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772A - 무선 단말기와 이어폰에서 잠금 장치 및 무선 단말기의잠금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와 이어폰에서 잠금 장치 및 무선 단말기의잠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772A
KR20010055772A KR1019990057079A KR19990057079A KR20010055772A KR 20010055772 A KR20010055772 A KR 20010055772A KR 1019990057079 A KR1019990057079 A KR 1019990057079A KR 19990057079 A KR19990057079 A KR 19990057079A KR 20010055772 A KR20010055772 A KR 20010055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line
wireless terminal
switch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은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5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5772A/ko
Publication of KR2001005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77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원격 제어 이어폰의 연결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의 잠금장치 및 방법과 원격 제어 이어폰의 잠금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어폰의 잠금 장치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어폰과 연결 가능한 단말기의 잠금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어폰과 연결 가능한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의 잠금장치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수신 라인과 연결되는 스피커와,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할 음성신호의 송신 라인과 연결되는 마이크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접지와 연결되는 라인과, 상기 마이크와 상기 송신라인 사이의 노말리 클로우즈 단을 통해 마이크와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의 노말리 오픈단에 스위치의 폴단이 연결되고 노말리 클로우즈 단은 다른 단자와 연결되지 않는 단자와 연결되며, 노말리 오픈단은 접지점과 연결되는 제2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어폰 장치 및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어폰의 연결이 가능한 단말에 사용된다.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와 이어폰에서 잠금 장치 및 무선 단말기의 잠금 방법{APPARATUS FOR HOLDING IN WIRELESS TERMINAL AND EIR PHONE OF WIRELESS TERMINAL AND HOLDING METHOD OF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와 그에 연결되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단말기와 그에 연결되는 이어폰에서 통화중에 키입력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 장치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하며 통신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무선 단말기에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 단말기에 연결되는 이어폰은 간단한 기능이 부가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기능으로는 재다이얼링을 수행하는 것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 단말기에서 이어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무선단말의 구성 및 이어폰의 구성과 함께 살펴본다.
도 1은 무선단말의 블록 구성 및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의 연결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무선 단말의 구성과 이어폰의 연결 구성 및 돋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무선 전화기의 통화 수행 및 각종 기능의 동작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무선부(11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기저대역의 신호로 변환한 후 음성신호인 경우 잭 연결부(116)로 출력하며, 데이터인 경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부(112)는 잭 연결부(116)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 또는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각종 신호를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로 변환한 후 이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공중파로 출력한다. 메모리부(113)는 제어부(111)의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 및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키입력부(114)는 키매트릭스 구조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표시부(115)는 상기 무선 단말기의 동작과정 또는 현재의 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잭 연결부(116)는 이어폰 잭이 연결 여부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11)로 출력하며, 잭 연결시 케이블(121)을 통해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무선부(112)로 출력하며, 무선부(11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케이블(121)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이어폰 잭(120)은 원격 제어를 위한 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구비된 키에 의해 키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잭 연결부(116)을 통해 제어부(111)로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이어폰 잭(120)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본다. 이어폰 잭 (120)은 케이블(121)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블(121)은 음성신호의 송수신 라인과, 별도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라인(L1)은 스피커(123)로 연결되며, 공통접지 라인(L2)은 접지되어 있다. 그리고 송신라인(L3)은 마이크(124)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중에 상기 접지라인(L2)과 상기 마이크(124)와 연결된 송신라인 (L3)의 사이에 스위치(SW)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의 노말리 클로우즈 단인 에이접점은 송신라인(L3)에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가 동작할 경우만 노말리 오픈 단인 비접점(L2)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송신라인(L3)이 순간적으로 접지와 연결될 경우 잭 연결부(116)는 제어부(111)로 이러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11)는 특정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한 동작을 예시하면 최종 다이얼링 번호의 자동 다이얼링 등이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동작하는 잭의 원격 제어 스위치는 대체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잭을 연결한 상태로 휴대하고 다닐 때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스위치가 눌려 자동 다이얼링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에서 이어폰의 동작을 무시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에서 이어폰의 동작을 무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이어폰과 연결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의 잠금장치로,
이어폰의 제어장치는 :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수신 라인과 연결되는 스피커와,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할 음성신호의 송신 라인과 연결되는 마이크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접지와 연결되는 라인과, 상기 마이크와 상기 송신라인 사이의 노말리 클로우즈 단을 통해 마이크와 연결하고 노말리 클로우즈 단은 접지 라인과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전원라인과 접지 라인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의 연결에 따른 전압을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라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무선 단말기는 :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연결되는 라인을 무선부와 연결하는 라인과, 상기 이어폰 제어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 및 접지라인과, 상기 이어폰 제어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전압 감지장치와, 상기 이어폰 제어장치의 마이크 라인과 연결되어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전압 감지장치와, 상기 제1전압 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신호인 경우 상기 이어폰 제어장치의 잠김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상기 제1전압 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변화가 감지될 경우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장치는 이어폰과 연결 가능한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의 잠금장치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수신 라인과 연결되는 스피커와,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할 음성신호의 송신 라인과 연결되는 마이크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접지와 연결되는 라인과, 상기 마이크와 상기 송신라인 사이의 노말리 클로우즈 단을 통해 마이크와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의 노말리 오픈단에 스위치의 폴단이 연결되고 노말리 클로우즈 단은 다른 단자와 연결되지 않는 단자와 연결되며, 노말리 오픈단은 접지점과 연결되는 제2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어폰의 연결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의 이어폰 잠금방법으로, 상기 무선 단말기에 이어폰이 연결된 경우 이어폰의 잠금모드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제1검사단계와, 상기 제1검사결과 이어폰의 잠금모드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어폰 잠금모드를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검사결과 이어폰의 잠금모드가 아닌 경우 특정 동작의 요구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제2검사단계와, 상기 제2검사결과 특정 동작의 요구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무선단말의 블록 구성 및 종래기술에 따른 이어폰의 연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및 이어폰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이어폰에서 원격 신호 수신시 재다이얼링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내부 상세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분은 비록 다른 도면에 도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단말기 및 이어폰의 상세 구성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 및 이어폰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무선부(112)와, 메모리부(113)와, 키입력부(114)와, 표시부(115)는 상기 도 1의 설명에서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지 상기 메모리부(1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수행의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 등을 더 저장하고 있다. 제어부(111)는 일반적인 휴대폰의 경우 MSM 칩을 사용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5포트(port) 잭을 사용한다. 또한 제1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어부(111)를 이루는 상기 MSM 칩에서 범용목적 입출력 포트(General Purpose Input/Output port:GPIO)들 중 사용하지 않는 2개의 포트를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이 할당된 범용목적 입출력 포트는 제1비교기(COM1)와 제2비교기(COM2)의 출력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11)는 제1비교기 (COM1)와 제2비교기(COM2)의 신호를 수신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제1비교기 제2비교기 제어부 동작
1 0, 1 홀드상태
0 0 동작
1 유지
상기 표 1에서 홀드상태는 키입력을 무시하는 상태이며, 동작은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 즉, 재다이얼링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상태이고, 유지는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즉, 현재의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은 무선 단말기의 현재 상태가 대기상태인 경우 대기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상태이며, 통화상태인 경우 통화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잭 연결부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본다. 제1비교기 (COM1)는 두 개의 입력단을 가지며, 하나의 입력단에는 제1기준전압(Vref1)이 인가되며, 다른 하나의 입력단은 제7라인(L7)에 연결된다. 무선부(112)는 제7라인(L7)을 통해 음성신호가 송수신되며, 두 개의 입력을 가지는 제2비교기(COM2)의 하나의 입력단은 제5라인(L5)과 연결되고, 다른 입력단은 제2기준전압(Vref2)이 인가된다. 또한 전원의 입력단(Vcc)도 제4라인(L4)를 통해 케이블(131)에 연결된다. 이러한 각 라인들(L4, L5, L6, L7)은 이어폰과 연결되기 위한 라인 연결부(118)에서 취합되며, 잭 연결시 케이블(131)을 통해 이어폰(130)과 연결된다. 또한 라인 연결부(118)는 내부에 접지점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 접지점은 케이블(131)을 통해 이어폰의 제2라인(L2)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어폰(130)의 내부에서 제1라인(L1)은 상기 이어폰 잭(117)의 제7라인(L7)이 케이블(131)을 통해 연결된 것으로 스피커(123)와 연결된다. 또한 케이블(131)을 통해 연결되는 상기 제7라인(L7)은 이어폰(130)의 제3라인(L3)을 통해 마이크(124)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3라인(L3)과 마이크(124) 사이에는 제1스위치(SW1)가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치(SW1)의 노말리 클로우즈 단을 통해 마이크(124)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SW1)의 노말리 오픈단은 접지점과 연결되는 제2라인(L2)와 연결된다. 상기 이어폰 잭(117)에서 전원단(Vcc)과 연결되는 제4라인(L4)은 상기 케이블(131)을 통해 제1비교기(COM1)의 입력단 중 하나의 입력단과 연결되는 제6라인(L6)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라인(L1)과 상기 제3라인(L3)은 상기 케이블(131)을 통해 무선부(112)와 연결되는 제7라인(L7)과 연결된다. 즉 이를 통해 전기적인 음성신호가 이어폰(130)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5라인(L5)은 라인 연결부(118)에서 상기 마이크(124)와 연결되는 라인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
그러면 이에 따른 동작을 살펴본다. 상기 이어폰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1스위치(SW1) 및 제2스위치(SW2)가 노말리 클로우즈 단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5라인(L5)은 상기 제4라인(L4)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라인(L3)은 케이블(131)을 통해 상기 제7라인(L7) 중 송신라인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1비교기(COM1)로 입력되는 제6라인(L6)에는 하이(high)의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제2비교기(COM2)로 입력되는 제5라인(L5)에도 하이(high)의 신호가 인가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비교기(COM1)와 상기 제2비교기(COM2)는 모두 하이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표 1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제2스위치(SW2)가 동작하여 노말리 오픈단에 연결되어 접지와 연결되면 상기 제1비교기(COM1)는 로우의 신호를 출력하며, 제1스위치(SW1)가 동작하여 노말리 오픈단에 연결되어 접지와 연결되면 상기 제2비교기(COM2)는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1스위치(SW1)와 제2스위치(SW2)의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1비교기(COM1)와 상기 제2비교기(COM2)의 출력의 변화에 따른 상기 제어부(111)의 동작을 도 3의 제어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이어폰에서 원격 신호 수신시 재다이얼링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111)는 (2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대기상태는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지 않고, 통화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202)단계에서 이어폰 연결신호가 상기 라인 연결부(118)을 통해 수신되는 경우 (204)단게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204)단계에서 이어폰의 현재 상태가 홀드상태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홀드상태의 검사는 상기 제1비교기(COM1)의 출력에 따라 검사할 수 있다. 즉, 상기한 표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비교기(COM1)의 출력이 하이인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이어폰이 홀드상태로 검사하게 되며, 상기 제1비교기(COM1)의 출력이 로우인 경우 홀드가 아닌 상태로 판정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이어폰이 홀드상태로 판정되면, (206)단계로 진행하여 이어폰 홀드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어부(111)는 (208)단계로 진행하여 이어폰 홀드가 해제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이어폰 홀드가 해제된 경우 (216)단계로 진행하며, 이어폰의 홀드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 (206)단계를 계속 유지한다. 이와 같이 홀드의 해제 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비교기(COM1)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검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111)는 (204)단계에서 (210)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재다이얼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재다이얼 신호란, 상기 이어폰(130)이 홀드상태가 아닌 상태에서 즉, 제2스위치(SW2)가 접지되어 상기 제1비교기(COM1)의 출력이 로우(low)상태에서 제1스위치(SW1)가 온되어 상기 제2비교기(COM2)의 출력이 로우로 되는 경우를 말한다. 상기 재다이얼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11)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모리부(113)의 재다이얼 버퍼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독취하여 무선부(112)를 통해 재다이얼을 수행한다. 그런 후 상기 제어부(111)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그러나 재다이얼링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11)는 (216)단계로 진행하여 이어폰이 연결된 상태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216)단계를 수행하며, (204)단계로 진행하여 이어폰 홀드 상태인가를 계속 검사하며, 상술한 루틴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내부 상세 회로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이어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내부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블(121)은 무선 단말기과 연결되며, 상기 케이블은 상기 도 1에서와 같이 3개의 포트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 예에서와 같이 MSM 칩에서 사용하지 않는 범용목적 포트들 중 2개의 포트를 할당하지 않고 기존과 동일하게 하나의 포트만을 이용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케이블(121)의 라인은 상기 도 1에서와 동일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의 구성도 상기 도 1에서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상기한 케이블(121) 및 무선 단말기의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면 상기 이어폰의 원격 제어를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케이블(121)의 음성 송수신 라인 중 수신라인은 마이크(123)과 연결된다. 그리고 접지라인은 접지점과 연결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는 내부에 두 개의 스위치(SW1, SW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스위치(SW1)는 음성신호의 송신라인과 마이크(124)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제1스위치(SW1)은 노말리 클로우즈 단을 통해 마이크(124)와 연결된다. 그리고 노말리 오픈단은 상기 제3스위치(SW3)의 폴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3스위치 (SW3)의 노말리 클로우즈 단은 오픈된 접점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노말리 오픈 단은 접지라인과 연결되는 접지점과 연결된다.
이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제3스위치(SW3)는 이어폰의 원격 장치의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제3스위치(SW3)가 오픈단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잠금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상기 제3스위치(SW3)가 접지단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는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3스위치(SW3)가 잠금이 해제된 상태인 경우 제1스위치(SW1)가 노말리 오픈단에 연결되는 경우 재다이얼링의 수행을 요구하는 신호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신호는 상기 도 1의 동작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잠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원격 제어의 기능을 재다이얼링의 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재다이얼링 뿐 아니라 다른 스위치들을 더 구비하여 단축 다이얼링 및 검색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잠금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기와 상기 무선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이어폰의 원격 제어장치에서 키입력을 무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더 둠으로써 원격 제어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7)

  1. 이어폰과 연결 가능한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수신 라인과 연결되는 스피커와,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할 음성신호의 송신 라인과 연결되는 마이크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접지와 연결되는 라인과,
    상기 마이크와 상기 송신라인 사이의 노말리 클로우즈 단을 통해 마이크와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상기 제1스위치의 노말리 오픈단에 스위치의 폴단이 연결되고 노말리 클로우즈 단은 다른 단자와 연결되지 않는 단자와 연결되며, 노말리 오픈단은 접지점과 연결되는 제2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의 잠금장치.
  2. 이어폰과 연결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이어폰의 제어장치는 :
    상기 무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의 수신 라인과 연결되는 스피커와,
    상기 무선 단말기로 송신할 음성신호의 송신 라인과 연결되는 마이크와,
    상기 무선 단말기의 접지와 연결되는 라인과,
    상기 마이크와 상기 송신라인 사이의 노말리 클로우즈 단을 통해 마이크와 연결하고 노말리 클로우즈 단은 접지 라인과 연결하는 제1스위치와,
    전원라인과 접지 라인 사이에서 스위칭하는 제2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의 연결에 따른 전압을 상기 무선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한 라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무선 단말기는 :
    상기 마이크 및 상기 스피커와 연결되는 라인을 무선부와 연결하는 라인과,
    상기 이어폰 제어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 및 접지라인과,
    상기 이어폰 제어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1전압 감지장치와,
    상기 이어폰 제어장치의 마이크 라인과 연결되어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전압 감지장치와,
    상기 제1전압 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신호인 경우 상기 이어폰 제어장치의 잠김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상기 제1전압 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변화가 감지될 경우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연결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의 잠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압 감지장치 및 제2전압 감지장치가,
    비교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비교기에 각각의 기준전압이 인가되어 전압의 비교 결과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연결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의 잠금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전압 감지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순간적인 전압의 변화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연결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의 잠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동작이,
    자동 재다이얼링 동작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과 연결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와 연결되는 이어폰의 잠금장치.
  6.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어폰의 연결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의 이어폰 잠금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 이어폰이 연결된 경우 이어폰의 잠금모드에 따른 신호가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제1검사단계와,
    상기 제1검사결과 이어폰의 잠금모드에 따른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어폰 잠금모드를 수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검사결과 이어폰의 잠금모드가 아닌 경우 특정 동작의 요구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제2검사단계와,
    상기 제2검사결과 특정 동작의 요구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어폰의 연결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의 이어폰 잠금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동작이,
    자동 재 다이얼링을 요구하는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어폰의 연결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의 이어폰 잠금방법.
KR1019990057079A 1999-12-13 1999-12-13 무선 단말기와 이어폰에서 잠금 장치 및 무선 단말기의잠금 방법 KR20010055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079A KR20010055772A (ko) 1999-12-13 1999-12-13 무선 단말기와 이어폰에서 잠금 장치 및 무선 단말기의잠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079A KR20010055772A (ko) 1999-12-13 1999-12-13 무선 단말기와 이어폰에서 잠금 장치 및 무선 단말기의잠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772A true KR20010055772A (ko) 2001-07-04

Family

ID=1962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079A KR20010055772A (ko) 1999-12-13 1999-12-13 무선 단말기와 이어폰에서 잠금 장치 및 무선 단말기의잠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57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77B1 (ko) * 2001-08-16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077B1 (ko) * 2001-08-16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0137B1 (ko) 휴대용무선전화와차량키트간의작동및비작동접속을지시하기위한방법및장치
US6594366B1 (en) Headset/radio auto sensing jack
US5881370A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n automatically configured multimode talk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KR20010041588A (ko) 무선 통신용 오디오 장치 선택기
KR100247676B1 (ko) 무선전화기용 자동 채널 선택 시스템
US20040203481A1 (en) Battery charging apparatus capable of connecting a mobile phone with a wire telephone network and method for enabling the same
KR20010055772A (ko) 무선 단말기와 이어폰에서 잠금 장치 및 무선 단말기의잠금 방법
US6154639A (en) Handsfree unit
US6571085B1 (en) Portable telephone which can carry out optical communication for saving power consumption and avoiding erroneous operation without complex operation
KR1006802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2076982A (ja) 携帯通信装置
US6941155B1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and changing method of answering method of the same
KR100247040B1 (ko) 자동 통화절단 장치 및 방법
CA2057542C (en) Switching circuit having a reduced output impedance
US200502610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25174A (ko) 핸즈프리장치의 자동 착신방법 및 착신회로
US2002004225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selective power supply function
KR100388973B1 (ko) 무선전화기시스템 충전상태표시 제어장치
KR100241896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톤/펄스 전환방법.
KR100370969B1 (ko) 이동 통신기기의 배터리 저 전압시 통화 연결 회로
KR20020037572A (ko) 카오디오를 이용한 무선 핸드폰의 핸드프리 장치 및 방법
JP3019889B2 (ja) 移動電話機
JP2002261650A (ja) 送受信装置
KR100385336B1 (ko) 이동전화단말기용 핸즈프리 장치
JP2002209005A (ja) イヤホンマイク検出装置およびイヤホンマイク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