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796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796B1
KR100393796B1 KR10-2001-0017677A KR20010017677A KR100393796B1 KR 100393796 B1 KR100393796 B1 KR 100393796B1 KR 20010017677 A KR20010017677 A KR 20010017677A KR 100393796 B1 KR100393796 B1 KR 100393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telephone number
call
switching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7952A (ko
Inventor
최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7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7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7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MS or e-ma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신자 정보(CID) 수신 및 단문 메시지(SMS)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의 현재모드가 착신모드인지 발신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착신모드 상태에서는 상대측으로부터 전화 착신시, 발신자 정보(CID)를 추출하여 단말기내의 버퍼에 저장함과 아울러 통화를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발신모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대측 전화번호를 버퍼에 저장함과 아울러 통화를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통화중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키버튼이 눌릴 경우,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하는 제4단계와;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제5단계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단문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6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버퍼에 기 저장되어 있던 전화번호를 착신번호로 하는 상대측에 전송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져, 통화하고 있는 상대의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SMS 전송을 위한 상대측 전화번호로 자동 입력하게 하고, 통화 중 전화번호 전송키 입력 시 키패드를 숫자키 우선 입력모드로 전환함으로써, 기존의 문자입력모드에서 숫자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없이 즉시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SMS 포맷으로 변환된 전화번호를 전송하기에 앞서,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의 전화번호가 SMS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인지 여부를 미리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추가적인 전화통화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SHORT MESSAGE TRANSMISS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응용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와 발신자 정보(CID : Caller ID)를 이용하여 통화중인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하여 1인 1전화 시대가 되면서, 가정이나 사무실 내의 유선방식 일반전화를 이용한 통화 횟수보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횟수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전화 통화를 할 경우에는 메모를 해야될 경우가 발생하는데, 특히 업무적으로 사용하는 전화 이외에 개인적으로 직접 연락이 가능한 전화번호를 메모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서 전화통화를 할 경우에는, 대부분 전화기 옆에 필기도구와 메모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통화중 메모할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는 도보나 교통수단에 의해 특정 지역을 이동하는 중에 전화를 받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필기도구와 메모지를 구비하지 못할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에 전화번호 등 메모할 사항이 발생할 경우는, 상대측이 불러주는 전화번호를 암기하고 있다가 통화가 끝난 후 암기한 전화번호를 단말기의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여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런데,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 전송기능을 모두 구비하고 있으며, 전달할 내용이 간단한 경우나 음성통화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음성통화 보다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는 편이 훨씬 편리하고, 요금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점점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전화 폭력을 방지하기 위한 발신자 정보(CID : Caller ID) 전송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그에 대한 서비스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는데, 참고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발신자 정보(CID)의 전송 방법은 크게 온 후크 상태에서 전송하는 방법과 오프 후크 상태에서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발신자 정보(CID)가 삽입된 링신호를 수신한 전화기는 전화벨을 울림과 동시에, 그 링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발신자 정보(CID)를 따로 검출하여 기억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함과 아울러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능은 모두 별개로 동작하는 기능으로써, 가령 통화중에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거나 발신자 정보(CID)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은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단문 메시지 전송기능을 이용해 전달한 내용이나 전화번호는 반드시 상호간에 통화가 수행되고 있지 않을 때,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특별한 내용없이 전화번호만 전송하고자 할 경우에도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전화 통화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통화하고 있는 상대의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SMS 전송을 위한 상대측 전화번호로 자동 입력하게 하고, 통화 중 전화번호 전송키 입력 시 키패드를 숫자키 우선 입력모드로 전환함으로써, 기존의 문자입력모드에서 숫자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없이 즉시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SMS 포맷으로 변환된 전화번호를 전송하기에 앞서,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의 전화번호가 SMS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인지 여부를 미리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추가적인 전화통화 비용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전화 착,발신 모드에 따라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2는 상기 도1에 의한 과정을 통해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된 후의 전화번호 전송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보인 예시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CID) 수신 및 단문 메시지(SMS)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의 현재모드가 착신모드인지 발신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착신모드 상태에서는 상대측으로부터 전화 착신시, 발신자 정보(CID)를 추출하여 단말기내의 버퍼에 저장함과 아울러 통화를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발신모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대측 전화번호를 버퍼에 저장함과 아울러 통화를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통화중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키버튼이 눌릴 경우,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하는 제4단계와;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제5단계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단문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6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버퍼에 기 저장되어 있던 전화번호를 착신번호로 하는 상대측에 전송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경우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용해 전화번호를 전송하고자 할 경우, 통화가 완료된 후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에 따라 착신 전화번호와 발신 전화번호를 순차로 입력한 후,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화번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전화 발신자인가 아니면 전화 착신자인가에 따라 간편한 절차를 거쳐 통화중에 전화번호 전송을 위한 전용 메시지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특히, 종래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메시지 입력 단계에서는 단말기의 키패드 용도가 한글 또는 영문을 편집할 수 있는 용도로 전환되기 때문에, 오히려 숫자를 입력하기가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의 키패드는 오로지 전화번호 전송을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한글이나 영문 편집이 필요하지 않게되어 전화번호 입력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은 본 발명에 의해 전화 착,발신 모드에 따라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 전송을 위한 사용자는 우선 전화번호를 전송해줄 상대측 전화번호를 알고 있는 경우와 모르는 경우에 따라 전화번호 전송 절차에 약간의 차이가 있게 된다.
즉, 단말기는 현재 전화모드가 착신모드인가 발신모드인가에 따라(S11), 착신모드 상태에서 상대측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S12), 발신자 정보(CID)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3).
이에 따라, 발신자 정보(CID)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는 그 정보(발신자 전화번호)를 추출하여 단말기내의 버퍼에 임시 저장함과 아울러(S16)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S17).
물론, 상기에서 발신자 정보(CID)를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그와는 관계없이 통화는 이루어지며(S17), 발신 모드일 경우에는 즉 사용자가 전화를 거는 경우에도 그 착신자 번호가 버퍼에 임시 저장함과 아울러(S14)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S17).
이 상태(통화중 상태)에서 전화번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발신자 또는 착신자)가, 상대측 전화 사용자에게 전화번호를 전송하기 위해 기 설정된 버튼을 누르면(S18), 상기 임시 버퍼에 저장된 번호가 단문 메시지 수신이 가능한 번호인가를 판단한다(S19).
이때, 상기 전화번호 전송을 위한 버튼은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정의한 버튼으로서, 이 버튼이 눌리면 단말기는 상대측 전화가 일반전화일 경우, 단문 메시지 전송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메시지 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판단결과, 상대측 전화 단말기가 단문 메시지 수신이 가능할 경우에는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지고(S21), 단문 메시지 수신이 불가할 경우에는 에러메시지를 출력한다(S20).
다음, 도2는 상기 도1에 의한 과정을 통해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된 후의 전화번호 전송 과정을 보인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1의 과정에서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지면(S21), 전송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받는다(S31).
다음, 단말기내의 임시 버퍼에 저장된 번호가 있는가를 확인하여(S32), 있을 경우에는 단문 메시지의 착신번호를 임시 버퍼에 저장된 값(전화번호)으로 설정하고(S34), 버퍼에 저장된 값(전화번호)이 없을 경우에는 착신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다(S33).
즉, 현재의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은 착신 번호를 입력한 후, 발신 번호를 입력하고, 그 다음 메시지 내용을 입력하는 순서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화전호 전용 전송모드는 전화번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발신자일 경우에는 처음 전화를 걸기 위해 입력한 상대 전화번호를 착신번호로 그대로 이용하고, 전화번호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착신자일 경우에는 전화 착신시 검출한 발신자 정보(CID)의 전화번호를 착신번호로 이용한다.
그런데, 발신자 정보를 착신번호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발신자 정보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에 상기와 같이 임시 버퍼에 착신자 전화번호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없을 경우, 착신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착신 전화번호의 입력이 완료된 후 전송 버튼이 눌리면, 상기 입력된 전송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단문 메시지 전송 포맷으로 인코딩한 후(S35), 메시지(전화번호)를 발신한다(S36).
참고로, 도3은 본 발명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되면 단말기의 표시창에는 (a)와 같은 착신번호 및 전송할 전화번호 입력창이 나타난다.
물론, 착신번호는 전화 발신시 입력한 번호이거나 전화 착신시 발신자 정보(CID)에서 검출된 전화번호가 된다. 따라서, 만약 발신자 정보(CID)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 착신번호는 표시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송할 전화번호(전송번호)를 입력한 후 완료 버튼을 누르면, 착신번호가 있을 경우는 (c)와 같이 전송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가 바로 출력되고, 착신번호가 없을 경우는 (b)와 같이 착신번호를 입력받기 위한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생략되어 있으나 단문 메시지 전송시 임시 버퍼에 저장된 번호를 단문 메시지로 인코딩 하는 방법에는, 임시 버퍼의 번호를 회신자 번호(Callback number)로 설정하거나 사용자 데이터(User Data)로 설정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송받은 전화번호를 따로 전화번호부에 입력하지 않고도 통화버튼을 눌러 통화가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전송하고자 하는 번호 입력시에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전화 번호부에서 검색하여 입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은, 통화하고 있는 상대의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SMS 전송을 위한 상대측 전화번호로 자동 입력하게 하고, 통화 중 전화번호 전송키 입력 시 키패드를 숫자키 우선 입력모드로 전환함으로써, 기존의 문자입력모드에서 숫자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없이 즉시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SMS 포맷으로 변환된 전화번호를 전송하기에 앞서, 전송하고자 하는 상대의 전화번호가 SMS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인지 여부를 미리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발신자 정보(CID) 수신 및 단문 메시지(SMS)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단말기의 현재모드가 착신모드인지 발신모드인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착신모드 상태에서는 상대측으로부터 전화 착신시, 발신자 정보(CID)를 추출하여 단말기내의 버퍼에 저장함과 아울러 통화를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판단결과, 발신모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상대측 전화번호를 버퍼에 저장함과 아울러 통화를 수행하는 제3단계와; 상기 통화중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키버튼이 눌릴 경우,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하는 제4단계와;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지면 사용자로부터 전송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받는 제5단계와; 상기 전송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단문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하는 제6단계와; 상기 단문 메시지를, 버퍼에 기 저장되어 있던 전화번호를 착신번호로 하는 상대측에 전송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전송모드에서의 착신번호는, 단말기내의 버퍼에 저장된 번호가 있는가를 확인하여, 저장된 번호가 있을 경우에는 그 번호를 착신번호로 설정하고, 저장된 번호가 없을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착신번호를 입력받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은, 단말기내의 버퍼에 저장된 번호가 단문 메시지 수신이 가능한 번호인가를 판단하여, 단문 메시지 수신이 가능할 경우에만 전화번호 전송모드로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10-2001-0017677A 2001-04-03 2001-04-03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100393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677A KR100393796B1 (ko) 2001-04-03 2001-04-03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7677A KR100393796B1 (ko) 2001-04-03 2001-04-03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952A KR20020077952A (ko) 2002-10-18
KR100393796B1 true KR100393796B1 (ko) 2003-08-02

Family

ID=27751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677A KR100393796B1 (ko) 2001-04-03 2001-04-03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7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272B1 (ko) * 2004-09-03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연결 방법
KR100727225B1 (ko) * 2006-04-20 2007-06-13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에서의 통화중 단문메시지 전송시 상대방번호자동입력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223A (ko) * 1997-02-17 1998-10-15 이준 단축 메시지 서비스(sms) 제공을 위한 개인통신교환기와 이동 단말기 간 신호정보 처리 방법
KR19990052950A (ko) * 1997-12-23 1999-07-15 구자홍 휴대폰의 숫자 메시지 수신/저장방법
KR20000024291A (ko) * 2000-02-03 2000-05-06 이성철 통화중 문자 송수신장치
KR20000044227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16334A (ko) * 2000-08-25 2002-03-04 정장호 이동 단말기간 통화 중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36870A (ko)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223A (ko) * 1997-02-17 1998-10-15 이준 단축 메시지 서비스(sms) 제공을 위한 개인통신교환기와 이동 단말기 간 신호정보 처리 방법
KR19990052950A (ko) * 1997-12-23 1999-07-15 구자홍 휴대폰의 숫자 메시지 수신/저장방법
KR20000044227A (ko) * 1998-12-30 2000-07-15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00024291A (ko) * 2000-02-03 2000-05-06 이성철 통화중 문자 송수신장치
KR20020016334A (ko) * 2000-08-25 2002-03-04 정장호 이동 단말기간 통화 중 문자메시지 전송 방법
KR20020036870A (ko)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휴대전화의 통화중 숫자정보 전송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7952A (ko) 2002-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212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address book conver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EP1468549B1 (en) Telephone apparatus
WO1998030053A1 (en) A user interfa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unit
US7929680B2 (en)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originating and destination telephones to conduct a call session
KR1003937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CN101212735A (zh) 发送方直接把电话号码输入接收方的手机电话簿里的方法
KR10046402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에 의한 제어방법
KR2008003750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등록 전화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677314B1 (ko) 화상통화단말기의 호출 알림 방법
JP2002142006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820793B1 (ko) 원격지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1008571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재중 통화 연결방법
US20070008950A1 (en) Ip telephone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0092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KR0148524B1 (ko) 전화기의 지역번호 자동검색 및 발신 제어방법
KR2003001299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JP2008010962A (ja) 電話機
KR100827077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KR100621997B1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전화번호 전송방법
KR1008389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착신방법 및 장치
KR100827073B1 (ko) 휴대 단말기의 호 발신 방법
JP3311117B2 (ja) 電話機
JP2001217917A (ja) 発信者電話番号通知制御方法及び電話装置
KR20040090579A (ko) 무선통신단말기의 스피커 폰 모드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