용하여 이름을 입력 및 편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분리한 메모리부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논리적으로 분리하였을 뿐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보다 세부화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RTC부(144)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의 시간 및 캘린더를 관리하는데, 보다 상세히는, 카드사 시스템이나 기타 VAN사 시스템측에 카드의 조회시 정확한 시간을 전달받아 시간을 재설정하는 기능을 갖고, 해당 시간을 읽어 카드 조회 단말 장치의 조회 시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한 RTC부(144)는 전원 공급부(146)로부터 전원이 차단되어도 예비 전원이라 할 수 있는 배터리(148)로부터 즉시 해당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항상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공급부(146)는 일반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카드 조회 단말 장치에 공급하고, 배터리부(148)는 전원 공급부(146)의 동작 차단시 데이터 백업과 시간 유지 등을 위하여 RTC부(144)와 메모리(142)에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키입력부(150)는 숫자와 특수 기능을 수행하는 특수키, 그리고 카드 영수증 프린터를 제어하는 일련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키 입력을 받아 CPU(130)에 전달한다. 특히, 키입력부(150)를 통해 조작자는 주로 카드 번호, 거래 금액, 할부 기간 등을 입력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고객의 비밀 번호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65)는 각종 카드 조회 진행 및 결과 데이터를 CPU(130)로부터 받아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패널이나 유기 EL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만일 터치 스크린 패널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별도의 키입력부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CPU(130)와의 일련 동작을 통해 키입력 기능과 디스플레이 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
통신부(170)는 유선, 무선 또는 전용선 데이터를 CPU(130)가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경하는 일종의 인터페이스 블럭이다. 상기한 통신부(170)를 통해 카드 조회 단말 장치의 조작자는 자신의 PC 등에 연결하여 상기한 메모리(142)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받거나 또는 PC에 저장된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고객 관리 프로그램 등을 다운 로드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카드 인식부(180)는 마그네틱 카드 인식부(182)와 IC 카드 인식부(18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카드 소지자가 제시하는 마그네틱 카드나 IC 카드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제공받아 CPU(130)측에 전달한다.
보다 상세히는, 마그네틱 카드 인식부(182)는 각종 신용, 직불, 포인트 카드 등 마그네틱 자기 카드를 판독하여 판독된 데이터를 CPU(130)에 전달하고, IC 카드 인식부(184)는 IC 카드의 칩에 내장되는 데이터를 리드하여 CPU(130)에 전달하고, CPU(13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프린터 제어부(190)는 CPU(130)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프린트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일반적인 신용, 직불, IC 카드 등과 같은 조회 및 처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고, 또는 메모리에 저장한 각종 집계 데이터나, 발신자 표시 정보 데이터, 고객 관리 정보 등을 인쇄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일반적인 대금 결제 기능 외에 발신 표시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 조회단말 장치와 이에 별도로 유선 전화기가 연결된 구조를 그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해당 조회 단말 장치 자체에서 전화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면, 상기한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공중전화망(20)으로부터 링신호를 수신하면, 모뎀(110)은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CPU(130)가 판독 가능하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CID 처리부(120)에 출력한다.
CID 처리부(120)는 디지털 변환된 링신호를 분석하여 발신자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발신자 전화번호를 CPU(130)에 제공하고, CPU(130)는 발신자 전화번호를 제공받는 경우에는 메모리 처리부(140)의 메모리(140)에서 해당 전화번호의 존재 여부를 검색한다.
이때의 검색은 수신 정보 중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이루어지며, 1차로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 가맹점 자체의 포인트를 저장하는 포인트 저장부(142-a)에서 해당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데이터 발견시 고객 이름, 포인트, 최근 방문 일자 등을 추출하여 CID 저장부(142-b)에 추가한다. 만일 포인트 저장부(142-a)에서 정보를 얻지 못하면 2차로 기존에 구축된 CID 저장부(142-b)에서 추가로 표시할 정보가 있는지 검색한다.
이어 검색된 정보와 수신된 정보를 가지고 새로운 레코드를 구성하여 이를 메모리(142)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165)에 출력하며, 사용자는 이를 확인후 카드 조회 단말 장치에 연결된 전화기(105)의 송수화기를 들어 발신측과 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정보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에 연결된 전화기측에 신규로 통화호 요청을 한 경우에는 단순히 발신자 전화번호일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에 통화 동작을 수행한 또는 키입력을 통해 입력된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메모리에 기저장된 CID 정보를 근거로 보다 구체적인 발신자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카드 조회 단말 장치의 조작자는 통화호 설정을 요청한 사람의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보면서 통화를 수행하게 되므로 고객에 대한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카드 조회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에도 수신된 CID 데이터는 자동으로 메모리(142)에 저장되며, 추후에 해당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최근 수신된 데이터별로 검색할 수 있고, 키입력부(150)를 이용하여 저장된 전후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으며, 소정의 전화 걸기키를 누르면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 연결시켜 부재중일 때 통화 요청을 한 발신측과 편리하게 통화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한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다른 하나의 특징인 가맹점 자체 포인트 서비스의 동작을 설명한다. 특히, 상기한 가맹점 차제 포인트 서비스는 고객의 전화번호를 인덱스키로 사용하여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응용하는 서비스를 지칭한다.
먼저, 고객이 가맹점을 방문하면 해당 고객의 전화번호와 이름, 서비스 포인트 등을 키입력부(150)를 통하여 입력받게 되고, RTC부(144)를 통하여 최근 방문 일자를 얻어 메모리부에 DB를 구축한다. 이때 최근 방문 일자는 RTC부(144)를 이용하여 데이터 변경시마다 자동으로 현재 시간으로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드 조회 단말 장치 소유자는 각종 전화망을 경유하여 고객이 방문할 때 전화번호만 입력하면 이름, 서비스 포인트 및 최종 방문 일자가 자동으로 디스플레이부(165)에 나타나게 되므로 고객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전화 걸기키를 이용하여 검색 화면상에서 모뎀(110)을 통하여 곧바로 고객에게 전화를 걸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조회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링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100), 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CID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10).
단계 S110에서 CID 데이터가 미존재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알람 신호를 발생하여 연결된 전화기를 통해 발신측과 착신측과의 전화 통화를 요청하고(단계 S115), CID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등록 고객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120).
단계 S120에서 등록 고객이라 아닌 것으로 체크되는 경우에는 기존 CID 데이터를 검색하고(단계 S122), 고객 정보를 추출한다(단계 S124). 이때 검색되는 CID 데이터는 CID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나, 처음으로 카드 조회단말 장치에 대응하는 전화에 통화호 설정을 요청한 경우에는 해당 CID 데이터를 CID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동시에 또는 차후에 조작자의 키조작에 의해 콜아이디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단계 S120에서 등록 고객인 경우에는 고객 데이터를 읽는다(단계 S130).
단계 S130에서 고객 데이터를 읽은 후 및 단계 S124에서 고객 정보를 추출한 이후에 CID 데이터를 저장하고(단계 S140), 소정의 알람 신호를 발생하며(단계 S150), CID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60).
이상에서는 발신측으로부터 통화호 설정 요청을 받았을 때, 발신 표시 기능을 수행하면서 발신자가 고객인 경우에 해당 고객의 상세 정보까지 디스플레이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였다.
그러면, 카드 조회 단말 장치 자체에서 이용 가능한 콜아이디 관리 방법과 가맹점 포인트 관리 방법에 대해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ID 데이터의 관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CID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10), CID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최근 데이터를 읽고(단계 S220), 해당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30).
이어 방향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40), 방향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데이터의 읽는 방향을 변경한다(단계 S242).
단계 S240에서 방향키가 미입력되는 경우 및 단계 S242에 이어, 편집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50), 편집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름을 편집한다(단계 S252).
단계 S250에서 편집키가 미입력되는 경우 및 단계 S252에 이어, 입력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60), 입력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다음 데이터를 읽고 단계 S23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260에서 입력키가 미입력되는 경우에는 삭제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70), 삭제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고(단계 S272), 데이터를 정렬한 후(단계 S274) 단계 S220으로 피드백한다.
단계 S270에서 삭제키가 미입력되는 경우에는 종료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80), 종료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전체 데이터를 지운다(단계 S282).
단계 S280에서 종료키가 미입력되는 경우에는 전화 걸기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90), 전화 걸기키가 미입력되는 경우에는 종료하고, 전화 걸기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모뎀을 초기화하고(단계 S292), 전화 걸기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294).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포인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먼저 포인트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10).
단계 S310에서 포인트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포인트 적립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20), 포인트 적립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단계 S322), 금액 정보를 입력하며(단계 S324), 포인트를 가산한다(단계 S326).
단계 S320에서 포인트 적립 메뉴키가 미입력되는 경우 및 단계 S326에 이어, 포인트 취소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30), 포인트 취소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단계 S332), 금액 정보를 입력하며(단계 S334), 포인트를 감산한다(단계 S336).
단계 S340에서 포인트 취소 메뉴키가 미입력되는 경우 및 단계 S336에 이어, 포인트 조회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40), 포인트 조회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단계 S342), DB를 검색하며(단계 S344), 포인트를 표시한다(단계 S346).
단계 S340에서 포인트 조회 메뉴키가 미입력되는 경우 및 단계 S346에 이어, 포인트 사용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50), 포인트 사용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단계 S352), 점수를 입력하며(단계 S354), 포인트를 가산한다(단계 S356).
단계 S350에서 포인트 사용 메뉴키가 미입력되는 경우 및 단계 S356에 이어, 삭제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60), 삭제 메뉴키가 미입력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단계 S362), 현재 DB를 삭제하며(단계 S364), DB를 정렬한다(단계 S366).
단계 S360에서 삭제 메뉴키가 미입력되는 경우 및 단계 S366에 이어, 등록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70), 등록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고(단계 S372), DB를 입력하며(단계 S374), DB를 추가한다(단계 S376).
단계 S370에서 등록 메뉴키가 미입력되는 경우 및 단계 S376에 이어, 검색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80), 검색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DB를 검색하고(단계 S382), 최근 데이터를 읽고(단계 S384), 해당 데이터를 표시한다(단계 S386).
단계 S380에서 검색 메뉴키가 미입력되는 경우에는 지움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90), 지움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모든 DB를 초기화한다(단계 S392).
한편, 단계 S386에서 DB를 표시한 이후에, 방향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10), 방향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읽는 방향을 변경한 후 단계 S410으로 피드백한다(단계 S412).
단계 S410에서 방향키가 미입력되는 경우에는 전화 걸기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20), 전화 걸기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모뎀을 초기화하고(단계 S422), 전화 걸기 동작을 수행한다(단계 S424).
단계 S420에서 전화 걸기키가 미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430), 입력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다음 데이터를 읽은 후(단계S432) 단계 S410으로 피드백하고, 입력키가 미입력되는 경우에는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조회 단말 장치는 단지 각종 카드의 정보를 카드사로부터 조회 의뢰한 후 결과 데이터를 소비자에게 전달하여 주는 기능만 있으나, 본 발명은 단말 장치에 CID(발신자 표시 정보) 처리기능을 추가하여 공중전화망으로부터 전화 신호를 수신하고 이때 같이 전송되어오는 발신자표시 정보를 분석하여 발신자 DB를 생성, 또는 분석하여 거래 내역, 포인트 등 각종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추후에 저장된 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자체의 고객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메모리에 구축하여 현재 CID 서비스에서 제공되지 않고 있는 발신자의 이름을 단말 장치 자체에 구현한 한글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으며, 전화 수신시 발신자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이름, 포인트 점수, 최근 방문 일자)를 추가로 보여 줄 수 있다.
또한, 가맹점의 고객 관리 정보 검색시에도 전화 걸기 기능을 이용, 내장된 모뎀을 통하여 해당 고객측에게 바로 전화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카드 조회 단말 장치에 발신자 정보 표시 기능과 발신자 정보 저장 기능을 부여하므로써, 외부의 통신망을 통해 통화호 설정 요청을 받을 때 발신측의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발신측과의 전화 통화시 백 데이터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발신자 정보를 고객 관리 데이터로 활용하므로써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확장시킬 수 있다.

Claims (9)

  1. 디스플레이부;
    시스템 기동을 위한 프로그램, 신용 결과 조회, 콜아이디 및 고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공중 전화망을 경유하여 입력되는 링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링신호에 콜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콜아이디를 출력하는 콜아이디 처리부; 및
    상기 콜아이디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콜아이디를 근거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콜아이디의 추출을 요청하고, 그의 응답에 따라 제공되는 콜아이디 또는 상기 콜아이디에 대응하는 고객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제어부
    을 포함하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화기에 연결된 모뎀을 더 포함하여, 상기 고객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전화기를 통해 통화호 설정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콜아이디 메뉴키, 포인트 메뉴키, 전화 걸기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키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과거의 통화호 설정을 요청한 발신측의 전화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콜아이디 저장부; 및
    가맹점 자체에서 운영하는 고객별 포인트와, 고객 이름, 최근 방문 일자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는 포인트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
  5. 전화기에 연결 가능한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에 있어서,
    (a) 공중전화망을 경유하는 링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콜아이디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상기 콜아이디 데이터가 미존재하는 경우에는 소정의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발신측과의 통화호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 콜아이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저장된 등록 고객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에서 미등록 고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콜아이디 데이터로부터 고객 정보를 추출하고, 등록 고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기저장된 해당 고객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e) 소정의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발신측과의 통화호 설정을 수행하고, 상기콜아이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미등록 고객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기저장된 콜아이디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기저장된 콜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고객 정보로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저장된 콜아이디가 미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콜아이디를 일차 저장한 후 고객 정보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콜아이디 데이터는 고객의 전화 번호를 포함하고, 고객의 이름, 주소, 포인트, 최근 방문 시간, 방문 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8. 전화기에 연결 가능한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고객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발신자 정보 표시를 위한 콜아이디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콜아이디 메뉴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최근 데이터를 읽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읽은 최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콜아이디 메뉴키가 방향키인 경우에는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
    (d)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콜아이디 메뉴키가 편집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이름을 편집하는 단계;
    (e)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콜아이디 메뉴키가 입력키인 경우에는 다음 데이터를 읽고, 상기 단계(b)로 피드백하는 단계;
    (f)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콜아이디 메뉴키가 삭제키인 경우에는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고, 데이터를 정렬한 후 상기 단계(a)로 피드백하는 단계;
    (g)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콜아이디 메뉴키가 종료키인 경우에는 전체 데이터를 삭제하고 종료하는 단계; 및
    (h)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콜아이디 메뉴키가 전화걸기키인 경우에는 모뎀을 초기화한 후 해당 전화 번호를 착신으로 하여 전화를 거는 단계
    을 포함하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고객 정보 관리 방법.
  9.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고객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발신자 표시 정보를 근거로 저장한 고객별 포인트 관련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포인트 메뉴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적립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전화 번호와, 금액 정보를 입력받은 후 포인트를 가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취소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전화 번호와, 금액 정보를 입력받은 후 포인트를 감산하는 단계;
    (d)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조회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전화 번호를 입력받아 DB를 검색한 후 포인트를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사용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전화 번호와, 점수를 입력받은 후 포인트를 가산하는 단계;
    (f)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삭제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전화 번호를 입력받아 해당 고객에 대응하는 DB를 삭제한 후 DB를 정렬하는 단계;
    (g)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등록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의 전화 번호와, 해당 고객에 대응하는 DB를 입력받은 후 DB를 추가하는 단계;
    (h)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포인트 검색 메뉴키인 경우에는 고객별 DB를 검색하고, 최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i) 상기 단계(a)에서 입력된 포인트 메뉴키가 지움 메뉴키인 경우에는 모든 고객별 DB를 초기화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카드 조회 단말 장치를 이용한 고객 정보 관리 방법.
KR1020010058718A 2001-09-21 2001-09-21 카드 조회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및고객 관리 방법 KR20030025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718A KR20030025590A (ko) 2001-09-21 2001-09-21 카드 조회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및고객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718A KR20030025590A (ko) 2001-09-21 2001-09-21 카드 조회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및고객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590A true KR20030025590A (ko) 2003-03-29

Family

ID=27725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718A KR20030025590A (ko) 2001-09-21 2001-09-21 카드 조회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및고객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559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257A (ko) * 1997-07-08 1999-02-05 유재철 신용카드 단말기의 전화번호 인식 확인 방법
KR19990068277A (ko) * 1999-02-03 1999-09-06 김유미 고객디스플레이내용을이용한고객관리장치및관리방법
KR200220123Y1 (ko) * 2000-11-17 2001-04-16 주식회사아이씨씨 시스템 발신자 전화번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관리용 단말기
KR200262508Y1 (ko) * 2001-10-19 2002-03-18 (주)벧엘테크 전화 및 휴대폰 발신자 서비스를 이용한고객통합관리시스템
KR20020072442A (ko) * 2001-03-10 2002-09-16 주식회사 아이패스커뮤니케이션 자체 발급 카드를 이용한 가맹점의 고객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257A (ko) * 1997-07-08 1999-02-05 유재철 신용카드 단말기의 전화번호 인식 확인 방법
KR19990068277A (ko) * 1999-02-03 1999-09-06 김유미 고객디스플레이내용을이용한고객관리장치및관리방법
KR200220123Y1 (ko) * 2000-11-17 2001-04-16 주식회사아이씨씨 시스템 발신자 전화번호 확인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관리용 단말기
KR20020072442A (ko) * 2001-03-10 2002-09-16 주식회사 아이패스커뮤니케이션 자체 발급 카드를 이용한 가맹점의 고객 관리 방법
KR200262508Y1 (ko) * 2001-10-19 2002-03-18 (주)벧엘테크 전화 및 휴대폰 발신자 서비스를 이용한고객통합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422B1 (en) Personal identification system
US6453167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7720717B2 (en) Mobile terminal device, mobile terminal method, mobile terminal program, and electronic money server
JP3504519B2 (ja) 取引支援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接続される情報端末装置
US20070055734A1 (en) Mobile device controlling method, IC card unauthorized use preventing method, program for changing settings of mobile device, and program for preventing IC card from unauthorized use
JP2003523026A (ja) 仮想プリペイドカードをアクティブにする方法
JP2009099076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処理プログラム
CZ20031621A3 (cs) Způsob zpracování elektronické platební transakce
KR20120040880A (ko) 휴대단말기의 지로요금 결제 장치 및 방법
JP2001243382A (ja) 携帯通信端末を用いた決済方法、決済システムおよび携帯通信端末
JP5877405B2 (ja) リングデータを用いたars連動データ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3840021B2 (ja) 移動無線端末
JP5652892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携帯端末処理プログラム
KR20030025590A (ko) 카드 조회 단말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 표시 방법 및고객 관리 방법
JP2007288494A (ja) 携帯電話機等の携帯通信端末の個人情報自己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07041672A (ja) 電子チケット発行システムと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その方法
US20080209055A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KR20030011744A (ko) 멀티 단말기를 이용한 지역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제공방법
JP4501953B2 (ja) チケット認証システム
KR20010017094A (ko) 자동판매방법
CN101119412B (zh) 通过电话卡获取网络信息的方法
JP2019083037A (ja) チケット提供方法、チケット提供装置及び携帯端末用プログラム
JP2004140682A (ja) 公衆表示器を利用した情報提供サービス装置及び方法
KR100357245B1 (ko) 광고를 이용한 무료전화기와 그 제어방법
KR20000043861A (ko) 집적회로 카드를 이용한 자동 다이얼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