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027A -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027A
KR20030017027A KR1020010051128A KR20010051128A KR20030017027A KR 20030017027 A KR20030017027 A KR 20030017027A KR 1020010051128 A KR1020010051128 A KR 1020010051128A KR 20010051128 A KR20010051128 A KR 20010051128A KR 20030017027 A KR20030017027 A KR 20030017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lator
data
safety switch
re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571B1 (ko
Inventor
김동수
정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정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정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01-005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571B1/ko
Publication of KR20030017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9/00Safety devic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Control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5/003Methods or algorithms therefor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와 통제실의 메인 컴퓨터를 연결하여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고장이 발생하면 이를 통제실에 위치하는 메인 컴퓨터의 모니터 및 스피커를 통해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표시하여 보수요원에게 인지시킴으로써 신속히 에스컬레이터의 정상 운행을 위한 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EMERGENCY SITUATION SENSING SYSTEM OF ESCALATOR}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에 따라 작동되는 다수개의 안전스위치를 병렬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릴레이를 병렬로 구성하되 이들 릴레이들간의 접점은 직렬 연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일부에 설치된 릴레이 집합장치에 연결함으로써 안전스위치의 작동상태에 따라 발생된 릴레이 작동 데이터를 통제실로 전송하여 신속한 조치가 가능토록 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하는 승객의 부주의로 옷자락 또는 스카프 등이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부분에 말려 들어가거나 혹은 스텝부분에 이물질이 끼어 발생하는 에스컬레이터의 고장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안전스위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안전스위치(S1, S2, S3,----, Sn)를 직렬로 구성한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 같이 구성된 시스템은 다수개의 안전스위치 중 하나라도 작동되면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을 중지시키고, 보수요원이 출동하여 상기 작동된 안전스위치를 찾아내어 보수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같은 방식은 일일이 테스터기로 각각의 안전스위치를 확인하여 작동된 스위치를 검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 이루어진 종래의 다른 방식으로는 상기 다수개의 안전스위치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렬로 연결하고 각각의 안전스위치에 발광다이오드부(LED1, LED2, LED3, LED4)(30)를 연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으로 인해 소정 안전스위치가 작동되면 그에 해당하는 발광다이오드가 발광됨으로써 보수요원은 어느 안전스위치가 작동되었는지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조치하여 에스컬레이터를 정상 운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 같은 방식은 각 안전스위치를 연결함에 있어 별도로 설치된 검출장치(발광다이오드)까지 두 개의 제어선을 연장 설치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하고 비용이 증가하며, 안전스위치 개수와 동일한 만큼의 발광다이오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검출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또한, 단위구역 내에 다수의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었을 경우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스위치가 작동되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이 중지되었다 하더라도 통제실에 대기하고 있는 보수요원은 에스컬레이터의 운행 중지여부를 인지할 수 없으며, 이를 인지한 승객이 통제실에 전화연락 또는 비상벨을 누름으로써 보수요원이 인지하였다 하더라도 보수정도를 알 수 없어 이를 파악하여 보수에 필요한 별도의 공구를 준비하는 시간만큼 에스컬레이터는 정지되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에스컬레이터와 통제실의 메인 컴퓨터를 연결하여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이상 상황(및 운행상태)이 발생하면 통제실에 위치하는 메인 컴퓨터에 정보를 전송하고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보수요원에게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과 보수정도를 인지토록 함으로써 신속히 에스컬레이터를 정상 운행할 수 있도록 한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은, 다수개의 안전스위치가 병렬 연결된 안전스위치부, 각각의 안전스위치에 대응되도록 병렬 연결된 릴레이부 및, 이 릴레이부의 작동상태를 통제실에 데이터 출력하도록 직렬 변환하는 데이터 출력장치로 구성된 에스컬레이터 내부회로와, 상기 데이터 출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안전스위치 작동상태 데이터를 병렬 변환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및,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을 감지 판단하고 외부에 인지시키는 메인 컴퓨터로 구성된 통제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컴퓨터는 에스컬레이터의 급정지 등 이상 상황 발생시 작동된 릴레이의 작동시간을 릴레이 작동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시간을 기준으로 메모리수단에 저장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이 단순한 이용자 부주의에 의한 사고인지 혹은 유지 보수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삼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릴레이부는 각각의 릴레이의 접점이 직렬 연결되고, 릴레이 접점이 에스컬레이터 일부에 설치된 릴레이 집합장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으로 인한 안전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릴레이의 작동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디지털 처리장치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처리장치는 논리회로부 및 도트 매트릭스로 구성되며, 상기 도트 매트릭스는 에스컬레이터의 일정구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제어반 안전스위치가 직렬로 구성된 회로도.
도 2는 종래의 LED 타입의 작동된 안전스위치 검출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반 안전스위치가 병렬로 구성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의 작동된 안전스위치 검출장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안전스위치부 10 ------ 에스컬레이터 내부회로
11 ------ 릴레이부 12 ------ 데이터 출력장치
20 ------ 통제실 21 ------ 데이터 입력장치
22 ------ 데이터 처리장치 23 ------ 메인 컴퓨터
40 ------ 디지털 처리장치 41 ------ 논리회로부
42 ------ 도트 매트릭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반 안전스위치(S1, S2, S3,----, Sn)가 병렬로 구성된 회로도로써, 다수개의 안전스위치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릴레이(Ry1, Ry2, Ry3, Ry4,----, Ryn)를 병렬방식으로 연결하고, 이들 각각의 릴레이의 접점을 직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승스위치(Up) 및 하강스위치(Dn)의 선택에 따른 에스컬레이터 운행중 어느 하나의 릴레이가 작동되면(안전스위치 작동에 따라)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으로 판단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을 중지시키고, 보수요원이 출동하여 상기 작동된 릴레이에 병렬 연결된 안전스위치를 보수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 구성도로써, 다수개의 안전스위치가 병렬 연결된 안전스위치부(9), 각각의 안전스위치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릴레이가 병렬 연결된 릴레이부(11) 및, 이 릴레이부(11)의 작동상태를 후술하는 통제실에 데이터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장치(12)로 구성된 에스컬레이터 내부회로(10)와, 상기 데이터 출력장치(12)로부터 입력된 안전스위치 작동 데이터를 병렬 변환하는 데이터 입력장치(21), 데이터 입력장치(21)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장치(22) 및, 데이터 처리장치(22)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을 감지 판단하는 메인 컴퓨터(23)로 구성된 통제실(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스컬레이터 내부회로(10)의 데이터 출력장치(12)는 릴레이부(11)와 4개의 데이터 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병렬방식으로 연결된 릴레이부(11)의 소정 릴레이의 작동에 따른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직렬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상기 통제실(20)의 데이터 입력장치(21)는 상기 데이터 출력장치(12)로부터 전송된 직렬방식의 데이터를 병렬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데이터 처리장치(22)는 데이터 입력장치(21)로부터 전송된 병렬방식의 데이터를 소정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한 후 메인 컴퓨터(23)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 컴퓨터(23)는 데이터 처리장치(22)에 의해 처리되어 전송된 안전스위치 작동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한 경고음과 함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통제실(20)에 대기하고 있던 보수요원에게 소정 안전스위치가 작동되어 에스컬레이터가 운행 중지되었음을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인지시키고, 이 같이 작동된 안전스위치 종류에 따라 보수정도를 즉시 인지하여 보수하여 신속히 에스컬레이터를 정상 운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인 컴퓨터(23)는 에스컬레이터의 급정지 등 이상 상황 발생시 작동된 안전스위치의 작동시간을 데이터 처리장치(22)로부터 입력받은 시간을 기준으로 자체 메모리수단에 저장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이 단순한 이용자 부주의에의한 사고인지 혹은 유지 보수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삼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안전스위치의 작동상태를 검출하는 안전스위치 작동검출장치가 도 3의 릴레이부(11) 및 데이터 출력장치(12) 사이에 연결되며, 이 안전스위치 작동검출장치는 도 5에 도시한 디지털 처리장치(40)로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타입의 작동된 안전스위치 검출장치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스위치부(9)에 병렬방식으로 연결되고 그 접점이 직렬 연결된 각각의 릴레이에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타입의 논리회로부(41) 및 도트 매트릭스(42)로 구성된 디지털 처리장치(40)를 연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승하강 구역 일정부분에 설치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으로 인해 소정 안전스위치가 작동되면 이 안전스위치에 릴레이부(11)를 통해 연결된 논리회로부(40)가 안전스위치 작동 데이터를 처리하고 도트 매트릭스(41)에 안전스위치의 작동상태 및 에스컬레이터의 운행방향 등을 숫자, 문자, 화살표 등을 이용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이 같은 시스템은 각각의 릴레이 작동 데이터를 논리회로부(41)에서 입력받아 해당하는 신호가 표시될 수 있도록 처리하고, 도트 매트릭스(42)는 논리회로부(41)의 처리신호에 따라 숫자 혹은 문자에 해당하는 부분의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켜 보수요원에게 작동된 안전스위치 종류 및 보수정도를 인지시킴으로써 신속히 에스컬레이터를 정상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은 다수개가 병렬 연결된 제어반 안전스위치에 다수개의 릴레이가 병렬 연결된 릴레이부(11)를 병렬방식으로 연결하고, 릴레이부(11)에 구성된 각각의 릴레이의 접점은 직렬로 연결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일부에 설치된 릴레이 집합장치에 연결한 상태에서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이상 상황 발생으로 인해 소정 안전스위치가 작동되면 에스컬레이터의 운행을 중지시킨다. 이때, 에스컬레이터 내부회로(10)에 구성된 데이터 출력장치(12)는 상기 제어반 안전스위치부(9)에 연결된 릴레이부(11)의 작동 데이터를 입력받아 직렬방식의 데이터로 변환한 후, 통제실(20)에 구성된 데이터 입력장치(21)로 전송하고, 데이터 입력장치(21)는 상기 에스컬레이터 내부회로(10)의 데이터 출력장치(12)에서 직렬방식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병렬방식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처리장치(22)에 입력한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장치(22)에서는 이같이 입력된 병렬방식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인 컴퓨터(23)로 전송한다. 따라서, 메인 컴퓨터(23)는 데이터 처리장치(2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근거로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을 감지 판단하고 작동된 안전스위치를 식별함과 동시에 이를 스피커를 통한 경고음과 함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통제실(20)에 대기하고 있던 보수요원에게 소정 안전스위치가 작동되어 에스컬레이터가 운행 중지되었음을 시각적 및 청각적으로 인지시키고, 작동된 안전스위치 종류에 따라 보수정도를 즉시 인지하여 신속히 에스컬레이터를 정상 운행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 컴퓨터(23)는 에스컬레이터의 급정지 등 이상 상황 발생시 작동된 릴레이의 작동시간을 릴레이 작동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장치(22)로부터 입력받은 시간을 기준으로 자체 메모리수단에 저장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이 단순한 이용자 부주의에 의한 사고인지 혹은 유지 보수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삼을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장비제작에 따른 자재비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이상 상황이 발생하면 보수요원이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에스컬레이터와 통제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어선의 수를 대폭 축소하여 장비설치가 간단하고 설치비 및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셋째,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에스컬레이터 급정지 등 이용자 사고발생시 각 에스컬레이터의 안전스위치의 작동시간을 기록하여 추후 이를 단순한 이용자 부주의에 의한 사고인지 혹은 장비 유지보수의 문제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객관적인 자료로 이용 가능하다.

Claims (3)

  1. 다수개의 안전스위치가 병렬 연결된 안전스위치부, 각각의 안전스위치에 대응되도록 병렬 연결되고 각각의 릴레이의 접점은 직렬 연결되어 이 릴레이 접점이 에스컬레이터 일부에 설치된 릴레이 집합장치에 연결된 릴레이부; 및 이 릴레이부의 작동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직렬 방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출력장치로 구성된 에스컬레이터 내부회로;
    상기 데이터 출력장치로부터 입력된 릴레이 작동 데이터를 병렬 방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입력장치; 데이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및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을 감지 판단하고 외부에 인지시키는 메인 컴퓨터로 구성된 통제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컴퓨터는 에스컬레이터의 급정지 등 이상 상황 발생시 안전스위치의 작동시간을 작동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 입력받은 시간을 기준으로 메모리수단에 저장하여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이 단순한 이용자 부주의에 의한 사고인지 혹은 유지 보수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삼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으로 인한 안전스위치의 작동 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도록 릴레이부 및 데이터 출력장치 사이에 논리회로부 및 도트 매트릭스로 구성된 디지털 처리장치가 구성되며, 상기 도트메트릭스는 에스컬레이터 일정구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
KR10-2001-0051128A 2001-08-23 2001-08-23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 KR10043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128A KR100431571B1 (ko) 2001-08-23 2001-08-23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128A KR100431571B1 (ko) 2001-08-23 2001-08-23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027A true KR20030017027A (ko) 2003-03-03
KR100431571B1 KR100431571B1 (ko) 2004-05-17

Family

ID=2772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128A KR100431571B1 (ko) 2001-08-23 2001-08-23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0240A (zh) * 2019-01-23 2019-04-19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珠海检测院 一种基于自动扶梯故障检测的驱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482B2 (ja) * 1990-10-11 1997-0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遠隔監視装置
JP2781484B2 (ja) * 1991-11-22 1998-07-30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乗客コンベアの監視制御装置
JPH0725573A (ja) * 1992-02-13 1995-01-27 Toshiba Erebeeta Technos Kk エスカレータ遠隔監視装置
JPH07285774A (ja) * 1994-04-19 1995-10-31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スカレータの故障表示装置
JP3388069B2 (ja) * 1995-03-31 2003-03-1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乗客コンベアの管理システム
JP2000255962A (ja) * 1999-03-10 2000-09-19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の監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50240A (zh) * 2019-01-23 2019-04-19 广东省特种设备检测研究院珠海检测院 一种基于自动扶梯故障检测的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1571B1 (ko) 2004-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9624A2 (en) Power-on-reset of elevator controllers
US8794389B2 (en) Interface between fire panel and elevator controller
CN108529376A (zh) 一种电梯轿厢智能化人体感应判断方法
US20070220329A1 (en) Passenger transportation system especially an escalator or moving walk
CN110884972B (zh) 基于电梯安全回路的门锁检测方法
US6778079B2 (en) Input/output methodology for control reliable interconnection of safety light curtains and other machine safety controls
JP2006315794A (ja) エレベータの安全制御装置
CA2887883A1 (en) Electronic wire bridge with safety circuit
JP6353809B2 (ja) エレベータの行先登録装置、行先登録方法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100431571B1 (ko) 에스컬레이터의 이상 상황 감지시스템
JPH05306075A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US6269912B1 (en) Elevator system for controlling response to call
JPH03201095A (ja) 昇降機遠隔監視装置
EP1670713B1 (en) Display apparatus for conveyor
KR19980030105A (ko) 엘리베이터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0167160B1 (ko) 엘리베이터 감시장치
KR0179886B1 (ko) 승강기 고장 검출장치
JPH10194621A (ja) 昇降機のかご位置表示灯の点検システム
CN207822350U (zh) 一种车用动力电池灭火系统的控制开关
KR19980049222A (ko) 간이교환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장치 및 방법
KR101992678B1 (ko) 플랜트용 디지털 경보 시스템 및 방법
JPH031298A (ja) 遠隔監視装置
JPH0840660A (ja) 広域災害対応エレベータ監視センタ
KR101951333B1 (ko) 에스컬레이터 분산제어시스템
KR100346282B1 (ko) 직렬통신에 의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