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214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214B1
KR101009214B1 KR20030017175A KR20030017175A KR101009214B1 KR 101009214 B1 KR101009214 B1 KR 101009214B1 KR 20030017175 A KR20030017175 A KR 20030017175A KR 20030017175 A KR20030017175 A KR 20030017175A KR 101009214 B1 KR101009214 B1 KR 101009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mobile communication
transmission
message
mai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1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583A (ko
Inventor
조영백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17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214B1/ko
Publication of KR20040082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21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메일 전송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사용법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메일 전송 절차를 간소화하여 전송 시간 단축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일 전송을 위한 메뉴가 설정된 기능 버튼을 입력받으면 상기 메일의 내용이나 파일 첨부를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아울러 상기 메일을 수신할 상대방 주소를 직접 입력받은 후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대방으로 상기 메일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E-MAIL TRANSMISS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키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문 메시지나 메일(이 메일, 포토 메일) 전송 절차를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사용법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단문 메시지나 메일(이 메일, 포토 메일) 전송 절차를 간소화하여, 전송 시간 단축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하여 1인 1전화 시대가 되면서, 가정이 나 사무실 내의 유선방식 일반전화를 이용한 통화 횟수보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 횟수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전화 통화를 할 경우에는 메모를 해야될 경우가 발생하는데, 특히 업무적으로 사용하는 전화 이외에 개인적으로 직접 연락이 가능한 전화번호를 메모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서 전화통화를 할 경우에는, 대부분 전화기 옆에 필기도구와 메모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통화중 메모할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는 도보나 교통수단에 의해 특정 지역을 이동하는 중에 전화를 받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에, 필기도구와 메모지를 구비하지 못할 경우가 많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중에 전화번호 등 메모할 사항이 발생할 경우는, 상대측이 불러주는 전화번호를 암기하고 있다가 통화가 끝난 후 암기한 전화번호를 단말기의 메모리 기능을 이용하여 저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런데,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단문 메시지 전송기능을 모두 구비하고 있으며, 전달할 내용이 간단한 경우나 음성통화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음성통화 보다는 단문 메시지를 이용하는 편이 훨씬 편리하고, 요금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용이 점점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고, 또한 단말기의 기능이 고도화되면서 이 메일이나 포토메일 등의 가능한 단말기가 증가함에 따라 그 기 능들을 보다 쉽게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도1을 참조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에 구비된 단문 메시지 전송(SMS) 기능키(10)를 누르고, "메시지 전송(또는 발신)" 메뉴를 선택한다.
다음, 수신 번호와 회신 번호를 차례로 입력한 후, "새로운 메시지" 메뉴를 선택하여 메시지 내용을 작성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이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이 메일이나 포토 메일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도, 단말기에 구비된 이 메일 기능키(20) 또는 포토 메일 기능키(30)를 누르고, 수신 메일 주소를 차례로 입력한 후, 메시지 내용의 작성 및 사진 파일을 첨부하여 "전송" 버튼을 누르면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메시지 전송 절차는 일반적인 음성 통화 절차와는 달리, 거쳐야 하는 절차가 많고, 그 순서에 있어서도 음성 통화 절차와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여 사용자로부터 단문 메시지 및 이 메일, 포토메일 전송 서비스가 외면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 메일 전송 절차를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사용법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메일 전송 절차를 간소화하여, 전송 시간 단축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일 전송을 위한 메뉴가 설정된 기능 버튼을 입력받으면 상기 메일의 내용 입력을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아울러 상기 메일을 수신할 상대방 주소를 직접 입력받은 후 전송 명령이 입력되면 상대방으로 메일을 전송하도록 이루어진다.
도2는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사용자는 음성통화 방법과 마찬가지로 단문 메시지나 메일(이 메일, 포토 메일) 전송을 위한 상대측 단말기의 수신번호를 먼저 입력하고(S11), 다음으로 단문 메시지 또는 메일 전송 기능키를 누른다(S12).
다음, 새로운 단문 메시지 또는 메일 메시지 내용을 작성하거나, 기 저장되어 있던 메시지를 로딩(Loading)한 후(S15), "전송" 버튼을 누르면 수신측 단말기 로 전송이 이루어진다(S16, S17).
이때, 회신 번호는 메시지 전송 전 어느 단계에 삽입해도 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나 메일 전송 기능키를 누른 다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S14).
또한, 상기 상대측 단말기의 수신번호 입력은 지역번호, 국번 및 전화번호를 모두 입력하거나, 단축 다이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는 단축 다이얼로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 메일이나 포토 메일 전송을 위한 주소는 전화번호부 등록 시 함께 등록된 경우에 이용할 수 있으며, 전화 번호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는 주소를 직접 입력할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기능키를 먼저 눌러 정해진 순서에 의해 입력하면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음성 통화시에 이용하던 다이얼 입력 절차를 그대로 단문 메시지나 메일 전송에 적용하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는 일단 상대측 전화번호를 먼저 입력한 뒤, 음성 통화를 할 것인지 아니면 단문 메시지나 메일을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음성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는 "통화"버튼을 누르고, 단문 메시지나 메일을 전송하고자 할 경우는 해당 기능 키를 누른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단문 메시지나 메일 전송을 위해 따로 사용법을 습득할 필요가 없게 된다.
물론, 음성 통화시는 "통화"버튼을 누른 후, 상대측과 통화 연결이 되면, 음 성을 주고받으면 된다(S13).
그러나, 단문 메시지 전송은 전송할 문자를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메시지 작성 등 몇가지 절차가 더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한편, 기존의 "단문 메시지 전송" 또는 "메일 전송" 버튼은, 해당 기능에 관련된 서브 메뉴들을 호출하는 일종의 메뉴 호출 버튼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즉, "단문 메시지 전송" 버튼을 누르면 메시지 송/수신에 관련된 서브 메뉴가 표시되고, 메시지 송신을 위해 메시지 전송 메뉴를 선택하면, 새로운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 기 저장되어 있던 메시지를 로딩할 것인지 등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각 기능 버튼은 새로운 용도가 더 추가되어, 수신번호를 입력한 후 바로 해당 기능 버튼을 누르면, 단문 메시지나 메일을 바로 전송하겠다는 일종의 전송명령이 되고, 수신번호 입력 없이 기능 버튼을 누르면, 메시지(또는 메일) 수신을 확인하거나 주소 등을 직접 입력하여 전송하기 위한 명령이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신번호 입력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으나, 상기 단축 다이얼과 전화번호 직접 입력 방법 이외에도, 단말기의 부가기능 중 하나인 전화 번호부(Phone Book) 기능을 연계하여, 수신자의 대표 번호를 선택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수신번호를 입력하던 간에, 수신번호 입력 후 "단문 메시지나 메일 전송" 버튼을 눌러 단문 메시지나 메일을 전송함으로써, 그 순서에 있어서 음성 통화 절차와 비슷한 과정으로 진행되게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새로운 서비스 이용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은, 이 메일 전송 절차를 사용자가 메시지 전송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사용법을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며, 이 메일 전송 절차를 간소화하여, 전송 시간 단축 및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메일 전송을 위한 기능 버튼을 입력받는 단계와;
    상대방 수신번호가 미리 입력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번호가 미리 입력되어 있으면 상기 메일의 메시지 내용을 입력을 위한 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 내용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입력받은 상대방 수신번호로 상기 메일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번호가 미리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메일 수신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버튼은,
    메일 송/수신에 관련된 서브 메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버튼은,
    상대방 수신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로 입력되면 메일 전송을 위한 상대방 수신번호를 직접 입력받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4. 삭제
KR20030017175A 2003-03-19 2003-03-19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KR101009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7175A KR101009214B1 (ko) 2003-03-19 2003-03-19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17175A KR101009214B1 (ko) 2003-03-19 2003-03-19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583A KR20040082583A (ko) 2004-09-30
KR101009214B1 true KR101009214B1 (ko) 2011-01-19

Family

ID=37366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17175A KR101009214B1 (ko) 2003-03-19 2003-03-19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2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797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휴대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45925A (ko) * 2000-12-11 2002-06-20 김대홍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63376A (ko) * 2001-01-29 2002-08-03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20030081584A (ko) * 2002-04-12 200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8797A (ko) * 1999-12-30 2001-07-06 윤종용 휴대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45925A (ko) * 2000-12-11 2002-06-20 김대홍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63376A (ko) * 2001-01-29 2002-08-03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전송방법
KR20030081584A (ko) * 2002-04-12 200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583A (ko)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120B1 (ko) 휴대용 전화기를 위한 그래픽 이용자 인터페이스
JP5471973B2 (ja) 携帯端末
WO1998030053A1 (en) A user interface for a mobile communication unit
US200501591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KR100762642B1 (ko) 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및 그 단말기
KR1010092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KR10046402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모드 전환에 의한 제어방법
KR2003001299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발신방법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39379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20020038848A (ko) 휴대용 무선 전화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을 위한 데이터입력 방법
KR100690704B1 (ko) 휴대폰의 신호 전송방법
KR100688195B1 (ko) 메시지 확인신호 전송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1003938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다중전송 방법
EP1478163A2 (en) Broadcast message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040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수신자 그룹 등록방법
KR100618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JP2002111798A (ja) 携帯電話機
JPH10112765A (ja) Fax機能付き携帯電話装置
KR20030003841A (ko) 원격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KR100656651B1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표시 서비스 방법
KR20030044122A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4865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50021660A (ko)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020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