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735A -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735A
KR20030021735A KR1020010055139A KR20010055139A KR20030021735A KR 20030021735 A KR20030021735 A KR 20030021735A KR 1020010055139 A KR1020010055139 A KR 1020010055139A KR 20010055139 A KR20010055139 A KR 20010055139A KR 20030021735 A KR20030021735 A KR 20030021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air
mirror
spring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원
황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Priority to KR1020010055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1735A/ko
Publication of KR2003002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73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하부 본체(10)와 상부 본체(20)의 안쪽에 장착되며 양쪽에 저항체(31)가 형성되는 인쇄기판(30)과, 상단부는 상부본체의 지지홈(21)에 삽입장착되며 하단부의 작동구는 상기한 인쇄기판(30)의 좌우측 저항체(3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조정 가이드(40)와, 상기한 한쌍의 조정가이드(40)의 상단부와 결합되기 위한 한쌍의 고정부(51)가 형성되어 있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로 구성되는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본체(10)에는 한쌍의 조정 가이드(4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홀더(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한 한쌍의 조정 가이드(40)의 하단부에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6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한 한쌍의 조정 가이드(40)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의 고정부(51)에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가이드 홀더를 이용하여 조정 가이드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한 조정 가이드가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에 접촉 결합되도록 하여 진동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여 내진동력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a position sensing device for a vehicular mirror actuator}
이 발명은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가이드 홀더(guie holder)를 이용하여 조정 가이드(adjust guide)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한 조정 가이드가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glass holder plate)에 접촉 결합되도록 하여 진동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여 내진동력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하여 미러(mirror)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미러의 각도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근래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운전석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차안에서 미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동 미러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상기한 자동차용 전동미러에는 미러의 위치 검출을 위한 장치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자동차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글래스 홀더의 일측에 마련된 작동 가이드의 하단에 구형상으로 된 작동구를 형성하고 상기한 작동구의 외주연에 접하여 호운동을 보상하면서 직선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가이드홀을 본체에 구비하고 있는 구조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공고번호 제2000-175599호(공고일: 2000년 4월 1일)의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에서 개시된 바 있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미러 위치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재생됨으로써 미러가 저장된 위치로 구동되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기술이 유럽 특허출원 공개번호 EP 1020328 A2(공개일: 2000년 7월 19일)의"Vehicular mirror actuator"에서 개시된 바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본체(10′)와 상부 본체(20′)의 안쪽에 장착되며 양쪽에 저항체(31′)가 형성되는 인쇄기판(30′)과, 상단부는 상부본체(20′)의 지지홈(21′)에 삽입장착되며 하단부의 작동구는 상기한 인쇄기판(30′)에 좌우측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조정 가이드(40′)와, 상기한 한쌍의 조정가이드(40′)의 상단부와 결합되기 위한 한쌍의 고정부(51)가 형성되어 있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한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의 움직임이 조정 가이드(40′)로 전달되고, 상기한 조정 가이드(40′)의 움직임이 회로기판(30′)의 저항체(31')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됨으로써 제어부가 미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는, 조정 가이드(40′)가 고정부(51′)에 의해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에 고정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정 가이드(40′)의 상하 작동시 조정 가이드(40′)가 좌우측으로도 작동되어 출력전압이 변하게 됨으로써 고정밀 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는, 조정 가이드(40′)가 진동에 대한 영향을 쉽게 받기 때문에 차체 유동시 내진동력이 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이드 홀더를 이용하여 조정 가이드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조정 가이드가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에 고정결합이 아닌 접촉 결합되도록 하여 진동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여 내진동력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기술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27247호(출원일자: 2001년 9월 6일)의 "자동차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27247호에서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더욱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이드 홀더를 이용하여 조정 가이드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한 조정 가이드가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에 접촉 결합되도록 하여 진동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여 내진동력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의 분해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의 분해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하부 본체 11 : 가이드 홀더
20 : 상부 본체 21 : 지지홈
30 : 인쇄기판 31 : 저항체
40 : 조정 가이드 50 :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
51 : 고정부 60 : 스프링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의 구성은, 하부 본체(10)와 상부 본체(20)의 안쪽에 장착되며 양쪽에 저항체(31)가 형성되는 인쇄기판(30)과, 상단부는 상부본체의 지지홈(21)에 삽입장착되며 하단부의 작동구는 상기한 인쇄기판(30)의 좌우측 저항체(3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조정 가이드(40)와, 상기한 한쌍의 조정가이드(40)의 상단부와 결합되기 위한 한쌍의 고정부(51)가 형성되어 있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로 구성되는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본체(10)에는 한쌍의 조정 가이드(4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홀더(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한 한쌍의 조정 가이드(40)의 하단부에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6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한 한쌍의 조정 가이드(40)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의 고정부(51)에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에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고정부(51)는 조정 가이드(40)와의 접촉 결합을 위하여 반구형의 모양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가이드 홀더(11)의 안쪽에는 스프링(6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12)가 형성되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어 미러(도시되지 않음)가 움직이게 되면 미러와 고정장착되어 있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가 움직이게 되고, 상기한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의 움직임이 조정 가이드(40)로 전달되고, 상기한 조정 가이드(40)의 움직임이 회로기판(30)의 저항체(31)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됨으로써 제어부가 미러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때, 조정 가이드(40)는 하부 본체(10)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홀더(11)에 의해 좌우 유동이 방지되고, 또한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한 조정 가이드(40)의 상단부가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에 형성되어 있는 반구형의 고정부(51)에 고정 결합이 아닌 접촉 결합되어 있으므로, 매우 고정밀의 위치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스프링(60)은 가이드 홀더(11)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12)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한 조정 가이드(40)는 상기한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진동이 흡수됨으로써 내진동력이 향상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이드 홀더를 이용하여 조정 가이드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한 조정 가이드가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에 접촉 결합되도록 하여 진동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여 내진동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이와 같은 효과는 차량용 전동미러 분야에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응용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2)

  1. 하부 본체(10)와 상부 본체(20)의 안쪽에 장착되며 양쪽에 저항체(31)가 형성되는 인쇄기판(30)과, 상단부는 상부본체의 지지홈(21)에 삽입장착되며 하단부의 작동구는 상기한 인쇄기판(30)의 좌우측 저항체(3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조정 가이드(40)와, 상기한 한쌍의 조정가이드(40)의 상단부와 결합되기 위한 한쌍의 고정부(51)가 형성되어 있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로 구성되는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하부 본체(10)에는 한쌍의 조정 가이드(40)가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홀더(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한 한쌍의 조정 가이드(40)의 하단부에는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6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한 한쌍의 조정 가이드(40)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50)의 고정부(51)에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 홀더(11)의 안쪽에는 스프링(6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돌출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
KR1020010055139A 2001-09-07 2001-09-07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 KR20030021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139A KR20030021735A (ko) 2001-09-07 2001-09-07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139A KR20030021735A (ko) 2001-09-07 2001-09-07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735A true KR20030021735A (ko) 2003-03-15

Family

ID=2772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139A KR20030021735A (ko) 2001-09-07 2001-09-07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17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8924A (zh) * 2012-12-28 2013-09-04 清华大学 驱动装置及位移传递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955U (ko) * 1998-01-09 1999-08-16 김재석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JPH11255028A (ja) * 1998-03-11 1999-09-21 Ichikoh Ind Ltd 車両用電動ミラー装置
JP2001080417A (ja) * 1999-09-14 2001-03-27 Tokai Rika Co Ltd 鏡面角度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955U (ko) * 1998-01-09 1999-08-16 김재석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JPH11255028A (ja) * 1998-03-11 1999-09-21 Ichikoh Ind Ltd 車両用電動ミラー装置
JP2001080417A (ja) * 1999-09-14 2001-03-27 Tokai Rika Co Ltd 鏡面角度検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8924A (zh) * 2012-12-28 2013-09-04 清华大学 驱动装置及位移传递组件
CN103278924B (zh) * 2012-12-28 2016-08-10 清华大学 驱动装置及位移传递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9707832A (pt) Montagem de espelho de veìculo
CN211578626U (zh) 杆式车辆远程变速开关装置
US20050225886A1 (en) Mirror angle transducer and mirror tilting mechanism
KR20030021735A (ko)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
KR200257213Y1 (ko) 자동차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
MXPA02005177A (es) Conjunto de pedal controlado electronicamente que tiene una estructura de generacion de histeresis.
US7445190B2 (en) Mirror adjustment mechanism, wing mirror unit and method
WO2002058963A3 (fr) Dispositif de controle des mouvements d'un pare-choc d'un vehicule automobile
KR20040019066A (ko) 수동 조절가능한 자동차 밀러 메카니즘
JP2023041033A (ja) ジョイスティックセンサ、コントローラ、オートワイパ、オートバックミラー
JP4370681B2 (ja) 自動車のアクセルペダル装置
AU2002312449B2 (en) Potentiometer for motorized mirror
JPH1092207A (ja) 車両用ヘッドライト光軸調整機構
KR200175599Y1 (ko) 전동식 아웃사이드 미러의 경사각 검출장치
KR20180042026A (ko) 차량용 레버 스위치
KR100535309B1 (ko) 차량의 후륜 토우 각 제어용 전동식 액츄에이터
KR100787696B1 (ko) 위치검출장치를 구비한 사이드미러
KR200207407Y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미러의 후방각도 조절장치
KR100528617B1 (ko) 차량의 후륜 토우 각 제어용 전동식 액츄에이터
KR100535308B1 (ko) 차량의 후륜 토우 각 제어용 전동식 액츄에이터
JP2566890Y2 (ja) ブロアスイッチ装置
JPS5911933A (ja) ヘツドランプ傾動装置
JP3105510U (ja) 自動車制御装置
KR100694441B1 (ko) 조정가이드의 밀착력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아웃사이드미러의 위치 검출장치
KR19990027851U (ko) 사이드미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