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163A -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163A
KR20030020163A KR1020010053858A KR20010053858A KR20030020163A KR 20030020163 A KR20030020163 A KR 20030020163A KR 1020010053858 A KR1020010053858 A KR 1020010053858A KR 20010053858 A KR20010053858 A KR 20010053858A KR 20030020163 A KR20030020163 A KR 20030020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namic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terne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771B1 (ko
Inventor
조동호
Original Assignee
아이피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피원(주) filed Critical 아이피원(주)
Priority to KR10-2001-0053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77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2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LAN 가입자가 공중 인터넷망을 통해 동적 IP를 할당받더라도 인터넷 전화의 착발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LAN 기반 인터넷 전화의 착발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무선랜망에 접속하여 동적 IP를 할당받고, 음성 통화 착발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데이터통신 단말기와;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동적 IP를 할당하는 DHCP 서버와; 데이터통신 단말기 또는 DHCP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정보와 고유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적IP 정보 저장수단과; 데이터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생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인터넷으로 발송되도록 하고,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해당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하는 VoIP 서버와; 데이터통신 단말기와 DHCP 서버와 동적 IP 정보 저장수단과 VoIP 서버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동적 IP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정보를 이용하여 VoIP 서버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전달하거나, VoIP 서버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에 전달하는 라우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및 방법 { Call terminating/se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an internet phone based on LAN }
본 발명은 VoIP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동적 IP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더라도 인터넷 전화 착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internet)은 현대인의 필수적인 통신 매체로 이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정보 제공 및 정보 확인은 일반화되었으며 그 활용도가 점차적으로 넓어지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칩(chip) 또는 장치를 내장한 단말기(컴퓨터, PCS폰, 셀룰러 폰, 노트북 PC, PDA 등)를 필요로 하는데, 단말기에 따라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이 다르다. 예를 들면, 컴퓨터나 노트북 PC의 경우에는 유선 라인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고, PCS 폰이나 셀룰러 폰, PDA는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의거하여 인터넷에 접속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컴퓨터나 노트북 PC에 PCS 폰을 연결시켜 무선 통신으로 인터넷에 접속시킬 수 있다.
무선 통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으로는,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교환기 등의 외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과, 무선 랜 카드를 이용하여 옥내외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과, 무선 패킷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중, 무선 LAN은 유선 LAN의 확장 또는 대체의 개념으로 구현되는 데이터 통신으로, 다양한 정보와 자원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LAN의 장점과 연결의 편리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무선통신 기술로서, 신뢰성있는 데이터 전송 뿐 아니라 유연성(Flexibility)과 설치의 용이성의 장점이 있다. 특히 무선 LAN은 케이블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지정학적인 설치의 제한을 받지 않으며, 단말기의 위치가 변동되고 추가 또는 삭제될 때에도 선로의 증설이나 변경이 필요 없기 때문에 인적, 경제적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무선 LAN에 대한 국제 표준화는 1990년 10월부터 IEEE 802.11 위원회에 의해 무선매체접근제어(Medium Access Control)와 물리계층규격에 대한 표준화가 OSI 참조 모델에 준하여 진행되고 있다. 무선 LAN은 유선(10/100Base)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Radio Frequency)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공중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 수신하는 방식으로 도달거리, 성능, 보안성 등을 고려하여 ISM 대역(band)(902-928MHz, 2.4-2.48GHz, 5.725-5.85GHz)을 이용하는 분산 스펙트럼(Spread Spectrum) 방식의 무선 LAN이 가장 보편화되어 있다.
상기한 유무선랜망과 외부 인터넷은 라우터를 통해 접속되는데, 이 라우터는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이 제공해 주는 정보를 기초로 메시지를 인터넷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라우터와 인터넷은 광대역 통신회선으로 연결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광대역 통신회선으로는 전용회선, xDSL(ADSL, HDSL, SDSL, VDSL 등을 집합적으로 가리키는 용어), 전화선, 케이블 TV망, 무선 주파수 대역 등이 있다. 이중 전용회선은 하나의 단말기에 하나의 고정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부여하여 해당 단말기 사용자가 고정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이렇게 고정 IP 주소가 할당되는 전용회선에 연결할 경우, 인터넷을 통한 폰투폰(phone to phone) 방식의 음성 통화를 위한 착발신 인터넷 전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모든 단말기에 고정 IP 주소를 할당하면, 32 비트 IPv4의 주소체계를 가지는 현재의 통신환경에서는 가까운 미래에 IP 주소 자원이 고갈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모든 단말기에게 각각 하나의 IP 주소를 할당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에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구현되고 있다. 즉, xDSL, 전화선, 케이블 TV망, 무선 주파수 대역 등과 같은 공중 인터넷망을 이용할 경우, 단말기 전원이 초기 온되면 이 단말기에 동적 IP가 할당되어 단말기가 할당된 동적 IP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한다. 이렇게 동적 IP가 할당되는 공중 인터넷망에 연결할 경우, 인터넷을 통한 폰투폰(phone to phone) 방식의 음성 통화를 위한 발신 전화 서비스 제공은 가능하나 착신 전화 서비스는 제공되지 못하였다. 즉, 이 동적 IP 할당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전화를 걸 수는 있으나 걸려오는 인터넷 전화는 받을 수가 없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적 IP가 할당되는 단말기에 인터넷 전화의 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 서비스망 구성도이다.
이 음성 서비스망은, 단말기에 동적 IP를 할당하는 다수의 유무선 LAN 망(100, 150)과, 이 다수의 유무선 LAN 망(100, 150)을 연결하는 인터넷(120), 인터넷을 통해 유무선 LAN 망에 접속된 단말기와 공중전화망(PSTN) 가입자와의 음성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VoIP 게이트웨이(130), VoIP 게이트웨이(130)를 통해 인터넷(120)에 연결된 공중전화망(PSTN)(140), 이 공중전화망 가입자의 일반 전화기(141)로 이루어진다.
각 유무선 LAN망(100)은, 다수의 데이터통신 단말기(101, 102, 103, 104), 무선 억세스 포인트(106, 107), 라우터(153), 라우터(153)에 유선으로 직접 연결된 단말기(105), 각 단말기에 동적 IP를 할당하는 DHCP서버(109), 및 음성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VoIP 서버(120, 154)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라우터(108)와 인터넷(120)이 바로 접속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라우터(108)와 인터넷(120) 사이에 여러 개의 라우터가 더 연결될 수도 있다.
임의의 단말기(101)가 착신측 호출번호를 포함하는 발신호를 발생시키면, DHCP 서버(109)는 해당 단말기에 부여할 수 있는 동적 IP 주소가 있는 지를 확인한 후 동적 IP 주소를 할당한다. 그러면, 발신호는 라우터(108)를 통해 인터넷(120)에 전달되는데, 착신측이 일반 공중전화망 가입자인 경우에는 VoIP 게이트웨이(130)를 통해 PSTN(140)에 접속된 착신측 전화기(141)에 전달된다. 착신측 전화기(141)와의 호가 연결되어 VoIP 서버를 통해 통화로가 할당되면 단말기(101)와 전화기(141) 사이에 VoIP 게이트웨이를 통한 통화가 가능해진다.
한편, 착신측이 다른 유무선랜망(150)의 데이터통신 단말기(151)이고 발신측 단말기가 착신측 IP 주소를 포함한 발신호를 발생시키면, 해당 발신호는 라우터(153)와 무선 억세스 포인트(152)를 통해 단말기(151)에 전달된다. 이때, 인터넷과 라우터 사이에 여러 개의 라우터를 거치기도 하며, 유선랜에 바로 연결된 단말기의 경우에는 무선 억세스 포인트를 통하지 않는다.
그러나, 발신호가 정확한 착신측 IP 주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발신호가 착신측 단말기에 전달되지 못한다. 즉, 해당 단말기가 전원 온될 때, DHCP 서버(155)로부터 동적 IP를 할당받으면 단말기가 전원 온될 때마다 IP 주소가 자꾸 바뀌는데, 이렇게 IP 주소가 바뀌면 발신측 단말기가 착신측 단말기의 IP 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발신호를 착신측 단말기에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무선 랜 가입자가 공중 인터넷망을 통해 동적 IP를 할당받더라도 인터넷 전화의 착발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LAN 기반 인터넷 전화의 착발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동적 IP가 할당되는 단말기에 인터넷 전화 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성 서비스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IP가 할당되는 이동 단말기에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LAN 기반 음성 서비스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DNS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 발신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DNS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 착신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에이전트(HA)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 발신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에이전트(HA)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 착신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200' : 유무선랜망201, 202, 203 : 데이터통신 단말기
204, 205 : 무선 억세스 포인트206 : 라우터
207 : VoIP 서버208 : DHCP 서버
209 : 홈 에이전트(HA)210 : DDNS 서버
220 : 인터넷230 : VoIP 게이트웨이
240 : PSTN 망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무선랜망에 접속하여 동적 IP를 할당받고 음성통화 착발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수의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유무선상으로 연결된 유무선랜망에서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동적 IP를 할당하는 동적 호스트 구성프로토콜(DHCP) 서버와, 데이터통신 단말기 또는 동적 호스트 구성프로토콜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정보와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적IP 정보 저장수단과, 데이터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생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인터넷으로 발송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하는 VoIP 서버와, 데이터통신 단말기와 동적 호스트 구성프로토콜 서버와 동적 IP 정보 저장수단과 VoIP 서버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동적 IP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정보를 이용하여 VoIP 서버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전달하거나, VoIP 서버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에 전달하는 라우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동적 IP 정보 저장수단은, 데이터통신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현재의 동적 IP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네임과 현재의 동적 IP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서버 또는 동적 호스트 구성프로토콜 서버에서 새롭게 할당된 동적 IP를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고유호출번호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위치등록기(홈 에이전트)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랜망에 접속하여 동적 IP를 할당받고 음성통화 착발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다수의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유무선상으로 연결된 유무선랜망에서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데이터통신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접속 요구가 입력되면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동적 IP 주소를 할당하는 동적 IP 할당단계와,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와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할당된 동적 IP 주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적 IP 정보 저장단계와,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유휴 상태에서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통신 단말로 전달될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정보를 검색하는 동적 IP 정보 검색단계와, 동적 IP 정보 검색 후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정보를 이용하여 전달하는 음성 전송단계를 구비한다.
여기서, 동적 IP 정보는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현재의 동적 IP 정보의 갱신을 요청하고 동적 도메인 네임서버가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네임과 현재의 동적 IP를 매핑하여 저장하거나, 상기 동적 IP 할당단계에서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동적 IP 주소가 할당될 때 홈 에이전트가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고유 호출번호와 이 할당된 동적 IP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LAN 기반 인터넷 전화의 착발신 장치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동적 IP가 할당되는 이동 단말기에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적 호스트 구성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이하, DHCP라 함)이 동적 IP 주소를 할당할 때 동적 도메인 네임서버(Dynamic Domain Name Server: 이하, DDNS라 함)를 갱신하거나, 또는 가입자의 고유전화번호를 관장하는 홈 에이전트(home agent : 이하, HA라 함)에 현재의 위치를 기록하여, 이동 가입자를 호출하는 호가 도착하면 이동 가입자가 있는 지역을 호출하여 착신호를 연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적 IP가 할당되는 이동 단말기에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무선 LAN기반 음성 서비스망 구성도이다.
이 음성 서비스망은, 단말기에 동적 IP를 할당하는 다수의 유무선 LAN 망(200, 200')과, 이 다수의 유무선 LAN 망(200, 200')을 연결하는 인터넷(220), 인터넷을 통해 유무선 LAN 망에 접속된 단말기와 공중전화망(PSTN) 가입자와의 음성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VoIP 게이트웨이(230), VoIP 게이트웨이(230)를 통해 인터넷(220)에 연결되는 공중전화망(PSTN)(210), 이 공중전화망 가입자의 일반 아날로그 전화기로 이루어진다.
각 유무선 LAN망(200)은, 다수의 데이터통신 단말기(201, 202, 203), 무선 억세스 포인트(204, 205), 라우터(206), 각 단말기에 동적 IP를 할당하는 DHCP서버(208), 음성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수행하는 VoIP 서버(207), DHCP 서버(208)에 의해 각 단말기에 할당되는 동적 IP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홈 에이전트(HA)(209) 및 동적 도메인 네임서버(dynamic domain name server : 이하 DDNS라 함)(210)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라우터(206)와 인터넷(220)이 바로 접속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라우터(206)와 인터넷(220) 사이에 여러 개의 라우터가 더 연결될 수도 있다.
데이터통신 단말기(201, 202, 203)는 이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PDA, 노트북 PC 등으로서, 단말기(201, 202)는 전파를 매체로 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랜카드가 내장되고, 단말기(203)에는 유선 랜카드가 내장되어 라우터(203)에 바로 유선으로 연결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라우터에 유선으로 연결된 허브를 통해 여러 대의 단말기가 접속될 수도 있다.
무선 억세스 포인트(204, 205)는 보통 건물 또는 빌딩에 설치되며, 라우터(206)와는 유선으로 연결되고 단말기(201, 202)와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의 전송 및 버퍼링(buffering)기능을 제공한다. 하나의 무선 억세스 포인트는 수십 명 ~ 수백 명의 단말기를 지원하고 수 Km까지 커버한다.
라우터(206)는 IP 프로토콜이 제공해 주는 정보를 기초로 메시지를 인터넷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라우터(206)는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착신호에서 착신측 단말기의 네임 또는 고유전화번호 정보를 판독하여 그 단말기 네임 또는 고유전화번호를 이용하여 DDNS 또는 홈 에이전트로부터 해당 착신측 단말기의 동적 IP 주소를 알아낸다. 보다 상세히는, 수백 또는 수천 대의 컴퓨터들은 각각의 디바이스(device)에 서로 약속된 어드레스(address)를 가지고 통신을 한다. 네트워크가 점점 커지게 되면 인터넷 안에 있는 각각의 컴퓨터가 모든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것은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컴퓨터가 모든 어드레스 정보를 다 가지고 있지 않고, 적은 정보만으로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계를 구성할 필요가 생긴다. 이와 같은 체계가 바로 인터넷을 분할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호 연결을 유지하며 기능적으로 분할된 네트워크를 서브 네트워크라 하고, 이들 서브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특별한 컴퓨터를 라우터라 부른다. 무선라우터는 라우터의 기능에 무선패킷 처리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DHCP 서버(208)는 임의의 단말기가 망에 접속하는 초기 구동시에 해당 서브넷의 환경 정보를 다운로드받아 자신의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으로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로 동작한다. 즉, 이 DHCP 서버(208)는 유무선랜망에 접속되는 각 단말기에 동적 IP를 할당하는 모듈로서, 단말기가 초기 전원 온되거나 인터넷 접속을 요청하면 가용 IP 주소를 찾아서 해당 단말기에게 할당한다.
이렇게 IP 주소가 할당되면 단말기는 할당된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와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는데, 이렇게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성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VoIP 기술이다. 원래 IP 네트워크는 데이터 송수신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네트워크이지만,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음성신호를 IP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 후 인터넷(공중 인터넷망 또는 전용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 VoIP 기술을 이용하면 훨씬 적은 대역폭을 사용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원거리 전화통신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VoIP 기술을 유무선랜망에서 구현하려면 VoIP 서버(207)가 구비되어야 하고 공중전화망(PSTN망)에서 구현하려면 VoIP 게이트웨이(230)가 구비되어야 한다.VoIP 서버(207)는 데이터통신 단말기(201, 202, 203)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220)으로 전송하고, 인터넷(220)을 통해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전달되는 IP 데이터 패킷을 해당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전달한다. VoIP 게이트웨이(230)는 인터넷(220)을 통해 전달되는 IP 데이터 패킷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복원하여 공중전화망(PSTN망)(210)을 통해 일반전화 가입자에게 전달하고, 일반전화 가입자의 음성신호를 공중전화망(210)을 통해 전달받아 IP 데이터패킷으로 처리하여 인터넷(220)으로 전송한다.
홈 에이전트(209)는 위치등록기로서 이동(mobile) IP 프로토콜 기반으로 동작하여 가입자의 현재 위치를 기록한 모듈이다. 앞서 설명한 DHCP 서버(208)는 전원이 초기 온되거나 인터넷에 접속하고자 하는 데이터통신 단말기에게 동적 IP 주소를 할당하는데, 이때 홈 에이전트(209)는 단말기의 고유전화번호와 할당된 동적 IP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그러다가 라우터(206)로부터 단말기의 고유전화번호 정보가 입력되면서 동적 IP 주소가 요청되면, 해당 단말기의 고유전화번호와 매칭되는 동적 IP 주소를 검색하여 라우터(206)에 제공한다. 이때, 홈 에이전트는 해당 단말기의 고유전화번호 이외에 단말기 네임이나 이메일 주소 등의 단말기 고유식별정보와 해당 단말기에게 할당된 동적 IP 주소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DDNS(210)는 데이터통신 단말기와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로 동작하는데, DDNS 클라이언트인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자신의 현재 IP 주소를 갱신 요청하면 해당 단말기의 네임과 IP주소를 갱신하여 저장한다. 그러다가 라우터(206)로부터 단말기의 네임 정보가 입력되면서 동적 IP 주소가 요청되면, 해당 단말기의 네임과 매칭되는 동적 IP 주소를 검색하여 라우터(206)에게 제공한다. 이때, DDNS(210)는 단말기의 네임 정보 이외에 단말기 고유의 전화번호나 이메일 주소 등의 정보를 동적 IP 주소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일반적인 유무선 LAN기반 음성 서비스망에, 홈 에이전트 또는 DDNS 중 적어도 하나의 장비를 추가하면 동적 IP가 할당되는 이동 단말기에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대 발신자가 일반 PSTN 가입자 단말기이면 착신호에는 착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포함되고 LAN 가입자 단말기이면 착신호에 착신측 단말기의 네임이 포함되는데, 착신자측 라우터는 착신호에서 착신측 단말기의 고유전화번호 또는 네임을 추출하여 해당 착신측 단말기의 네임 또는 고유전화번호 정보를 취하고, DDNS 또는 홈에이전트에 문의하여 해당 착신측 단말기의 동적 IP 주소를 알아낸다.
이제부터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음성 서비스망에서의 인터넷 전화 착발신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DNS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 착신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용자가 데이터통신 단말기를 파워 온시키면 해당 단말기가 초기화되면서 전원이 인가된다. 데이터통신 단말기는 초기 전원 온되면 무선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받는다. 단말기의 전원이 온되거나 혹은 단말기 이용자가 인터넷 접속을 요구하면, 무선 억세스 포인트와 라우터를 통한 경로로 DHCP 서버로부터 해당 단말기에 동적 IP가 할당된다.
즉, DHCP 서버는 해당 단말기에 할당할 가용 동적 IP 주소가 있는 지를 확인하고(S31), 가용 동적 IP 주소가 있으면 DHCP 인증을 수행하여 해당 가용 동적 IP 주소를 해당 단말기에 할당한다. 그러면 단말기는 DDNS 클라이언트로 동작하여 주기적으로 DDNS 서버에 자신의 현재 주소를 갱신하고, DDNS 서버는 단말기의 네임과 현재 IP 주소를 매핑하여 저장한다(S32). 이렇게 단말기에 동적 IP 주소가 할당되면 단말기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인터넷을 통해 외부로부터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전달될 착신호가 수신되면(S33), 라우터는 이 착신호에서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네임을 취하거나 착신호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네임을 취하고, 이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네임을 1차 DDNS 서버에 적용하며, 1차 DDNS 서버는 착신자 네임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자 IP 주소를 찾는다(S34). 1차 DDNS 서버에 착신자 IP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위 계층의 DDNS 서버에서 착신자 동적 IP 주소를 획득한다(S35). 상위 계층 DDNS 서버에도 해당 착신자 IP 주소 정보가 없으면 착신자가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가 아니므로 통화 연결을 중지한다. 그러나, 1차 DDNS 서버 또는 상위 계층 DDNS 서버에서 착신자 네임에 매칭되는 착신자 IP 주소 정보가 획득되면, 착신자측 VoIP 서버는 해당 착신호를 처리하고 통화로를 할당하며(S37), 외부의 발신자와 착신측 데이터통신 단말기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38). 이 통화로는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요청에 따라 해제된다(S39).
일반적으로 도메인은 큰 범위의 도메인으로부터 작은 범위의 도메인으로 구분되는데(예를 들어,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삼성동...), 각 도메인별로 DDNS 서버를 별도 설치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작은 도메인의 1차 DDNS 서버로부터 더 큰 도메인의 상위 계층 DDNS 서버를 검색하여 착신자의 동적 IP 주소 정보를 획득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DNS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 발신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의 단계 S31과 단계 S32에 의해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DHCP 서버로부터 동적 IP 주소를 할당받고, DDNS 서버에 새로 할당받은 동적 IP 주소를 갱신한다. 이 상태에서, 이용자가 인터넷 접속 가능한 데이터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통화를 원하는 착신자 정보를 포함한 발신호를 발생시킨다(S41). 해당 발신호의 착신자가 PSTN 가입자이면(S42), 해당 발신호는 VoIP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해 해당 착신자가 속한 VoIP 게이트웨이에 전달되고, 이 VoIP 게이트웨이에서 아날로그로 복원된 후 PSTN망을 통해 착신자에게 전달된다. 착신자로부터 응답이 오면 해당 음성신호는 PSTN망에서 VoIP 게이트웨이로 전달되어 처리된 후에 인터넷을 통해 발신자 단말기가 접속된 유무선랜망에 전달되며, 이 유무선랜망의 VoIP 서버에 의해 처리되어 해당 발신자 단말기에 전달됨으로써, 데이터통신 디지털 단말기와 외부 일반전화기 사이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S44).
한편, 단계 S42에서 단말기에서 발생한 발신호의 착신자가 다른 유무선랜망의 데이터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발신호에 착신자 네임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착신측 유무선랜망의 1차 DDNS 서버는 착신자 네임 정보를 이용하여 착신자 IP 주소를 획득한다(S43). 1차 DDNS 서버에 착신자 IP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상위 계층 DDNS서버에서 착신측 IP 주소를 획득하고(S45), 상위 계층 DDNS 서버에도 해당 착신자 IP 주소 정보가 없으면 착신자가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가 아니므로 통화 연결을 중지한다. 그러나, 1차 DDNS 서버 또는 상위 계층 DDNS 서버에서 착신자 네임에 매칭되는 착신자 IP 주소 정보가 획득되면, 착신자측 VoIP 서버는 발신호를 처리하고 통화로를 할당하며(S46), 외부의 발신측 데이터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데이터통신 단말기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S47). 이 통화로는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요청에 따라 해제된다(S48).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 에이전트(HA)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 착신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용자가 데이터통신 단말기를 파워 온시키면 해당 단말기가 초기화되면서 전원이 인가된다. 데이터통신 단말기는 초기 전원 온되면 무선 억세스 포인트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받는다. 단말기의 전원이 온되거나 혹은 단말기 이용자가 인터넷 접속을 요구하면, 무선 억세스 포인트와 라우터를 통한 경로로 DHCP 서버로부터 해당 단말기에 동적 IP가 할당된다.
즉, DHCP 서버는 해당 단말기에 할당할 가용 동적 IP 주소가 있는 지를 확인하고(S51), 가용 동적 IP 주소가 있으면 이 동적 IP 주소를 관할하는 홈 에이전트에 등록할 지를 결정한다(S52). 새로이 할당된 동적 IP 주소를 홈 에이전트에 등록할 경우, 홈 에이전트는 해당 데이터통신 단말기를 인증하고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전화번호)를 새로 할당된 동적 IP 주소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해당 단말기에 동적 IP 주소를 할당한다(S53). 이렇게 단말기에 동적 IP 주소가 할당되면 단말기는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연결 중인 상태에서 인터넷을 통해 외부로부터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전달될 착신호가 수신되면(S54), 라우터는 이 착신호에서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전화번호)를 취하고, 1차 홈 에이전트로 해당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주소를 문의한다. 1차 홈 에이전트는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착신측 단말기의 동적 IP 주소를 찾는다(S55). 1차 홈 에이전트에서 착신측 단말기의 동적 IP 주소를 획득할 수 없으면 상위 계층의 홈 에이전트에서 착신측 단말기의 동적 IP 주소를 획득한다(S56). 이렇게 하여 착신호에 포함된 착신측 IP 주소가 획득되면, VoIP 서버는 착신호를 처리하고 통화로를 할당하여(S57), 외부의 발신자와 착신측 데이터통신 단말기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58). 이 통화로는 착신자의 요청에 따라 해제된다(S59).
이 홈 에이전트도 도메인의 크기별로 계층적으로 1차, 2차 홈 에이전트(HA)로 나누어지며, 본 발명에서는 작은 도메인의 1차 홈 에이전트(HA)로부터 더 큰 도메인의 상위 계층 홈 에이전트를 검색하여 착신자의 동적 IP 주소 정보를 획득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홈 에이전트(HA)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 발신방법을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의 단계 S51 내지 단계 S52에 의해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DHCP 서버로부터 동적 IP 주소를 할당받고, 홈 에이전트에 단말기의 동적 IP 주소를 갱신 등록하여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인터넷 접속 가능한 상태에서, 이용자가 인터넷 접속 가능한 데이터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고 통화를 원하는 착신자 정보를 포함한 발신호를 발생시킨다(S61). 해당 발신호의 착신자가 PSTN 가입자이면(S62), 해당 발신호는 VoIP 서버에서 처리되어 인터넷을 통해 해당 착신자가 속한 VoIP 게이트웨이에 전달되고, 이 VoIP 게이트웨이에서 PSTN망을 통해 착신자에게 전달된다. 착신자로부터 응답이 오면 해당 음성신호는 PSTN망에서 VoIP 게이트웨이로 전달되어 처리되고 인터넷을 통해 발신자 단말기가 접속된 유무선랜망에 전달되며, 이 유무선랜망의 VoIP 서버에 의해 처리되어 해당 발신자 단말기에 전달됨으로써, 데이터통신 디지털 단말기와 일반 아날로그 전화기 사이에서의 통화가 이루어진다(S63).
한편, 단말기에서 발생한 발신호의 착신자가 다른 유무선랜망의 데이터통신 단말기이고, 상기 발신호에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VoIP가 발신호를신호처리하고 통화로를 할당하여 착신자가 접속된 유무선랜망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착신측 유무선랜망에서는 착신자의 전화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홈 에이전트에서 착신측 IP 정보를 획득하고(S64), 착신자측 VoIP 서버는 발신호를 처리하고 통화로를 할당하며(S65), 발신자 단말기는 착신측 VoIP 서버에서 할당된 통화로를 통해 통화가 가능해진다(S66). 이 통화로는 발신자 또는 착신자의 요청에 따라 해제된다(S67).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DHCP 서버로부터 동적 IP 주소가 할당되면, 이를 DDNS 서버 또는 홈 에이전트에 저장해놓고 있다가 외부의 데이터통신 단말기나 아날로그 일반 사용자로부터 착신호가 수신되면, DDNS 서버 또는 홈 에이전트에서 해당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주소를 찾아서 발신자와 착신자를 통화 가능 상태로 연결해줌으로써, 동적 IP 주소를 할당하는 통신 환경에서도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인터넷 전화 착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1)

  1. 다수의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유무선상으로 연결된 유무선랜망에서, 임의의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유무선랜망 외부의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랜망에 접속하여 동적 IP를 할당받고, 음성 통화 착발신 서비스를 제공받는 데이터통신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동적 IP를 할당하는 동적 호스트 구성프로토콜(DHCP) 서버;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동적 호스트 구성프로토콜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정보와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적IP 정보 저장수단;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생한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인터넷으로 발송되도록 하고, 상기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하는 VoIP 서버; 및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와 동적 호스트 구성프로토콜 서버와 동적 IP 정보 저장수단과 VoIP 서버와 각각 접속되고 상기 인터넷에 접속되어, 상기 동적 IP 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VoIP 서버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전달하거나, 상기 VoIP 서버에서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인터넷에 전달하는 라우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는 상기 동적 IP 정보 저장수단에 주기적으로 현재의 동적 IP 정보 갱신요청을 하고,
    상기 동적 IP 정보 저장수단은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전달되는 현재의 동적 I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네임과 현재의 동적 IP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IP 정보 저장수단은,
    상기 동적 호스트 구성프로토콜 서버에서 새롭게 할당된 동적 IP를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고유호출번호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위치등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등록기는 홈 에이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는 무선랜카드 또는 유선랜카드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랜으로 접속하는 데이터통신 단말기와 상기 라우터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연결하는 무선 억세스 포인트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6. 다수의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유무선상으로 연결된 유무선랜망에서, 임의의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인터넷을 통해 상기 유무선랜망 외부의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로부터 인터넷 접속 요구가 입력되면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동적 IP 주소를 할당하는 동적 IP 할당단계;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할당된 동적 IP 주소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동적 IP 정보 저장단계;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유휴 상태에서, 상기 외부의 단말기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로 전달될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정보를 검색하는 동적 IP 정보 검색단계; 및
    상기 동적 IP 정보 검색 후, 상기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고 상기 검색된 동적 IP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전달하는 음성 전송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IP 정보 저장단계는,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현재의 동적 IP 정보 갱신요청하고 동적 도메인 네임서버가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네임과 현재의 동적 IP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IP 정보 검색단계는,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네임을 이용하여 상기 동적 도메인 네임서버를 검색하여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주소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IP 정보 저장단계는,
    상기 동적 IP 할당단계에서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에 동적 IP 주소가 할당될 때, 홈 에이전트가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고유 호출번호와 상기 할당된 동적 IP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IP 정보 검색단계는,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고유식별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홈 에이전트를 검색하여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의 동적 IP 주소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외부의 단말기에 전달할 착신자 정보를포함한 음성 데이터가 전송되면, 상기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인터넷을 통해 상기 외부의 단말기에 발송하는 음성 발송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방법.
KR10-2001-0053858A 2001-09-03 2001-09-03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및 방법 KR100427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858A KR100427771B1 (ko) 2001-09-03 2001-09-03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858A KR100427771B1 (ko) 2001-09-03 2001-09-03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163A true KR20030020163A (ko) 2003-03-08
KR100427771B1 KR100427771B1 (ko) 2004-04-30

Family

ID=2772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858A KR100427771B1 (ko) 2001-09-03 2001-09-03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77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879B1 (ko) * 2002-11-11 2005-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인터넷 전화용 통신 단말장치
KR100706362B1 (ko) * 2004-12-29 2007-04-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방법
KR100914036B1 (ko) * 2007-12-05 2009-08-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Ip주소가 할당되지 않은 호스트에 착신서비스가가능하도록 하는 ip주소 동적할당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719A (ja) * 1997-12-05 1999-07-02 Chuo System Giken Kk データ交換方式及びデータ交換処理をコンピュータ上で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憶媒体
KR100295456B1 (ko) * 1998-11-24 2001-11-22 이계철 인터넷 액세스 단말간 인터넷 프로토콜 레벨 연결성 제공방법
JP2001203806A (ja) * 2000-01-19 2001-07-27 Oki Electric Ind Co Ltd Dhcp対応の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
KR20020071414A (ko) * 2001-03-06 2002-09-12 (주)애니 유저넷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한 인터넷폰 실시간 접속 유지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879B1 (ko) * 2002-11-11 2005-03-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무선 인터넷 전화용 통신 단말장치
KR100706362B1 (ko) * 2004-12-29 2007-04-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의 네트워크 접속방법
KR100914036B1 (ko) * 2007-12-05 2009-08-28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Ip주소가 할당되지 않은 호스트에 착신서비스가가능하도록 하는 ip주소 동적할당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7771B1 (ko) 200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9515B2 (en) Device and method of managing data communications of a device in a network via a split tunnel mode connection
US6614774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mobile server and peer-to-peer services with dynamic DNS update
US6731621B1 (en) Mobil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IP packet communications and method for routing IP packets
US20070183408A1 (en) Mobile network, station, server and method for assigning to a mobile station a fixed and public ip address
US20020095516A1 (en) Internet telephone system and internet telephone apparatus
CN101543012B (zh) 通信系统
CN101375576A (zh) 使用pstn传送ip地址用于点对点文本、话音、视频或数据通信
KR20040032911A (ko) 공중 무선 lan
JP2004511130A (ja) データネットワークへのデータ端末装置のコネクションのための方法
JP4421855B2 (ja) タイプ別に端末装置に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の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ためのサーバおよび方法
US7836150B2 (en) Point-to-point communication using UPnP protocol
KR100427771B1 (ko) Lan 기반 인터넷 전화 착발신 장치 및 방법
JP3856427B2 (ja) 端末間の接続方法
KR100513022B1 (ko) 무선 고속 데이터 시스템에서 공중망과 사설망의 데이터위치 저장기 공통 사용 방법 및 시스템
KR100456311B1 (ko) 무선 랜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통신단말기간 피어투피어모드 통신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566837B1 (ko) 지능형 네트워크 접속 장치 및 네트워크 접속 방법
JP4534323B2 (ja) 移動体網インタフェース手段を備えた電話機,および,その通信システム
JP412563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WO2005091666A1 (ja)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KR200316752Y1 (ko) 일시적 id 등록 및 통신 중계 기능을 갖는 게이트키퍼
KR20040083315A (ko) 보이스 오버 아이피 서비스를 지원하는 아이피 공유기 및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JP3737720B2 (ja) 通話システム、及び通話システム用プログラム
KR100514903B1 (ko) 일시적 id 등록 및 통신 중계 기능을 갖는 게이트키퍼
JP4198893B2 (ja) グローバル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て加入者装置と通信する方法
KR20040088326A (ko) 보이스 오버 아이피 서비스를 지원하는 복합 아이피 공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