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062A - 납골묘지 - Google Patents
납골묘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20062A KR20030020062A KR1020010052359A KR20010052359A KR20030020062A KR 20030020062 A KR20030020062 A KR 20030020062A KR 1020010052359 A KR1020010052359 A KR 1020010052359A KR 20010052359 A KR20010052359 A KR 20010052359A KR 20030020062 A KR20030020062 A KR 200300200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one
- chamber
- wall
- coupled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자의 시신을 화장하여 그 유골을 납골함에 보관하는 가족 납골묘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납골묘지를 이중벽으로 구성하여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와 석실 내부가 함께 환기되어 유골이 안치된 석실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납골묘지가 흙 봉분으로 씌워져 지하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석실 내부에 상당한 습기가 발생됨에 따라 다습하여 냄새가 심하게 발생할 뿐 아니라 납골함이 쉽게 부식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납골묘지는 내,외벽(43)으로 이루어진 이중벽으로 구성되고, 덮개석(40)과 천장석(41)으로 이루어진 이중천장으로 구성되어 석실 내부가 봉분(1)의 흙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뿐 아니라 각각의 연결부는 방수 처리되어 석실 내부에 습기가 침투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석실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석실 내부와 이중벽과 이중천장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50)에는 외부 공기가 각각 유입된 후 납골묘지의 상부 환기통(60)을 통해 배출되면서 자연 환기되는 것이므로 석실 내부에 발생되는 습기, 결로 및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납골묘지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망자의 시신을 화장하여 그 유골을 납골함에 보관하는 가족 납골묘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납골묘지를 이중벽으로 구성하여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와 석실 내부가 함께 환기되어 유골이 안치된 석실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고유의 장례제도는 시신을 매장한 후 봉분(封墳)을 형성함에 따라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게 되어 한정된 국토 내에서 묘지의 확보에 심각한 부족현상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일 뿐 아니라, 조상들의 묘지가 여러 곳으로 분산되어있기 때문에 성묘나 벌초를 할 때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적 문제 때문에 정부에서도 납골당(納骨堂) 형식의 장례제도를 적극권장하고 있으나 우리의 정서와는 상당한 거리감이 있어 쉽게 수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봉분을 형성한 묘지의 내부에 석실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납골함을 다단으로 설치한 봉분식 가족 납골묘지가 제안된 바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납골묘지가 흙 봉분으로 씌워져 지하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석실 내부에 상당한 습기가 발생됨에 따라 다습하여 냄새가 심하게 발생할 뿐 아니라 납골함이 쉽게 부식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특히, 납골묘지는 주로 전원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산중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전력(電力)에 의하여 강제 송풍되는 환기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함에 따라 석실 내부를 효과적으로 환기시킬 수 없었다.
따라서, 납골묘지의 관리가 상당히 불편할 뿐 아니라 실내를 주기적으로 환기시켜 습기를 제거해야하므로 석실 내부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납골묘지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납골묘지의 석실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습기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납골묘지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바닥 기초 위에 놓여진 기단석(10)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세워지며, 그 내측에는 공기 유통홈(22)들이 형성된 지주(20)와; 상기 지주(20)들의 상부에서 격자형으로 결합되어 지주(20)들에 의하여 지탱되는 대들보(30)와; 상기 지주(20)들의 내,외측에서 일정간격을 이루어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는 내벽(42)과 외벽(43); 상기 대들보(30)의 상,하부에서 일정간격을 이루어 수평으로 결합되는 덮개석(40)과 천장석(41); 상기 내벽(42)과 외벽(43), 덮개석(40)과 천장석(41)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50)와; 격자형으로 결합된 대들보(30) 중앙에 형성된 유통구(32)에 씌워지며, 석실의 내부 및 공간부(5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통(60)과; 상기 석실의 내벽(42)에서 다단으로 설치되어 납골함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 선반(70)과; 상기 지주(20)들 중 전면 중앙 양측에 위치된 지주(20)들 사이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는 출입문(80)과; 상기 출입문(80)의 하부에 놓여진 받침석(90)의 저면에는 석실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유입구(91)와 공간부(50)와 연통되는 제2유입구(92)가 각각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석실의 내부와 공간부(50)로 유입시켜 환기통(60)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지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납골묘지의 전방에 아치형 게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납골묘지에 봉분을 씌운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납골묘지에 지주들이 세워진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를 확대하여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납골묘지의 지붕에 장착된 환기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봉분 2 : 둘레석
10 : 기단석 11 : 가이드홈
20 : 지주 21, 31 : 안내홈
22 : 유통홈 30 : 대들보
32 : 유통구 40 : 덮개석
40a : 배기공 41 : 천장석
42 : 내벽 43 : 외벽
50 : 공간부 60 : 환기통
61 : 케이싱 62 : 통로
63 : 배출구 64 : 흡입구
65 : 덕트 66 : 투명창
70 : 선반 80 : 출입문
81 : 게이트 90 : 받침석
91 : 제1유입구 92 : 제2유입구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납골묘지가 설치되는 곳을 정리하여 수평을 이루는 바닥에는 콘크리트 기초가 되어 있고, 기초 위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기단석(10)들이 놓여져 있다.
상기 기단석(10)의 둘레에는 돌기둥으로 이루어진 지주(20)들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고, 지주(20)의 내측면 상,하부에는 공기 유통홈(22)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주(20)들의 상부에는 석재로 이루어진 대들보(3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대들보(30)는 격자형으로 결합되어 지주(20)들에 의하여 지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주(20)들의 내,외측에는 안내홈(21)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홈(21)들에는 석재로 이루어진 내벽(42)과 외벽(43)이 일정간격을 이루어 각각 수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내벽(42)과 외벽(43)들 사이에는 공간부(50)가 형성된다.
상기 공간부(50)는 지주(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유통홈(22)에 의하여 전체가 서로 연통된다.
상기 대들보(30)의 상,하부에도 안내홈(31)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홈(31)들에는 덮개석(40)과 천장석(41)이 일정간격을 이루어 각각 수평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덮개석(40)과 천장석(41)들 사이에도 공간부(50)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50)는 내,외벽(42)(43)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50)와 서로 연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납골묘지는 이중벽과 이중 천장으로 구성되고 방수재로 밀폐되어 석실 내부로 외부의 습기가 침투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상기 대들보(30)는 격자형으로 결합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석실의 내부와 연통되는 유통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통구(32)에는 환기통(60)이 씌워져 석실의 내부 및 공간부(5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환기통(60)은 그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는 투명창(66)이 씌워진 케이싱(61)으로 형성되고, 환기용 통로(62)를 갖는 이중벽으로 구성되어 석실 내부의 공기는 격자형 대들보(30)에 형성된 유통구(32)와 케이싱(61)의 내부를 통해 케이싱(61)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63)를 통해 배출되고, 공간부(50)를 통해 이송되는 공기는 덮개석(40)에 뚫려진 배기공(40a), 덕트(65)와 케이싱(61) 하부에 뚫려진 흡입구(64)를 통해 이중벽 사이의 환기용 통로(62)를 거쳐 케이싱(61)의 상부 배출구(63)를 통해 배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환기통(60)은 석실 내부의 공기와 공간부(50)의 공기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각각 별도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그 상부에 장착된 투명창(66)에 의하여 석실 내부에 자연 채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석실의 내벽(42)에는 다단으로 구성된 선반(7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선반에는 납골함이나 납골단지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주(20)들 중 전방 중앙 양측에 위치된 지주(20)들 사이에는 출입문(80)이 힌지 결합되어 여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출입문(80)을 통해 석실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출입문(80)의 하부에는 받침석(90)이 놓여져 있고, 받침석(90)의 저면 중앙에는 석실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유입구(9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유입구(91) 양측에는 "┓"형으로 절곡된 제2유입구(92)가 각각 형성되어 기단석(10)에 뚫려진 가이드홈(11)을 통해 공간부(50)와 연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가 받침석(90)의 저면에 형성된 제1유입구(91)를 통해 석실 내부로 유입되고, 제2유입구(92)를 통해 내벽(42)과 외벽(43), 덮개석(40)과 천장석(4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50)로 각각 유입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출입문(80)의 전방에는 아치형 게이트(81)가 설치되어 있고, 납골묘지의 외부에는 둘레석(2)을 갖는 흙 봉분(1)이 씌워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받침석(90)의 저면에 형성된 제1유입구(91)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석실 내부로 유입된 후 석실 상측에 장착된 환기통(60)의 케이싱(61) 내부를 통해 배출구(63)로 배출되어 석실 내부가 환기되는 동시에 받침석(90) 저면의 제2유입구(92)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내벽(42)과 외벽(43), 덮개석(40)과 천장석(4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50)와 환기통(60)의 내,외벽 사이에 형성된 환기용 통로(62)를 통해 배출구(63)로 배출되어 공간부(50)가 환기되는 것이므로 석실 내부와 공간부(50)가 동시에 환기되어 습기 및 악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납골묘지는 내,외벽(43)으로 이루어진 이중벽으로 구성되고, 덮개석(40)과 천장석(41)으로 이루어진 이중천장으로 구성되어 석실 내부가 봉분(1)의 흙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뿐 아니라 각각의 연결부는 방수 처리되어 석실 내부에 습기가 침투할 수 없는 구조이므로 석실 내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석실 내부와 이중벽과 이중천장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50)에는 외부 공기가 각각 유입된 후 납골묘지의 상부 환기통(60)을 통해 배출되면서 자연 환기되는 것이므로 석실 내부에 발생되는 습기, 결로 및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여 납골묘지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3)
- 바닥 기초 위에 놓여진 기단석(10)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세워지며, 그 내측에는 공기 유통홈(22)들이 형성된 지주(20)와;상기 지주(20)들의 상부에서 격자형으로 결합되어 지주(20)들에 의하여 지탱되는 대들보(30)와;상기 지주(20)들의 내,외측에서 일정간격을 이루어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는 내벽(42)과 외벽(43);상기 대들보(30)의 상,하부에서 일정간격을 이루어 수평으로 결합되는 덮개석(40)과 천장석(41);상기 내벽(42)과 외벽(43), 덮개석(40)과 천장석(41)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50)와;격자형으로 결합된 대들보(30) 중앙에 형성된 유통구(32)에 씌워지며, 석실의 내부와 공간부(5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기통(60)과;상기 석실의 내벽(42)에서 다단으로 설치되어 납골함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 선반(70)과;상기 지주(20)들 중 전면 중앙부 양측에 위치된 지주(20)들 사이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는 출입문(80)과;상기 출입문(80)의 하부에 놓여진 받침석(90)의 저면에는 석실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유입구(91)와 공간부(50)와 연통되는 제2유입구(92)가 각각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석실의 내부와 공간부(50)로 유입시켜 환기통(60)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통(60)은 그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는 투명창(66)이 씌워진 케이싱(61)으로 형성되고, 환기용 통로(62)를 갖는 이중벽으로 구성되어 석실 내부의 공기는 격자형 대들보(30)에 형성된 유통구(32)와 케이싱(61)의 내부를 통해 그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63)를 통해 배출되고, 공간부(50)를 통해 이송되는 공기는 덮개석(40)에 뚫려진 배기공(40a), 덕트(65)와 케이싱(61) 하부에 뚫려진 흡입구(64)를 통해 이중벽 사이의 환기용 통로(62)를 거쳐 케이싱(61)의 상부 배출구(63)를 통해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80)의 전방에는 아치형 게이트(81)가 설치되고, 납골묘지의 외부에는 둘레석(2)을 갖는 흙 봉분(1)이 씌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52359A KR100402655B1 (ko) | 2001-08-29 | 2001-08-29 | 납골묘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52359A KR100402655B1 (ko) | 2001-08-29 | 2001-08-29 | 납골묘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20062A true KR20030020062A (ko) | 2003-03-08 |
KR100402655B1 KR100402655B1 (ko) | 2003-10-22 |
Family
ID=27721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52359A KR100402655B1 (ko) | 2001-08-29 | 2001-08-29 | 납골묘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0265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1076Y1 (ko) * | 1994-10-11 | 1998-10-15 | 김경일 | 납골묘 |
KR200185323Y1 (ko) * | 1997-11-14 | 2000-06-15 | 허성남 | 배수·환기구가 설치된 납골묘 |
KR200245086Y1 (ko) * | 1999-02-26 | 2001-09-29 | 김정길 | 화장과 매장 유골 겸용 납골당 |
KR200200935Y1 (ko) * | 2000-05-23 | 2000-10-16 | 전창옥 | 납골묘 |
KR200201553Y1 (ko) * | 2000-06-02 | 2000-11-01 | 김정길 | 조립식 석재 납골당 |
KR200262431Y1 (ko) * | 2001-08-20 | 2002-03-18 | 이의영 | 조립식 납골묘지 |
-
2001
- 2001-08-29 KR KR10-2001-0052359A patent/KR10040265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02655B1 (ko) | 2003-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7103717B2 (ja) | 墓 | |
KR100402655B1 (ko) | 납골묘지 | |
JP2006265824A (ja) | 建築物用通風塔 | |
JP2002201804A (ja) | 建物における収納部構造 | |
EP0482670B1 (en) | Burial monument vault air circulation and filtration system | |
CN112459600A (zh) | 一种双层塔台式陵寝 | |
KR200383875Y1 (ko) | 납골묘 | |
JP3194023U (ja) | 墓の納骨室の換気構造 | |
KR100324996B1 (ko) | 납골당 및 그 시공방법 | |
KR200359006Y1 (ko) | 통풍구를 갖는 납골묘 | |
KR100337374B1 (ko) | 터널식 납골묘 | |
KR200297904Y1 (ko) | 향상된 환기기능을 가지는 납골묘 | |
KR200304427Y1 (ko) | 납골묘의 은폐형 통풍장치 | |
KR200356593Y1 (ko) | 자연 환기가 가능한 납골묘 | |
KR100337370B1 (ko) | 봉분식 납골묘 | |
KR19990017655U (ko) | 전통원형묘지형태의납골당 | |
KR200335516Y1 (ko) | 납골당 | |
KR200227287Y1 (ko) | 조립식 석재 납골당 | |
KR200356617Y1 (ko) | 가옥형 납골묘 | |
KR200193116Y1 (ko) | 납골당 | |
KR200329524Y1 (ko) | 납골묘 | |
JP2007132152A (ja) | 建物 | |
KR200287348Y1 (ko) | 납골용 가족묘소 | |
KR200291963Y1 (ko) | 납골묘 | |
KR100306307B1 (ko) | 납골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