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712A - 동력발생장치 - Google Patents

동력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712A
KR20030018712A KR1020010053216A KR20010053216A KR20030018712A KR 20030018712 A KR20030018712 A KR 20030018712A KR 1020010053216 A KR1020010053216 A KR 1020010053216A KR 20010053216 A KR20010053216 A KR 20010053216A KR 20030018712 A KR20030018712 A KR 20030018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s
pulley
shaft
power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8712A/ko
Publication of KR2003001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71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개의 동력전달벨트(10)를 매개로 크랭크샤프트풀리(1)와 연결되면서 엔진(E)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된 동력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E)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크랭크샤프트풀리(1)와 동력전달벨트(10)를 매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풀리(2,3,4...8)가 풀리(2,3,4...8)들간의 조립공차(C)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조립공차 감소기능을 구비한 풀리축(20)에 결합되어져, 다수개의 풀리(2,3,4...8)들이 한 개의 동력전달밸트(10)를 매개로 연결될 때 조립공차(C)가 최대한 감소되거나 또는 없어지게 됨으로써, 원활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동력전달벨트(10)가 풀리(2,3,4...8)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풀리(1,2,3...8)의 파손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동력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들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면서 차량의 성능이 향상되어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동력발생장치{driven device of vehicle}
본 발명은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풀리들이 동력전달벨트에 의해 연결될 때 풀리들간의 조립공차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동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은 차량의 추진력을 발생할 뿐만 아니라 피스톤의 폭발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전장품 즉, 에어컨이나 유압을 이용한 파워스티어링과 브레이크 및 클러치는 물론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즉, 차량의 엔진(E)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크랭크샤프트풀리(1)에 파워스티어링풀리(2)와 에어컨풀리(3) 및 얼티네이터풀리(4)등이 동력전달벨트(10)에 의해 함께 회전되어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벨트(10)는 장기간의 작동에 따라 인장되면서 느슨해지는데, 이러한 동력전달벨트(10)의 느슨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오토텐셔너(4)에 의해 작동되는 텐셔너풀리(6)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풀리(1,2,3,4)간의 간격에 의한 동력전달벨트(10)의 느슨함을 방지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공회전되는 아이들러풀리(7,8)가 구비되어짐은 물론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동력전달용 풀리(1,2,3...8)들은 엔진룸의 설계시 레이아웃(Lay-Out)상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고, 이러한 제약에 의해 일부 풀리(2,3)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축상에 놓여지지 못한 상태에서 동력전달벨트(10)를 매개로 연결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이 다수개의 풀리(1,2,3...8)들이 한 개의 동력전달벨트(10)를 매개로 연결되면서 조립공차(C)가 계속적으로 누적되게 되면, 동력전달을 위해 상기 풀리(1,2,3...8)들이 회전할 때 상기 동력전달벨트(10)가 풀리(2,3)로부터 이탈되거나 또는 풀리(1,2,3...8)의 파손을 초래하여 주행중 대형사고를 유발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동력전달벨트에 의해 연결되는 다수개의 풀리가 풀리들간의 조립공차를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풀리축에 설치되어져, 동력전달을 위해 풀리들이 회전할 때 각각의 풀리를 연결하는 한 개의 동력전달벨트가 상기 풀리로부터 이탈되거나 또는 풀리의 파손을 예방하여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해 동력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들의 사용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된 동력발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개의 동력전달벨트를 매개로 크랭크샤프트풀리와 연결되면서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된 동력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크랭크샤프트풀리와 동력전달벨트를 매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풀리가 풀리들간의 조립공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조립공차 감소기능을 구비한 풀리축(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엔진의 동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동력발생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동력발생장치에 결합된 종래의 풀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공차 조절기능을 갖춘 풀리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리축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크랭크샤프트풀리 2,3,4...8 - 풀리
10 - 동력전달벨트 20 - 풀리축
21a - 결합홈 23 - 제2축
31 - 압축오일 32 - 오링
C - 조립공차 E - 엔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공차 조절기능을 갖춘 풀리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발생장치는 풀리들간의 조립공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풀리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차량의 엔진(E)은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크랭크샤프트풀리(1)에 파워스티어링풀리(2)와 에어컨풀리(3) 및 얼티네이터풀리(4)등이 동력전달벨트(10)에 의해 함께 회전되어 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벨트(10)는 장기간의 작동에 따라 인장되면서 느슨해지는데, 이러한 동력전달벨트(10)의 느슨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오토텐셔너(4)에 의해 작동되는 텐셔너풀리(6)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풀리(1,2,3,4)간의 간격에 의한 동력전달벨트(10)의 느슨함을 방지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공회전되는 아이들러풀리(7,8)가 구비되어짐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동력전달용 풀리(1,2,3...8)들은 엔진룸의 설계시 레이아웃(Lay-Out)상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고, 이러한 제약에 의해 일부 풀리(2,3)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축상에 놓여지지 못한 상태에서 동력전달벨트(10)를 매개로 연결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이 다수개의 풀리(1,2,3...8)들이 한 개의 동력전달벨트(10)를 매개로 연결되면서 조립공차(C)가 계속적으로 누적되게 되면, 동력전달을 위해 상기 풀리(1,2,3...8)들이 회전할 때 상기 동력전달벨트(10)가 풀리(2,3)로부터 이탈되거나 또는 풀리(1,2,3...8)의 파손을 초래하여 주행중 대형사고를 유발시키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풀리(1,2,3...8)들이 한 개의 동력전달벨트(10)를 매개로 연결될 때 풀리(2,3,4...8)들간의 조립공차(C)를 최소화시키거나 또는 거의 없애도록 하는 풀리축(20)을 사용하게 되었다.
즉, 한 개의 동력전달벨트(10)를 매개로 연결되는 모든 풀리(2,3,4...8)들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리축(20)에 결합되는데, 상기 풀리축(20)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풀리(2,3,4...8)쪽을 향하는 선단에 소정깊이의 결합홈(21a)이 형성되면서 이 결합홈(21a)으로 압축오일(31)이 충진되는 제1축(21)과, 일단이 상기 결합홈(21a)으로 삽입되어 압축오일(31)에 의해 직선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풀리(2,3,4...8)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2축(23)으로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홈(21a)에는 오링(32; O-Ring)이 설치되는데, 상기 오링(32)은 제2축(23)이 결합홈(21a)내에서 직선왕복이동을 할 때 결합홈(21a)내에 충진된 압축오일(31)이 결합홈(21a)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풀리(2,3,4...8)들이 본 발명에 따라 제1축(21)과 제2축(23)으로 구성되면서 상기 제2축(23)이 제1축(21)의 결합홈(21a)내에서 압축오일(31)에 의해 직선왕복 이동가능하도록 된 풀리축(20)에 결합되게 되면, 상기 풀리(2,3,4...8)들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동력전달밸트(10)에 의해 연결될 때 상기 풀리(1,2,3...8)들간의 조립공차(C)가 해소되게 됨으로써, 원활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풀리축(20)에 의해 풀리(1,2,3...8)들간의 조립공차(C)가 없어지게 되면, 동력전달을 위해 상기 풀리(1,2,3...8)들이 회전할 때 상기 동력전달벨트(10)가 풀리(2,3,4...8)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풀리(1,2,3...8)가 파손되는 것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는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풀리축(20)을 사용하게 되면 풀리(1,2,3...8)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동력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들(예를들어 파워스티어링, 에어컨 등)의 사용수명도 그만큼 연장되게 되며, 이로 인해 차량의 성능도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개의 풀리들이 한 개의 동력전달밸트를 매개로 연결될 때 조립공차가 최대한 감소되거나 또는 없어지게 됨으로써, 원활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동력전달벨트가 풀리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풀리의 파손이 방지되게 되며, 이로 인해 동력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들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면서 차량의 성능이 향상되어 안전주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한 개의 동력전달벨트(10)를 매개로 크랭크샤프트풀리(1)와 연결되면서 엔진(E)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된 동력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E)의 동력을 전달받기 위해 크랭크샤프트풀리(1)와 동력전달벨트(10)를 매개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풀리(2,3,4...8)가 풀리(2,3,4...8)들간의 조립공차(C)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조립공차 감소기능을 구비한 풀리축(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축(20)이 상기 풀리(2,3,4...8)쪽을 향하는 선단에 소정깊이의 결합홈(21a)이 형성되면서 이 결합홈(21a)으로 압축오일(31)이 충진되는 제1축(21)과, 일단이 상기 결합홈(21a)으로 삽입되어 압축오일(31)에 의해 직선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풀리(2,3,4...8)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제2축(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21a)에는 제2축(23)이 결합홈(21a)내에서 직선왕복이동을 할 때 압축오일(31)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3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발생장치.
KR1020010053216A 2001-08-31 2001-08-31 동력발생장치 KR20030018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216A KR20030018712A (ko) 2001-08-31 2001-08-31 동력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216A KR20030018712A (ko) 2001-08-31 2001-08-31 동력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712A true KR20030018712A (ko) 2003-03-06

Family

ID=27721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216A KR20030018712A (ko) 2001-08-31 2001-08-31 동력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8712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2443U (ja) * 1982-03-23 1983-09-26 株式会社酒井製作所 微速度調整装置付き無段変速機
JPH09250614A (ja) * 1996-03-15 1997-09-22 M & C Kk 運搬用変速装置
KR19990032362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벨트풀리 미스얼라인먼트 조절장치
KR19990031919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가변식 벨트 구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2443U (ja) * 1982-03-23 1983-09-26 株式会社酒井製作所 微速度調整装置付き無段変速機
JPH09250614A (ja) * 1996-03-15 1997-09-22 M & C Kk 運搬用変速装置
KR19990032362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벨트풀리 미스얼라인먼트 조절장치
KR19990031919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가변식 벨트 구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439B2 (en) Dual drive pump with dual chain and roller clutch and method
EP1455085A3 (en) Automoti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system
US6656069B2 (en) Transmission unit
GB0227379D0 (en) Accessory drive for vehicle with hybrid drive system
EP1316721A3 (en) Automotiv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system
CN102463940A (zh) 混合动力车辆
US7124733B2 (en) Mounting structure of motor generato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614062B2 (en) Engine starting system
KR20010042290A (ko) 자동차의 하나 이상의 보조 유니트를 위한 구동 장치 및그 작동 방법
CN112211962A (zh) 具有电助力的动力换挡变速箱
KR100774657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
US6425839B1 (en) Auxiliary generator set with variable transmissi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099428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4229765B2 (ja) 風車ブレードのピッチ角制御装置
JPH02159452A (ja) 車両用無段変速機
KR20030018712A (ko) 동력발생장치
KR20170018090A (ko) 차량용 변속 장치
CN201375916Y (zh) 双动力系统移动破碎站
JP2009270713A (ja) 少なくとも1つの機械補助ユニット用の駆動デバイス
KR10077466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파워트레인
JP2001263458A (ja) 変速機ユニット
CN101313145A (zh) 具有无级变速器的内燃发动机
CN215971109U (zh) 利用三轴式变速器驱动卡车发电机的驱动结构
CN113669434B (zh) 混合动力车辆用驱动系统装置的油通道结构
CN214564629U (zh) 一种变速箱前动力传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