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1660A -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1660A
KR20050021660A KR1020030058651A KR20030058651A KR20050021660A KR 20050021660 A KR20050021660 A KR 20050021660A KR 1020030058651 A KR1020030058651 A KR 1020030058651A KR 20030058651 A KR20030058651 A KR 20030058651A KR 20050021660 A KR20050021660 A KR 20050021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ssage
shortcut key
text message
short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8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1660A/ko
Publication of KR20050021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6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 시에 단축키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간편하게 작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단문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입력받아 단축키로 저장한 후에, 사용자가 단축키로 지정해 놓은 소정의 키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입력한다. 입력된 단축키에 할당된 문자 메시지를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통화 시에 사용하는 단축 다이얼을 단문 메시지의 전송 시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Method for transmission of message using shortened key}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전송 시에 단축키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에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 작성 모드에 진입하여 원하는 메시지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과 작성된 메시지를 저장하여 나중에 그 메시지를 불러와서 입력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가 매번 메시지를 입력하고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상기와 같이 작성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대방 번호의 입력 방법으로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과,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부를 검색하여 원하는 번호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대방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일일이 전화번호를 암기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전화부를 검색하여 특정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방법은 많은 양의 전화번호가 저장된 전화부를 일일이 검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때에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단축 다이얼로 지정하여 통화 시에 단축 다이얼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단축키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으로 수신 번호의 입력을 간편하게 할 수 있지만, 여전히 메시지 작성의 불편함을 개선하지 못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안된 것으로서, 단문 문자 메시지의 작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단축키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게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이 이루어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사용자가 전화를 걸 때 즐겨 사용하는 단축 다이얼 기능을 단문 메시지의 작성과 전송 과정에도 적용함으로써, 문자 메시지의 사용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 작성하여 전송할 때 사용자가 특정키를 사용할 경우에는 해당키에 할당된 문자 메시지와 전화번호를 인식하여 전송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통화 시에 사용되는 단축 다이얼의 저장 방법과 비슷하게 문자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특정키에 할당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문자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단축키로 저장 가능한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기 전에, 사용자로부터 문자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입력받아 단축키로 저장한다. 그 후에 사용자로부터 단축키를 입력받아 이에 할당된 문자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화면부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한다. 디스플레이된 문자 메시지를 수정하여 전송하거나 별도의 추가 입력 없이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의 단말기는 사용자가 단축키를 입력하여 발신 통화가 이루어지는 기능을 갖고 있는데, 이를 위해 단말기의 메모리는 도 1과 같이 단축키에 발신 전화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단축키를 입력해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기 위해서는, 도 1과 같은 테이블에 추가로 문자 메시지와 메시지 수신 번호의 항목을 저장해야 한다. 즉, 단축키를 이용해 발신 통화를 할 수 있는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사용해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기 위해서는 단축키에 발신 전화 번호, 문자 메시지, 메시지 수신 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는 도 2와 같은 전체적인 단축키 테이블이 필요하다.
도 2에 도시한 단축키 테이블에서 보는 것처럼 단축키에 일반적인 발신 통화와 문자 메시지 전송을 하기 위해 "0"번부터 각각의 단축키에 소정의 메시지와 전화번호가 할당되어 저장되어 있다. 특히, 단축키에 소정의 문자 메시지와 수신 번호의 저장 방식은 사용자가 발신 통화를 위해 발신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저장해 놓은 단축키를 제외한 비어 있는 다른 단축키에 할당되어 저장된다. 즉, 발신 통화를 위한 전화번호와, 메시지 전송을 위한 문자 메시지와 수신 번호가 동일한 단축키에 할당하여 저장될 수 없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단축키에는 소정의 문자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둘 다 할당하거나 둘 중에 하나만을 할당하여 저장할 수 있다. 메시지 항목은 일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와 같이 40자 내외 정도의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축키 테이블에는 SMS 사용 여부를 알려주는 항목을 따로 두고 있다. 이는 저장된 단축키가 메시지 전송을 위한 것이면 SMS 사용 여부를 Y로 설정하고, 발신 통화를 위한 것이면 N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은 테이블은 사용자가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사용하기 전에 등록해 놓아야 한다.
도 3은 단축키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 상태 화면에서 원하는 단축키를 입력한다(S10). 단축키를 입력하는 방법은 단말기의 통화 시에 단축키를 입력하는 방법과 비슷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단축키를 0.5초 정도 길게 누르거나 단축키를 누르고 단말기 상의 "통화" 버튼을 누르면 된다. 이에 따라, 입력된 단축키를 도 1b에 도시된 단축키 테이블에서 검색하여(S11), 검색 결과로 입력된 단축키에 테이블에서 할당된 항목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12). 검색 후에 입력된 단축키에 도 2의 "3"번처럼 어떤 항목도 할당되어 있지 않으면 단말기의 화면부에 도 4d와 같이 에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한다(S13).
입력된 단축키가 도시된 도 2의 테이블에서 검색이 되면, 다음으로 검색된 단축키의 SMS 사용 여부를 판단한다(S14). 이는 입력된 단축키가 문자 메시지의 전송하기 위해 등록된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즉, SMS 사용 여부 판단 과정(S14)은 도 2의 테이블에서 입력된 단축키가 SMS 사용 여부 항목으로 Y 또는 N으로 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입력된 단축키에 도 2의 단축키 "0"번처럼 SMS 사용 여부 항목이 N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그 단축키는 발신 통화를 위해 입력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입력된 단축키 "0"번에 할당된 전화번호로 발신 통화가 이루어진다(S15).
다른 경우로, 입력된 단축키가 상기의 과정(S14)에서 SMS 사용 여부 항목이 Y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단축키에 할당된 전화번호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6). 만약, 사용자가 단축키로 "1"번을 입력했을 경우에는 입력된 단축키에 전화번호가 할당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도 4a와 같이 단축키에 할당된 항목인 메시지와 전화번호를 단말기의 화면부에 디스플레이 한다(S18).
이때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축키가 "4"번일 경우에는 단축키에 할당된 전화번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S16)에서 단축키 "4"에 메시지만 할당되어 있고 전화번호는 할당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해야 하고(S17), 실제로 도 4c와 같이 메시지 항목만이 디스플레이 되고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수신 번호의 입력을 요구받게 된다(S17). 사용자가 도 4c의 화면에서 화면상의 수정 버튼을 택해 전화번호를 입력할 수 있고(S17), 수신 번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메시지와 전화번호의 항목을 단말기의 화면부에 디스플레이 한다(S18).
또한, 사용자가 "2"번의 단축키를 입력하면, 상기의 과정(S16)을 통해 "2"번의 단축키에 수신 번호 항목만이 할당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도 4b와 같이 메시지 항목은 공란으로 남겨 있고 수신 번호 항목만이 디스플레이 된다(S18).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축키에 메시지 항목 없이 수신 번호만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도 단축키를 사용하여 호출 방식과 같은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입력된 단축키에 할당된 항목을 단말기의 화면부에 디스플레이하고(S18) 난 후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나 수신 번호를 수정할지를 판단한다(S19). 만약 사용자가 어떠한 수정도 없이 바로 전송하길 원하면 도 4a 또는 도 4b에서 보는 것처럼 화면상의 전송 버튼을 사용하여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바로 전송할 수 있다(S21). 하지만, 사용자가 단축키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메시지나 수신 번호에 추가적인 입력이나 수정을 원할 경우에는 도 4a내지 또는 도 4b에 있는 화면상의 수정 버튼을 사용하여 원하는 항목을 수정하여(S20) 상대방의 단말기로 전송된다(S21).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사용자는 단축키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축키에 할당되는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수정하거나 새롭게 등록할 수 있다. 이는 도 5a에서 단말기의 부가 기능 메뉴 중에 단축키 설정 메뉴를 따로 두어 실행된다.
도시된 도 2의 단축키 테이블을 기반으로 도 5b에서처럼 각각의 단축키에 할당된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나열해서 보여준다. 도 5b의 단축키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는 비어 있는 단축키를 선택하여 새로운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비어 있는 단축키 "3"번을 선택하면, 도 5c와 같은 화면에서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에, 40자 내외의 문자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고 아예 메시지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도 5d에 메시지를 입력하여 등록하면 사용자는 도 5e와 같이 수신 번호의 등록 여부를 선택해야 한다. 사용자가 수신 번호의 등록을 원치 않으면 도 5d에 입력된 메시지만을 단축키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도 5d에서 어떠한 메시지도 입력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수신 번호의 등록 여부를 묻는 도 5e의 화면은 나타나지 않고 바로 도 5f의 수신 번호를 등록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따라서 단축키에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둘 다 등록할 수 있고, 다른 경우에는 메시지 또는 수신 번호의 둘 중에 하나만을 등록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도 5f의 화면에서 등록할 수신 번호를 입력하면 도 5g와 같이 단축키의 등록이 완료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단축키에 등록되는 메시지와 수신 번호는 앞에서 도시한 도 2의 단축키 테이블의 각각의 항목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미 단축키 테이블에 저장된 메시지와 수신 번호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정하거나 추가 입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통화 시에 사용하는 단축 다이얼을 단문 메시지의 전송 시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이 간단하고 신속하여 기존 사용자의 수보다 그 수가 더욱 증가되어 문자 메시지 서비스 이용료의 매출도 증가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단말기 메모리에 저장된 단축키 테이블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기 메모리에 저장된 단축키 테이블이다.
도 3은 단축키를 사용해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단축키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실제 화면 예이다.
도 5a 내지 도 5g는 단축키에 문자 메시지와 수신 번호를 등록하는 실제 화면 예이다.

Claims (4)

  1. 사용자로부터 문자 메시지 및/또는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단축키로 저장하는 제 1단계와,
    사용자로부터 단축키를 입력받으면 이에 할당된 문자 메시지를 할당된 전화번호로 전송하는 제 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2단계는
    사용자로부터 단축키를 입력받으면 할당된 문자 메시지 및/또는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2-1단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내용을 추가로 입력하거나 수정하는 제 2-2단계,
    사용자가 전송 버튼을 누르면 상기 수정된 내용으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3단계
    를 포함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단축키가 발신 통화에 대한 것인지, 문자 메시지 전송에 대한 것인지를 구별하기 할 수 있는 단축키 테이블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단축키에 할당된 항목이 없을 경우에는 에러 표시를 하고, 단축키에 메시지만 할당되어 있을 경우에는 할당되어 있지 않은 수신 번호 항목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030058651A 2003-08-25 2003-08-25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500216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651A KR20050021660A (ko) 2003-08-25 2003-08-25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651A KR20050021660A (ko) 2003-08-25 2003-08-25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660A true KR20050021660A (ko) 2005-03-07

Family

ID=37229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651A KR20050021660A (ko) 2003-08-25 2003-08-25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16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064B1 (ko) * 2004-01-26 2006-07-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서비스방법
WO2010143787A1 (en) * 2009-06-11 2010-12-16 Hyo Hwan Bae Message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397A (ko) * 2000-12-13 2002-06-21 박태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의 회신번호 저장 방법
KR20030064013A (ko) * 2002-01-25 200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200340738Y1 (ko) * 2003-10-07 2004-02-11 박현우 긴급단축키를 결합한 핸드폰
KR20050007898A (ko) * 2003-07-12 2005-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기록 및 전송방법
KR20050020320A (ko) * 2003-08-22 2005-03-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397A (ko) * 2000-12-13 2002-06-21 박태형 단문 메시지 서비스에서의 회신번호 저장 방법
KR20030064013A (ko) * 2002-01-25 200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방법
KR20050007898A (ko) * 2003-07-12 2005-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문자메시지 기록 및 전송방법
KR20050020320A (ko) * 2003-08-22 2005-03-0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중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0340738Y1 (ko) * 2003-10-07 2004-02-11 박현우 긴급단축키를 결합한 핸드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064B1 (ko) * 2004-01-26 2006-07-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서비스방법
WO2010143787A1 (en) * 2009-06-11 2010-12-16 Hyo Hwan Bae Message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122699B1 (ko) * 2009-06-11 2012-03-12 (주)이앤비소프트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3317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n emergency call from a mobile phone
KR100383610B1 (ko) 셀룰러 전화기의 호 서비스 방법
JP2001111672A (ja) 移動体通信端末
KR20020036872A (ko) 이동 단말기 발신자에 의한 수신자 폰북 메모리 제어방법
US2005006911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country codes
KR20050021660A (ko)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1268206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20030045893A (ko) 전화단말기에서 그룹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방법
KR100731619B1 (ko)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KR20060015362A (ko) 통화 목록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 및 그 방법
KR2002003833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KR200300097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목록에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200300378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목록 디스플레이 방법
KR20060007283A (ko) 이동단말기의 오통화 예방 방법
KR2002006883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02111798A (ja) 携帯電話機
KR200200546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번호 등록방법
KR10100921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일 전송 방법
KR20030044122A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0583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 처리방법
KR20040028249A (ko) 이동 단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시 수신자번호의 입력 방법
KR1004865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401071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등록 및 메시지 전송 방법
JP2000278393A (ja) 選択呼出受信機とその電話帳変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