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063A -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 - Google Patents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063A
KR20030016063A KR1020010049976A KR20010049976A KR20030016063A KR 20030016063 A KR20030016063 A KR 20030016063A KR 1020010049976 A KR1020010049976 A KR 1020010049976A KR 20010049976 A KR20010049976 A KR 20010049976A KR 20030016063 A KR20030016063 A KR 20030016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circuit breaker
trip
cross ba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별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6063A/ko
Publication of KR20030016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0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28Manual release or trip mechanisms, e.g. for test purpo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039Means for influencing the rupture process of the fusible element
    • H01H85/0047Heating means
    • H01H85/006Heat reflective or insulating layer on the casing or on the fuse suppor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부에 설치된 배리어와 아크박스를 일체화함으로써 고정 접촉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완전 절연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성능이 대폭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로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부하측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고정 접촉자(1) 및 가동 접촉자(2)와,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부(3)와, 상기 검출 기구부에 사고전류 검출시 트립작용을 일으키는 트립부(4)와, 상기 트립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크로스 바(5)와, 상기 크로스 바의 회동에 의해 전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링크 기구부(6)와, 상기 고정 접촉자(1)와 가동 접촉자(2)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소호부(7)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소호부(7)에 인접 설치된 별개의 아크박스(8) 및 배리어(9)가 고정 접촉자(1)의 벤딩부(100) 형상을 그대로 따르도록 일체로 몰딩되어 아크박스 몰드물(8a)을 형성하고, 상기 아크박스 몰드물(8a)을 고정 접촉자(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그 상부에 장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structure for preventing grounding and dust in Molded Cas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 기술하면 차단기 내 배리어와 아크박스를 일체화함으로써 고정 접촉자가 완전 절연되도록 함과 동시에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성능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선용 차단기는 과부하 및 단락사고 발생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회로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전기기기로서, 외함을 형성하는커버 및 케이스 내부에는 개폐기구부 및 소호장치부, 트립장치부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차단하도록 작동된다.
한편, 상기에서 트립(Trip)이라 함은 회로 차단기에 이상전류 발생시 차단기를 인위적으로 개폐함과는 상관없이 차단기 자체에서 자동적으로 이를 감지하여 전류를 차단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배선용 차단기가 단락사고 발생시 이를 차단하는 과정을 요약하면, 먼저 회로 내에 단락전류가 통전됨에 따라 기기에서 곧 상기 단락전류를 검출하게 되고, 이 후 접점이 개로되면서 아크가 발생되고, 상기 발생된 아크를 기기 내에서 자동 소멸시키면서 곧이어 회복전압을 인가시키게 된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를 보인 구성도로서, 도 1을 참조하여 배선용 차단기의 종래 구성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 배선용 차단기는 전로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부하측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고정 접촉자(1) 및 가동 접촉자(2)와,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부(3)와, 상기 검출 기구부에 사고전류 검출시 트립작용을 일으키는 트립부(4)와, 상기 트립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크로스바(5)와, 상기 크로스 바의 회동에 의해 전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링크 기구부(6)와, 상기 고정 접촉자(1)와 가동 접촉자(2)의 접점 사이에서 아크 발생시 이를 소호시키는 소호부(7)로 구성된다.
또한 도 2에서, 상기 소호부(7)에 인접하여 도면상 우측에는 고정 접촉자(1)의 절연 및 아크를 유도하기 위한 아크박스(8)가 설치되어 있고, 소호부(7)의 좌측에는 아크에 의한 지락방지 및 방진역할을 하도록 배리어(9)가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3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박스 몰드물(8a)을 보인 사시도로서, 아크박스의 외형을 구성하도록 몰딩된 절연 몰드물의 형상을 자세하게 보이고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작용을 살펴보면, 고정 접촉자(1)와 가동 접촉자(2)가 접촉된 폐로상태에서 어느 순간 회로나 부하기기에 이상전류가 통과하게 되면, 이 때에는 차단기의 검출 기구부(3)가 이러한 상태를 감지하여 트립부(4)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트립부(4)의 트립작용을 하게 되고, 이와 연동된 크로스 바(5)가 일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크로스 바(5)가 폐로상태로 구속되어있던 링크 기구부(6)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계속해서 구속이 해제된 링크 기구부(6)는 폐로상태로 접촉 연결되어 있던 고정 접촉자(1) 및 가동 접촉자(2)의 접점을 분리시킴으로써 개로상태로 전환되어 회로 또는 부하기기에 이상전류가 더 이상 통전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 접촉자(2)가 고정 접촉자(1)로부터 분리될 때에는 순간적으로 엄청난 아크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아크는 기기의 오작동이나 소손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고정 접촉자(1) 및 가동 접촉자(2)의 접점 둘레에 설치된 소호부(7)에서 이를 신속히 소호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소호부(7)에서 그 우측에 설치된 아크박스(8)는 고정 접촉자(1)를 절연시킴과 더불어 상기 과정에서 발생된 아크를 외부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좌측에 설치된 배리어(9)는 차단기 내로 먼지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방진작용을 함과 더불어 단락전류 발생시 아크에 의한 지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아크박스(8) 및 배리어(9)가 종래에는 별개로 제작된 후, 차단기의 조립시 각각 케이스 내의 지정된 위치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행해졌기 때문에 상기 차단기를 조립 완성한 후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 접촉자(1)의 벤딩부(100)가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차단기의 조립후에 상기 배리어(9)와 아크박스(8) 사이에 일정간격의 틈(101)이 발생하게 되므로 상기 발생된 틈(101)으로 인해 고정 접촉자(1)의 완전 절연이 불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효과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결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부에 설치된 배리어와 아크박스 몰드물을 일체화함으로써 고정 접촉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완전 절연되도록 함과 함께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성능이 탁월한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종래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박스 몰드물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박스 몰드물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 접촉자2 : 가동 접촉자
3 : 검출 기구부4 : 트립부
5 : 크로스 바6 : 링크 기구부
7 : 소호부8 : 아크박스
9 : 배리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로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부하측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와,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부와, 상기 검출 기구부에 사고전류 검출시 트립작용을 일으키는 트립부와, 상기 트립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크로스 바와, 상기 크로스 바의 회동에 의해 전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링크 기구부와, 상기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소호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소호부에 인접 설치된 별개의 아크박스 및 배리어가 고정 접촉자의 벤딩부 형상을 그대로 따르도록 일체로 몰딩되어 아크박스 몰드물을 형성하고, 상기 아크박스 몰드물을 고정 접촉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그 상부에 장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를 보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배선용 차단기의 아크박스 몰드물을 보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고, 다만 도면상에는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부여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전로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부하측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고정 접촉자(1) 및 가동 접촉자(2)와,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부(3)와, 상기 검출 기구부에 사고전류 검출시 트립작용을 일으키는 트립부(4)와, 상기 트립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크로스 바(5)와, 상기 크로스 바의 회동에 의해 전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링크 기구부(6)와, 상기 고정 접촉자(1)와 가동 접촉자(2)의 접점 사이에서 발생된 아크를 소호시키는 소호부(7)로 이루어진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하 요부 구성을 살펴보면, 도 5에서 소호부(7)에 인접 설치된 아크박스(8) 및 배리어(9)가 일체화됨으로써 아크에 의한 지락 및 먼지나 이물질이 기기 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형상으로 되는데, 이를 위해 소호부(7)의 우측에 설치된 아크박스(8)의 일단이 연장되어 배리어(9)와 일체화됨으로써 그 하방에 위치한 고정 접촉자(1)가 외부로 노출됨없이 상기 아크박스(8)에 의해 완전히 덮여진 구조로 된다.
이 때, 도 6에서 상기 아크박스(8)의 외형을 형성하는 아크박스 몰드물(8a)은 몰딩시 상기 고정 접촉자(1)의 벤딩부(100) 형상을 그대로 따르도록 일측이 연장 형성되어 배리어(9)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상기 아크박스 몰드물(8a)이 고정 접촉자(1)의 상단에 장착될 때에는 상기 아크박스 몰드물(8a)이 고정 접촉자(1)를 완전히 커버함과 함께 고정 접촉자(1)의 벤딩부(100) 곡면형상에 완전히 밀착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차단기의 조립시 고정 접촉자(1)가 아크박스 몰드물(8a)에 의해 빈틈없이 완전히 덮여지므로 완전 절연이 가능하게 되고, 이와 함께 아크에 의한 지락방지 및 방진성능이 월등히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는 차단기 내에 설치된 배리어와 아크박스 몰드물을 일체화함으로써 고정 접촉자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완전 절연이 가능하고, 이와 동시에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성능이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차단기의 오작동과 내부 소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라 하겠다.

Claims (1)

  1. 전로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부하측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고정 접촉자 및 가동 접촉자와, 사고전류 발생시 이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부와, 상기 검출 기구부에 사고전류 검출시 트립작용을 일으키는 트립부와, 상기 트립부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크로스 바와, 상기 크로스 바의 회동에 의해 전로를 기구적으로 개폐시키는 링크 기구부와, 상기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시키는 소호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소호부에 인접 설치된 별개의 아크박스 및 배리어가 고정 접촉자의 벤딩부 형상을 그대로 따르도록 일체로 몰딩되어 아크박스 몰드물을 형성하고, 상기 아크박스 몰드물을 고정 접촉자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그 상부에 장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
KR1020010049976A 2001-08-20 2001-08-20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 KR20030016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976A KR20030016063A (ko) 2001-08-20 2001-08-20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976A KR20030016063A (ko) 2001-08-20 2001-08-20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063A true KR20030016063A (ko) 2003-02-26

Family

ID=2771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976A KR20030016063A (ko) 2001-08-20 2001-08-20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60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3457A (zh) * 2020-06-29 2020-09-11 成都彩佳角商贸有限公司 一种烟火断路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4507A (en) * 1983-12-26 1986-08-05 Merlin Gerin Miniature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insulation level
JPH0620550A (ja) * 1992-07-02 1994-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
JPH07320624A (ja) * 1994-05-24 1995-12-08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消弧装置
JPH09129074A (ja) * 1995-10-31 1997-05-16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消弧装置
KR19980042890U (ko) * 1996-12-24 1998-09-2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소호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4507A (en) * 1983-12-26 1986-08-05 Merlin Gerin Miniature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insulation level
JPH0620550A (ja) * 1992-07-02 1994-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器
JPH07320624A (ja) * 1994-05-24 1995-12-08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消弧装置
JPH09129074A (ja) * 1995-10-31 1997-05-16 Fuji Electric Co Ltd 回路遮断器の消弧装置
KR19980042890U (ko) * 1996-12-24 1998-09-25 이종수 배선용 차단기의 소호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53457A (zh) * 2020-06-29 2020-09-11 成都彩佳角商贸有限公司 一种烟火断路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8833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arc chute assembly and arc hood assembly therefor
EP2561534B1 (en) Circuit interrupter with enhanced arc quenching capabilities
USRE37244E1 (en) Insulated type switching device
US5426406A (en) Induction motor protective circuit breaker unit
EP0212197B1 (en) Circuit breaker with arc gas vent baffle
CN101083186A (zh) 电气开关装置、活动触头组件及用于该组件的防护罩
KR20130000093U (ko) 배선용 차단기
KR200411524Y1 (ko) 한류형 배선차단기
CA2310619C (en) Arcing fault protection system for a switchgear enclosure
KR20030016063A (ko) 배선용 차단기의 지락방지 및 방진구조
KR100919208B1 (ko) 배선용 차단기
KR200406795Y1 (ko) 회로차단기
KR200190795Y1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JP4696665B2 (ja) 漏電遮断器
KR19980042893U (ko) 배선용 차단기의 한류장치
JP4223988B2 (ja) 電力系統の保護回路
KR100290932B1 (ko) 배선용차단기의한류장치
JP3380732B2 (ja) 回路遮断器
JP3695214B2 (ja) 絶縁開閉装置
KR102003328B1 (ko) 개선된 트립바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배선차단기
KR100295903B1 (ko) 전력퓨즈수납지지장치
KR200224233Y1 (ko) 배선용차단기의가동접촉자완충구조
KR0176736B1 (ko) 한류성능이 양호한 회로차단기의 접촉자
KR200156759Y1 (ko) 배선용 차단기
JP3175704B2 (ja) 絶縁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