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9036A -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및 방법, 발아식품의 생산장치 및방법, 발효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및 방법, 발아식품의 생산장치 및방법, 발효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9036A
KR20030019036A KR1020010068927A KR20010068927A KR20030019036A KR 20030019036 A KR20030019036 A KR 20030019036A KR 1020010068927 A KR1020010068927 A KR 1020010068927A KR 20010068927 A KR20010068927 A KR 20010068927A KR 20030019036 A KR20030019036 A KR 20030019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temperature
far
moisture
infrared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이가노보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비아노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비아노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비아노베
Publication of KR20030019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90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Grain Derivative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이 조정되어야 할 식품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여 수분 조정 식품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수분 조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 발아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는 발아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며 또한, 발효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는 발효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 식품용 수분 조정고(30)와, 수분 조정고(30) 내에 마련되고, 식품(m)을 향해 원적외선을 방사시키기 위한 면 형상의 원적외선 히터로서 통전에 의해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동시에, 온도의 상승에 따라 전기저항치가 상승하고, 상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전기저항치가 일정하게 되고, 40 내지 60℃의 식품 온도로 식품을 수분 조정시키는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1)와, 수분 조정 완료 전의 식품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식품 온도 상승 방지장치, 즉 배풍기(50) 및 배기량 조정장치(60)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및 방법, 발아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 발효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moisture of foo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 of germination foo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 of fermentation food}
본 발명은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및 방법, 발아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 발효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야채, 과실과 생선 및 조개류나 고기 등의 수분을 조정할 때에는 식품을 가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품 가열 온도가 너무 높으면, 식품에 포함되는 효소를 잃게되고, 단백질의 변성이나 열산화 등의 식품의 열화가 생긴다. 그래서, 종래부터 히터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식품을 건조시키는 기술이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3029588호특허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7 내지 12㎛ 파장의 원적외선을 식품에 방사하고, 또한, 45 내지 70℃의 건조 온도로 식품을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이 건조방법에 의해 식품을 건조시켜 식품에 포함되는 수분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발아식품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는, 최근에 비로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생산 기술로서 확립된 것이 적은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발아식품의 대표적인 것으로 현미의 발아가 있다. 이것은 현미를 25 내지 35℃의 물에 24시간 담구어 놓으면, 현미의 배아부(胚芽部)로부터 나오는 작은 싹을 말한다. 이 발아기의 현미에는 보통의 현미에는 함유량이 대단히 적은 영양 성분, 예를 들면 유리 아미노산, 감마 아미노부티르산(GABA), 항산화물질(페룰산(ferulic acid), 피트산(phytic acid), 토코트리엔올(tocotrienol), 이노시톨(inositol) 및 미네랄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건강식품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한편, 요구르트나 된장, 낫또(일본의 장류), 감주 등의 발효식품을 생산할 때에 최적 온도보다 고온이 되면 발효균을 잃게되고, 최적 온도보다 저온이 되면발효가 정지하게 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종래부터 히터 온도를 발효균이 없어지거나 정지하지 않는 일정한 온도로 하여 발효실 내의 발효식품의 원료를 가온하여 발효식품을 생산하여 왔다.
그런데, 종래 식품의 수분 조정 기술, 발아식품의 생산 기술 및 발효식품의 생산 기술에는 이하의 (i) 내지 (ⅲ)의 문제점이 있었다.
(i)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여 식품을 건조시키는 경우, 히터 온도는 일정 온도를 유지한다. 그런데, 식품의 온도는 건조초기에는 일정 온도를 유지하지만, 건조 완료 전에 급상승하여 버린다. 즉, 가령 히터 온도가 일정하더라도, 식품의 건조 완료 전에는, 증발하는 수분량이 격감하고, 수분증발에 의한 기화냉각 작용이 저감됨에 따라서 식품 온도의 급상승이 발생되고 그 결과, 식품의 품질 열화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ⅱ) 발아식품을 효율 좋게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다.
(ⅲ) 발효균이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발효균을 활성화시키는 요인에 관해 충분한 연구가 행해져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원적외선 히터를 사용하여 발효균을 활성화 시켜 발효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는 장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수분을 조정하여야 할 식품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여 수분 조정 식품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수분 조정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 발아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는 발아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 발효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는 발효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항의 수분 조정장치는, 식품용 수분 조정고와, 해당 수분 조정고 내에 마련되고, 식품을 향해 원적외선을 방사시키기 위한 면 형상의 원적외선 히터로서, 통전에 의해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동시에, 온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전기저항치가 상승하고 상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전기저항치가 일정하게 되고, 40 내지 60℃의 온도대에서 일정한 식품 온도로 식품을 수분 조정시키는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와, 수분 조정완료 전의 식품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식품 온도 상승 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항의 수분 조정장치는, 제 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분 조정고에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식품 온도 상승 방지수단이 상기 수분 조정고의 내부 공기를 배기구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배풍기와, 상기 수분 조정고의 내부 공기의 배기량을 조정하는 배기량 조정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항의 수분 조정장치는, 제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 온도 상승 방지수단이, 상기 원적외선 히터로의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항의 수분 조정장치는, 제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식품 온도 상승 방지수단이 상기 원적외선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항의 수분 조정장치는, 제 1항 또는 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품 온도 상승 방지수단이 상기 원적외선 히터로의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장치와, 상기 원적외선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항의 수분 조정장치는, 식품을 올려놓기 위한 적재대와 해당 적재대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식품을 향해 원적외선을 방사시키기 위한 면 형상의 원적외선 히터로서, 통전에 의해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동시에, 온도의 상승에 따라 전기저항치가 상승하고 상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전기저항치가 일정하게 되고, 40 내지 60℃의 식품 온도로 식품을 수분 조정시키는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와, 해당 원적외선 히터와 상기 적재대 사이에 부착된 신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항의 발아식품의 생산장치는, 제 1항 내지 6항에 기재된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와, 발아시킬 식품을 넣는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항의 발효식품의 생산장치는, 제 1항 내지 6항에 기재된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와, 발효시킬 식품을 넣는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항의 식품의 수분 조정방법은, 식품의 식품 온도가 40 내지 60℃의 온도대에서 일정 온도가 되도록, 해당 식품을 향해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항의 발아식품의 생산방법은, 발아시킬 식품을 물에 침적하고, 수온이 30℃로 일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식품을 향해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항의 발효식품의 생산방법은, 발효시킬 식품의 식품 온도가 30 내지 60℃의 온도대에서 일정 온도가 되도록, 해당 식품을 향해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항의 발명에 의하면, 원적외선 히터로부터 식품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이며, 식품을 40 내지 60℃의 식품 온도로 수분을 조정하기 때문에, 식품중의 효소를 잃지 않고서 활성화 시킨채로, 식품의 수분을 조정시킬 수 있다. 더구나, 식품의 수분 조정 시작으로부터 수분 조정 완료 전까지는 자기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에 의해 일정 온도로 식품을 수분 조정할 수 있고,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는, 식품 온도 상승 방지수단에 의해 식품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제 2항의 발명에 의하면, 배기량 조정장치에 의해, 배풍기로 수분 조정고의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는 따뜻한 공기의 배기량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온도가 수분 조정 완료 전에서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항의 발명에 의하면, 식품 수분 조정 완료 전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는, 전압 제어장치에 의해 원적외선 히터의 전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원적외선 히터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온도가 수분 조정 완료 전에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항의 발명에 의하면,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는, 전류 제어장치에 의해 원적외선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원적외선 히터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온도가 수분 조정 완료 전에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항의 발명에 의하면, 전류 제어장치 및 전압 제어장치를 병용함으로써,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을 모두 제어함으로써 원적외선 히터의 발열량을 의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식품의 수분 조정 시작으로부터 수분 조정완료 전까지는, 일정 온도로 식품을 수분 조정할 수 있고,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는, 식품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을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다.
제 6항의 발명에 의하면, 식품의 수분 조정이 진행함에 따라, 식품으로부터 수분이 증발하고 식품의 무게가 가벼워짐으로 신축스프링이 신장하여 원적외선 히터로부터 설치대가 식품과 함께 멀어진다. 이 때문에, 수분 조정 초기에는 수분 조정 가온을 강하게 하고, 수분 조정 종기에는 수분 조정 가온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 스페이스가 적어도 되기 때문에 가정용 수분 조정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 7항의 발명에 의하면, 용기 속에 발아시킬 식품을 넣고, 제 1항 내지 제 6항에 기재된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에 의해 식품을 가열하여 식품의 발아에 알맞은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함에 의해 발아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제 8항의 발명에 의하면, 용기 속에 발효시킬 식품을 넣고, 제 1항 내지 6항에 기재된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에 의해 식품을 가열하여 식품의 발효에 알맞은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함에 의해 유산균이나 누룩균 등의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효율 좋게 발효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제 9항의 발명에 의하면, 식품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이며, 식품을 40 내지 60℃의 일정한 식품 온도로 수분을 조정하기 때문에 식품중의 효소를 잃지 않고서 활성화 된채로, 식품을 수분 조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제 10항의 발명에 의하면, 발아시킬 식품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이며, 식품을 일정한 25 내지 35℃의 식품 온도로 가온하기 때문에 고품질의 발아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제 11항의 발명에 의하면, 발효시킬 식품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이며, 식품을 30 내지 60℃인 임의의 일정한 식품 온도로 가온하기 때문에 고품질의 모든 발효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원적외선 히터의 온도를 히터 온도, 수분을 조정하여야 할 식품의 온도를 식품 온도라 하여 구별하고 있다. 또한, 식품의 수분 조정이란, 식품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식품의 수분을 소망의 수분율로 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배기량 조정장치(60)의 블록도.
도 4는 도 1의 Ⅳ-Ⅳ선 단면도.
도 5는 전압 제어장치(70)의 블록도.
도 6은 전류 제어장치(80)의 블록도.
도 7은 원적외선 히터(1)의 평면도.
도 8은 원적외선 히터(1)의 도 3의 Ⅷ-Ⅷ선 단면도.
도 9는 면 형상 히터(10)의 모식도.
도 10은 면 형상 히터(10)의 발열체(11)의 작용 설명도로서, (A)는 상온시의 상태 모식도, (B)는 고온시의 상태 모식도.
도 11은 면 형상 히터(10)의 소비전력 특성 설명도.
도 12는 온도 55℃에 있어서의, 원적외선 히터(1)의 원적외선 특성 그래프로서, Fh는 원적외선 히터(1)의 원적외선 방사 특성 곡선, Fc는 표준 흑체의 특성 곡선.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면 형상 히터(10B)의 측면 단면도.
도 14는 실시예의 설명도.
도 15는 배풍 조정에 의한 온도 특성 그래프.
도 16은 배풍 조정 없는 상태에서의 온도 특성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적외선 히터 20 : 수분 조정장치
20B : 수분 조정장치 30 : 수분 조정고
33 : 흡기구 34 : 배기구
39B : 신축스프링 50 : 배풍기
60 : 배기량 조정장치 70 : 전압 제어장치
80 : 전류 제어장치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는 수분 조정고(30),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1) 및 도시하지 않은 식품 온도 상승 방지장치로 구성된 것이다.
우선, 수분 조정고(30)를 설명한다.
수분 조정고(30)는 식품을 수분 조정시키기 위한 식품용의 수분 조정고이다. 부호 31은 외벽으로서, 외벽(31)의 전면(前面)에는 식품을 출납하기 위해 개폐가 자유롭게 문(32)이 부착되어 있다. 바닥판(33)의 하부에는 흡기구(33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벽(31)의 안쪽에는 내벽(35)이 마련되어 있고, 외벽(31)과 내벽(35)과의 사이가 통풍로(36)로 되어 있다. 내벽(35)에는 적소에 통기구멍(35h)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통풍로(36)의 상부에는 덕트(37)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이 덕트(37)의 내부에는 배기구(34)가 형성되어 있다. 수분 조정고(30)의 내부에는 복수단의 원적외선 히터(1)가 병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기구(33h)로부터 수분 조정고(30)의 내부로 들어간 공기는 식품(m)의 표면을 통과하여, 통기구멍(35h)→ 통기로(36)→ 덕트(37)→ 배기구(34)의 순으로 빠져 나갈 수 있다.
인접하는 원적외선 히터(1) 사이에는 각각 수평한 설치대(38)가 마련되어 있다. 설치대(38)에는, 수분을 조정하여야 할 식품(m)이 놓여져 있다. 식품(m)으로서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다.
또한, 수분 조정고(30)의 크기에는 특별하게 한정은 없고 가정용의 작은 것이라도 좋다.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1)는 식품을 향해 원적외선을 방사시켜 식품을 수분 조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1)는 통전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면 온도의 상승에 따라 전기저항치가 상승하고 일정의 상한 온도에 도달하면 전기저항치가 일정하게 되는 성질을 갖고 있는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서 특히 중요한 식품 온도 상승 방지장치를 설명한다.
식품 온도 상승 방지장치는 배풍기(50) 및 배기량 조정장치(60)로 구성된 것이다.
우선, 배풍기(50)를 설명한다.
상기 수분 조정고(30)의 내부의 상부에는 예를 들면, 팬 등의 배풍기(50)가 배설되어 있다. 이 배풍기(50)에 의해 흡기구(33h)에서 빨려 들어온 공기를 수분 조정고(30)의 하부로 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공기는 수분 조정고(30)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하고, 통기구멍(35h)과 통풍로(36)를 통과하여 배기구(32)로부터 배기한다. 따라서, 빨아 들인 공기를 수분 조정고(30) 내에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배기량 조정장치(60)를 설명한다.
도 3은 배기량 조정장치(60)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량 조정장치(60)는 개폐 밸브(61), 개폐 콘트롤러(62) 및 타이머(63)로 구성된다.
개폐 밸브(61)는 수분 조정고(30)의 배기구(34)에 개폐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개폐 콘트롤러(62)는 개폐 밸브(61)에 개폐 명령을 보내 개폐 밸브(61)의 개폐 조정을 행할 수 있다. 개폐 콘트롤러(62)의 개폐 타이밍은 타이머(63)에 의해 행하여지고 있다. 타이머(63)에 수분 조정 완료시간을 미리 세트하여 두면, 수분 조정 완료시간의 조금 전에 타이머(63)로부터 개폐 콘트롤러(62)로 개폐 명령을 보낸다. 이 때문에, 개폐 밸브(61)의 개폐율을 조정함으로써 수분 조정고(30)의 내부로부터 배기구(34)를 통과하여 배기되는 배기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 제어식으로 수분을 조정시킬 식품 또는 발효시킬 식품의 생산 조건에 적합하도록 온도 변화를 자동적으로 콘트롤시켜도 좋다.
따라서,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에 배풍기(50) 및 배기량 조정장치(60)에 의해 식품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초기부터 30 내지 40℃ 전후로 식품 온도를 내리는 설정으로 하여 놓으면 된장, 요구르트 등의 발효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발효식품 중, 감주 등의 50℃ 정도의 고온으로 발효되는 발효식품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식품 온도 상승 방지장치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1)로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전압 제어장치(70)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전압 제어장치(70)에 의해 자기 온도 제어장치의 원적외선 히터(1)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에,전압 제어장치(70)에 의해 식품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식품 온도 상승 방지장치으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기 온도 제어장치의 원적외선 히터(1)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전류 제어장치(80)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전류 제어 장치(80)에 의해 자기 온도 제어장치의 원적외선 히터(1)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에 전류 제어장치(80)에 의해 식품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7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1)(이하 단지 원적외선 히터(1)라 칭함)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원적외선 히터(1)의 평면도, 도 8은 원적외선 히터(1)의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적외선 히터(1)는 면 형상 히터(10)의 모든 둘레면에 수지 필름(3)이 피복된 것이다. 부호 4는 전원 코드를 도시한다.
상기 수지 필름(3)은 연질 염화비닐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얇게 늘린 것으로서, 면 형상 히터(10)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필름(3)은 연질 염화비닐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뿐만 아니라, 원적외선을 투과시키는 것이라면 여러가지 재료가 채택될 수 있다.
다음에, 면 형상 히터(10)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면 형상 히터(10)의 모식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 형상 히터(10)는 통전에 의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원적외선 히터이며, 또한 매우 얇다. 이 면 형상 히터(10)는 매우 얇은 발열체(11)의 양면에 절연 필름(12)이 피복되고, 이 발열체(11)의 적소에 전극(13p, 13n)이 마련된 것이다.
발열체(11)는 약 10 내지 20미크론의 대단히 얇고, 가볍고, 굴곡성·내절곡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면은 물론 곡면에도 부착될 수 있고, 또한 늘려서 넓은 면적으로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발열체(11)는 통전되면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농도가 높게 되면 전기저항치가 커지는 것인데,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전극(13p, 13n)은 어느 것이나 전도성을 갖는 금속을 보통 방법에 의해 발열체(11)에 인쇄하여 부착하면 좋다. 절연 필름(12)은 절연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를 약 50 내지 200미크론의 두께로 늘린 것으로 라미네이트 가공에 의해 발열체(11)에 피복하면 좋다.
다음에, 면 형상 히터(10)의 발열체(11)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면 형상 히터(10)의 발열체(11)의 작용 설명도로서, (A)는 상온시의 상태 모식도, (B)는 고온시의 상태 모식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체(11)는 절연성 수지(17)에 세라믹인 어떤 원적외선 방사재료(14)와, 반도체 수지(15)와, 유전성 수지(16)를 혼합한 것이다. 반도체 수지(15)는 전기가 공급되면 발열한다. 원적외선 방사재료(14)는 가열되면 원적외선을 방사한다.
그런데, 대향하는 한 쌍의 도전체를 상당히 접근시켜 놓고, 이 한 쌍의 도전체간에 전압을 가하면, 가령 한 쌍의 도전체 사이에 절연체가 개재되어 있더라도, 한 쌍의 도전체간에는 그 사이의 거리에 대응한 전류가 흐른다는 유전 현상이 알려져 있다. 물론, 한 쌍의 도전체가 충분히 분리되어 버리면, 절연체의 개재에 의해한 쌍의 도전체간에 전기는 통하지 않는다. 유전성 수지(16)는 이와 같은 유전 현상을 조장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온시에서는 발열체(11)의 반도체 수지(15)와 유전성 수지(16) 사이에는 절연성 수지(17)가 개재되어 있지만 반도체 수지(15)와 유전성 수지(16)는 접촉 또는 상당히 접근되어 있고, 전극(13p, 13n) 사이에 연쇄(連鎖)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극(13p, 13n) 사이의 발열체(11)에 통전을 하면, 상기 유전현상에 의해 반도체 수지(15)와 유전성 수지(16)와의 연쇄에 전기가 흐른다. 이 통전에 의해 반도체 수지(15)는 발열하고, 이 발열에 의해 원적외선 방사재료(14)가 원적외선을 방사한다.
한편,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열체(11)는 그 온도가 높게 되면, 열팽창하여 부피는 증가한다. 반도체 수지(15)나 유전성 수지(16)는 그 주위를 절연성 수지(17)로 메우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발열체(11)가 열팽창하면, 상온시에 비교하여 유전성 수지(16)와 반도체 수지(15) 사이의 간격이 넓어진다. 전극(13p, 13n) 사이의 발열체(11)에 있어서의 반도체 수지(15)와 유전성 수지(16)와의 연쇄에 전기가 흐르기 어렵게 된다. 즉, 도전체인 반도체 수지(15)와 유전성 수지(16)와의 간격이 넓게 되기 때문에 상기 유전 현상에 의한 유전상태가 제한되어, 반도체 수지(15)와 유전성 수지(16)가 형성하는 연쇄에 흐르는 전류량이 저하한다.
상기와 같이, 발열체(11)는 그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전류가 흐르기 쉽고 발열되기 쉽게 된다. 반대로, 발열체(11)는 그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전류가 흐르기 어렵고 발열되기 어렵게 된다.
이 발열체(11)의 상한 온도는 주로, 반도체 수지(15)의 보유 저항치, 전극(13p, 13n) 사이의 전기저항치에 의해 결정되고, 절연성 수지(17)의 부피 팽창율에 의해서도 미묘하게 변동하기 때문에 이들의 값을 변경함에 의해 발열체(11)의 온도의 상한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발열체(11)의 발열량은 단위 면적당의 반도체 수지(15)의 밀도 및 유전성 수지(16)의 밀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절연성 수지(17)에 대한 반도체 수지(15)의 량의 비율을 증감시킴에 의해 발열체(11)의 발열량을 설정할 수 있다.
발열체(11)의 상한 온도는 식품의 수분 조정 온도가 40 내지 60℃가 되도록 설정하면 매우 알맞으며,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발열체(11)의 상한 온도를 식품의 수분 조정 온도가 55℃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만약에 발열체(11)의 상한 온도를 식품의 수분 조정 온도가 45℃를 넘지 않고 40℃ 전후가 되도록 설정하면, 식품중의 갈변(褐變) 효소에 의해 산화 갈변되기 쉽고, 수분 조정 식품의 맛 및 향기의 열화를 초래한다. 또한, 식품의 수분 조정 온도가 40℃ 전후보다도 낮게 되도록 설정하면, 식품의 수분 조정시간이 길게 되어 효율적이지 않다.
반대로, 발열체(11)의 상한 온도를 식품의 수분 조정 온도가 60℃를 넘도록 설정하면, 열에 의한 비효소 갈변이 촉진되어 식품의 품질을 열화시키거나 향기 성분을 현저하게 증발 분산 시킨다.
이 때문에, 발열체(11)의 상한 온도는 식품의 수분 조정 온도가 40 내지 60℃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알맞고, 특히 50 내지 55℃ 전후가 매우 알맞아 식품의갈변이나 향기 성분의 증발 분산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이 발열체(11)는 종래의 니크롬선, 카본섬유, 알루미늄선 등의 발열체와는 다르게 설정된 상한 온도를 넘어서 고온이 되지 않는다. 또한, 단선이나 단락에 의한 통전 불량 등에 의한 위험성이 없기 때문에 장시간 운전 이더라도 안전하게 안정된 조업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이 면 형상 히터(10)는 자기 온도 제어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면 형상 히터(10)를 사용함으로써, 온도 조정기를 부설하는 일 없이 히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더구나 히터 온도의 편차를 적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면 형상 히터(10)의 소비전력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면 형상 히터(10)의 소비전력 특성의 설명도로서, Ft는 면 형상 히터(10)의 온도 곡선이고, 종축이 온도치, 횡축이 경과시간이며, Fw는 면 형상 히터(10)의 소비전력 곡선으로서, 종축이 소비전력량, 횡축이 경과시간이다. 도 10의 Ft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면 형상 히터(10)는 그 히터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소비전력은 감소한다. 면 형상 히터(10)의 히터 온도는 설정된 상한 온도가 되면, 그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어, 일정 온도를 유지한다. 면 형상 히터(10)의 히터 온도가 일정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기간에는, 면 형상 히터(10)의 소비전력도 낮은 값 그대로 일정한 값을 유지한다. 이 때문에, 온도 조정기를 부설하지 않고도 쓸데 없는 열을 방출하는 일 없이 소비전력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다음에, 원적외선 히터(1)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온도 55℃에 있어서의, 원적외선 히터(1)의 원적외선 특성 그래프로서, Fh는 원적외선 히터(1)의 원적외선 방사 특성 곡선, Fc는 표준 흑체의 특성 곡선이다. 횡축은 파장을 도시하고 있고, 종축은 레벨을 도시하고 있다. 표준 흑체란 재료의 값을 매기는 기준으로서 이용되는 소재 또는 물질로서, 그 원적외선 방사 특성치가 현존하는 물질로서는 가장 높은 레벨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것으로서 확정된 것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적외선 히터(1)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레벨은 어떤 파장에 있어서도 표준 흑체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레벨에 접근하고 있다. 특히, 파장이 7 내지 12(㎛)의 파장대 R에서 원적외선 히터(1)는 표준 흑체의 레벨에 접근하고 있다. 이 파장대 R의 원적외선은 식물 조직으로의 흡수성 및 공진성(共振性)이 높고, 이 파장대 R의 원적외선에 의해 수분 조정이 촉진되기 쉽다. 즉, 현시점에서, 원적외선 히터(1)는 표준 흑체의 능력에 한없이 가까운 것이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에 의하면, 이하의 (1) 내지 (4)의 효과를 이룬다.
(1) 원적외선 히터(1)로부터 식품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으로서, 식품을 40 내지 60℃의 식품 온도로 수분을 조정하기 때문에 식품중의 효소를 잃지 않고서 활성화 시킨 채로 식품을 수분 조정시킬 수 있다.
더구나, 식품의 수분 조정 시작으로부터 수분 조정 완료 전까지는, 자기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1)에 의해 일정 온도로 식품을 수분 조정할 수 있고,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는, 식품 온도 상승 방지장치, 즉 배풍기(50) 및 배기량 조정장치(60)에 의해 식품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의 함수율이 10% 이하로 되었어도 수분 조정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수분 조정 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2) 배기량 조정장치(60)에 의해, 배풍기(50)로 수분 조정고(30)의 배기구(34)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는 따뜻한 공기의 배기량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온도가 수분 조정 완료 전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3)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는 전압 제어장치(70)에 의해 원적외선 히터(1)의 전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원적외선 히터(1)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온도가 수분 조정 완료 전에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4)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에서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는, 전류 제어장치(80)에 의해 원적외선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원적외선 히터(1)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온도가 수분 조정 완료 전에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전류 제어장치(70) 및 전압 제어장치(80)을 병용함으로써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을 모두 제어함으로써 원적외선히터(1)의 발열량을 의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B)를 설명한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면 형상 히터(10B)의 측면 단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B)는 원적외선 히터(1)의 표면에 신축 스프링(39B)를 사이에 두고 설치대(38B)를 배설하고, 이 설치대(38B)의 위에 식품(m)을 넣어 수분을 조정시키도록 한 구성이다. 설치대(38B)는 식품(m)을 넣어둘 수 있는 것으로서 금속제 이외의 것 이라면 좋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제의 접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신축스프링(39B)은 항상 신장되어 있지만, 가압에 의해 수축하는 스프링이다.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분 조정 전에는 신축 스프링(39B)은 식품(m)의 무게 때문에 줄어들어 있고, 식품(m)과 원적외선 히터(1) 사이의 거리는 짧다. 이 때문에 식품(m)을 강하게 수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식품(m)의 수분 조정이 진행됨에 따라, 식품(m)에서 수분이 증발하여, 식품(m)의 무게가 가벼워진다. 그러면,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스프링(39B)이 신장되기 때문에 식품(m)과 원적외선 히터(1) 사이의 거리는 벌어져 식품(m)의 수분 조정 정도가 완화된다. 따라서, 식품(m)을 수분 조정시키는 경우에 수분 조정 초기에는 수분 조정 가온을 강하게 하고 수분 조정 종기에는 수분 조정 가온을 약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B)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이며 설치 스페이스가 적어도 되기 때문에 가정용의 수분 조정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에 의한 식품의 수분 조정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에 의해 천연과즙야채즙, 야채·과실, 냉동용 생선회, 냉동용 야채, 생선 및 조개류, 생선 및 조개류 진미, 아마낫또, 해산물 조림 및 식육·조린 생선 등의 식품을 각 식품에 알맞은 온도로 가온하고, 수분을 조정하였다. 다음 표는, 각 식품마다 식품명, 가온 온도, 수분율, 효과를 기재한 표이다.
식품명 : 가온 온도 : 수분율 : 효과
천연과즙야채즙 : 55℃ 전후 : 약 30 내지 20%로 농축 : 천연과즙야채즙의
농축
야채·과실 : 55℃ 전후 : 잔류수분 10% 이하 : 야채·과실의 효소
활성 건조
냉동용 생선회 : 40℃ 전후 : 약 5% 정도 수분 제거 : 해동시 드립(drip)
의 방지
냉동용 야채 : 55℃ 전후 : 약 10%의 수분제거 : 해동시 드립의 방지
생선 및 조개류 : 40 내지 55℃ : 75 내지 50%의 수분제거 : 생선 및 조개류
의 포 건조
생선 및 조개류 : 40 내지 55℃ : 50 내지 70%의 수분제거 : 생선 및 조개류
진미 진미의 반건조
아마낫또 : 40℃ 전후 : 잔류 수분율 18% 정도 : 아마낫또의 마무리
건조
해산물 조림 : 55 내지 60℃ : 소정 수분율까지 농축 : 해산물 조림의
마무리 건조
식육·조린 생선 및 조개류 : 55 내지 60℃ : 건조 : 식육·조림 생선 및
조개류의 건조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에 의하면, 식품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으로서, 식품을 40 내지 60℃의 일정한 식품 온도로 수분을 조정하기 때문에 식품중에 효소가 활성 상태인 경우는, 효소를 잃지 않고서 활성화 시킨 채로 식품의 수분을 조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수분 조정된 건조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는 발아식품의 생산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를 사용한 발아식품의 생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용기에 현미와 물을 넣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에 의해 현미와 물이 들어간 용기를 30℃의 수온으로 24시간 가온함으로서 현미의 배아부로부터 작은 싹이 튼다. 이 발아기의 현미에는 보통의 현미에는 함유량이 대단히 적은 영양 성분, 예를 들면 유리 아미노산, 감마 아미노부티르산(GABA), 항산화물질(페룰산, 피트산, 토코트리엔올), 이노시톨 및 미네랄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를 발아식품의 생산장치로서 사용하면 발아시킬 식품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으로서, 식품을 일정한 30℃의 식품 온도로 가열하기 때문에 발아율이 높고, 고품질의 발아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는, 발효식품의 생산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를 사용한 발효식품의 생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용기에 요구르트나 된장, 낫또, 감주 등의 발효시킬 식품을 넣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에 의해 발효할 식품이 들어간 용기를 가온함으로서 발효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다음 표는, 발효식품별, 발효식품명, 가온 온도, 가온 시간을 기재한 표이다. 발효 숙성에서는 발효균이 유산균이거나 누룩균 또는 낫또균 등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각 균에 알맞은 온도로 관리를 하면 좋다.
발효식품명 : 가온 온도 : 가온시간
요구르트 : 30℃ : 약 8시간
된장 : 40℃ : 약 2주간
낫또 : 40℃ : 약 10시간
감주 : 60℃ : 약 8시간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를 발효식품의 생산장치로서 사용하면, 발효시킬 식품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으로서 식품을 30 내지 60℃인 임의의 일정한 발효 온도로 가열하기 때문에 고품질의 발효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를 사용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한 수분 조정장치(20)의 구성은 이하와 같다
수분 조정고(30)는 SUS304제로서 두께 0.8mm의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분 조정고(30)의 용적은 높이1420×폭1115×깊이855(mm)이다.
원적외선 히터(1)는 그 상한 온도가 75℃ 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m)은 양배추의 잎이다. 온도센서(C)를 양배추의 잎에 찌르고 주위를 양배추의 잎으로 덮었다. 이들을 설치대(38) 위에 놓아두었다. 설치대(38)는 소쿠리(basket)를 이용하고 있다.
도 15는 배풍 조정에 의한 온도 특성 그래프이다. 도 16은 배풍 조정 없는 상태에서의 온도 특성 그래프이다. 그래프의 종축은 온도[℃]이고 횡축은 경과 시간[시: 분]이며, 위쪽의 실천(實踐) 그래프(D1)는 원적외선 히터(1)의 히터 온도, 그래프(D2, D3)는 식품 온도, 그래프(D4)는 수분 조정고(30) 내의 온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풍 조정 없이, 식품(m)을 수분 조정하면, 수분 조정 초기 및 중기에서는 식품(m)으로부터의 수분 증발에 의한 기화냉각 작용에 의해 적정온도가 되는 50℃ 내지 55℃의 식품 온도가 유지되지만, 수분 조정 종료 직전에서는 식품(m)으로부터의 수분 증발이 감소하고 결과로서 기화냉각 효과가 없어져 재료식품 온도는 급격히 상승하여 적정온도 한계인 60℃를 넘는다. 60℃를 넘는 온도영역에서는 효소군을 잃게 되며, 또한 향기 성분도 급격히 증발하여 분산됨으로써 커다란 품질 열화를 초래하게 되어 버린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분 조정 마무리기 예를 들면, 시각 t1에 수분 조정고(30)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면 식품 온도는 낮게 되었다.
수분 조정 종료 직전의 식품 온도 상승 시기를 예측하고, 수분 조정 시작부터 20시간 후에 고(庫) 내의 환기량(배기량)을 200%로 증가시켜 식품 온도를 확인하였다. 결과로서, 배기량을 증가시킨 시점보다는 약 8℃ 내려가고, 수분 조정 종료 및 그 후에도 수분 조정 적정온도인 50℃ 내지 55℃로 식품 온도는 안정 되었다.
금번의 시험에 의해 다음 (1) 내지 (4)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수분 조정고(30) 내의 환기량(배기량)을 증가함에 의해 식품 온도의 상승 억제효과가 있다.
(2) 수분 조정 조건이 같으면 급격한 식품 온도 상승의 시기는 거의 정확히 예측할 수 있고, 타이머 등의 시한(時限) 장치로 농도 조정의 제어가 가능하다.
(3) 배풍량의 조절을 단계적으로 행하면, 더욱 치밀한 식품 온도 조정이나 식품 온도의 상하 조정도 가능하다.
(4) 수분 조정 종료 직전에 식품 온도가 급격히 상승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분 조정장치(20)에 의하면, 수분을 조정하여야 할 식품(m)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하여 수분 조정 식품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제 1항의 발명에 의하면, 원적외선 히터로부터 식품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으로서, 식품을 40 내지 60℃의 식품 온도로 수분을 조정하기 때문에 식품중의 효소를 잃지 않고서 활성화 시킨 채로, 식품을 수분 조정시킬 수 있다. 더구나, 식품의 수분 조정 시작에서부터 수분 조정 완료 전까지는 자기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에 의해 일정 온도로 식품을 수분을 조정할 수 있고,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에서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는 식품 온도 상승 방지수단에 의해 식품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수분 조정 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제 2항의 발명에 의하면, 배기량 조정장치에 의해 배풍기로 수분 조정고의 배기구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는 따뜻한 공기의 배기량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온도가 수분 조정 완료 전에서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항의 발명에 의하면,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에서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는, 전압 제어장치에 의해 원적외선 히터의 전압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원적외선 히터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온도가 수분 조정 완료 전에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항의 발명에 의하면,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는 전류 제어장치에 의해 원적외선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원적외선 히터로부터 방사되는 원적외선의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온도가 수분 조정 완료 전에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항의 발명에 의하면, 전류 제어장치 및 전압 제어장치를 병용함으로써,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 및 전압을 어느것이나 제어함에 의해, 원적외선 히터의 발열량을 의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식품의 수분 조정 시작부터 수분 조정 완료 전까지는, 일정 온도로 식품을 수분을 조정할 수 있고, 식품의 수분 조정 완료 전에서부터 수분 조정이 완료할 때까지는, 식품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 조정 식품을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다.
제 6항의 발명에 의하면, 식품의 수분 조정이 진행됨으로서 식품으로부터 수분이 증발하고, 식품의 무게가 가벼워짐으로, 신축 스프링이 신장하고, 원적외선 히터로부터 설치대가 식품과 함께 멀어진다. 이 때문에, 수분 조정 초기에는 수분 조정 가온을 강하게 하고, 수분 조정 종기에는 수분 조정 가온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 스페이스가 적어도 되기 때문에 가정용 수분 조정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 7항의 발명에 의하면, 용기 속에 발아할 식품을 넣어, 제 1항 내지 6항에 기재된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에 의해 식품을 가열하여 식품의 발아에 알맞은 온도를 일정하게 조절함에 의해 식품중의 효소를 잃지 않고서 활성화 시킨 채로 발아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제 8항의 발명에 의하면, 용기의 속에 발효할 식품을 넣고, 제 1항 내지 6항에 기재된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에 의해 식품을 가열하여 식품의 수분의 조정함에의해, 유산균이나 누룩균 등의 미생물을 활성화시켜 효율 좋게, 발효식품을 생산할 수 있다.
제 9항의 발명에 의하면, 식품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으로서 식품을 40 내지 60℃의 일정한 식품 온도로 수분을 조정하기 때문에 식품중의 효소를 잃지 않고서 활성화 시킨 채로, 식품을 수분 조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수분 조정 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제 10항의 발명에 의하면, 발아시킬 식품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으로서 식품을 일정한 25 내지 35℃의 식품 온도로 가온하기 때문에 고품질의 발아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제 11항의 발명에 의하면, 발효시킬 식품에 방사되는 원적외선은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으로서 식품을 30 내지 60℃인 임의의 일정한 식품 온도로 가온하기 때문에 고품질의 모든 발효식품을 효율 좋게 생산할 수 있다.

Claims (11)

  1. 식품용의 수분 조정고(調整庫)와,
    해당 수분 조정고 내에 마련되고, 식품을 향해 원적외선을 방사시키기 위한 면 형상의 원적외선 히터로서 통전(通電)에 의해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함과 함께, 온도의 상승에 따라 전기 저항치가 상승하고, 상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전기저항치가 일정하게 되고, 40 내지 60℃의 온도대에서 일정한 식품 온도로 식품을 수분 조정시키는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와,
    수분 조정 완료 전의 식품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식품 온도 상승 방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조정고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식품 온도 상승 방지수단이,
    상기 수분 조정고의 내부 공기를 배기구로부터 배출시키기 위한 배풍기와,
    상기 수분 조정고의 내부 공기의 배기량을 조정하는 배기량 조정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온도 상승 방지수단이, 상기 원적외선 히터로의 전압을 제어하는전압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온도 상승 방지수단이, 상기 원적외선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온도 상승 방지수단이, 상기 원적외선 히터로의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장치와,
    상기 원적외선 히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전류 제어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6. 식품을 올려놓기 위한 적재대와,
    해당 적재대의 아래쪽에 마련되고, 식품을 향해 원적외선을 방사시키기 위한 면 형상의 원적외선 히터로서 통전에 의해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함과 함께, 온도의 상승에 따라 전기저항치가 상승하고, 상한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전기저항치가 일정하게 되고, 40 내지 60℃의 식품 온도로 식품을 수분 조정시키는 자기 온도 제어형의 원적외선 히터와,
    해당 원적외선 히터와 상기 적재대 사이에 부착된 신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 기재된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와,
    발아시킬 식품을 넣는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식품의 생산장치.
  8. 제 1항 내지 제 6항에 기재된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와,
    발효시킬 식품을 넣는 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의 생산장치.
  9. 식품의 온도가 40 내지 60℃의 온도대에서 일정 온도가 되도록 해당 식품을 향해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의 수분 조정방법.
  10. 발아시킬 식품을 물에 침적하고,
    수온이 30℃로 일정 온도가 되도록 상기 식품을 향해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아식품의 생산방법.
  11. 발효시킬 식품의 온도가 30 내지 60℃의 온도대에서 일정 온도가 되도록 해당 식품을 향해 방사 에너지의 피크가 8 내지 10㎛ 파장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의 생산방법.
KR1020010068927A 2001-08-29 2001-11-06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및 방법, 발아식품의 생산장치 및방법, 발효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 KR200300190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9733A JP3521408B2 (ja) 2001-08-29 2001-08-29 食品の水分調整装置
JPJP-P-2001-00259733 2001-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9036A true KR20030019036A (ko) 2003-03-06

Family

ID=19087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927A KR20030019036A (ko) 2001-08-29 2001-11-06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및 방법, 발아식품의 생산장치 및방법, 발효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21408B2 (ko)
KR (1) KR2003001903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66B1 (ko) * 2010-11-29 2011-05-27 윤정환 게르마늄 원적외선 스팀열원 대류 순환 방식의 인삼 및 마늘 발효장치
KR101050821B1 (ko) * 2010-12-07 2011-07-21 윤정환 발효효소를 이용한 발효흑홍삼 및 그 제조방법과 발효도라지와 발효생강
CN110507209A (zh) * 2019-08-28 2019-11-29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烹饪方法和具有探针的智能烹饪器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0088B2 (ja) * 2010-05-07 2014-07-23 正明 丸山 米の乳酸醗酵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962110A (zh) * 2016-06-29 2016-09-28 南通双龙门食品有限公司 一种肉制品微生物发酵装置
JP6574406B2 (ja) * 2016-09-14 2019-09-11 有限会社サンテクノ久我 食品用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588B2 (ja) 1997-03-31 2000-04-04 株式会社雑賀電機製作所 乾燥食物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66B1 (ko) * 2010-11-29 2011-05-27 윤정환 게르마늄 원적외선 스팀열원 대류 순환 방식의 인삼 및 마늘 발효장치
KR101050821B1 (ko) * 2010-12-07 2011-07-21 윤정환 발효효소를 이용한 발효흑홍삼 및 그 제조방법과 발효도라지와 발효생강
CN110507209A (zh) * 2019-08-28 2019-11-29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烹饪方法和具有探针的智能烹饪器具
CN110507209B (zh) * 2019-08-28 2021-11-12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烹饪方法和具有探针的智能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61589A (ja) 2003-03-04
JP3521408B2 (ja) 200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3558A (en) Microwave steam heater with microwave and steam generators controlled to equalize workpiece inner and surface temperatures
ES2288364B2 (es) Aparato y metodo para la pasteurizacion de alimentos secos.
EP0838637B1 (en) Microwave heater
US20080145491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Unshelled Eggs
US5595109A (en) Food storage device with dehumidification means
KR20030019036A (ko) 식품의 수분 조정장치 및 방법, 발아식품의 생산장치 및방법, 발효식품의 생산장치 및 방법
WO2015113483A1 (zh) 双热源炒菜设备及炒菜方法
JP2007129994A (ja) 青梅又は完熟梅の加工処理装置並びに梅製品製造方法
US7798059B2 (en) Oven with improved stream chamber
CN205535998U (zh) 一种可调不同区域温度的保温加热电磁炉
JP3208184B2 (ja) 苗育成貯蔵庫
US9138012B2 (en) Apparatus for culturing plant materials as food product
JP3029588B2 (ja) 乾燥食物の製造方法
KR100211677B1 (ko) 맥반석을 이용한 구이계란의 제조방법
CN215687015U (zh) 一种空气炸锅
KR200313704Y1 (ko) 냉동식품의 저온 해동장치
CN218821175U (zh) 一种冰箱
CN104222874B (zh) 家用纳豆发酵设备及发酵方法
KR960011621B1 (ko) 냉장고의 김치숙성용기
CN220164683U (zh) 一种可调节温度的烤鳗鱼保温设备
KR930003103Y1 (ko) 냉장고 냉장실의 원적외선 조사(照射) 장치
KR101594653B1 (ko) 고추 건조 방법
US20120241436A1 (en) Apparatus for culturing plant materials as food product
KR102668274B1 (ko) 딸기 재배 하우스의 온도제어 방법
CN205649402U (zh) 一种空气炸热保温展示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