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505A -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505A
KR20030015505A KR1020010049268A KR20010049268A KR20030015505A KR 20030015505 A KR20030015505 A KR 20030015505A KR 1020010049268 A KR1020010049268 A KR 1020010049268A KR 20010049268 A KR20010049268 A KR 20010049268A KR 20030015505 A KR20030015505 A KR 20030015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endant
speed di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7077B1 (ko
Inventor
민정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9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077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 마이크 장치가 이어잭, 이어 마이크, 이어폰, 통화버튼, 상기 이어 마이크 및 이어폰을 상기 이어잭에 연결하기 위한 펜던트를 구비하며, 상기 펜던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이 구비되게 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펜던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 각각에 대응하는 착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정보들 각각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통신단말의 내부 메모리에 등록하는 제2과정과, 펜던트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중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링을 요구하면 상기 요구된 단축 다이얼링 버튼에 대응된 착신자전화번호, 버튼기호, 착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로 단축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및 그 장치{DIALL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EAR-MICROPHON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보조 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 마이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의 사용자들은 이동 통신 단말을 주머니 속이나 가방 속에 넣고 다니면서 필요시에 꺼내어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운전 중의 경우와 같이, 통화를 할 때마다 이동 통신 단말을 직접 조작하는 것이 사용자에게는 상당히 번거로울 수 있으며, 특히 운전 중에는 안전상의 문제도 있었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을 원격 조정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 마이크(ear microphone) 개발되어 점점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통상적인 이어 마이크 장치에는 통화 버튼(예컨대, "SEND" 표시)이 구비되어 전화를 받고 종료하는 기능이 구현되어 있다. 요즈음에는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에서 한 단계 더 발전되어 이어 마이크 장치의 통화버튼을 한번 누르면 맨 마지막에 다이얼링한 전화번호가 이동통신단말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되고, 다시 한번 더 누르면 디스플레이 되었던 그 전화번호로 다이얼링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이어 마이크 장치에서의 마지막 전화번호 디스플레이 및 다이얼링 기능은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제공하였지만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로 전화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 주지는 못했다. 따라서 이어 마이크 장치에서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 수 있는 다이얼링 서비스 기능이 요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통통신 단말에서 사용자가 이어 마이크 장치를 사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로 단축 다이얼링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통통신 단말에서 사용자가 이어 마이크 장치를 사용하여 자신이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전화번호로 단축 다이얼링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이동 통신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이동통신 단말에 이어 마이크 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과 이어 마이크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어 마이크 장치에 구비된 버튼들에 관련된 회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단축 다이얼링 수행 제어 흐름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 마이크 장치가 이어잭, 이어 마이크, 이어폰, 통화버튼, 상기 이어 마이크 및 이어폰을 상기 이어잭에 연결하기 위한 펜던트를 구비하며, 상기 펜던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이 구비되게 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펜던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 각각에 대응하는 착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정보들 각각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통신단말의 내부 메모리에 등록하는 제2과정과, 펜던트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 중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링을 요구하면 상기 요구된 단축 다이얼링 버튼에 대응된 착신자전화번호, 버튼기호, 착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로 단축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다이얼링 장치에 있어서, 이어잭, 이어 마이크, 이어폰, 통화버튼, 상기 이어 마이크 및 이어폰을 상기 이어잭에 연결하기 위한 펜던트를 구비하며, 상기 펜던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이 구비되는 이어 마이크 장치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펜던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 각각에 대응하는 착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정보들 각각을 등록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 내부 메모리와, 상기 이어 마이크장치가 이동통신 단말에 삽입됨을 감지하며, 펜던트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 중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링을 요구하면 상기 요구된 단축 다이얼링 버튼에 대응된 착신자 전화번호, 버튼기호, 착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로 단축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이동통신 단말(10)에는 이어 마이크 장치(12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10)과 이어 마이크 장치(12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10)에서 무선부(110)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제어부(100)는 이동 통신 단말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무선부(11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위칭부(114)를 거쳐 스피커(spea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이어 마이크(120)로부터 스위칭부(114)를 거쳐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110)로 출력한다. 키패드(112)는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과 액정 표시기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데이터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액정 표시기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스위칭부(116)는 이어 마이크(120)의 연결 상태에 의해 음성의 입출력을 이어 마이크(120)로 할 것인지 아니면 단말에 구비된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통해 할 것인 지의 경로를 지정하게 된다. 잭연결부(116)는 이어 마이크장치(120)와 연결하기 위한 단자로 구조적인 또는 전기적 구성에 의해 이어 마이크장치(120)가 연결된 상태를 검사하며, 상기 검사결과에 따라 제어부(100)는 상기 스위칭부(114)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100)의 내부 메모리(도 3의 202)가 있는데, 내부 메모리(20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하기의 이어 마이크 장치(120)의 펜던트(136)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 각각에 대응하는 착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정보들 각각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등록되어 있다.
이어 마이크장치(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일 예로 들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목걸이형 이어 마이크 장치(120)는, 이어폰(130), 목걸이 줄(132), 이어폰 수납부(134), 잭연결부(116)에 삽입될 수 있는 이어잭(138), 이어잭(138)을 이어폰 수납부(134) 및 목걸이 줄(132)과 연결하기 위한 펜던트(pendant)(136)를 포함하고 있다. 이어폰 수납부(134)에는 통화를 위한 통화버튼(SEND button) B1과 이어 마이크로폰(미도시됨)이 구비되어 있고 이어폰 수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펜던트(136)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어 마이크 장치(120)에서의 단축 다이얼링을 위한 3개의 단축 다이얼 버튼 B2,B3 및 B4가 새롭게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어 마이크 장치(120)에 구비된 버튼들 B1,B2,B3,B4에 관련된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버튼 B1은 도 2의 이어폰 수납부(134)에 구비된 통화버튼 B1이고, 버튼 B2,B3 및 B4는 펜던트(136)에 구비된 3개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이다. 제어부(100)의 관점에서 볼 때 통화버튼 B1에는 저항 R1이 병렬 연결되고, 단축 다이얼링 버튼 B2,B3 및 B4에는 저항 R2,R3 및 R4가 연결되어 있다. 이어 마이크 장치(120)의 바이어스 전압은 2.2V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로서 상기 저항 R1 내지 R4에는 저항 값이 각각 100Ω, 4.7KΩ,47KΩ, 470KΩ이 되도록 서로 다른 값을 가지게 설치하여, 통화버튼 B1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 졌을 경우에는 제어부(100)에 0.3V, 단축 다이얼링 버튼 B2,B3 및 B4 각각이 사용자에 의해 눌러 졌을 경우에는 제어부(100)에 0.7V, 1.1V, 및 1.5V가 인가된다. 제어부(100)에는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200)가 내장되어 있으며, ADC(200)는 상기 인가되는 전압값들(0.3V, 0.7V, 1.1V, 및 1.5V)에 대응되는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통통신 단말에서 사용자가 이어 마이크 장치(120)를 사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 또는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전화번호를 이동통신단말(10)의 내부 메모리(02)에 등록하고 이어 마이크 장치(120)를 사용하여 등록된 단축 다이얼링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이어 마이크 장치(120)를 이용한 단축 다이얼링 등록모드가 기능모드에 추가되어야 한다.
이어 마이크 장치(120)를 이용한 단축 다이얼링 등록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한 후 사용자는 이어 마이크 장치(120)의 펜던트(136)에 구비된 단축다이얼링 버튼 B2,B3,B4들에 대응된 착신자 인식정보(예컨대, 이름, 장소 등등)와 그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착신자 인식정보와 그에 대응된 전화번호 등록은 통상적인 전화번호부 등록방법과 거의 유사하다. 예컨대, 사용자가 펜던트(136)에 구비된 단축다이얼링 버튼 B2,B3,B4들에 대응된 착신자 인식정보를 '친구', '사무실', '집'로 입력할 수 있으며, 그 후 각각에 대응된 전화번호들 예컨대, '016-200-1111', '054-479-0000', '054-460-5454'를 각각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0) 제어 하에 내부 메모리(202)에는 "B2 - 친구 - 016-200-1111", 'B3 - 사무실 - 054-479-0000", "B4 - 집 - 054-460-5454"로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최종 통화한 착신측 전화번호는 통화버튼 B1에 대응하여 상기 내부 메모리(202)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이어 마이크 장치(120)를 이용할 수 있는 단축 다이얼링 전화번호들이 이동통신 단말(10)에 등록되면, 이후 사용자는 이어 마이크 장치(120)에 구비된 버튼들 B1,B2,B3 및 B4를 이용하여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 장치(120)를 이용한 단축 다이얼링 수행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어 마이크 장치(120)를 이용한 단축 다이얼링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이어 마이크장치(120)의 잭(138)을 이동통신 단말(10)의 잭 연결부(116)에 삽입하면 제어부(100)는 이를 인식하고, 이어 마이크 장치(120) 수행모드가 되게 스위칭부(114)를 제어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예컨대, 이어 마이크장치(120)의 펜던트(36)상의 단축 다이얼링버튼 B2(친구 전화번호 "016-200-1111"이 단축 다이얼링 되었다고 가정)를 누르게 되면 제어부(100)는 도 4의 400단계 내지 406단계의 과정을 통해서 펜던트(36)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 B2가 눌려졌을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도 4의 400단계에서 이어 마이크 장치(120)로부터 버튼 입력을 감지하면 도 4의 402단계에서 펜던트(136)에 구비된 버튼입력인가를 판단한다. 펜던트(136)에 구비된 버튼 입력인지 아닌지의 여부는 도 3에 제어부(100)에 내장된 ADC(2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값으로 판단한다. 만약 펜던트(136)에 구비된 버튼입력이 아니면 이어폰 수납부(134)에 구비된 통화버튼 B1에 대응된 버튼 입력값으로 인식하고 제어부(100)는 4O6단계로 진행하여 최근 다이얼링되었던 전화번호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창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4의 402단계의 판단에서 펜던트(136)에 구비된 버튼입력이면 제어부(100)는 도 4의 404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100)에 내장된 ADC(20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값에 대응되어 이어 마이크 장치 단축 다이얼링 등록된 전화번호 버튼 기호, 착신자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서 읽어와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창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예컨대, 단축 다이얼링 등록된 전화번호는 "016-200-1111"이고, 전화번호 버튼 기호는 "B2"이며, 착신자 정보는 "친구"라는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창으로 디스플레이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통화버튼 B1을 누르게 되면 제어부(100)는 도 4의 408단계에서 이를 다이얼링 요구로 인식하고, 도 4의 410단계로 진행한다. 도 4의 410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된 전화번호로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많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로 단축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을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Claims (3)

  1.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어 마이크 장치가 이어잭, 이어 마이크, 이어폰, 통화버튼, 상기 이어 마이크 및 이어폰을 상기 이어잭에 연결하기 위한 펜던트를 구비하며, 상기 펜던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이 구비되게 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펜던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 각각에 대응하는 착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정보들 각각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통신단말의 내부 메모리에 등록하는 제2과정과,
    펜던트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 중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링을 요구하면 상기 요구된 단축 다이얼링 버튼에 대응된 착신자전화번호, 버튼기호, 착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로 단축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3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펜던트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 중 하나를 눌러지면 눌러진 단축 다이얼링 버튼에 대응된 착신자 전화번호, 버튼기호, 착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어 마이크 장치에 구비된 통화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로 단축다이얼링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3.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다이얼링 장치에 있어서,
    이어잭, 이어 마이크, 이어폰, 통화버튼, 상기 이어 마이크 및 이어폰을 상기 이어잭에 연결하기 위한 펜던트를 구비하며, 상기 펜던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이 구비되는 이어 마이크 장치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상기 펜던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 각각에 대응하는 착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자 정보들 각각을 등록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 내부 메모리와,
    상기 이어 마이크장치가 이동통신 단말에 삽입됨을 감지하며, 펜던트상의 단축 다이얼링 버튼들 중 하나를 이용해 사용자가 단축 다이얼링을 요구하면 상기 요구된 단축 다이얼링 버튼에 대응된 착신자전화번호, 버튼기호, 착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후 상기 착신자 전화번호로 단축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얼링 장치.
KR1020010049268A 2001-08-16 2001-08-16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KR100827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68A KR100827077B1 (ko) 2001-08-16 2001-08-16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68A KR100827077B1 (ko) 2001-08-16 2001-08-16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505A true KR20030015505A (ko) 2003-02-25
KR100827077B1 KR100827077B1 (ko) 2008-05-02

Family

ID=2771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268A KR100827077B1 (ko) 2001-08-16 2001-08-16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464B1 (ko) * 2005-05-25 2007-05-07 김쌍규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392B1 (ko) * 1997-12-29 2000-05-01 윤종용 휴대폰에서 메모리 다이얼 방법
KR20000014239U (ko)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무선 전화기의 이어폰 장치
KR20010019691A (ko) * 1999-08-30 2001-03-15 안성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가내용 표시방법 및 부가내용 제공을
KR20010055772A (ko) * 1999-12-13 2001-07-04 윤종용 무선 단말기와 이어폰에서 잠금 장치 및 무선 단말기의잠금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464B1 (ko) * 2005-05-25 2007-05-07 김쌍규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다이얼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077B1 (ko) 200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3288A (en) Multiple mode cellular telephone control device
US20040224717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oice user interface
WO1996021315A1 (en) Combination telephone and alphanumeric entry device
KR20060094991A (ko) 이어 마이크를 이용한 단축 다이얼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US20040224685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 simplified user interface
KR10082707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JP2004048790A (ja) 携帯電話機
JP3162269B2 (ja) 呼設定情報自動送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0307706A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履歴表示方法
JPH098956A (ja) ハンズ・フリー装置
KR1003937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JP2978916B1 (ja) 携帯電話端末
KR10024269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착신 거부 방법
KR1004073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검색 방법
KR2003004424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핸즈프리 장치의 훅 버튼을 이용한통화연결방법
KR100452532B1 (ko)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및 통화방법
KR101176661B1 (ko) 이어폰 키를 이용한 호 발신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00341393A (ja) 電話帳機能付き電話機
JP2020162068A (ja) コードレス電話機、及び制御方法
KR20040106069A (ko) 전화기
KR20050060750A (ko) 이어마이크를 이용하여 최종 수신 번호로 전화를 거는 방법
JP2005094431A (ja) コードレス親子電話装置
JPH0630095A (ja) 携帯電話機
JPH01129643A (ja) 電話機
JP2000059529A (ja) 携帯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