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3777A - 냉장고의 보관용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보관용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3777A
KR20030023777A KR1020010056879A KR20010056879A KR20030023777A KR 20030023777 A KR20030023777 A KR 20030023777A KR 1020010056879 A KR1020010056879 A KR 1020010056879A KR 20010056879 A KR20010056879 A KR 20010056879A KR 20030023777 A KR20030023777 A KR 20030023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storage
frames
refrigerato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56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3777A/ko
Priority to CA002402566A priority patent/CA2402566C/en
Priority to US10/238,590 priority patent/US20030052583A1/en
Priority to MXPA02008970A priority patent/MXPA02008970A/es
Priority to AU2002301022A priority patent/AU2002301022B2/en
Publication of KR20030023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77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94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trays or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내부에 사용되는 식품 보관을 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관용기 어셈블리는,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용기본체(20)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올려져 지지되는 한쌍의 프레임(34)과,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면서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그물망부분(32)로 구성되는 그물망보관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34)이 지지되는 상단부(24)에는, 프레임이 끼워지는 장착홈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성형되어 있어서, 원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보관용기 어셈블리{Food stor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내부에서 박스형상의 보관용기에, 다른 보관식품의 구분이 용이함과 동시에 구분보관되는 식품의 양의 조절이 용이한 보관용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냉장고의 구성 및 보관용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내부는 냉동실(2)과 냉장실(4)로 구분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4) 내부에는 복수개의 선반(9)이 설치되어 있으며, 최하부에는, 통상 야채 등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용기(6)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이러한 저장용기(6)의 상면은 선반(8)에 의하여 덮혀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상기 저장용기(6)는 서랍식으로 개폐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저장용기(6)에 식품을 넣거나, 보관중인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용기(6)를 앞으로 끌어당겨서 보관중인 식품을 꺼내거나 새로운 보관식품을 내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저장용기(6)는, 내부에 어떠한 구분도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여러가지 식품을 혼합상태로 보관하는 경우에는 여러가지 불편한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여러가지 식품이 혼합 보관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식품별로 구분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완전히 혼합된 상태로 적층되면서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저장용기(6)에 저장중인 식품 중에서, 특정 식품을 인출하는 경우에도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뒤따르는 것은 물론이고, 식품을 보관하기 위한 정확한 위치 선정 등에 있어서도 사용상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분리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식품의 수납 및 인출이 아주 편리한 보관용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보관용기 어셈블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용기본체22 ..... 손잡이
24 ..... 상부프레임30 .... 그물망보관부
32 ..... 그물망부분34 ..... 프레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보관용기 어셈블리는,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올려져 지지되는 한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면서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그물망부분로 구성되는 그물망보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이 지지되는 상단부에는, 프레임이 끼워지는 장착홈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용기본체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성형되어 있어서, 용기본체의 인출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본체와 그물망보관부에 각각 식품을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보관식품의 분할보관은 물론이고, 식품의 수납 및 인출에 아주 편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저장용기 어셈블리(1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은 저장용기 어셈블리(10)는,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여러가지 보관식품을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냉장실의 최하단부에 설치되어, 야채 및 과일 등의 식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서랍식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 어셈블리(10)의 상부에는 선반 또는 덮개가 위치하여, 본 발명의 저장용기 어셈블리(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저장용기 어셈블리(10)는, 용기본체(20)와, 그물망보관부(30)으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용기본체(20)는, 보관하는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부분이다. 통상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전면에는, 사용자가 잡아당기기 위한 손잡이(22)가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0)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상단부 또는 상단프레임(24)에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장착홈(26)이 전후방으로 복수개 성형되어 있다.
상술한 용기본체(20)에는 그물망 보관부(30)가 설치된다. 그물망보관부(30)는, 음식물을 담아서 지지할 수 있는 그물망부분(32)와, 상기 그물망부분의 전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그물망부분(32)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34)으로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그물망보관부(30)는 상기 프레임(3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34)은 용기본체(20)의 상단부 또는 상부프레임(2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그물망보관부(30)는 실질적으로 용기본체(20)의 상부프레임(2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는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그물망부분(32)에는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그물망보관부(30)의 프레임(34)은, 용기본체(20)의 상부프레임(24)에 성형된 장착홈(26)에 끼워지는 상태로 지지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홈(26)에 끼워진 상태로 그물망보관부(30)가 지지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그물망보관부(30)의 프레임(34)가 정해진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장착홈(26)에 프레임(34)이 끼워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그물망보관부(30)의 그물망부분(32)의 넓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프레임(34)이 끼워지는 장착홈(26)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그물망부분(32)의 전후방향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그물망부분(32)에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양 또는 식품의 형태에 따라 최적의 수납상태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저장용기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용기본체(20)를 냉장실의 하단부 또는 냉장실의 일측에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용기본체(20)는 슬라이드방식으로 전방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단순히 그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만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20)의 내부에도, 원하는 보관식품을 넣어서 보관할 수 있고, 이종의 식품이거나 별도 보관이 필요한 식품은 상기 그물망부분(32)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물망부분(32)에 보관하는 식품은 상기 그물망부분(32)을 지지하는 프레임(34)을, 복수개 성형되어 있는 장착홈에 선택적으로 끼우는 것에 의하여, 그 양을 조절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그물망보관부(30)를 용기본체(20)의 상단부에 걸쳐지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용기본체(20)에서 전후방향으로 상기 프레임(34)이 장착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있으나, 상기 그물망보관부(30)의 프레임(34)을 전후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있어서 상기 그물망보관부(30)는 한개로 구성되고 있지만, 한쌍 또는 복수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그물망 보관부 및 용기본체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을 분리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가지 식품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에 의하여, 식품의 수납 및 인출이 편리하게 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용기본체(20)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올려져 지지되는 한쌍의 프레임(34)과, 상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면서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그물망부분(32)로 구성되는 그물망보관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보관용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4)이 지지되는 상단부(24)에는, 프레임이 끼워지는 장착홈이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보관용기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가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보관용기 어셈블리.
KR1020010056879A 2001-09-14 2001-09-14 냉장고의 보관용기 어셈블리 KR20030023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879A KR20030023777A (ko) 2001-09-14 2001-09-14 냉장고의 보관용기 어셈블리
CA002402566A CA2402566C (en) 2001-09-14 2002-09-10 Food storage container assembly for use in refrigerator
US10/238,590 US20030052583A1 (en) 2001-09-14 2002-09-11 Food storage container assembly for use in refrigerator
MXPA02008970A MXPA02008970A (es) 2001-09-14 2002-09-12 Ensamble contenedor para almacenamiento de alimentos para utilizarse en un refrigerador.
AU2002301022A AU2002301022B2 (en) 2001-09-14 2002-09-13 Food storage container assembly for use in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879A KR20030023777A (ko) 2001-09-14 2001-09-14 냉장고의 보관용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777A true KR20030023777A (ko) 2003-03-20

Family

ID=1971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879A KR20030023777A (ko) 2001-09-14 2001-09-14 냉장고의 보관용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052583A1 (ko)
KR (1) KR20030023777A (ko)
AU (1) AU2002301022B2 (ko)
CA (1) CA2402566C (ko)
MX (1) MXPA020089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378B1 (ko) * 2002-01-23 2006-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야채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0902B2 (en) * 2003-03-12 2005-04-19 Maytag Corporation Flexible storage unit for refrigerator
DE60324533D1 (de) 2003-06-05 2008-12-18 Lg Electronics Inc Gemüsebehälter für Kühlschränke
KR101049950B1 (ko) * 2003-12-08 201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내 수납장치
WO2007110440A2 (en) * 2006-03-29 2007-10-04 Arc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US20080078201A1 (en) * 2006-10-03 2008-04-03 Shari Olefson Hanging Storage Container System
ES2397251T3 (es) * 2008-12-05 2013-03-05 Arçelik Anonim Sirketi Dispositivo de refrigeración que comprende un recipiente para verduras
US20100244479A1 (en) * 2009-03-25 2010-09-30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Sliding bar assembly for use in cargo storage applications
US8517483B2 (en) * 2010-02-25 2013-08-27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system for a domestic refrigerator
DE102010030312A1 (de) * 2010-06-21 2011-12-2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insbesondere Haushaltskältegerät
US9534833B2 (en) * 2013-09-09 2017-01-03 Lg Electronics Inc. Basket for refrigerator
CN103815680B (zh) * 2014-01-26 2016-08-17 平湖市陈达仓储办公设备有限公司 抽屉柜
KR101686299B1 (ko) * 2014-10-06 2016-12-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서랍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이의 개폐방법
PL3248898T3 (pl) * 2016-05-27 2019-07-31 Elfa International Ab Układ panelowy
CN110822802B (zh) * 2018-08-08 2020-12-2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的抽屉组件
JP7170864B2 (ja) * 2019-06-10 2022-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5924A (en) * 1975-02-03 1976-12-07 Jones Charlotte B Apparatus for sorting clothes
US4588154A (en) * 1984-10-04 1986-05-13 Worldsbest Industries, Inc. Removably-supported hamper bag and support for same
US4642934A (en) * 1985-04-12 1987-02-17 Carlson Joseph D Transportable live well liner
US5025979A (en) * 1989-08-15 1991-06-25 Esselte Pendaflex Corporation Hanging expandable file
US5190252A (en) * 1990-03-23 1993-03-02 Schrager Lawrence A Refuse bag support system
US5102208A (en) * 1990-10-01 1992-04-07 Joynes Charles E Laundry hamper sorter
US5174468A (en) * 1991-01-30 1992-12-29 Holderman Lisa A Trash organizer
CA2056284C (en) * 1991-10-18 1997-02-04 David I. Ellingson Dishwasher utensil tray
GB9313170D0 (en) * 1993-06-25 1993-08-11 Mackies Uk Ltd Bread baking
US5515980A (en) * 1993-12-23 1996-05-14 B & L Products, Inc. Dimensionally variable hanging file frame system
JPH07289072A (ja) * 1994-04-26 1995-11-07 Hidekazu Sato 野菜果実類の鮮度保持容器
US5833336A (en) * 1997-08-18 1998-11-10 Dean; W. Anthony Partitioned stylish hamper
DE29918425U1 (de) * 1999-10-11 2000-02-10 Bach Guenter Stapelfähiger Servierschalensatz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378B1 (ko) * 2002-01-23 2006-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야채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52583A1 (en) 2003-03-20
AU2002301022B2 (en) 2004-11-04
MXPA02008970A (es) 2004-08-19
CA2402566A1 (en) 2003-03-14
CA2402566C (en)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3777A (ko) 냉장고의 보관용기 어셈블리
US7472974B2 (en) Refrigerator with storage bin
EP2420782A2 (en) Refrigerator
JP3895136B2 (ja) 冷蔵庫の引出し容器
US20230204281A1 (en) Refrigerator shelf and related assemblies
CN208832809U (zh) 大容量存储冰箱
KR20100008601A (ko) 치즈 수납부가 구비된 냉장고
KR100688657B1 (ko) 착탈식 수납코너가 구비된 냉장고
KR20120071634A (ko) 냉장고 서랍
JP2000039256A (ja) 冷蔵庫
JP2005069533A (ja) 冷蔵庫
KR100432733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JP3371077B2 (ja) 冷蔵庫
EP1484564B1 (en) Vegetable box for refrigerator
KR200319649Y1 (ko) 다목적 냉장고
KR200154916Y1 (ko) 냉장고용 냉장실의 수납실 설치 장치
KR20080098715A (ko) 하이브리드 타입 김치저장고의 와인저장실
KR100821560B1 (ko) 식품저장고
KR200302809Y1 (ko) 냉장고의 저장함
KR200185832Y1 (ko) 김치냉장고 개폐구조
KR20050027514A (ko) 디바이더를 구비한 냉장고의 수납용기
KR100255865B1 (ko) 냉장고
KR200297195Y1 (ko) 냉장고의 도어 포켓
KR100237696B1 (ko) 냉장고의 계란꽂이 선반
KR20160036850A (ko) 냉장고용 용기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