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435A - 발광 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435A
KR20030015435A KR1020010048930A KR20010048930A KR20030015435A KR 20030015435 A KR20030015435 A KR 20030015435A KR 1020010048930 A KR1020010048930 A KR 1020010048930A KR 20010048930 A KR20010048930 A KR 20010048930A KR 20030015435 A KR20030015435 A KR 20030015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
derivatives
light emitting
light
pa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민
박호진
지성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1004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5435A/ko
Publication of KR20030015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43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41M3/144Security printing using fluorescent, luminescent or iridescent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폐, 신용카드, 각종 신분증, 부품 소재등에 적용하여 제3자로 부터의 위조 및 모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위조 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전기, 빛 등에 의해 특정 색상을 방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위조 방지 기능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 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Preventing method for modifying using luminescent materials}
본 발명은 발광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폐, 신용카드, 신분증, 부품소재 등에 발광특성을 가진 물질을 단독 또는 고분자와 혼합한 후 위조 방지를 하고자 하는 물품에 도포하여 이를 필요시 전기 또는 빛과 같은 에너지를 전가하여 이를 흡수한 발광물질이 방출하는 특정 색상의 파장을 육안으로 판별하여 제 3자로부터의 위조 및 모방을 방지하여 지적, 물적 재산권을 확보할 수 있는 위조 방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각종 신분증, 지폐를 위조하는 범죄가 날로 늘어가고 있고, 첨단 기술로 개발한 제품들을 동일하게 모조품을 만들어 시장에 유통시켜 개발업체의 지적, 물질적 손해를 입히고 시장을 교란 시키는 범죄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모든 기술 분야에서 지금과 같이 아이디어로 승부하는 제품이 많은 경우에는 더욱 위조 방지 기술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칼라복사기의 기술이 첨단화, 미세화가 됨에 따라 지폐위 복사, 위조가 쉬워 이를 이용하여 만든 많은 지폐가 사회를 교란 시키고 있고,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등과 같은 국가 안보와 밀접한 각종 신분증들의 위조도 날로 증가해 이를 방지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진 위조 방지 기술은 간단하게는 미세한 무늬 또는 문양을 표기하여 이를 복사, 위조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이었지만 이는 인쇄기술이 낙후되었고 과거와 같이 칼라복사기술이 전무한 시대에서나 통용되었지 지금과 같이 첨단 칼라복사기가 널리 사용되는 경우 위조방지 기능을 발휘 못하게 되었다. 이를 보완하고자 가장 최근에는 홀로그램이라는 광학특성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홀로그램 방법은 특정한 문양을 레이저로 색상과 깊이를 분할하여 이를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재생하는 기술인데, 이를 위조하기 위해서는 레이져 광학 기술, 특정 문양의 각인 기술 등이 필요한데 이들은 지금까지 고 난이도 기술로서 모방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러나, 이 역시 최근 들어, 기초 과학기술과 인쇄, 각인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 또한 위조하기 시작하여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아울러, 홀로그램 위조방지 기술은 육안으로 그 문양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위조, 복사, 모방하기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기술로는 위조 방지를 할 수 없어 조속한 시일 내에 보다 섬세한 기술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미세 문양 삽입이나 홀로그램 방법에 의한 위조 방지 기술에 비하여 섬세하고 완벽한 위조 방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던 중, 통상의 환경에서는 투명하여 육안으로 판별하기 어렵고, 전기나 빛과 같은 에너지를 인가했을 때에만 판별이 가능한 발광 물질을 활용하여 위조 방지 기술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나 빛을 인가했을 때 특정한 색상을 방출하는 발광 원리를 이용한 위조 방지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발광형 물질들은 단 분자 뿐 만 아니라 고분자로서도 사용가능하며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도 가능한 바, 각종 소재에 표기 시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고분자 화합물과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발광 물질로는 발광물질로는 +1, +2, +3가 금속양이온과 콤플렉스를 이루는 유기화합물, 폴리임베디드 카바졸 유도체, 폴리페닐렌비닐렌(PPV) 유도체, 폴리플루오렌(PF)유도체, 폴리티오펜(PT)유도체, 폴리파라페닐렌 (PPP)유도체, 스타이렌유도체, 바이페닐 유도체, 터페닐유도체, 옥사졸유도체, 퓨마린계 유도체, 사이아닌 유도체, 불포화 다핵고리 화합물 및 컨쥬게이티드 이중결합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대표적 물질들은 다음과 같다.
상기 물질들은 전기 또는 빛을 받으면 이중결합의 전자를 여기된 후 여기된 전자가 다시 최저에너지 상태로 돌아오면서 물질의 특성에 따라 특정 색상을 내는 파장을 방출하게 된다. 이때 방출되는 빛과 색상을 이용하여 위조, 모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을 적당히 디자인된 문양으로 만들어 표기할 경우 표기된 문양에서만 특정 색상이 발현됨으로 빠른 시간내에 구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물질을 이용하여 위조 방지 문양을 표기하는 방법에는 화학적 증착법 (CVD, Chemical Vacuum Deposition), 코팅법, 스틱카와 같은 접착방법등이 있다. 화학적 증착법의 경우 소량의 물질로 위조방지 문양을 표기할 수 있지만 이는 진공하에서 증착을 해야하는 단점이 있어 비용이 많이 들어가 효율적인 방법이되지 않는다. 다른 방법으로는 위조를 방지해야하는 제품의 표면 위에 직접 표기하는 코팅 법이 있는데 이는 제품 하나하나에 직접 코팅해야하므로 생산성이 저조하여 이 또한 비용이 발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지폐와 같은 경우에는 여러 단계의 인쇄 공정이 있으므로 인쇄 공정 중 상기 발광 물질을 임의의 문양으로 코팅하면 위폐를 방지 할 수 있는 좋은 기술이 되게 된다. 또 한가지 방법으로는 접착기술을 병용하여 스틱카를 만든후 제품 표면에 옮겨 붙이는 방법으로 코팅하기 어려운 곡면 등에 좋은 방법이라할 수 있다. 이에 하기와 같이 응용기술에 대해 더욱더 자세히 기술하겠다. 증착법의 경우에는 기술의 난이도는 높으나 비교적 공정이 간단하므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코팅법, 접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우선, 코팅법 또는 접착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발광 도료를 제조하여야 하는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발광 물질을 혼합유기용제, 예를들면 자일렌, 톨루엔, 엠이케이 등과 같은 케톤계 용제를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한 용제에 코팅이 용이한 고분자 수지, 즉,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루로오즈계 수지 등과 함께 혼합분산하여 발광 도료를 제조한 후 임의의 문양이 새겨진 금속롤로 원하는 제품소재, 예를들면 지폐와 같은 제품 표면에 도포, 건조하면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투명 발광형 위조방지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접착법을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발광 도료를 플라스틱 지지체 위에 임의의 문양을 갖고있는 금속롤로 코팅을 한 후 플라스틱 지지체의 배면에 접착층과 이형층을 순차적으로을 형성시키고 문양에 맞게 스틱카모양으로 절단하여 제품에 적용하면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위조방지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상 적용될 수 있는 플라스틱 지지체는 필름형태로 되어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2축연신 필름으로 그 두께가 10∼100㎛인 투명필름이 적합하며 나일론, 오피피, 시피피도 사용가능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종이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층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압접착층 조성물은 아크릴계 수지, 경화제, 자외선 흡수제, 끈적거림 조절제, 용제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티롤아크릴아미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의 중합체, 공중합체 및 삼원공중합체에서 선택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감압접착층의 내수성이 우수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화제로는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우레아포름알데히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아지리딘, 지르코늄복합체, 에폭시,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등이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태양광선 중의 300nm 내지 400nm 파장영역의 자외선을 차단함으로써 접착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노말옥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으며, 상업화된 것으로는 사이나미드사의 CYASORB UV9, UV24, TINUVIN P, 328, 900, 292, 622, 765, 770, 144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감압접착층 조성물의 구성비는 아크릴수지 100중량부, 경화제 5중량부, 자외선흡수제 1중량부,및 용제로 구성되며, 플라스틱 지지체 필름에 도포, 건조하여 완성한다. 또한 이때 사용하는 이형층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실리콘계 이형제가 도포되어 있는 이형필름 또는 이형종이가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코팅조성물을 사용하여 위조방지 접착테이프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부)
구분 약제명 실 시 예
1 2 3
감압접착층 아크릴 삼원중합체(1) 100 100 100
폴리이소시아네이트 5 5 5
티누빈 292(2) 1 1 1
MEK 20 20 20
에틸 아세테이트 30 30 30
발광물질층 아크릴 B-67(3) 100 100 100
발광물질 Alq3 (녹색계열) 1
LiPBO(청색계열) 1
DCJTB(적색계열) 1
엠이케이 250 250 250
(주)(1)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 삼원중합체(2)CIBA-GEIGY사 자외선 흡수제,(3)R&H 사의 아크릴 수지
상기 실시예 1∼3에 따라 얻어진 위조방지 기술이 적용된 접착 테이프에 대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위조방지 판별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층을 플라스틱 지지체위에 메이어바로 코팅하여 건조하고 배면에 접착층을 도포, 건조함과 동시에 이형필름으로 드라이 라미네이션을 하여 접착 테이프를 제조하고 이를 유리판에 이형필름을 제거하고 밀착시킨 후 필름의 투명도와 자외선 조사시 나타내는 색상을 측정하였다.
평가방법
1)투명도
육안으로 1차 평가하고 가시광선 투과율을 측정했다. 결과는 양호, 보통, 불량으로 육안 판정하였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spectrum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5)색상 평가
육안으로 평가하여 색상을 판별하였다.
실 시 예
1 2 3
투명도 육안 판별 양호 양호 양호
가시광선 투과율 90%이상 90%이상 90%이상
색상(육안) 녹색 청색 적색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평상시 조건에서는 투명하고 자외선 조사시 육안으로 판별 가능한 색상이 발현 됨을 알 수 있다. 본 방지 기술에 있어 종래까지 유사기술이 없으므로 비교실시 실험을 행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실시예로서 특성 비교만 행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평상시에는 투명하다가 외부 전기적 또는 자외선 조사에 따라 색상이 나타나 위조 방지 효과가 나타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발광물질을 고분자 수지와 함께 혼합분산시켜 얻어진 발광도료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위조방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물질로는 +1, +2, +3가 금속양이온과 콤플렉스를 이루는 유기화합물, 폴리임베디드 카바졸 유도체, 폴리페닐렌비닐렌(PPV) 유도체, 폴리플루오렌(PF)유도체, 폴리티오펜(PT)유도체, 폴리파라페닐렌 (PPP)유도체, 스타이렌유도체, 바이페닐 유도체, 터페닐유도체, 옥사졸유도체, 퓨마린계 유도체, 사이아닌 유도체, 불포화 다핵고리 화합물 및 컨쥬게이티드 이중결합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고분자 수지는 폴리에스터계 수지, 나일론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셀룰로오즈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도료는 발광물질이 고분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01중량부 이상 되도록 혼합하여 얻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도료를 소정 제품에 직접 코팅하는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도료를 접착테이프로 제조하여 수행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접착테이프는 이형층, 접착층, 플라스틱 지지체 및 발광도료를 포함하는 발광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KR1020010048930A 2001-08-14 2001-08-14 발광 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KR20030015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930A KR20030015435A (ko) 2001-08-14 2001-08-14 발광 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930A KR20030015435A (ko) 2001-08-14 2001-08-14 발광 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435A true KR20030015435A (ko) 2003-02-25

Family

ID=2771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930A KR20030015435A (ko) 2001-08-14 2001-08-14 발광 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543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552B1 (ko) * 2011-02-18 2013-02-19 한국조폐공사 근적외선 발광 특성을 가지는 위조방지용 시트
RU2671702C1 (ru) * 2017-12-13 2018-11-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трозав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омпозитный материал на основе нан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й целлюлозы и наночастиц кремния
US10749118B2 (en) 2014-06-26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552B1 (ko) * 2011-02-18 2013-02-19 한국조폐공사 근적외선 발광 특성을 가지는 위조방지용 시트
US10749118B2 (en) 2014-06-26 2020-08-18 Samsung Display Co., Ltd. Heterocyclic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RU2671702C1 (ru) * 2017-12-13 2018-11-0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Петрозавод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Композитный материал на основе нанокристаллической целлюлозы и наночастиц кремни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0766B2 (en) Security element
KR101740322B1 (ko) 광학 가변(可變) 자기(磁氣) 안료를 포함하는 전사 호일, 전사 호일의 제조 방법, 용도 및 전사 호일을 포함하는 물품 또는 문서
US20060234040A1 (en) Patterned adhesives for color shifting effect
US20110140002A1 (en) Photoluminescent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Novel Uses
AU2016225899B2 (en) Safety and/or valuable document having a photonic crystal
JP2011504520A (ja) 機密保護要素
EP1874650A1 (en) Patterned adhesives for tamper evident feature
EA028223B1 (ru) Электрооптический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JP4498825B2 (ja) ホログラム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
AU754452B2 (en) Antifalsification paper and other antifalsification items
KR20030015435A (ko) 발광 도료를 이용한 위조방지 방법
JP2004223975A (ja) 偽造防止媒体、情報表示媒体、偽造防止転写箔、偽造防止シール、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581131B1 (ko) 위변조 방지용 기능성 스티커 라벨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117636A (ja) 偽造防止転写箔、偽造防止ステッカー、並びに偽造防止媒体とその製造方法
JP4240963B2 (ja) ホログラム転写シートとホログラム被転写媒体
KR100506131B1 (ko) 위변조 방지기능이 부가된 홀로그램 리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104942A (ja) 積層表示体
KR100363720B1 (ko) 비가시 이색성 인광성 및 형광성 합성수지, 이의 제조방법및 사용방법
JP2006001212A (ja) ホログラム転写箔、ホログラム転写方法およびホログラム転写物品
JPH07271301A (ja) ホログラムシール
US3600256A (en) Hot stamping leaf for concealing indicia and method of using
US20230331021A1 (en) Multilayer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body
US11441042B2 (en) Enhanced label security features
JP2004098561A (ja) 偽造防止カード
KR102270403B1 (ko) 형광 복합체를 이용한 위·변조 방지용 잉크 및 이의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