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699B1 -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699B1
KR101122699B1 KR1020090052028A KR20090052028A KR101122699B1 KR 101122699 B1 KR101122699 B1 KR 101122699B1 KR 1020090052028 A KR1020090052028 A KR 1020090052028A KR 20090052028 A KR20090052028 A KR 20090052028A KR 101122699 B1 KR101122699 B1 KR 101122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contact
input
content
s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238A (ko
Inventor
배효환
이신종
Original Assignee
(주)이앤비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앤비소프트 filed Critical (주)이앤비소프트
Priority to KR1020090052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699B1/ko
Priority to PCT/KR2009/006096 priority patent/WO2010143787A1/en
Publication of KR2010013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6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file transfer, e.g. file transfer protocol [F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08Annexed information, e.g. attach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메시지 발신 장치는 입력장치 조작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메시지 발신을 위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메시지 발신 신호 생성 모듈에 트리거(trigger)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 모듈로부터 상기 트리거를 제공 받아 현재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메시지 발신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발신을 위한 조작 신호는 발신 대상인 콘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의 단축키 입력 또는 팝업 메뉴 중 콘텐츠 발신을 뜻하는 항목을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SMS, MMS, 이 메일, 신속, 간편

Description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Message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더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키 입력 또는 마우스 입력을 모니터링 하는 에이전트를 설치하여, 콘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 메시지 발신을 의미하는 키 입력 또는 마우스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에이전트가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미리 지정된 수신자 또는 메시지 발신 키 입력 또는 마우스 입력이 있는 시점에서 입력된 수신자에게 발신하는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문자메시지 서비스 즉, SMS(Short Message Service )는 IS-637 또는 IS-41 프로토콜 표준을 따르는 것으로서 보통 80바이트에서 160바이트까지의 길이를 가지는 문자메시지 데이터를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서비스를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상술한 IS-637 또는 IS-41 프로토콜 표준에 따라 문자메시지의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는 SMS처리부가 구비되며, 이동통신 시스템 또한 IS-637 또는 IS-41 프로토콜 표준에 따른 문자메시지 처리 기능이 구비된다.
상기 언급한 문자메시지 서비스는 최근 의사교환 수단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다른 업무와 병행할 수 있고, 정숙이 필요한 곳에서도 의사교환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이다. 문자메시지는 주로 핸드폰을 비롯한 이동 단말을 통하여 입력되고, 보다 편리한 방식을 통하여 문자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에 대한 필기 인식, 자판 방식의 효율화 등 많은 시도가 있어왔다.
한편, 발신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이미 입력된 데이터라면 그 데이터를 다시 타이핑하기 보다는 복사하여 발신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인터넷 사이트에 기재된 텍스트를 발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텍스트를 다시 입력하는 행위는 효율적이지 못하므로, 상기 텍스트를 복사하여 발신하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경우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가 통신사의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문자 발신 서비스나, 메신저(messenger)에서 제공되는 문자 발신 서비스에 로그인 하여 발신하 고자 하는 콘텐츠를 복사하여 붙여 넣기 한 다음 발신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도 로그인을 한다거나, 신규의 창(window)를 띄워야 하는 등 적지 않은 조작이 필요하다. 따라서, 그리 길지 않은 콘텐츠를 발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차라리 익숙한 핸드폰을 통하여 입력하는 것이 더 빠를 수도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PC 사용 중 발신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있으면 최소한의 조작만으로 메시지 발신을 할 수 있는 서비스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신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선택된 상황에서 최소한의 조작으로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는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리 정해진 수신자가 있는 경우, 별도의 수신자 연락처 입력 없이 상기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는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신자 연락처의 포맷에 따라 자동으로 발신되는 메시지의 형태를 결정하는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신자 연락처가 휴대전화 번호 인 경우, 단문 메시지를 발신하고, 수신자 연락처가 이 메일(e-mail) 주소인 경우 이 메일 메시지를 발신하는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메시지 발신 방법은 키의 입력을 모니터링 하는 에이전트를 설치하는 단계, 발신할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메시지 발신 단축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에이전트가 상기 단축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에이전트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에이전트의 설치 후 메시지 발신을 위한 단축키 및 상기 단축키가 눌린 경우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연락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는 상기 수신자 연락처가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인 경우,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중 한 형태의 메시지를 발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신자 연락처가 이 메일 주소인 경우, 이 메일 메시지를 발신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메시지 발신 방법은 마우스 입력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에이전트를 설치하는 단계, 발신할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 팝업 메뉴의 생성을 위한 마우스의 입력이 이뤄진 경우, 상기 에이전트가 팝업 메뉴에 상기 콘텐츠의 발신을 위한 항목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의 발신을 위한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에이전트가 상기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메시지 발신 장치는 입력장치 조작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메시지 발신을 위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에 트리거(trigger)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 모듈로부터 상기 트리거를 제공 받아 현재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발신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선택된 상황에서 최소한의 조작으로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리 정해진 수신자가 있는 경우, 별도의 수신자 연락처 입력 없이 상기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수신자 연락처가 휴대전화 번호 인 경우, 단문 메시지를 발신하고, 수신자 연락처가 이 메일(e-mail) 주소인 경우 이 메일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중요한 정보를 이 메일의 해킹 또는 유출의 위험 없이 안전하게 수신자의 이동 단말로 간편하게 전송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키의 입력을 감시하는 에이전트를 설치한다(S100). 도 1은 메시지 발신 관련 입력이 단축키인 경우의 메시지 발신 방법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므로, 메시지 발신 관련 입력이 팝업 메뉴에서의 메시지 발신 항목 선택인 경우, 상기 에이전트는 키의 입력뿐 만 아니라 마우스의 입력 역시 감시할 수 있어야 함에 주의해야 한다. 상기 에이전트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은 후 실행하거나, 인터넷 사이트에서 COM(Component Object Model)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이전트는 설치 후,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에이전트 프로세스만 수행될 뿐, 상기 에이전트 자체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가지지는 않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에이전트 자체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가지더라도 환경설정 및 기능의 활성화 여부 만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에이전트가 설치된 장치가 부팅 되는 경우 자동 실행되도록 설치 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실행 여부는 설치 단계에서 사용자의 확인을 거칠 수 있다.
상기 에이전트의 설치 대상,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방법이 구현되는 대상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면 족하다. 상기 TCP/IP 통신은 유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노트북에 상기 에이전트가 설치 될 수 있다.
에이전트의 설치(S100)가 완료된 이후, 설치한 에이전트의 환경 설정을 진행한다(S102). 상기 환경 설정은 에이전트의 설치(S100)가 완료된 이후 바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에이전트의 설치(S100)가 완료된 이후에만 진행할 필요는 없으며, 에이전트가 설치된 이후에는 언제든지 환경 설정을 재 진행할 수 있다.
환경 설정 단계(S102)는 과금 대상자를 확정하고, 상기 과금 대상자의 확인을 받기 위한 사용자의 인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단계는 상기 메시지 발신이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는 것인 경우 발생되는 요금을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가입자에 대하여 과금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증단계는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정의 결과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이동 단말 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 번호를 수신자로 하여 인증 번호 를 발신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증 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 인증 번호의 동일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판정의 결과 인증 번호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 인증을 실패로 판정하고 상기 메시지 발신이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는 것인 경우의 메시지 발신 기능을 제한 하는 단계, 상기 판정의 결과 인증 번호가 동일한 경우 사용자 인증을 성공으로 판정하고 인증 정보의 저장 여부를 묻는 단계 및 인증 정보를 저장하겠다는 입력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설정 단계(S102)는 미리 지정된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이하, '지정 발신' 이라고 한다)에 할당할 단축키 및 지정 발신의 경우 메시지를 수신 받을 수신자 연락처를 지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 발신 단축키에 대응하는 수신자 연락처로 사용자의 이동 단말 전화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신자 연락처를 메시지 발신 시 마다 입력 받아 메시지를 발신하는 경우(이하, '수신자 입력 발신' 이라고 한다)에 할당할 단축키를 지정하는 것일 수 있다.
환경 설정 단계(S102)는 수신자 연락처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자 연락처 리스트에 포함되는 각각의 수신자 연락처 데이터는 이름 및 연락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각의 수신자 연락처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그룹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생성, 이름 변경, 제거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 설정 단계(S102)가 완료되면, 상기 에이전트는 백그라운드에서 키 입력에 대한 모니터링을 시작한다(S104).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팝업 메뉴에서의 메시지 발신 항목 선택의 경우에도 메시지 발신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는 상기 에이전트가 키 입력뿐만 아니라 마우스 입력에 대하여도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함을 주의해야 한다. 상기 마우스 입력은 터치스크린에의 접촉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 입력 및 상기 마우스 입력에 대한 모니터링은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입력 발생 메시지를 메시지 후킹(message hooking)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시지 후킹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가 상기 입력 발생 메시지 생성 시 호출하는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를 상기 운영체제의 커널(kernel)에 등록하는 단계; 입력 장치를 통하여 입력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커널이 상기 콜백 함수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콜백 함수가 상기 입력 신호가 메시지 발신 기능과 관련된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의 결과 상기 입력 신호가 메시지 발신 기능과 관련된 것인 경우, 메시지 발신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이전트가 모니터링을 시작한 후, 사용자가 발신 대상인 콘텐츠를 선택하고(S106), 메시지 발신 기능과 관계된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면 메시지 발신 기능이 실행되게 된다. 상기 콘텐츠 선택의 방법은 예를 들어, 마우스를 드래그(drag) 하여 발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또는 쉬프트(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화살표 키를 입력하여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한 종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포함하는 콘텐츠일 필요는 없으며, 상기 에이전트가 설치된 운영체제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콘텐츠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시지 발신 기능 입력 신호는 키보드의 단축키인 경우, 팝업 메뉴에서의 메시지 발신 항목 선택인 경우의 두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상기 메시지 발신 기능 입력 신호가 키보드의 단축키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상기 메시지 발신 기능 입력 신호가 팝업 메뉴에서의 항목 선택인 경우의 처리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 상기 메시지 발신 기능 입력 신호가 상기 단축키의 경우와 상기 팝업 메뉴에서의 항목 선택인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1) 단축키를 통하여 메시지 발신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에이전트 환경 설정(S102) 단계에서 설정된 지정 발신 단축키 및 수신자 입력 발신 단축키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된 경우(S108), 에이전트는 상기 단축키가 지정 발신 단축키인지 판정한다(S110).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에이전트는 키가 입력될 때마다, 입력된 키의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키 입력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고, 메시지 발신 기능의 단축키로 설정된 키가 입력된 경우인지를 판정한다.
지정 발신 단축키가 입력된 것이 맞는다면, 현재 선택된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는 에이전트 환경 설정 단계(S102)에서 설정한 지정 발신용 수신자 연락처가 된다.
반면에, 수신자 입력 발신 단축키가 입력된 경우, 에이전트는 수신자 연락처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S112).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수신자 연락처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생성된 이후, 키 입력의 포커스를 상기 유 저 인터페이스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지 않고, 바로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해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상기 수신자 연락처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자 입력 발신 단축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수신자 연락처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수신자 연락처는 현재 선택된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가 된다.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 단계(S112)는 상기 연락처 리스트 또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연락처 리스트를 게시하는 영역,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를 게시하는 영역 및 신규의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는 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연락처 리스트 또는 히스토리 데이터 중 선택된 연락처 및 입력된 신규의 수신자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락처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그룹이 선택된 경우 상기 그룹에 포함된 모든 연락처를 상기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팝업 메뉴에서 메시지 발신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 발신 기능 입력 신호가 팝업 메뉴에서 메시지 발신 항목을 선택하는 것인 경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에이전트는 팝업 메뉴가 생성되었는지를 판정한다(S200). 상기 판정은 예를 들어 마우스의 오른쪽 버튼이 눌렸는지의 통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통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에이전트는 팝업 메뉴에 지정 발신을 뜻하는 항목 및 수신자 지정 발신을 뜻하는 항목을 추가한다(S202). 상기 에이전트는 선택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 후, 상기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지정 발신을 뜻하는 항목 및 수신자 지정 발신을 추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이전트는 선택된 콘텐츠가 존재하는지를 판정한 후, 상기 콘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지정 발신을 뜻하는 항목 및 수신자 지정 발신을 뜻하는 항목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지정 발신을 뜻하는 항목 및 수신자 지정 발신을 뜻하는 항목을 추가된 팝업 메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지정 발신을 뜻하는 항목에 미리 지정된 수신자 이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 발신의 수신자 이름이 '내 전화'로 지정된 경우, 도 3과 같이 항목 명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팝업 메뉴의 항목 명 중, ''내 전화'로 전송'은 지정 발신을 뜻하는 항목이고, '수신자 지정하여 전송'은 수신자 지정 발신을 뜻하는 항목이다.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팝업 메뉴의 항목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항목이 지정 발신을 뜻하는 항목인지 판정한다(S204). 항목 종류의 판정(S204)은 팝업 메뉴 객체에서 발생하는 메시지에 포함된 항목 식별 정보를 바탕으로 이뤄질 수 있다. 판정(S204)의 결과 지정 발신을 뜻하는 항목이 선택된 경우 현재 선택된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는 에이전트 환경 설정 단계(S102)에서 설정한 지정 발신용 수신자 연락처가 된다.
반면에, 수신자 입력 발신을 뜻하는 항목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할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아야 한다(S206).
수신자 연락처 입력 단계(S206)에서, 에이전트는 수신자 연락처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수신자 연락처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생성된 이후, 키 입력의 포커스를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지 않고, 바로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해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상기 수신자 연락처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자 입력 발신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입력된 수신자 연락처는 현재 선택된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가 된다.
수신자 연락처 입력 단계(S206)에 포함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 단계는 상기 연락처 리스트 또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연락처 리스트를 게시하는 영역,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를 게시하는 영역 및 신규의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는 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연락처 리스트 또는 히스토리 데이터 중 선택된 연락처 및 입력된 신규의 수신자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락처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그룹이 선택된 경우 상기 그룹에 포함된 모든 연락처를 상기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재 선택된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가 정해진 경우, 상기 에이전트는 수신자 연락처 종류를 판정한다(S114). 상기 연락처 종류는 수신자 연락처 데이터의 타입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숫자를 포함하고, '@' 기호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이고 그 외의 경우에는 이 메일인 것 으로 판정할 수 있다.
수신자 연락처 종류가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인 경우, 상기 에이전트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SMS)의 전송을 요청 하는 신호를 생성한다(S118).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의 콘텐츠 데이터에는 콘텐츠 선택 단계(S106)에서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의 착신자 데이터에는 상기 현재 선택된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이전트는 특히,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또는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크기가 단문 메시지의 전송 한계를 넘어선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의 전송을 요청 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에, 수신자 연락처 종류가 이 메일 주소 형태인 경우, 상기 에이전트는 이 메일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 하는 신호를 생성한다(S116).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의 콘텐츠 데이터에는 콘텐츠 선택 단계(S106)에서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의 착신자 데이터에는 상기 현재 선택된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이전트는 S116 단계 또는 S118 단계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한다(S120). 수신자 지정 발신을 통한 메시지 전송(S120)이 완료된 경우, 상기 에이전트는 입력 받은 수신자 연락처를 히스토리 데이터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입력 받은 수신자 연락처가 히스토리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상기 수신자 연락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가 단문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인 경우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인 경우, 상기 메시지는 이동 통신사의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가 이 메일 전송 요청 신호인 경우, 메일 서버에 전송 될 수 있다. 상기 에이전트는 메시지 전송 단계(S120)의 수행 결과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게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장치는 입력부(400), 모니터링 모듈(402),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40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06) 및 버퍼(408)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장치에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00)에 입력된 신호는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장치에 설치된 운영 체제의 커널(미도시)을 통하여 모니터링 모듈(402)에 제공된다.
모니터링 모듈(402)은 입력부(400)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장치 조작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메시지 발신을 위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404)에 트리거(trigger)를 제공한다. 상기 트리거는 메시지 발신을 위한 루틴을 실행하도록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이다.
상기 메시지 발신을 위한 조작 신호는 미리 지정된 단축키의 입력 또는 콘 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 생성된 팝업 메뉴 중 상기 콘텐츠의 발신을 위한 항목의 선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404)은 모니터링 모듈(402)로부터 상기 트리거를 제공 받아 버퍼(408)에 저장된 현재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06)는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404)로부터 제공받아 외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메시지 발신 장치에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 발신 장치는 예를 들어 SMSC, 메일 서버 중 하나 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06)는 TCP/IP 통신을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퍼(408)는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임시 저장한다. 상기 콘텐츠 선택의 방법은 예를 들어, 마우스를 드래그(drag) 하여 발신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 또는 쉬프트(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화살표 키를 입력하여 콘텐츠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콘텐츠는 텍스트, 이미지 중 적어도 한 종류의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발신 대상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는 버퍼(408)에 저장된다. 이하, 상기 콘텐츠 선택 상태에서 메시지 발신을 의미하는 입력을 하는 방법을 키 입력의 경우 및 팝업 메뉴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1)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 메시지 발신을 의미하는 키를 입력한 경우, 모니터링 모듈(402)은 이를 감지하여 버퍼(408)에 저장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도록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404)에 상기 트리거를 제공한다. 상기 메시지 발신을 의미하는 키는 미리 지정된 단축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축키는 미리 지정된 수신자 연락처에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는 제 1 단축키 및 수신자 연락처를 지정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는 제 2 단축키로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404)은 상기 제 1 단축키가 입력된 경우 미리 지정된 수신자 연락처를 착신자로 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404)은 상기 제 2 단축키가 입력된 경우,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유저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받은 연락처를 착신자로 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 메시지 발신을 의미하는 팝업 메뉴의 항목을 입력한 경우, 모니터링 모듈(402)은 이를 감지하여 버퍼(408)에 저장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도록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404)에 상기 트리거를 제공한다. 상기 팝업 메뉴의 항목은 미리 지정된 수신자 연락처에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는 제 1 항목 및 수신자 연락처를 지정하여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는 제 2 항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404)은 상기 제 1 항목이 입력된 경우 미리 지정된 수신자 연락처를 착신자로 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404)은 상기 제 2 항목이 입력된 경우,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을 수 있는 유저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 받은 연락처를 착신자로 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404)에 모니터링 모듈(402)로부터 상기 트리거를 제공 받아 생성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는 SMS 발신 요청 신호, MMS 발신 요청 신호 및 이 메일 발신 요청 신호가 있을 수 있다. 상기 SMS 발신 요청 신호는 메시지의 착신자가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 형식인 경우 중 전송되는 콘텐츠가 SMS 송신 가능 길이 이내의 텍스트 만으로 이뤄진 것인 경우 생성되고, 상기 MMS 발신 요청 신호는 메시지의 착신자가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 형식인 경우 중 상기 콘텐츠에 텍스트 이외 타입의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거나, 텍스트 데이터의 길이가 SMS 송신 가능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생성되며, 상기 이 메일 발신 요청 신호는 메시지의 착신자가 이 메일 주소 형식인 경우 생성된다.
메시지 발신 신호 생성 모듈(404)이 생성한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06)를 통하여 메시지 발신 장치에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가 SMS 발신 요청 신호 또는 MMS 발신 요청 신호인 경우,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는 SMSC에 제공되며,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가 이 메일 발신 요청 신호인 경우에,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는 메일 서버에 제공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방법의 제 1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방법인 제 1 순서도의 보충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팝업 메뉴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발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Claims (19)

  1. 키의 입력을 모니터링 하는 에이전트를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 가능 장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에이전트가 상기 TCP/IP 통신 가능 장치를 제어하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입력 발생 메시지를 메시지 후킹(message hooking)함으로써, 백그라운드에서 키 입력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발신 대상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발신 대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발신을 위한 단축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에이전트가 상기 단축키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선택된 발신 대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 대상 콘텐츠는 상기 에이전트가 설치된 상기 TCP/IP 통신 가능 장치의 운영체제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에 게시된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한 종류의 콘텐츠를 포함하되,
    상기 TCP/IP 통신 가능 장치의 운영체제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에이전트와는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인 메시지 발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 방법은,
    상기 단축키가 입력된 경우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자 연락처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수신자 연락처의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의 착신자 정보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 방법은,
    상기 단축키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할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수신자 연락처의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의 착신자 정보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 방법은,
    그룹화 될 수 있는 수신자 연락처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연락처 리스트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연락처 리스트를 게시하는 제 1 영역 및 신규의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게시하는 단계; 및
    상기 연락처 리스트 중 선택된 연락처 및 입력된 신규의 수신자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락처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그룹이 선택된 경우 상기 그룹에 포함된 모든 연락처를 상기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로 설정하는 메시지 발신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 방법은,
    입력 받은 상기 수신자 연락처를 히스토리 데이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를 게시하는 제 1 영역 및 신규의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게시하는 단계; 및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 중 선택된 연락처 및 입력된 신규의 수신자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방법.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는,
    상기 수신자 연락처가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인 경우,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중 한 형태의 메시지를 발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신자 연락처가 이메일(e-mail) 주소인 경우, 이메일 메시지를 발신하기 위한 것인 메시지 발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는,
    상기 수신자 연락처가 이동 단말의 전화 번호인 경우,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텍스트 이외의 데이터가 포함된 경우 MMS 메시지를 발신하기 위한 것인 메시지 발신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 방법은,
    이동 단말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발신이 이동 통신망을 경유하는 것인 경우 발생되는 요금을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가입자에 대하여 과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증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이동 단말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증을 성공한 경우 사용자 인증 정보의 저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에이전트가 설치된 장치의 부팅 시 자동 실행되는 메시지 발신 방법.
  11. 마우스 입력 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에이전트를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통신 가능 장치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에이전트가 백그라운드에서 상기 TCP/IP 통신 가능 장치를 제어하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입력 발생 메시지를 메시지 후킹(message hooking)함으로써, 마우스 입력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에이전트가 설치된 상기 TCP/IP 통신 가능 장치의 운영체제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에 게시된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한 종류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발신 대상 콘텐츠가 선택되는 단계;
    팝업 메뉴의 생성을 위한 마우스의 입력이 이뤄진 경우, 상기 에이전트가 팝업 메뉴에 상기 발신 대상 콘텐츠의 발신을 위한 항목을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대상 콘텐츠의 발신을 위한 항목이 선택된 경우, 상기 에이전트가 상기 선택된 발신 대상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TCP/IP 통신 가능 장치의 운영체제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에이전트와는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인 메시지 발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을 추가하는 단계는,
    미리 지정된 기본 수신자 연락처에 상기 콘텐츠를 발신하는 제 1 항목을 추가하는 단계 및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아 상기 콘텐츠를 발신하는 제 2 항목을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항목을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항목이 선택된 경우,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 방법은,
    그룹화 될 수 있는 수신자 연락처 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연락처 리스트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연락처 리스트를 게시하는 제 1 영역 및 신규의 수신자 연락처를 입력 받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게시하는 단계; 및
    상기 연락처 리스트 중 선택된 연락처 및 입력된 신규의 수신자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연락처 리스트 중 하나 이상의 그룹이 선택된 경우 상기 그룹에 포함된 모든 연락처를 상기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로 설정하는 메시지 발신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 방법은,
    입력 받은 상기 수신자 연락처를 히스토리 데이터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를 게시하는 제 1 영역 및 신규의 수신자 연락처를 입 력 받는 제 2 영역을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게시하는 단계; 및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 중 선택된 연락처 및 입력된 신규의 수신자 연락처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콘텐츠를 수신할 연락처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방법.
  16. 메시지 발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 장치를 제어하는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입력 발생 메시지를 메시지 후킹(message hooking)함으로써, 백그라운드에서 입력장치 조작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메시지 발신을 위한 조작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에 트리거(trigger)를 제공하는 모니터링 모듈; 및
    상기 모니터링 모듈로부터 상기 트리거를 제공 받아, 상기 메시지 발신 장치의 운영체제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에 게시된 텍스트 및 이미지 중 현재 선택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는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발신 장치의 운영체제를 공유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과 상이한 어플리케이션인 메시지 발신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 생성 모듈은,
    미리 입력된 발신자 연락처의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의 발신자 정보에 설정하고, 미리 지정된 수신자 연락처의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발신 요청 신호의 착신자 정보에 설정하는 메시지 발신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을 위한 조작 신호는,
    미리 지정된 단축키인 메시지 발신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신을 위한 조작 신호는,
    콘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 생성된 팝업 메뉴 중 상기 콘텐츠의 발신을 위한 항목이 선택된 것인 메시지 발신 장치.
KR1020090052028A 2009-06-11 2009-06-11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 KR101122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28A KR101122699B1 (ko) 2009-06-11 2009-06-11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
PCT/KR2009/006096 WO2010143787A1 (en) 2009-06-11 2009-10-21 Message transmit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028A KR101122699B1 (ko) 2009-06-11 2009-06-11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238A KR20100133238A (ko) 2010-12-21
KR101122699B1 true KR101122699B1 (ko) 2012-03-12

Family

ID=4330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028A KR101122699B1 (ko) 2009-06-11 2009-06-11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2699B1 (ko)
WO (1) WO20101437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422A (ko) 2017-12-07 2019-06-17 (주)이앤비소프트 클라우드에 기반한 스크랩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660A (ko) * 2003-08-25 2005-03-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72748B1 (ko) * 2005-12-14 2007-01-22 (주)티아이스퀘어 영상 통화 중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아이템을 단말기를 통해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70010591A (ko) * 2005-07-19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통신 단말기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251B1 (ko) * 2005-11-02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작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단말
KR100753042B1 (ko) * 2006-09-15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핫 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악 파일 리스트 저장및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1660A (ko) * 2003-08-25 2005-03-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키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70010591A (ko) * 2005-07-19 2007-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통신 단말기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송 방법
KR100672748B1 (ko) * 2005-12-14 2007-01-22 (주)티아이스퀘어 영상 통화 중에 멀티미디어 컨텐츠 아이템을 단말기를 통해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422A (ko) 2017-12-07 2019-06-17 (주)이앤비소프트 클라우드에 기반한 스크랩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43787A1 (en) 2010-12-16
KR20100133238A (ko) 2010-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9762B2 (ja) 電子メッセージ中での添付ファイルとしてのコンテンツへのリンクの提示
US20150099491A1 (en) Instant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00087214A1 (en) Asynchronous url notification
JP5988355B2 (ja) 携帯端末を用いた業務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20120089782A (ko) 휴대용 단말의 메시지 관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CN105830391B (zh) 基于存在的内容共享
JP2007531943A (ja) ユーザが選択可能な電子メッセージ・アクション選択及び処理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069872B2 (en) Architecture to establish serverless WebRTC connections
EP1536613A1 (en) Communication system
US20170346938A1 (en) Sent Text Correction Feature
CN109743246B (zh) 消息加急提醒方法、装置和电子设备
EP26054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larm in portable terminal
US9716796B2 (en) Managing communication events
KR101122699B1 (ko) 메시지 발신 장치 및 방법
KR101122700B1 (ko) Url 정보 발신 방법
US20160309040A1 (en) Managing Communication Events
KR101178932B1 (ko) 컴퓨터 시스템에서 모바일 메신저가 설치된 이동 단말로의 메시지 송신 방법
US201401080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display information based on detected language of a received message
KR100705024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첨부파일의 수신확인표시방법
WO2015143680A1 (zh) 信息发送方法及装置和信息接收方法及装置
KR101325233B1 (ko) 통합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및 방법
JP2013201583A (ja) 通信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端末
US9167405B2 (en) Network billing of text messages sent/received by fixed user devices
EP2722773B1 (en) Method for updating display information based on detected language of a received message
KR100821551B1 (ko) 컨텐츠 메시지수신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메시지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