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671A - 광고의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의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671A
KR20030014671A KR1020027015291A KR20027015291A KR20030014671A KR 20030014671 A KR20030014671 A KR 20030014671A KR 1020027015291 A KR1020027015291 A KR 1020027015291A KR 20027015291 A KR20027015291 A KR 20027015291A KR 20030014671 A KR20030014671 A KR 20030014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data
viewer
receive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7039B1 (ko
Inventor
이지마아키오
아리무라다케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스미토모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스미토모 쇼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츠
Priority to KR1020027015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039B1/ko
Publication of KR20030014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송신측에 등록된 각 시청자의 수신기(20)에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1)를 제공한다. 송신측으로부터 등록된 각 시청자로부터 시청자의 시청자층을 특징짓는 데이터를 수취하고(3), 광고 데이터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징짓는 데이터를 수취하여 광고 데이터에 관련짓고(3),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시청자의 시청자층을 특징짓는 데이터와,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징짓는 데이터와의 일치의 정도에 의거하여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광고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여 시청자에게 할당하고(6),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시청자에게 할당한 광고 데이터를 시청자의 수신기(20)에 송신한다.

Description

광고의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ADVERTISEMENT}
종래, 시청자가 방송의 송신측에 미리 등록하여 가입자가 되지 않으면 시청할 수 없는 방송이 있다. 그와 같은 방송의 방송신호는 CS, BS, 지상파, 케이블 등을 거쳐 유선이나 무선으로 가입자로서 등록하고 있는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된다. 이 형태의 방송에 있어서도 일반의 텔레비젼방송 등의 방송과 마찬가지로, 방송하는 프로그램 중이나 프로그램 사이에 광고가 삽입된다. 송신측은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의 광고 데이터(광고의 화상, 음성, 문자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축적하고 있고, 그 광고를 광고주와 송신측 사이에서 결정한 조건, 예를 들면 방송 개시일, 방송 종료일, 방송일시(요일, 시각) 등의 조건에 따라 방송한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송에서는 모든 가입자에 대하여 동일한 광고를 소정의 동일 타이밍으로 방송한다.
또 인터넷환경에서는, 광고는 엑세스한 사이트나 표시되는 콘텐츠(검색용 화면, 홈페이지 등) 등에 관련지어, 즉 조건지어져 있다. 예를 들면 공급자에게 가입자로서 등록하고 있는 시청자가, 컴퓨터나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휴대전화 등의 단말장치를 사용하여 하나의 사이트에 엑세스하면, 그 사이트에 조건지어진 광고가 단말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또 인터넷환경에 있어서의 다른 예로서는 가입자가 검색엔진사이트에 엑세스하여, 검색엔진을 사용하였을 때에 광고가 표시되도록 하는 기술도 있다. 이 경우, 검색엔진에 의하여 검색 가능한 각 정보와, 각 정보에 관련되는 광고를 조건지어 가입자가 소정의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그 정보가 검색되었을 때에 그 정보에 관련되는 광고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정보를 검색하면, 가입자가 원하는 자동차의 정보에 더하여 자동차에 관련되는 광고가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인터넷을 거쳐 행하여지는 종래의 광고 표시기술에서는 사이트에 엑세스한 가입자나 콘텐츠를 본 가입자의 모두에 대하여, 그 사이트 또는 콘텐츠에 조건지어진 소정의 광고를 표시하는 것도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가입자로서 등록하고 있는 시청자에 대하여 행하여지는 방송이나, 인터넷을 사용하여 행하여지는 화면 및 음성의 정보출력에서는, 모든 시청자(가입자)에 대하여 동일한 타이밍으로 동일한 광고를 공급하여 재생시키고 있고, 시청자와 광고와의 적합성, 예를 들면 시청자의 기호나 요구에 광고가 적합하고 있는 지의 여부, 광고주가 중요시하고 있는 시청자층에 시청자가 속하는지의 여부 등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광고의 효과 및 효율이 저하하는 단점이 있다.
그 때문에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과, 시청자 자신이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도가 높은 광고를 선택하여 각 수신기에서 표시시키는 것이 요망된다. 따라서 송신측(방송측, 콘텐츠공급측 등)에 있어서, 그 송신측에 기억된 각 광고의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정보와, 각 시청자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정보를 비교하여 각 시청자별로 시청자 자신이 속하는 시청자층과,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과의 일치도에 의거하여 광고를 선택하여, 어느 시청자에 대하여 어느 광고가 선택되어 할당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여 두고, 광고를 수신기에 표시시키는 시기가 왔을 때에 각각의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된 광고 중의 표시할 만큼의 광고를 각각의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것이 요망된다.
또 종래의 광고 표시기술에서는 광고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순서로 판독하여 표시한다. 즉, 항상 동일한 순서로 광고가 표시된다. 그러나 각 수신기에 대하여 선택되어 할당된 광고에 있어서도, 광고마다,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도는 다르다. 즉, 선택된 광고 중에도 수신기의 시청자에게 최적의 광고도 있다면, 적당히 적합한 광고나, 그다지 적합하지 않은 광고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광고의 효과 및 효율을 고려한 경우에는 각 수신기의 시청자에 대하여 일치도가 높은 광고를 우선적으로 판독하고 각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것이 요망된다.
또한 송신측이란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측이나, 이 송신측에는, 예를 들면, CS, BS, 지상파, 케이블 등의 유선이나 무선의 전송방법으로 가입자로서 등록하고 있는 시청자에 대하여 방송신호를 미리 결정한 채널로 송신하는 방송국(방송회사)이나,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가입자로서 등록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콘텐츠를 공급하는 공급자나, 인터넷을 사용 가능한 전화를 제공하는 전화회사 등과 같은, 등록하고 있는 시청자(가입자)에 대하여 화상, 음성, 문자 등의 정보를 공급하는 측이 포함된다. 수신기란, 예를 들면, 송신측으로부터 가입자에 대하여 보내지는 신호를 수신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텔레비젼장치나,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전화 등과 같은, 화상, 음성, 문자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재생 가능한 장치이다.
또 광고주와 송신측과의 사이에서 맺어지는 광고의 표시에 관한 계약에는 광고의 표시기간, 표시횟수, 표시시간대 등에 관한 조건이 포함되고, 광고를 계약한 조건대로 수신기에서 표시시키기 위하여 광고의 송신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지정된 표시기간이 짧은 광고나, 남겨진 표시기간이 짧은 광고에 대해서는 그 기간내에 소정의 표시횟수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빈도를 올릴 필요가 있다. 즉, 송신측에서 각 수신기에 대하여 할당한 광고 중의 나머지 표시기간이 짧은 광고를 우선적으로 각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킬 필요가 있다.
또 수주한 표시횟수(총 표시횟수), 즉 송신측으로부터 수신기에의 광고의 총 송신횟수(수주한 총 표시횟수에 대응함)가 많은 광고나, 총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은 광고에 대해서는, 그 송신횟수를 소정기간내에 달성하기 위하여그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빈도를 올릴 필요가 있다. 즉 송신측에서 각 수신기에 대하여 할당한 광고 중의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은 광고를 우선적으로 각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킬 필요가 있다.
각 시청자에 대하여 개별로 광고를 선택하여 할당하는 구성에서는 광고가 수주한 총 송신횟수(총 표시횟수)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 광고가 할당된 전(全) 수신기의 각각에 있어서 최저한 필요하게 되는 평균의 광고표시횟수(최저평균 표시횟수, 즉 광고가 수주한 총 표시횟수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 광고가 할당된 전 수신기의 각각에 있어서 필요하게 되는 최저 표시횟수), 즉 총 송신횟수를 달성하기 위하여 그 광고가 할당된 전 수신기의 각각에 대하여 필요하게 되는 최저의 송신횟수(최저 송신횟수)는 총 송신횟수를 그 광고가 할당된 전 수신기의 수로 제산함으로써 계산할 수 있다. 즉, 소정의 기간내에 소정의 총 송신횟수를 달성시키기 위하여(즉, 수주한 총 표시횟수를 완료시키기 위하여), 각 수신기에 대한 최저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은 광고의 송신빈도를 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소정의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 중의 적어도 한사람의 시청자, 즉 1대의 수신기에의 그 광고의 송신횟수가 최저 송신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즉, 그 수신기에서의 표시횟수가 최저평균 표시횟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밖의 모든 수신기에 대하여 각각에 그 광고의 최저 송신횟수를 달성하였다고 하여도, 총 송신횟수를 달성할 수 없다. 송신횟수의 부족분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그 밖의 수신기에 그 광고를 많이 송신하여 표시시킬 필요가 있다. 또 특정한 수신기에의 송신횟수가 과다해지는 것을 피할 필요도 있다. 각 광고에 관하여 그 광고를 할당된 각 수신기가 서로에게 그 광고의 표시횟수의 부족분, 즉 그 광고의 수신기에의 송신횟수의 부족분을 보충할 만큼의 여유를 가지고, 또한 각 수신기에 그 광고가 과다하게 송신되어 표시되지 않는 바와 같은 균등한 각 수신기에 대해서의 상한으로 하는 송신횟수를, 최저 송신횟수를 기초로 하여 결정하고, 그 균등한 각 수신기에서의 상한으로 하는 송신횟수, 즉 평균 송신횟수를 상기한 최저 송신횟수 대신에 사용하고, 이 평균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은 광고를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소정의 기간내에 소정의 총 송신횟수를 완료시키기 위하여 각 수신기(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된 광고 중의 평균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은 광고의 송신빈도를 올릴 필요가 있다. 또한 평균 송신횟수란 송신측에서 본 경우의 용어이며, 평균 표시횟수란 수신기측에서 본 경우의 용어이고, 평균 송신횟수와 평균 표시횟수가 나타내는 값은 동일하다.
또 종래와 같이 광고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소정의 순서로 판독하여 송신하는 방식에서는, 항상 동일한 순서로 광고가 수신기에 송신된다. 또 하나의 광고가 송신될 때마다 각 광고송신의 우선순위를 계산하여, 그 우선순위가 높은 광고로부터 순차로 송신하는 것같은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는 동일한 광고가 연속하여 수신기에 송신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항상 동일한 순서로 광고를 송신하거나, 동일한 광고를 연속하여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고 있으면, 시청자의 주의를 끌 수 없게 된다. 즉, 광고의 효과 및 효율을 고려한 경우에는 항상 동일한 순서로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거나, 동일한 광고를 연속적으로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소정의 순서로 수신기에 광고를 송신하여 표시시킨 후에 새로운송신순서를 예정하여 그 예정 송신순서에 따라 광고를 송신하는 것이 요망된다. 즉 각 수신기에 대하여 할당된 광고에 대하여 소정의 순서로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한 후에 새로운 송신순서, 즉 수신기에서의 표시순서를 예정하여 그 예정 송신순서에 따라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것이 요망된다.
또 상기한 평균 송신횟수의 값은 각 시청자(각 수신기)에 대하여 동일하다. 즉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정보와,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정보와의 일치도는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다. 광고의 효율을 고려한 경우에는 그 광고와의 일치도가 낮은 시청자와, 일치도가 높은 시청자와의 양쪽에 대하여 동일한 표시횟수, 즉 동일한 송신횟수를 할당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 때문에 광고와 시청자와의 일치도를 반영하고, 또한 그 광고가 할당된 각 수신기에서 서로에게 광고의 수신기에의 송신횟수의 부족분을 보충하고, 또한 각 수신기에 그 광고가 과다하게 송신되지 않을 것 같은 송신횟수를 설정하여, 그 송신횟수, 즉 일치도에 대응하여 각 시청자(각 수신기)마다 정해진 송신횟수(이하, 상한 송신횟수라 함)를 상기 평균 송신횟수 대신에 사용하여, 이 상한 송신횟수가 많은 광고를 송신측에서 우선적으로 판독하여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각 수신기에 대하여 할당된 광고를 될 수 있는 한 그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의 생활시간에 맞추어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것이나, 광고주가 희망하는 시간대에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킬 것이 요망된다.
또 광고에는 차, 의약품, 식품 등의 속성(즉, 광고에서 선전하는 상품이 속하는 분야)이 존재하여 시청자측에도 속성에 대한 기호가 존재한다. 시청자가 기호의 속성에 대하여 투표행위를 행함으로써, 그 시청자가 보고 싶은 속성의 광고가, 그 시청자의 수신기에 우선적으로 송신되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켜야 하는 광고를 결정할 때에 하나의 결정요소만에 의거하는 판단을 행하면 종합적인 판단에서는 최우선이 되지 않은 광고를 선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결정요소에 의거하여 수신기에 우선적으로 송신하여 표시시켜야 할 광고를 종합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요망된다.
또 수신기로부터의 피드백, 송신측에 축적된 데이터, 외부로부터의 명령 등에 의거하여 각 시청자(각 수신기)에 대하여 송신하는 광고의 선택에 관한 설정의 조건을 수시로 변경하여 광고의 송신을 제어할 필요도 있다.
또한 특정한 광고를 광고주의 요망에 따라 우선적으로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기구가 요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송신측에 있어서, 송신측에 기억된 각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과, 송신측에 가입자로서 등록된 각 시청자의 시청자층과의 일치도 에 의거하여, 각각의 시청자(시청자의 수신기)에 대하여 개별로 광고를 선택하여 할당하여, 할당한 광고를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광고 배신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신측에 있어서, 각 수신기(시청자)에 대하여 개별로 할당한 각 광고에 대하여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를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광고 배신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신측에 있어서, 각 수신기에 대하여 개별로 할당한 각 광고에 대하여 일치도에 의거하여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광고 배신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신측에 있어서, 각 수신기에 대하여 개별로 할당된 각 광고의 표시기간에 의거하여 광고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광고 배신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신측에 있어서, 각 수신기에 대하여 개별로 할당된 각 광고의 수신기에의 평균 송신횟수(평균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 즉 수신기에서의 평균 표시횟수(평균 표시횟수까지의 나머지 표시횟수)에 의거하여 광고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광고 배신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신측에 있어서, 각 수신기에 대하여 개별로 할당된 각 광고에 대하여 예정 송신순서, 즉 광고를 수신하는 수신기에서의 예정 표시순서를 할당하여, 그 순서에 따라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켜, 광고의 송신후에 새로운 예정 송신순서를 할당하여 그 순서에 따라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광고 배신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신측에 있어서, 각 수신기에 대하여 개별로 할당된 각 광고에 대하여 각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과, 그 수신기의 시청자의 시청자층과의 일치의 정도를 반영시킨 수신기에의 필요로 되는 각 광고의 송신횟수(상한 송신횟수)를 결정하고, 그 상한 송신횟수(상한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에 의거하여 각 광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광고 배신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본 발명은 송신측에 있어서, 각 수신기에 대하여 개별로 할당된 각 광고를 그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에 속하는 시청자의 생활시간에 맞추어 우선적으로 그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광고 배신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신측에 있어서 수신기측으로부터 수신기에서 표시된 각 광고의속성에 대한 시청자의 기호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시청자가 나타낸 광고의 속성에 대한 기호에 의거하여 그 시청자의 수신기에 대하여 할당된 각 광고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를 그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광고 배신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신측으로부터 각 수신기에 대하여 개별로 할당된 각 광고에 대하여 복수의 우선순위의 결정요소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각 광고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광고 배신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송신측에 있어서, 각 수신기에서의 광고가 표시된 실적이 되는 이력을 수집하여 집계된 결과를 기초로 수신기에의 광고의 송신을 제어하는 광고 배신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송신측에 있어서, 수신기에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를 지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 지정된 광고가 할당되어 있는 수신기에 대해서는 최우선으로 그 광고를 송신하여 표시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광고 배신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신측에 기억한 광고의 해당 송신측으로부터 수신기에의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장치, 및 상기 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송신측으로부터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킬 때의 광고의 배신의 우선순위, 즉 광고송신의 우선순위의 결정방법 및 각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의 선택방법의 개념을 표형식으로 나타내는 도로서, 우선순위의 결정방법 및 광고의 선택방법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
도 2는 송신측에 등록된 한 사람의 시청자에 대하여 본 발명의 광고송신의 우선순위의 결정방법의 개념을 표형식으로 나타내는 도,
도 3은 송신측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광고의 송신을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로부터 광고가 배신되는 수신측의 장치, 즉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5는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서의 시청자 등록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6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의 시청자의 개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의 광고에 관한 데이터의 준비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의 개인 계산시트의 작성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의 광고의 삭제에 관한 명령신호를 작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의 광고의 최우선 배신에 관한 명령신호를 작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1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의 제어계수에 적용되는 제어변수의 값의 변경에 관한 명령신호를 작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의 각 시청자에 대하여 광고의 배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각각의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로서, 이 플로우차트는 도 13에 계속된다.
도 13은 도 12도로부터 계속되는 플로우차트로서,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 (1)에 있어서의 각 시청자에 대하여 광고의 배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각각의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
도 14는 도 13으로부터 계속되는 플로우차트로서,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 (1)에 있어서의 각 시청자에 대하여 광고의 배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각각의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도 14로부터 계속되는 플로우차트로서,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 (1)에 있어서의 각 시청자에 대하여 광고의 배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각각의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
도 16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의 이력 데이터의 처리·제어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의 이력 데이터를 기초로 한통계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도 7에 대응하는 도로서, C'로 설명하는 송신측에서의 광고에 관한 데이터의 준비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은 송신측에 등록된 각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측으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광고 배신방법으로서, 송신측에 있어서, (1) 등록된 각 시청자로부터 그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를 얻는 단계와, (2) 광고 데이터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에 관련짓는 단계와, (3)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와,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와의 일치의 정도에 의거하여,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광고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여 시청자에게 할당하는 단계와, (4)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송신측으로부터 시청자에게 할당한 상기 광고 데이터를 해당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은, 상기한 광 고배신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도에 관한 가중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가중에 의거하여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할당된 광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4)의 단계는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로부터 상기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선택한 상기 광고 데이터를 해당 시청자의 수신기에, 상기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송신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은, 상기한 광고 배신방법에 있어서, (1) 광고 데이터에 해당 광고 데이터의 시청기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하는 단계와, (2) 시청기간에 의거하여 광고 데이터의 나머지 시청기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3) 나머지 시청기간이 짧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4)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한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은, 상기한 광고 배신방법에 있어서, (1)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복수의 분류를 각각의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시청자층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각 광고별로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분류를 선택하고, 선택한 각 분류의 중요도가 클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할당하여 상기한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1 데이터와, 상기의 선택한 각 분류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와, (2)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분류를 선택하여 상기의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2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와, (3)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1 데이터 중의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2 데이터와 일치하는 분류가 할당된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4) 일치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의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은, 상기한 광고 배신방법에 있어서, (1a) 광고 데이터에 해당 광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하는 단계와, (2a) 송신횟수에 의거하여 광고 데이터의 나머지 송신횟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3a)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4a)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의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은, 상기한 광고 배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1a)의 단계에 있어서의 송신횟수가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의 수신기에 그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여도 좋은 상한을 결정한 광고가 할당된 모든 시청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할당되는 평균 송신횟수이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은, 상기한 광고 배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1a)의 단계에 있어서의 송신횟수가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의 정도에 대응하여 각 시청자별로 정해진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의 수신기에 그 광고를 송신하여도 좋은 상한을 정한 송신횟수이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은, 상기한 광고 배신방법에 있어서, (1) 시청자에게 할당된 광고 데이터 중,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된 광고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2) 검출된 광고 데이터가 수신기에의 송신대기가 다른 광고 데이터보다 낮은 예정 송신순서가 되도록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를 상기 각각의 할당된 광고 데이터에 대하여 결정하는 단계와, (3)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할당된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은, 상기한 광고 배신방법에 있어서, (1b) 광고를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해야 할 시각을 특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시간대 데이터를 포함하는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로부터 광고를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하고 싶은 시간대를 특정하기 위하여 시간대 데이터를 선택하여, 시간대의 중요도가 클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선택한 시간대 데이터에 할당하여, 선택한 시간대 데이터와, 해당 시간대 데이터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와, (2b) 현재시각이 어느 시간대에 속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3b) 상기 단계(2b)에서 판별된 시간대에 대응하는 시간대 데이터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판독하는 단계와, (4b)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은, 상기한 광고 배신방법에 있어서, (1) 각 광고마다 광고에서 선전하는 대상물이 속하는 분야를 나타내는 광고 속성데이터를 선택하여, 그 선택한 광고 속성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와, (2) 광고 속성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광고 속성데이터에 표시되는 분야에 대한 중요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을 할당하는 단계와, (3) 광고 속성데이터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시청자측에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는 단계와, (4)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할당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은, 상기한 광고 배신방법에 있어서,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가 계수의 값에 별도의 계수값을 적용하여 계수의 값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은, 상기한 광고 배신방법에 있어서, 광고 데이터중에서 광고프레임에 대응하여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 데이터를 지시하는 단계와, 시청자에게 할당된 광고 데이터 중에 지시된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그 광고 데이터를 상기한 광고프레임으로 시청자의 수신기에 최우선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는, 송신측에 등록된 각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측으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광고 배신장치로서, (1) 등록된 각 시청자로부터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를 얻어 기억하는 수단과, (2) 광고 데이터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3)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와,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와의 일치의 정도에 의거하여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광고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는 수단과, (4)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시청자에 대하여 선택한 광고 데이터를 해당 시청자에게 관련짓는 수단과, (5) 시청자에게 관련지은 광고 데이터를 해당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는, 상기한 광고 배신장치에 있어서, (A) 시청자에게 관련지어진 광고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시청자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도에 관한 가중을 행하여, 우선도가 높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과, (B) 시청자에게 관련지어진 광고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광고 데이터와, 해당 광고 데이터에 대응하는 계수의 값을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C)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단과, (D)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광고 데이터를, 해당 시청자에게 관련지어진 광고 데이터 중에서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5)의 수단은 상기 (D)의 수단으로 선택한 광고 데이터를 시청자의 수신기에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는, 상기한 광고 배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A)의 수단이 (1) 광고 데이터에 해당 광고 데이터의 시청기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2) 시청기간에 의거하여 광고 데이터의 나머지 시청기간을 결정하는 수단과, (3) 나머지 시청기간이 짧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는, 상기한 광고 배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A)의 수단이 (1) 각 광고마다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복수의 분류를 각각의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제 1의 선택된 분류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상기 제 1의 선택된 분류에 할당되는 선택된 분류의 중요도가 클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2)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제 2의 선택된 분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과, (3) 제 1의 선택된 분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중의 제 2의 선택된 분류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일치하는 분류가 할당된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의 정도가 높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일치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는, 상기한 광고 배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A)의 수단이 (1a) 광고 데이터에 해당 광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2a) 송신횟수에 의거하여 광고 데이터의 나머지 송신횟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3a)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는, 상기한 광고 배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1a)의 수단에 의하여 광고 데이터에 관련지어지는 송신횟수가,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의 수신기에 그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여도 좋은 상한을 정한 광고가 할당된 모든 시청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할당되는 평균 송신횟수이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는, 상기한 광고 배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1a)의 수단에 의하여 광고 데이터에 관련지어지는 송신횟수가,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의 정도에 대응하여 각 시청자별로 정해진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의 수신기에 그 광고를 송신하여도 좋은 상한을 정한 송신횟수이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는, 상기한 광고 배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A)의 수단이 (1) 시청자에게 할당된 광고 데이터 중,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된 광고 데이터를 검출하는 수단과, (2) 검출된 광고 데이터가, 수신기에의 송신대기가 다른 광고 데이터보다 낮은 예정 송신순서가 되도록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를 각각의 할당된 광고 데이터에 대하여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는, 상기한 광고 배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A)의 수단이 (1b) 광고를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해야 할 시각을 특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시간대 데이터를 포함하는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광고를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하고 싶은 시간대를 특정하기 위한 시간대 데이터와, 시간대 데이터에 대하여 할당되는 시간대의 중요도가 클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2b) 현재시각이 어느 시간대에 속하는지를 판별하는 수단과, (3b) 상기 (2b)의 수단에 의하여 판별된 시간대에 대응하는 시간대 데이터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상기 (1b)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수단과, (4b)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시청자에게 관련지어 기억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해당 시청자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는, 상기한 광고 배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A)의 수단이 (1) 각 광고별로 광고에서 선전하는 대상물이 속하는 분야를 나타내는 광고 속성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선택한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수단과, (2) 광고 속성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광고 속성데이터에서 표시되는 분야에 대한 중요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을 할당하는 수단과, (3) 광고 속성데이터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시청자측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4)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시청자에게 관련지어 기억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는, 상기한 광고 배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C)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단이, 계수의 값에 별도의 계수값을 적용하여 계수의값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는, 상기한 광고 배신장치에 있어서, 광고 데이터 중에서 광고프레임에 대응하여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 데이터를 지시하는 수단과, 시청자에게 할당된 광고 데이터 중에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그 광고 데이터를 상기한 광고프레임으로 시청자의 수신기에 최우선으로 송신하는 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송신측에 등록된 각 시청자의 수신기에 해당 송신측으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송신측에 있어서 (1) 등록된 각 시청자로부터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를 얻는 단계와, (2)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에 관련짓는 단계와, (3)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와,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와의 일치의 정도에 의거하여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광고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여 시청자에게 할당하는 단계와, (4)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송신측으로부터 시청자에게 할당한 광고 데이터를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기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해당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컴퓨터가 실행하는 상기의 순서가, 송신측에 있어서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시청자에게 할당된 광고 데이터의 각각 대하여, 시청자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도에 관한 가중을 실행하는 단계와 가중 에 의거하여 각각의광고 데이터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상기광고 데이터를, 할당된 광고 데이터의 속에서 우선순위 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더욱 구비하여, 상기(4)의 단계가, 시청자에게 할당된 광고 데이터로부터 우선순위 에 의거하여 선택한 광고 데이터를, 해당시청자의 수신기로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송신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기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해당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컴퓨터가 실행하는 상기의 순서가, (1) 광고 데이터에 해당 광고 데이터의 시청기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하는 단계와, (2) 시청기간 에 의거하여, 광고 데이터의 나머지 시청기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3) 나머지 시청기간이 짧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4)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의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기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해당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의 프로그램 에 의거하여 컴퓨터가 실행하는 상기의 순서가, (1)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복수의 분류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시청자층특정용분류 데이터로부터, 각 광고마다,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분류를 선택하여, 선택한 각 분류의 중요도가 클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할당하여,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1의 데이터와, 선택한 각 분류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와, (2)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분류를 선택하여,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2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와, (3)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1 데이터 중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2 데이터와 일치하는 분류가 할당된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4) 일치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기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해당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컴퓨터가 실행하는 상기의 순서가, (1a) 광고 데이터에 해당 광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하는 단계와, (2a) 송신횟수에 의거하여 광고 데이터의 나머지 송신횟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3a)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4a)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기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해당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컴퓨터가 실행하는 상기의 순서에 있어서 상기 (1a)의 단계에 있어서의 송신횟수가,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의 수신기로 그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여도 좋은 상한을 정한 광고가 할당된 모든 시청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할당되는 평균 송신횟수이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기의 기록매체에 있어서, 해당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컴퓨터가 실행하는 상기의 순서에 있어서 상기 (1a)의단계에 있어서의 송신횟수가,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의 정도에 대응하여, 각 시청자별로 정해진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의 수신기에 그 광고를 송신하여도 좋은 상한을 정한 송신횟수이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기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해당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컴퓨터가 실행하는 상기의 순서가, (1) 시청자에게 할당된 광고 데이터 중,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된 광고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2) 검출된 광고 데이터가, 수신기에의 송신대기가 다른 광고 데이터보다 낮은 예정 송신순서가 되도록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를 상기 각각의 할당된 광고 데이터에 대하여 결정하는 단계와, (3)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할당된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기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해당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컴퓨터가 실행하는 상기의 순서가, (1b) 광고를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해야 할 시각을 특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시간대 데이터를 포함하는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로부터 광고를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하고 싶은 시간대를 특정하기 위하여 시간대 데이터를 선택하여, 시간대의 중요도가 클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선택한 시간대 데이터에 할당하여, 선택한 시간대 데이터와, 해당 시간대 데이터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와, (2b) 현재시각이 어느 시간대에 속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3b) 상기 단계(2b)에서 판별된 시간대에 대응하는 시간대 데이터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판독하는 단계와, (4b)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기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해당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컴퓨터가 실행하는 상기의 순서가, (1) 각 광고별로 광고에서 선전하는 대상물이 속하는 분야를 나타내는 광고 속성데이터를 선택하여, 그 선택한 광고 속성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와, (2) 광고 속성데이터에 대하여, 해당 광고 속성데이터에서 표시되는 분야에 대한 중요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을 할당하는 단계와, (3) 광고 속성데이터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시청자측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는 단계와, (4)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기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해당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컴퓨터가 실행하는 상기의 순서에 있어서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가, 계수의 값에 별도의 계수값을 적용하여 계수의 값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는, 상기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해당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컴퓨터가 실행하는 상기의 순서가, 광고 데이터 중에서 광고프레임에 대응하여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 데이터를 지시하는 단계와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 중에, 지시된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그 광고 데이터를 상기한 광고프레임으로 시청자의 수신기에 최우선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송신측에 기억한 광고 중에서, 송신측에 가입자로서 등록된 시청자(시청자의 수신기)의 각각에 대하여 개별로 광고를 미리 선택하여 할당하여 두고, 그 할당한 광고를 각 수신기에 개별로 송신하여 표시시킴으로써, 광고효과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등록된 각 시청자에게 할당한 광고를, 광고주가 결정한 필요한 요소에 의거하는 우선순위에 따라 각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킴으로써, 광고효과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각각의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되는 광고표시의 우선순위, 즉 송신측에 기억된 광고의 해당 송신측으로부터 시청자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요소는, 예를 들면 (1) 각 광고의 시청기간(표시기간), (2) 각 광고가 수주한 재생횟수, 즉 총 재생횟수(총 표시횟수), 즉 수신기에의 총 송신횟수, (3) 각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과, 각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도, (4) 광고주가 지정한 우선 재생시간(우선 표시시간), 즉 수신기에의 우선 송신시간, (5) 각 광고에 할당되는 수신기에서의 예정 재생순서(예정 표시순서), 즉 수신기에의 예정 송신순서, (6) 각 광고의 총 표시횟수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광고가 할당된 각 수신기에서 필요하게 되는 표시횟수, 즉 각 광고의 총 송신횟수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광고가 할당된 각 수신기에의 필요하게 되는 광고의 송신횟수, (7) 각 광고 자체가 속하는 카테고리, 즉 광고의 속성에 대하여 수신기에 있어서의 시청자의 기호정도이다. 이들 요소의 각각을 가중을 표시하는 값으로 변환하여, 가중값의 합계가 큰 광고에 대하여 표시에 대한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다시 광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8) 특정한 광고를 개입지시에 의하여 수신기에 송신시켜 표시시키는 개입명령(광고 지정명령)이 있다.
도 1은 송신측으로부터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배신)하여 표시시킬 때의 광고의 배신의 우선순위, 즉 광고의 표시의 우선순위의 결정방법 및 각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의 선택방법의 개념을 표형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우선순위의 결정방법 및 광고의 선택방법에서 사용하는 기본적인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데이터는, 송신측에 기억되어 있는 광고에 대한 데이터이다. 여기서는 송신측에 7개의 광고, CM1, CM2, CM3, CM4, CM5, CM6, CM7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의 상단의 표는, 각 광고 CM1, CM2, CM3, CM4, CM5, CM6, CM7의 송신의 우선순위(송신측으로부터 수신기에 광고를 송신할 때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계산 요소명과, 계산요소에 대한 제어계수명과, 각 광고에 대하여 적용되는 제어계수의 값과, 제어계수에 적용되는 제어변수를 나타내고, 하단의 표는 상단의 표와 관련되어 있고, 각 광고에 대한 소정의 시청자의 일치정도를 나타내는 일치도값을 각 광고별로 나타낸 표이다.
계산요소는, 표시기간과,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와, 예정 송신순서와, 총 표시횟수(총 송신횟수에 대응)와, 우선 송신시간과, 시청자의 기호와, 광고속성을 포함한다.
계산요소의 표시기간은, 상기 (1)의 시청기간에 관련되는 요소이다. 도 1에 있어서의 표시기간 요소는, 각 광고의 전 표시기간(광고 등록일로부터, 수신기에서의 광고표시의 종료일까지의 기간)을 나타내는 제어계수(Tt)와, 각 광고의 나머지 표시기간을 나타내는 제어계수(Tr)로 나타내고 있다. 제어계수(Tr)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화된다. 이 예에서는 전 표시기간(Tt) 및 나머지 표시기간(Tr)을 일수로 표시하여, 하루가 경과할 때마다 제어계수(Tr)의 값이 1씩 감소한다. 예를 들면, CM1의 전 표시기간은 60일이고, 나머지 표시기간은 12일이다.
계산요소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는, 상기 (3)의 일치도를 구할 때의 기초가되는 요소이며, 또 각 시청자에 대하여 적합한 광고를 선택할 때에 사용하는 요소이다.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는, 광고주가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기 위하여 광고주가 송신측에 광고를 의뢰하였을 때에 입력한 데이터이다.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정보는, 예를 들면 지역, 성별, 연령 등의 복수의 항목으로 대분류되고, 각 항목은 복수의 분류(카테고리)로 소분류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항목, 즉, 대분류가「성별」인 경우에는 「남성」이라는 카테고리와 「여성」이라는 카테고리로 소분류된다. 광고주는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기 위하여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의 각 카테고리에 대하여 가중을 표시하는 값을 할당한다. 가중값은 제어계수(Cpq)로 표시되고, 중시하는 카테고리에 대하여 큰 값이 할당된다. 광고주가 할당한 값은 고정값이며 변화하지 않는다. 이 가중값은 각 시청자가 속하는 부분만 반영된다.
계산요소의 예정 송신순서는, 상기 (5)의 예정 송신순서에 대응하는 요소이다. 예정 송신순서 요소는, 시청자(수신기)에 대하여 할당된 각 광고의 예정되는 송신측으로부터 수신기에의 송신의 순서, 즉 수신기에서의 예정되는 표시의 순서를 기초로 하여 계산되는 가중값이며, 제어계수(Jn)로 표시된다. 도 1에서는 모든 광고에 대하여 초기값으로서 최저값(이 예에서는 1000)을 할당하고 있다. 제어계수 (Jn)의 값은, 광고가 시청자에게 할당된 시점에서는 최저값이고, 나중에 각 시청자별로 시청자의 수신기에의 광고의 송신상황에 따라 개별로 변경된다. 제어계수 (Jn)는 예정 송신순서가 상위할 수록 큰 값이 된다.
계산요소의 총 표시횟수는, 상기 (2)의 총 재생횟수(총 표시횟수), 즉 총 송신횟수에 대응하는 요소이며, 상기 (6)의 각 광고의 총 송신횟수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광고가 할당된 각 수신기에서 필요하게 되는 표시횟수, 즉 각 광고의 총 송신횟수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하게 되는 각 광고가 할당된 각 수신기에의 송신횟수를 구할 때의 기초가 되는 값이다. 총 표시횟수는 제어계수(KT)로 표시된다. 총 표시횟수까지의 나머지 표시횟수, 즉 총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가 0이 된 광고는 삭제되고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일치도값(CT)은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시청자 자신이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의 정도를 나타낸다. 각 시청자는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시청자 자신이 속하는 시청자층을 나타내는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개인 데이터로서 송신측에 등록하고 있다. 개인 데이터에 표시된 카테고리에 대한 각 광고주가 할당하고 있는 제어계수(Cpq)의 합계가, 상기 (3)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값이 된다. 도 1의 하단의 표에서는 송신측에 등록된 소정의 시청자가,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의 카테고리(Ca1, Cb1, Cc1, Cd3)에 속하는 경우의 일치도값을 나타낸다. 제어계수(CT)는 일치의 정도가 높을 수록 커진다.
또 이 일치도는 각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하는 광고를 선택할 때에 사용된다.
계산요소의 우선 송신시간은, 상기 (4)의 우선 송신시간에 대응하는 요소이다. 우선 송신시간 요소의 값, 즉 우선 송신시간값(Hx)은, 광고주가 지정한 시간대에 광고를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요소로서, 시간대에 따라 반영되는 수치가 변한다. 즉 현재시각과, 광고주가 지정한 시간대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 그 시간대에 대한 값을 유효하게 한다.
계산요소의 시청자의 기호는, 상기 (7)의 시청자의 기호에 대응하는 요소이다. 광고속성(도 1의 예에서는 F1 ~ F4)은, 광고가 어느 카테고리에 속하는지를 나타낸다. 광고속성은, 예를 들면 차, 식품, 전기제품 등의 카테고리로 나뉘어진다. 도 1에서는 모든 광고에 대하여, 시청자의 기호(Fx)의 초기값으로서 기준값(이 예에서는 50)을 할당하고 있다. 이 수치는 광고가 시청자에게 할당된 후에 그 시청자에 의한 관심이 있음/관심이 없음(좋아함/좋아하지 않음)의 투표에 의하여 매회 일정한 수치가 카테고리별로 증감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시청자에게 할당된 광고 중에 좋아진 광고, 즉 관심이 있는 광고가 차의 광고인 경우, 그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된 광고 중의 차라는 카테고리에 속하는 광고의 값(Fx)이 모두 일정값만큼 올라 다른 카테고리에 속하는 광고보다도 우선도가 오른다. 이 경우, 차의 카테고리에 소속하는 광고가 수신기에 송신되기 쉬워지게 된다. 또 좋아하지 않는다라는 경우, 즉 관심이 없는 경우는 우선도가 내려가 수신기에 송신되기 어렵게 된다.
도 2는 송신측에 등록된 한 사람의 시청자에 대하여 본 발명의 광고송신의 우선순위의 결정방법의 개념을 표형식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시청자는 도 1의 하단의 표에 나타내는 예와 같이,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의 카테고리(Ca1, Cb1, Cc1, Cd3)에 속하는 것으로 한다. 송신측에서는 시청자에 대하여 일치도값(CT)(도 1의 하단의 표를 참조)을 계산하여, 일치도값(CT)이 소정값보다 위의 광고, 예를 들면 일치도값(CT)이 0보다 위의 광고(도 1의 CM1 ~ CM6)만을 시청자에 대하여 적합한 광고라고 판단하여, 이들 광고를 시청자에게 할당한다. 일치도값(CT)이 0인 광고(도 1의 CM7)는, 시청자에게 적합하지 않은 광고라고 판단하여 할당하지 않는다. 또한 이 선택의 결과로서 광고 CM7은 이 시청자에게는 표시되지 않게 된다.
도 2의 상단의 표는, 이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된 각 광고 CM1 CM2, CM3, CM4, CM5, CM6의 시청자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계산요소명과, 계산요소에 대한 제어계수명과, 각 광고에 대하여 적용되는 제어계수의 값과, 제어계수에 적용되는 제어변수를 나타내고, 하단의 표는 상단의 표와 관련하고 있어, 각 광고에 대한 시청자의 일치정도를 나타내는 일치도값(CT)과, 각 광고에 대한 우선순위의 결정요소의 값(Sum)과, 우선순위(N)를 각 광고별로 나타내는 표이다. 또 이 도 2의 표는, 이하에 설명하는 개인 계산시트에 대응하는 표로서, 송신측에서 작성되어 기억된다.
계산요소는 표시기간과,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와, 예정 송신순서와, 평균 송신횟수와, 우선 송신시간과, 시청자의 기호(광고속성)를 포함한다.
계산요소의 표시기간은, 상기 (1)의 시청기간에 대응하는 요소이다. 표시기간 요소는 도 1에 나타내는 표시기간 요소(Tt, Tr)의 값을 기초로 하여 계산되는 가중값으로, 제어계수(Tx)로 표시된다. 제어계수(Tx)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화되어 나머지 표시기간이 짧을 수록 큰 값이 된다.
계산요소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는, 도 1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와 마찬가지로 상기 (3)의 일치도를 구할 때의 기초가 되는 요소이다. 도 2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요소는, 도 1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요소(Cpq)로부터 이 시청자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카테고리의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복사한 것이다. 이 시청자는 카테고리(Ca1, Cb1, Cc1, Cd3)에 속하기 때문에, 도 1의 데이터로부터 카테고리(Ca1, Cb1, Cc1, Cd3)의 데이터가 추출되어 있다.
계산요소의 예정 송신순서는, 상기 (5)의 예정 송신순서에 대응하는 요소이다. 예정 송신순서 요소는, 각 시청자별로 시청자에게 할당된 각 광고의 해당 시청자의 수신기에의 예정되는 송신의 순서, 즉 수신기에서의 예정되는 표시의 순서를 기초로 하여 계산되는 가중값이며, 제어계수(Jn)로 표시된다. 제어계수(Jn)는 광고가 송신측으로부터 수신기에 송신되면 변경된다. 제어계수(Jn)는 예정 송신순서가 상위일 수록 큰 값이 된다. 시청자에 대하여 새롭게 광고가 할당되었을 때에는 그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Jn)의 값은 도 1의 예정 송신순서 요소로 할당된 값(최저값)이 되어, 그 시청자에게 이미 할당되어 있는 다른 모든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Jn)의 값이 각각 소정값만큼 증분된다.
계산요소의 평균 송신횟수는, 상기 (6)의 송신횟수에 대응하는 요소이다. 평균 송신횟수 요소는, 평균 송신횟수에 도달하기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를 기초로 하여 계산되는 가중값이며, 제어계수(Ka)(Ka는, 나머지 송신횟수에 계수를 적용한 값)로 표시된다. 평균 송신횟수의 값은, 광고가 수주한 총 송신횟수[도 1에 나타내는 총 표시횟수 요소(KT)]를 송신측에 등록하고 있는 전 시청자(전 수신기) 중 그 광고가 할당된 수신기의 수로 제산함으로써 구해지는 값(최저 송신횟수)에 계수를 승산함으로써 구해진다. 각 광고에 대하여 구해진 평균 송신횟수의 값(초기값)은, 그 광고가 할당되는 모든 수신기에 대하여 동일하다. 소정의 수신기(소정의 시청자)에 대한 나머지 송신횟수는, 그 수신기에 광고가 1회 송신될 때마다 평균 송신횟수로부터 1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진다. 제어계수(Ka)는 나머지 송신횟수가 0이 되었을 때에 0 이 된다. 소정의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된 소정의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Ka)가 0에 도달하면, 그 광고는 그 시청자의 수신기에는 송신되지 않게 되어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일치도값(Ct)은 도 1의 일치도값(CT)과 마찬가지로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시청자 자신이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정도를 나타낸다. 단, 도 2에 있어서의 제어계수(Ct)는 제어변수 적용명령에 의하여 변화된다. 예를 들면 제어계수(Cpq)(Cax, Cbx, Ccx, Cdx)에 제어변수(Xn)(X2 ~ X5)를 승산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어변수(Xn)가 1 이외의 값인 경우에는, 제어계수(Cpq)의 값이 변화되므로 일치도값(CT)의 값도 변화된다. 제어계수(Ct)는 일치의 정도가 높을 수록 커진다.
계산요소의 우선 송신시간은, 상기 (4)의 우선 송신시간에 대응하는 요소이며, 도 1의 우선 송신시간 요소의 데이터를 복사한 것이다. 우선 송신시간 요소의 값, 즉 우선 송신시간값(Hx)은, 광고주가 지정한 시간대에 광고를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요소이며, 시간대에 따라 반영되는 수치가 변한다.
계산요소의 시청자의 기호는 도 1의 시청자의 기호와 마찬가지로 상기 (7)의 시청자의 기호에 대응하는 요소이며, 도 1의 시청자의 기호에 대응한다. 광고속성 (Fx)은 광고가 어느 카테고리에 속하는지를 나타낸다. 광고속성은 예를 들면 차, 식품, 전기제품 등의 카테고리로 나뉘어지고, 각각의 속성에 대하여 가중을 가하여 표시한다. 이 Fx의 초기값은 도 1의 시청자의 기호요소로 할당되어 있는 기준값(이 예에서는 50)이다. Fx의 값은, 시청자가 입력하는 관심있음/관심없음의 투표에 의하여 일정한 수치가 카테고리별로 증감한다.
제어변수 적용명령에 의하여 적용되는 제어변수(Xn)(도 2에서는 X1 내지 X9)는 각각의 제어계수(Tx, Cpq, Jn, Ka, Hx, Fx)의 중요도를 결정하는 것이고, 송신측에서 수신기로부터의 이력(광고의 표시상황 등의 이력)의 피드백, 송신측에 축적한 이력에 관한 정보, 영업정보 등에 의거하여 어떤 계수를 우선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계수이다. 모든 제어계수(Tx, Cpq, Jn, Ka, Hx, Fx)에 대하여 각각의 계수마다 설정된 Xn(X1 내지 X9)를 승산함으로써, 어느 제어계수를 중요시할지를 정할 수있다. 이 제어변수의 적용명령은 모든 제어계수가 총합되는 전 단계, 즉 이하에 설명하는 결정요소(Sum)를 계산하기 전에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표시의 최종기한이 다가왔을 때에는 횟수 및(또는) 기한의 값, 즉 제어계수[Tx 및 (또는)Ka]에 큰 값을 곱하고, 다른 제어계수에는 작은 값을 곱함으로써 횟수 및 기한의 우선도를 올릴 수 있다.
결정요소(Sum)는 제어변수(Xn)가 적용된 제어계수(Tx, Jn, Ka, Hx, Fx)의 값과 Ct값과의 합계(즉, Tx', Jn', Ka', Hx', Fx', Cax', Cbx', Ccx', Cdx'값의 합계)를 나타낸다. 이 합계값은 각 광고의 가중을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값이고, 이 값에 의거하여 최종적인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제어계수(Tx)는 시간에 의존하여 변화되고, 제어계수(Ka 및 Jn)는 광고의 표시에 의존하여 변화되고, 제어계수(Hx)는 시청자의 투표에 의하여 변화하는 변수이다. 다시 모든 제어계수에 제어변수 (Xn)가 적용되기 때문에 제어계수의 값은 제어변수의 값에 의존하여 변화된다. 따라서 제어계수의 합계값(Sum)도 시간, 광고의 표시, 시각, 시청자의 투표, 제어변수에 의존하여 변화된다.
우선순위(N)는 결정요소(Sum)의 값이 큰 것으로부터 순서대로 상위의 번호를 할당한 것이고, 이것이 최종적인 우선순위이다. 송신측은 이 우선순위에 따라 기억된 광고를 수신기에 배신하고, 수신기는 수신한 광고를 수신한 순으로 표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송신측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광고의 송신(배신)을 제어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광고 배신장치(1)는 고객 관리부(2), 광고 관리부(3), 광고 데이터보관부(4), 명령부(5), 계산부(6), 이력부(7), 수신부(8) 및 송신부(9)를 구비한다.
고객 관리부(2)는 시청자로부터 개인 데이터(가입자로서 등록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취하고, 그 시청자에 대하여 개인 ID를 부여하여 그 개인 ID와 개인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각 시청자의 개인 데이터는 각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광고 관리부(3)는 광고 자체를 표시하는 광고 데이터(화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등)와, 광고에 부가되는 데이터(부가 데이터 : 도 1에 나타내는 표시기간,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총 표시횟수, 우선송신 시간대, 광고속성의 데이터)를 수취하고, 그 광고에 대하여 광고 ID를 부여하여 그 광고 ID와 부가 데이터를 관련지어 광고 관리부(3)의 기억부(도시 생략)에 기억하고, 광고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보관부(4)에 보낸다. 또 광고 관리부(3)에 기억된 각 광고의 부가 데이터는 각 시청자에 대하여 광고의 선택을 위해서나, 광고의 배신의 우선순위의 계산을 위하여 사용된다. 또 광고 관리부(3)는 이력부(7)로부터 이력정보를 수취하여 그 이력정보와 광고 관리부(3)에 축적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광고의 우선순위의 계산에 있어서 사용하는 제어변수를 결정한다. 또 광고 관리부(3)는 외부로부터의 명령을 접수한다.
광고 데이터보관부(4)는 광고 관리부(3)로부터 보내여져 온 광고 ID 및 광고 데이터를 기억한다. 또 광고 데이터보관부(4)는 계산부(6)로부터의 광고의 송신을 지시하는 신호(광고 ID와 개인 ID를 포함함)에 응답하여 지시된 광고 데이터를 검색하여 송신부(9)에 출력한다.
명령부(5)는 광고 관리부(3)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계산부(6)에 대한 제어변수의 값의 변경을 지시하는 명령, 광고 데이터보관부(4), 계산부(6), 이력부(7)에 대한 데이터의 삭제를 지시하는 명령, 계산부(6)에 대하여 최우선으로 배신해야 할 광고를 지정하는 명령 등을 작성한다.
계산부(6)는 각 시청자에 대하여 개별로 개인 계산시트를 작성한다. 개인 계산시트는 도 2에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즉, 하나의 개인 계산시트는 한 사람의 시청자에게 적합한 것으로 선택되어 할당된 광고의 광고 ID(CM1 ∼ CM6을 나타내는 ID)와, 각 광고의 부가 데이터에 의거하는 우선순위 계산용 제어계수(Tx, Cpq, Jn, Ka, Hx, Fx)의 값과, 각 제어계수에 적용하는 제어변수(Xn)의 값과, 제어계수에 의거하여 계산되는 각 광고의 가중을 표시하는 값(Sum)과, 우선순위를 표시하는 값(N)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계산부(6)는 수신기로부터의 광고표시요구신호를 수신하면, 그 수신기에 대응하는 개인 계산시트에 나타낸 우선순위의 순으로 그 수신기에 대하여 광고 데이터를 출력시키기 위한 신호를 광고 데이터보관부 (4)에 보낸다.
이력부(7)는 시청자의 수신기로부터 수신기에서 표시한 광고에 관한 데이터를 수취하여, 그 데이터를 기초로 각 광고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작성한다. 또 이력부 (7)는 광고 데이터보관부(4)로부터 배신한 광고에 관한 데이터를 수취하여 그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한 이력 데이터와는 별도로 각 광고에 대한 이력 데이터를 작성한다.
수신부(8)는 수신기로부터 개인 데이터, 광고표시 요구신호, 광고의 표시에 관한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각각의 데이터를 적당한 처리수단[고객 관리부(2), 계산부(6), 이력부(7)]에 보낸다.
송신부(9)는 광고 데이터보관부(4)로부터 광고 ID와, 광고 데이터와, 그 광고 데이터의 배신지가 되는 수신기를 나타내는 데이터(그 수신기 시청자의 개인 ID)를 수취하여 이들을 배신지의 수신기에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고 배신장치로부터 광고가 배신되는 수신측의 장치, 즉 수신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수신기(20)는 제어부(21)를 구비하고, 제어부(21)에는 기억부(22), 입력부 (23), 계시부(24), 송신부(25), 수신부(26), 출력부(27)가 접속된다.
제어부(21)는 수신기(20)의 전체적인 제어, 광고의 표시의 제어, 각 광고의 표시상황에 관한 이력 데이터의 관리 등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수신기(20)는 송신측으로부터 방송 데이터와, 광고 데이터 및 해당 광고 데이터에 부가된 데이터를 수신부(25)에서 수취한다. 방송 데이터란, CS, BS, 지상파, 케이블 등의 유선이나 무선을 거쳐 가입자로 되어 있는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되는 프로그램 데이터나,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거쳐 가입자로서 등록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공급되는 콘텐츠 등이다.
제어부(21)는 수신부(26)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부(27)로부터 출력한다. 출력부(27)는 화상, 음성, 문자 등의 정보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화상 표시장치나 음성 출력장치 등을 구비한다. 또 제어부(22)는 출력부(27)에서 재생한 광고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부(22)에 일시적으로 기억하고, 이들 데이터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판독하여 송신부(25)로부터 송신측으로 송신한다.
다음에 제 1 광고 배신장치의 동작의 실시형태를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시청자 자신이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도 1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를 참조)의 각 분류로부터 선택한 해당 시청자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광고주가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을 특정하기 위하여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의 각 분류의 각 카테고리에 대하여 할당한 가중을 표시하는 값에 따라 시청자에게 광고를 할당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광고송신의 우선순위의 계산요소로서, 도 2에 나타내는 표시기간[제어계수(Tx)]과,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제어계수(Cpq)]와, 예정 송신순서[제어계수 (Jn)]와, 평균 송신횟수[제어계수(Ka)]와, 우선 송신시간[제어계수(Hx)]과, 시청자의 기호(광고속성)(Fx)를 사용한다.
도 5는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서의 시청자 등록 단계를 나타낸다.
A. 광고 배신장치(1)에서의 시청자 등록 단계
A1. 단계 1에 있어서, 수신기(20)의 시청자는 송신측에 가입자로서 등록할 때에 시청자 자신의 개인 데이터, 즉 주소, 성명 등의 데이터 및 시청자 자신이 속하는 시청자층을 특징짓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송신측에서 준비되어 시청자에게 공급되는 앙케이트용지나 마크시트 등에 기재하여 송신측에 보낸다.
개인 데이터에 포함되는 시청자 자신이 속하는 시청자층을 특징짓는 데이터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송신측에서 준비된 앙케이트용지나 마크시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도 1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를 참조)에 나타내는 복수의 카테고리로부터 선택한다.
또한 개인 데이터를 송신측에 전달하는 방법은 임의이며, 예를 들면 종이에 기입하여 팩시밀리나 우편 등으로 송신하는 방법, 자기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우편 등으로 송신하는 방법, 전화 등을 통하여 구두로 전달하는 방법 등이 있다.
송신측은 시청자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수취하면, 그 개인 데이터를 고객등록입력부에서 고객 관리부(2)에 입력한다.
단계 2에 있어서, 광고 배신장치(1)의 고객 관리부(2)는, 시청자에 대하여 개인 ID를 작성한다. 고객 관리부(2)는 이 개인 ID를 개인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한다. 이 개인 ID는 시청자의 수신기(20)에 기억하여 둘 필요가 있으므로, 적당한 수단으로 시청자에게 보내어(예를 들면, 개인 ID를 기재한 용지를 우송함) 시청자에 의하여 수신기(20)의 입력부(23)로부터 기억부(22)에 기억시킨다.
또 입력수단 및 소프트웨어를 수신하여 인스톨하여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수신기(20)에 대해서는, 광고 배신장치(1)의 송신부(9)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신기(20)의 수신부(26)에 송신하여 기억부(22)에 기억시키고, 제어부(21)에 의하여 그 소프트웨어를 실행시켜 시청자에게 수신기(20)의 입력부(23)로부터 개인 데이터를 입력시키고, 그 입력된 개인 데이터를 수신기(20)의 송신부(25)로부터 광고 배신장치(1)의 수신부(8)에 송신시켜, 고객 관리부(2)에 직접기억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고객 관리부(2)에서 작성한 개인 ID에 대해서도 광고 배신장치(1)로부터 시청자의 수신기(20)에 직접 송신하여 수신기(20)에서 자동적으로 기억부(22)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는 복수의 항목으로 대분류되고, 각 항목은 복수의 분류로 소분류된다. 이하, 이 소분류를 카테고리라 한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는 4개의 분류(항목), 지역(Cax), 성별(cbx), 연령(Ccx), 취미(Cdx)로 대분류되어 있다. 다시 분류(항목)(Cax)는 m개의 카테고리, 지역 A(Ca1) 내지 지역 m(Cam)으로 소분류되고, 분류(Cbx)는 2개의 카테고리, 남성(Cb1) 및 여성(Cb2)으로 소분류되고, 분류(Ccx)는 5개의 카테고리, 19세 이하 (Cc1) 내지 65세 이상(Cc5)으로 소분류되고, 분류(Cdx)는 3개의 카테고리, 취미 A (Cd1) 내지 취미 C(Cd3)로 소분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수신기(20)의 시청자가 지역 A에 살고, 남성이며, 19세 이하이고, 취미 C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시청자는 카테고리(Ca1, Cb1, Cc1, Cd3)를 선택한다. 이 선택된 카테고리 (Ca1, Cb1, Cc1, Cd3)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고객 관리부(2)의 기억부에 기억된다.
또 이 개인 데이터에 다시 그 시청자가 계약하고 있는 유료방송의 채널번호(방송회사명)를 나타내는 데이터나, 그 밖의 데이터(예를 들면 전화번호, 신용카드번호, 근무지의 명칭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 예를 들면 연령층, 성별, 취미 등이 다른 복수의 시청자(예를 들면 가족)가 하나의 수신기를 사용하는 경우나, 한 사람의 시청자가 복수의 취미를 가지는 경우에는 그 모든 특징을 반영하기 위하여 각각의 대분류에 있어서 복수의 카테고리를 지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신기(20)의 시청자가 하나의 분류 중의 복수개의 카테고리를 선택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나, 하나의 수신기에 대하여 복수의 시청자를 따로 따로 등록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복수의 시청자를 하나의 수신기에서 따로 따로 등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각 시청자를 식별하기 위한 선택 버튼을 수신기에 설치하여, 각 시청자가 수신기를 사용할 때에 그 시청자를 식별하는 선택버튼을 눌러, 광고 배신장치(1)에 시청자를 식별하는 신호를 보내도록 한다. 또 시청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수신기에 ID카드 판독장치 등의 식별장치를 설치하여 시청자가 수신기를 사용할 때에 식별장치에서 시청자의 ID카드를 판독하도록 할 수도 있다.
광고 배신장치(1)의 고객 관리부(2)는, 상기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도 6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 시청자의 개인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B. 송신측에서의 시청자의 개인 데이터 분석단계
B1. 단계 1에 있어서, 광고 배신장치(1)의 고객 관리부(2)는 해당 고객 관리부(2)에 기억된 모든 개인 데이터에 의거하여, 등록된 전 시청자에 대하여 시청자층특정용 분류의 각 분류의 각 카테고리(Ca1 ∼ Cd3)에 속하는 시청자수(Sa1 ∼ Sd3)를 구한다. 또한 Sa1은 카테고리(Ca1)에 속하는 시청자수이고, Sa2는 카테고리 (Ca2)에 속하는 시청자수이며, 이하 마찬가지로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부호와 시청자수를 나타내는 부호에 있어서, 오른쪽의 2문자가 동일한 부호가 관련지어진다.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시청자수로부터 광고의 대상이 되는 시청자의 인원수, 즉, 시장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시장의 크기는 광고의 표시횟수(송신횟수)나 기간 등의 개략을 결정할 때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 광고의 효과, 즉 광고를 보는 인원수를 추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그 데이터를 광고프레임의 판매시에 이용할 수 있다. 또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시청자수 대신에, 수신기수를 계수하여도 좋다.
또한 방송에 있어서의 각 채널(Ch1∼Chn)을 시청하는 시청자나, 인터넷에 있어서의 각 사이트에 엑세스하는 사용자에 있어서의, 각 채널별이나 각 사이트별의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인원수를 조사한다. 즉 각 채널이나 각 사이트에 관하여 어떤 분류의 어느 카테고리에 몇 사람의 시청자가 속하는지를 조사한다. 예를 들면 채널 1의 시청자 중, 분류(Cax)의 카테고리(Ca1)에 속하는 시청자는 몇 사람, Ca2에 몇 사람, Ca3에 몇 사람, …, Cd2에 몇 사람, Cd3에 몇 사람, 채널 2의 시청자 중, 분류(Cax)의 카테고리(Ca1)에 속하는 시청자는 몇 사람, …, 채널 3의 시청자 중, 분류(Cax)의 카테고리(Ca1)에 속하는 시청자는 몇 사람, …이라는 바와 같은 데이터를 얻음으로써 더욱 상세한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는, 예를 들면 방송의 경우에는 전 시청자에 있어서의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시청자수와, 각 채널의 시청율을 구하여 이들을 승산함으로써 개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는, 각 수신기로부터 본 채널을 나타내는 정보나, 엑세스한 수신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피드백시킴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고객 관리부(2)에 기억된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시청자(수신기)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뒤에서 설명하는 제 2 실시형태의 상한 송신횟수[제어계수(Ku)]의 계산에 있어서 사용된다.
광고 배신장치(1)의 고객 관리부(2)는, 상기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도 7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서의 광고에 관한 데이터의 준비단계를 나타낸다.
C. 송신측으로부터의 광고에 관한 데이터의 준비단계
C1. 단계 1에 있어서, 광고 배신장치(1)는 광고의 의뢰자(광고주)로부터 광고의 광고 데이터, 광고의 표시기간 데이터, 광고의 총 표시횟수 데이터(총 송신횟수 데이터에 대응),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징짓는 데이터(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 광고를 우선적으로 송신하고 싶은 시간대를 나타내는 데이터(우선송신시간 데이터), 광고의 분야를 나타내는 데이터(광고 속성데이터) 및 광고의 길이(시간)를 나타내는 데이터(광고길이 데이터)를 수취하여, 광고 등록 입력부로부터 광고 관리부(3)에 입력하여 기억한다.
광고 데이터는 광고의 화상, 음성, 문자 등을 표시하는 데이터이다. 표시기간 데이터는 그 광고의 표시의 기간, 예를 들면 수신기에서의 표시의 최초일 및 최종일의 날짜나, 표시기간의 일수 등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광고의 총 표시횟수 데이터는 수주한 표시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송신측으로부터 수신기에의 총송신횟수 데이터에 대응한다.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는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데이터이다(도 1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는 그 광고를 우선적으로 송신하고 싶은 시간대(시각)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광고속성 데이터는 광고에서 선전하는 상품이 속하는 분야(광고속성)를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광고속성은 예를 들면 자동차, 보험, 식료품 등과 같이 분류되어 있다.
광고주는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을 특정하기 위하여, 미리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의 각 분류의 각 카테고리에 대하여 가중을 표시하는 값을 할당한다.
광고주는 예를 들면 송신측에서 준비되어 광고주에게 공급되는 앙케이트용지나 마크시트 등의 용지에 기재되어 있는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에 나타내는 복수의 카테고리로부터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을 나타내는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기입한다. 다음에 선택한 카테고리에 속하는 시청자를 얼마만큼 중요시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중요도를 나타내는 값)을 결정하여 기입한다. 다음에 상기한 용지에 기입되어 있는,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을 나타내는 카테고리와, 카테고리에 대하여 할당된 중요도를 나타내는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와 관련지어 광고 배신장치(1)의 광고 등록 입력부로부터, 광보 관리부(3)에 입력하여 기억한다.
또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 및 표시장치를 설치하고, 또한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중요도를 나타내는 값을 할당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로드하여,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를 광고 배신장치(1)의 표시장치에서 표시하고,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카테고리를 선택하여 값을 결정하여 입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는 4개의 항목(분류), Cax, Cbx, Ccx, Cdx로 대분류되고, 각 분류는 복수의 분류(카테고리)(Ca1 내지 Cam, Cb1 내지 Cb2, Cc1 내지 Cc5, Cd1 내지 Cd3)로 소분류되어 있다.
광고주는 중시하는 카테고리에 대하여 큰 값을 할당한다. 또 하나의 분류에 있어서의 각 카테고리에 할당하는 값의 합계값이 100이 되도록 수치를 배분한다. 예를 들면 광고(CM1)의 분류(Cbx)(성별)에서는 카테고리(Cb1)(남성)에 80을 할당하고, 카테고리(Cb2)(여성)에 20을 할당하고 있어, 이들의 합계는 100이다. 이것은 CM1은 남성과 여성 양쪽을 대상으로 하나, 80대 20의 비율로 남성을 중요시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 예를 들면 CM5의 분류(Cdx)에서는 카테고리(Cd1)에 90, 카테고리(Cd2)에 0, 카테고리(Cd3)에 10이 할당되어 있다. 이것은 카테고리(Cd1)에 속하는 시청자층과, 카테고리(Cd2)에 속하는 시청자층과, 카테고리(Cd3)에 속하는 시청자층을 90대 0대 10의 비율로 중요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0이라는 값은 그 시청자층을 전혀 대상으로서 고려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 광고주는 광고를 수신기에서 표시하고 싶은 시간대, 즉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시키고 싶은 시간대를 특정하기 위하여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의 각 시간대에 대하여 가중을 표시하는 값을 할당한다.
광고주는 예를 들면 상기한 앙케이트용지나 마크시트 등의 용지에 기재되어있는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에 나타내는 복수의 시간대로부터 광고를 우선적으로 송신시키고 싶은 시간대(1 또는 복수의 시간대)를 선택하고, 그 시간대를 얼마만큼 중요시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중요도를 나타내는 값)을 결정하여 기입한다. 다음에 선택한 시간대와, 그 시간대에 대하여 할당된 중요도를 나타내는 값을 나타내는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와 관련지어 광고 배신장치(1)의 광고 등록 입력부로부터 광고 관리부(3)에 입력하여 기억한다.
또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 및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로부터 시간대를 선택하여 중요도를 나타내는 값을 할당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를 표시장치에서 표시하고,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시간대를 선택하여 값을 결정하고, 입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는 6개의 시간대(H1)(1시 내지 5시), H2(5시 내지 9시), H3(9시 내지 13시), H4(13시 내지 17시), H5 (17시 내지 21시), H6(21시 내지 1시)로 분류되어 있다. 광고주는 광고를 송신시키고 싶은 시간대, 즉 중시하는 시간대에 대하여 큰 값을 할당한다. 또 모든 시간대에 할당하는 값의 합계값이 100이 되도록 수치를 배분한다. 예를 들면 광고(CM4)에서는 시간대 (H1, H2, H3)에 0을 할당하고, H4에 20을 할당하고, H5에 60을 할당하고, H6에 20을 할당하고 있고, 이들의 합계는 100이다. 이것은 광고주가 CM4의 송신시간대에 관하여 H1, H2, H3, H4, H5, H6의 시간대를 0대 0대 0대 20대 60대 20의 비율로 중요시하고 있고, H4, H5, H6의 시간대(특히 H5의 시간대)에 우선적으로 송신될 것을 바라고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0이라는 값은 그 시간대에 송신될 것을 바라고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한 광고주는 광고에 의하여 선전되는 상품이 속하는 분야(속성)를 특정하기 위하여 광고속성을 지정한다. 광고속성에는 예를 들면 차, 식품, 전기제품 등이 있다. 광고주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앙케이트용지나 마크시트 등의 용지에 기재되어 있는 광고속성 데이터로부터 그 광고의 속성과 일치하는 광고속성을 선택하고, 그것을 나타내는 광고속성 데이터를 광고 데이터와 관련지어 광고 배신장치 (1)의 광고 등록 입력부로부터 광고 관리부(1)에 입력하여 기억한다. 또 광고 배신장치(1)에 키보드 등의 입력장치를 설치하여 광고속성을 선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로드하여 광고속성 데이터를 표시장치에서 표시하고,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광고속성을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의 예에 있어서 광고속성은 계산요소명「시청자의 기호(광고속성)」란의 「( )」내에 나타내고 있고, 광고(CM1, CM2, CM4)의 광고속성은 F1이고, CM3, CM6의 광고속성은 F2이고, CM5의 광고속성은 F3이고, CM7의 광고속성은 F4이다. 또한 여기에 나타낸 기호(F1 내지 F4)는 광고속성, 즉 광고(광고에서 선전하는 상품)가 속하는 분야를 나타낸다.
C2. 단계 2에 있어서 광고 관리부(3)는 기억된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의 각 분류의 각 카테고리(도 1의 Ca1 내지 Cd3)에 대하여 그 카테고리에 속하는 시청자수 데이터(Sa1 내지 Sd3, 상기 B 단계에서 구한 데이터)를 관련짓는다. 이 각 카테고리별 시청자수 데이터는 고객 관리부(2)에 기억된 모든 개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객 관리부(2)에 10인의 시청자의 개인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고, 그 중 7인이 카테고리(Ca2)에 속하는 경우에는, Ca2의 데이터에 7을 표시하는 시청자수 데이터(Sa2)가 관련지어져 기억된다.(또한 Sa1 내지 Sd3은 제 2 광고 배신장치의 동작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상한 송신횟수를 계산하는 공정에서 사용된다)
C3. 단계 3에 있어서, 광고 관리부(3)는 단계 1에서 기억한 광고에 대한 광고 ID를 작성하여, 그 광고 ID를 그 광고의 표시기간 데이터(표시의 개시일, 종료일),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Ca1∼Cd3), 해당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의 각 분류의 각 카테고리에 관련지어진 시청자수 데이터(Sa1∼Sd3), 총 표시횟수 데이터(총 송신횟수 데이터)(KT),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Hx), 광고 속성 데이터(F1∼F3), 광고길이 데이터와 관련지어 광고 관리부(3)에 기억한다. 또 이 때에 광고관리부(3)는 광고 등록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 이외에 예정 송신순서 데이터 Jn)와, 시청자의 기호 데이터(Fx)를 관련짓는다. 예정 송신순서 데이터(Jn)의 값으로서는 최저값을 할당하고, 시청자의 기호 데이터(Fx)로서는 기준값(이 예에서는 중간값)을 할당한다. 또 표시기간 데이터에 대해서는 전 표시기간을 나타내는 데이터(Tt) 및 나머지 표시기간을 나타내는 데이터(Tr)도 계산하여 기억하여 둔다. 여기서는 표시기간 데이터,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의 카테고리별 시청자수 데이터, 총 표시횟수 데이터(총 송신횟수 데이터),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 광고 속성데이터, 예정 송신순서 데이터, 시청자의 기호 데이터, 광고길이 데이터를 통합하여 부가 데이터라 한다.
또 광고 관리부(3)는, 작성한 광고 ID와 광고 데이터(광고 자체를 표시하는데이터)를 광고 데이터 보관부(4)에 전송하여 기억시킨다. 또 광고 관리부(3)는 광고 ID와, 그 광고의 초기 데이터(도 1에 나타내는 데이터)를 이력부(7)에 송신하여 그 광고의 이력 데이터의 작성의 준비를 시켜 둔다.
다른 광고에 대해서도 C1∼C3와 마찬가지의 공정을 행하여, 광고 데이터에 부가 데이터를 결부시킨다.
광고 배신장치(1)의 광고 관리부(3)는 상기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도 8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서의 개인 계산시트의 작성단계를 나타낸다.
개인 계산시트란, 한 사람의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된 각 광고의 수신기에의 배신의 우선순위, 즉 수신기에서의 표시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에 사용하는 데이터 및 결정된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송신측에 등록된 모든 시청자의 각각에 대하여 일일이 작성된다.
D. 송신측으로부터의 개인 계산시트 작성단계
D1. 단계 1에 있어서, 고객 관리부(2)는 해당 고객 관리부(2)에 기억한 개인 데이터 중, 개인 ID와, 그 개인 ID에서 식별되는 시청자 자신이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선택한 해당 시청자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그 복사본을 계산부(6)에 전송한다. 계산부(6)는 이 개인 ID에 의하여 식별되는 시청자에 대하여 개인 계산시트(도 2의 표를 참조)를 작성한다. 단, 이 시점에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개인 ID와, 시청자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뿐이다.
D2. 단계 2에 있어서, 광고 관리부(3)는 광고의 부가 데이터의 복사, 즉 표시기간 데이터,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 총 표시횟수 데이터(총 송신횟수 데이터),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 광고 속성데이터, 예정 송신순서 데이터, 시청자의 기호데이터 및 광고길이 데이터의 복사본을 계산부(6)에 전송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카테고리별 시청자수 데이터(Sa1∼Sd3)는 광고의 우선순위의 계산에 사용하지 않으므로, 계산부(6)에 송신하는 부가 데이터 중에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D3. 단계 3에 있어서, 계산부(6)는 이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하는 광고를 선택한다. 계산부(6)는 고객 관리부(2)로부터 수신한 시청자가 속하는 카테고리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광고 관리부(3)로부터 수신한 광고의 부가 데이터 중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Ca1∼Cd3)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그 시청자에게 그 광고를 할당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 비교에서는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 중에 포함되는 카테고리 중의 시청자가 속하는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카테고리를 추출하여 광고주가 시청자의 선택한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있는지의 여부, 즉 그 카테고리에 수치가 할당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개인 데이터 중에 카테고리 Ca1 (지역 A), Cb1 (남성), Cc1(19세 이하), Cd3(취미 C)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계산부(6)는 광고의 부가 데이터 중,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Ca1∼Cd3) 중의 카테고리(Ca1, Cb1, Cc1, Cd3)를 검사하여 광고주가 그들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있는 지의 여부, 즉 이들 카테고리에 수치가 할당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D3a. 상기한 4개의 카테고리 모두에 수치 0이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혀 일치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되어 단계 4에 있어서 계산부(6)는 그 부가 데이터를 일치가 없는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하지 않고 파기한다. 도 1에 나타내는 광고 중, 광고(CM7)는, 상기의 4개의 카테고리 모두에 수치 0이 할당되어 있어 전혀 일치가 없으므로, 그 광고 ID 및 부가 데이터는 이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지 않는다.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지 않은 광고는, 그 개인 계산시트에 대응하는 시청자에 대하여 표시되지 않는다.
D3b. 상기의 4개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0 이외의 수치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고주가 선택한 시청자층과, 시청자 자신이 속하는 시청자층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단계 5에 있어서 계산부(6)는 그 광고가 그 시청자에게 할당되는 것으로 결정하고, 그 광고의 부가 데이터를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한다. 도 1에 나타내는 광고 중, 광고(CM1∼CM6)에 관해서는 상기의 4개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0 이외의 수치가 할당되어 있으므로, 이들 광고의 광고 ID 및 부가 데이터는 이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택, 즉 개인 계산시트에 광고의 부가 데이터를 기록할지의 여부, 즉 시청자에 대하여 광고를 할당할지의 여부의 판단기준은, 시청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의 모두에 대하여 수치 0이 할당되어 있는지의 여부이다. 그러나 다른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시청자가 선택한 각 카테고리에 대하여 할당된 값의 합계에 의거하여 광고를 할당할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합계가 소정의 값 이상의 광고를 그 시청자에게 할당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인 계산시트에서는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에 관해서는 시청자가 선택한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데이터만을 기록한다. 또 표시기간 데이터(Tt, Tr)는 광고 ID와 관련지어 기록되나, 그대로는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지 않고, 이하의 H5로 나타내는 계산에 의하여 얻어지는 표시기간의 계수값(Tx)이 기록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광고 ID에 이하의 단계(D4)에서 설명하는 평균 송신횟수에 관련되는 데이터, 즉 평균 송신횟수(초기값)의 데이터 및 광고가 송신된 횟수(이 시청자에 대하여 이 광고의 송신횟수)의 데이터도 관련지어 기록하나, 도 2에 나타내는 개인 계산시트에는 이하의 H(H1)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평균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에 소정의 계수를 적용하여 얻어지는 계수값(Ka)을 기록한다. 또한 광고가 송신되어 실제로 표시된 횟수는, 수신기(20)가 광고를 표시한 후에 광고 배신장치(1)에 송신하여 오는 데이터에 포함되는 개인 ID 및 광고 ID에 의거하여 얻을 수 있다(H의 단계 31, 32를 참조).
D4. 단계 6에 있어서, 계산부(6)는 그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수신기)의 수, 즉 이 광고가 몇매의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작성하여 기억한다. 이 데이터는 계산부(6)가 기억하고 있는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모든 광고의 각각에 대하여 작성된다.
계산부(6)는 이 광고에 대하여 평균 송신횟수를 계산한다. 평균 송신횟수는 광고가 수주한 총 표시횟수를 그 광고가 할당된 전 수신기의 수로 제산하여 이들 수신기의 각각에 대하여 최저한 필요하게 되는 평균의 송신횟수(최저 송신횟수)를 구하여 그 최저 송신횟수에 계수를 승산함으로써 얻어진다.
어떤 수신기에 대해서는 기한내에 최저 송신횟수의 송신을 행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광고가 할당된 수신기에 대하여 그 광고에 대하여 계산된 최저 송신횟수를 할당하는 것으로는 수주한 총 표시횟수(총 송신횟수)를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최저 송신횟수에 계수를 승산함으로써, 그 광고가 할당된 각 수신기가 서로 수신기에의 그 광고의 송신횟수의 부족분을 보충할 만큼의 여유를 가지고, 또한 각 수신기에 그 광고가 과다하게 송신되지 않는 균등한 상한으로 하는 송신횟수, 즉 평균 송신횟수를 결정하고 있다.
최저 송신횟수에 승산하는 계수의 값은, 예를 들면 많은 인원수를 포함하는 시청자층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 즉 그 광고가 할당된 수신기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작아진다. 또 그 반대로 적은 인원수를 포함하는 시청자층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 즉 그 광고가 할당된 수신기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커진다. 이 계수의 값은 예를 들면 과거의 광고의 표시실적(송신실적)의 데이터나, 상기한 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앙케이트 등에서 얻어 기억한 시청자층의 인원수 등에 관한 데이터나, 광고주가 지정한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에 관한 데이터 등으로부터 경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분야에 속하는 광고에 대하여, 수주한 총 표시횟수가 10000회 이고, 그 광고가 할당된 수신기의 수가 500대(즉 그 광고의 광고 ID를 기록한 개인 계산시트의 수가 500매)라고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각 수신기에 대한 최저 송신횟수는 20회(10000/500)가 된다. 이 값에 여유를 가지게 하기 위한계수를 적용하여 평균 송신횟수를 결정한다.
또 이미 한 사람 이상의 시청자(수신기)에 할당되어 있는 광고, 즉 1개 이상의 개인 계산시트에 등록되어 있는 광고가 새로이 다른 수신기에 할당되면, 그 광고가 할당된 수신기의 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갱신된다. 계산부(6)는 광고가 새로이 다른 수신기에 할당될 때마다 그 광고에 대한 평균 송신횟수를 재계산한다. 이 계산시에 계산부(6)는 광고 관리부(3)에 그 광고의 총 표시횟수까지의 나머지 표시횟수(즉 총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요구하여 획득하고, 그 나머지 표시횟수를 그 광고가 할당된 수신기의 수를 나타내는 데이터(갱신된 수신기수 데이터)로 제산하여 그 시점에서의 각 수신기에서 최저한 필요하게 되는 평균 송신횟수(최저 송신횟수)를 구하고, 그 최저 송신횟수에 계수를 승산함으로써 새로운 평균 송신횟수를 구한다. 또한 그 광고가 할당된 모든 수신기에 대응하는 모든 개인 계산시트에 관하여 평균 송신횟수의 초기값의 데이터를 상기한 새로운 평균 송신횟수로 갱신하여 각각의 개인 계산시트마다 갱신한 평균 송신횟수(초기값)(로부터 광고 ID에 관련지어 기록되어 있는 광고의 송신횟수를 감산하여 새로운 나머지 송신횟수 데이터(제어계수(Ka)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를 작성한다. 또 계산부 (6)는 제어계수(Ka)를 계산하기 위한 나머지 송신횟수에 승산하는 계수도, 갱신된 수신기수 데이터에 의거하여(예를 들면 원래의 수신기수와 새로운 수신기수와의 비율에 의거하여) 변경한다.
또 개인 계산시트는 시청자와 광고와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일치도값(Ct)과, 이하의 H에서 설명하는 우선순위의 계산공정에서 구해지는 각 광고마다의 제어계수의 합계값(Sum)과, 그 합계값에 의거하여 부여되는 우선순위(N)을 기록한다.
광고 배신장치(1)는 새롭게 접수한 광고에 대해서도 상기의 단계를 행한다. 또 동일한 광고가 이미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광고를 새롭게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하지는 않는다.
광고 배신장치(1)의 계산부(6)는 상기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도 9는,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서의, 광고의 삭제에 관한 명령신호를 작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E. 송신측에서의 광고의 삭제에 관한 명령신호를 작성하는 단계
E1. 단계 1에 있어서, 예를 들면 광고의 표시횟수가 총 표시횟수에 도달하여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광고주가 계속중지를 결정한 광고와 같은 통상의 제어동작에서는 삭제할 수 없는 광고를 삭제하는 경우에 그 광고를 삭제하기 위하여 외부명령 입력부로부터 광고 관리부(3)에 그 광고의 광고 ID와 삭제명령을 입력한다. 광고 관리부(3)는 입력된 광고 ID와 삭제명령을 명령부(5)에 입력한다.
또 광고 관리부(3)가 이력부(7)로부터 얻어지는 각 광고의 송신(표시)횟수에 관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계산되는 각 광고의 총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수주한 총 표시횟수, 즉 총 송신회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광고가 있는 경우, 및 광고 관리부(3) 자체가 축적하고 있는 각 광고의 나머지 표시기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표시기간이 만료하였다고 판단한 광고가 있는 장소에 광고 관리부(3)로부터 명령부(5)에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와 삭제명령을 입력한다.
또한 이력부(7)는 수신기(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이력 데이터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광고에 관하여 개별로 이력 데이터를 작성하여 기억하고 있다. 이력 데이터는 광고의 표시횟수, 광고의 수신자(어떤 시청자가 이 광고를 시청하였는지를 나타냄), 광고가 시청된 시간 등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광고 관리부(3)는 이 이력 데이터 중 광고의 표시횟수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광고의 총 표시횟수까지의 나머지 표시횟수, 즉 총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를 계산한다.
또 이력부(7)는 광고 데이터보관부(4)가 광고를 배신한 후에 해당 광고 데이터보관부(4)로부터 보내져오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광고에 관하여 개별로 광고의 송신횟수, 광고의 수신자(어떤 시청자가 이 광고를 시청하였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광고가 시청된 시간 등을 포함하는 이력 데이터를 작성하여 기억한다.
고객 관리부(2)는 소정기간별로 그 기간분 만큼의 데이터를 이력부(7)로부터 판독하여 고객 관리부(2)에서 관리하고 있는 데이터에 반영시킨다. 이 예에서는 수신기(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된 이력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실제로 수신기에서 표시된 광고에 대하여 데이터의 갱신을 행한다. 또 이력부(7)에 새로운 데이터가 입력될 때마다 그 데이터를 이력부(7)로부터 고객 관리부(2)에 송신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광고가 실제로 수신기에서 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즉 광고 배신장치(1)로부터 수신기(20)에 배신된 광고가 모두 표시되었다고 간주하는 경우에는 광고 데이터보관부(4)로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된 이력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력 데이터에 관한 단계에 대해서는 이하의 I에서 설명한다.
E2. 단계 2에 있어서, 명령부(5)는 광고 관리부(3)로부터 입력된 광고 ID와 삭제명령을 광고 데이터보관부(4), 계산부(6) 및 이력부(7)에 입력한다.
광고 데이터보관부(4)는, 명령부로부터 입력된 광고 ID 및 삭제명령에 의거하여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계산부(6)는 모든 개인 계산시트를 검사하여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력부(7)는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광고 관리부(3)는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와 삭제명령을 외부명령 입력부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그 광고 ID와 삭제명령에 응답하여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3에 있어서 광고 관리부(3)는 그 기억부로부터 그 광고의 광고 ID 및 해당 광고 ID에 관련지어진 부가 데이터를 삭제한다. 광고 데이터보관부(4)는 그 광고 ID 및 광고 데이터를 삭제한다. 계산부(6)는 그 광고 ID가 기록되어 있는 모든 개인 계산시트로부터 그 광고에 관한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력부(7)는 광고 ID 및 삭제명령을 수신하면, 소정시간후(그 광고의 표시에 관한 데이터를 모든 수신기로부터 수취하는 데 충분한 시간후)에 이력부(7)에 기억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그 광고 ID에 대응하는 광고의, 나중의 마케팅이나 수익분배를 위함 등에 사용하는 통계 데이터의 작성을 개시한다 (이하의 J를 참조). 이력부(7)는 통계 데이터의 작성이 완료한 후에 그 광고의 이력 데이터를 삭제한다(통계 데이터는, 판독될 때까지 삭제하지 않는다).
또 단계 2에 있어서, 광고 관리부(3)가,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와 삭제명령을 광고 관리부(3) 자체가 판단하여 발생하여 명령부(5)에 입력한 경우에는, 광고 관리부(3)는 명령부(5)에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와 삭제명령을 송신한 후에 그 광고 ID와 해당 광고 ID에 관련지어진 데이터를 삭제한다. 광고 데이터보관부 (4)는 명령부(5)로부터 광고 ID와 삭제명령을 수신하면,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계산부(6)는 모든 개인 계산시트를 검사하여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력부 (7)도 또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3에 있어서, 광고 데이터보관부(4)는 그 광고 ID와 해당 광고 ID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삭제한다. 계산부(6)는 그 광고 ID가 기록되어 있는 모든 개인 계산시트로부터 그 광고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삭제한다. 이력부(7)는 명령부(5)로부터 광고 ID 및 삭제명령을 수신하면 소정시간후에 이력부(7)에 기억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그 광고 ID에 대응하는 광고의 나중의 마케팅이나 수익분배를 위함 등에 사용하는 통계 데이터의 작성을 개시하고, 통계 데이터의 작성이 완료한 후에 그 광고의 이력 데이터를 삭제한다.
광고 관리부(3), 광고 데이터보관부(4), 명령부(5), 계산부(6), 이력부(7)는 각각 상기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도 10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서의 광고의 최우선 배신에 관한 명령신호를 작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F. 송신측에서의 광고의 최우선 배신에 관한 명령신호를 작성하는 단계
F1. 단계 1에 있어서, 특정한 광고를 최우선으로 배신하는, 즉 시청자의 수신기에 최우선으로 송신하여 표시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외부명령 입력부로부터 광고 관리부(3)에 광고 지정명령이 입력된다. 광고 지정명령은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와, 최우선으로의 송신을 지시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단계 2에 있어서, 광고 관리부(3)는 입력된 광고 지정명령을 명령부(5)에 보내고, 명령부 (5)는 광고 지정명령을 계산부(6)에 보낸다.
F2. 단계 3에 있어서, 계산부(6)는 모든 개인 계산시트를 검사하여 광고지정명령으로 표시된 광고 ID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개인 계산시트에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 4에 있어서 그 개인 계산시트의 광고 ID에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록한다.
이하의 H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나, 광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할 때에 계산부(6)는 개인 계산시트에 있어서,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부가된 광고 ID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광고 데이터보관부(4)에, 그 광고 ID 및 그 개인 계산시트에 대응하는 시청자의 개인 ID를 최우선으로 송신한다. 광고 데이터보관부(4)는 광고 ID 및 개인 ID를 수신하면 그 광고 ID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최우선으로 판독하여 그 개인 ID에 대응하는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부(9)를 거쳐 최우선으로 배신한다. 또 개인 계산시트에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부가된 광고 ID가 존재하지않을 경우에는 계산부(6)는 광고 데이터보관부(4)에 우선순위의 순으로 광고 ID와, 광고의 배신지가 되는 시청자의 개인 ID를 송신한다. 광고 데이터보관부(4)는 광고 ID 및 개인 ID를 수신하면 광고 ID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광고 ID의 수신순으로 판독하고, 그 순으로 광고 데이터를 개인 ID에 대응하는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부 (9)를 거쳐 배신한다.
광고 관리부(3), 명령부(5), 계산부(6), 송신부(9)는 각각에 상기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도 11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서의 제어계수에 적용되는 제어변수의 값의 변경에 관한 명령신호를 작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G. 송신측에서의 제어계수에 적용되는 제어변수의 값의 변경에 관한 명령신호를 작성하는 단계
G1. 단계 1에 있어서, 개인 계산시트의 6종의 제어계수(Tx, Ka, Jn, Cpq, Hx, Fx)의 각각에 적용하는 제어변수(Xn)의 값을 외부명령 입력부로부터 광고 관리부(3)를 거쳐 또는 광고 관리부(3) 자체로부터 명령부(5)에 입력한다.
제어변수(Xn)의 값을 외부명령 입력부로부터 광고 관리부(3)를 거쳐 명령부 (5)에 입력하는 경우, 제어변수의 값은 영업정보(예를 들면 광고주로부터의 지시 등을 포함함) 등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제어변수(Xn)의 값을 광고 관리부(3)가 생성하고 명령부(5)에 입력하는 경우, 제어변수의 값은 광고 관리부(3) 및 이력부(7)에 기억하고 있는 광고의 송신(표시)상황에 관한 데이터(예를 들면 나머지 표시기간, 총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 등)에 의거하여 광고 관리부(3)에 의하여자동적으로 결정된다.
명령부(5)는 광고 관리부(3)로부터 제어변수(Xn)의 값을 수신하면, 그 제어변수(Xn)를 개인 계산시트의 각 제어계수에 적용시키기 위한 제어변수적용 명령을 작성한다. 제어변수적용 명령은 새롭게 결정된 각 제어변수값과, 제어변수값의 변경을 지시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광고 배신장치(1)에 표시기한이 다가오고 있는 것으로 다수의 나머지 송신횟수가 있는 광고가 기억되어 있는 것을 이력 데이터로부터 판별한 경우나, 광고주가 특정한 광고의 표시(나머지 표시횟수)를 조급하게 완료시키는 것을 지시하여 온 경우나, 무엇인가의 이유로 특정한 광고의 표시(나머지 표시횟수)를 조급하게 완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는 그 광고의 우선순위를 올려 보다 많이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킬 필요가 있다. 즉 광고송신의 우선순위를 올리기 위해서는 우선순위의 기초가 되는 계수의 값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6종의 제어계수(Tx, KL Jn, Cpq, Hx, Fx)의 각각에 적용하는 계수[변수(Xn)]의 값을 변경하여 각 제어계수의 값을 변화시킴으로써, 대상으로 하고 있는 광고송신의 우선순위를 올리도록 한다. 또한 제어변수의 결정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의 I3에서 설명한다.
G2. 단계 2에 있어서, 명령부(5)는 계산부(6)에 제어변수적용 명령을 송신한다. 계산부(6)는 모든 개인 계산시트의 제어변수(Xn)의 값을 제어변수적용 명령으로 표시되는 새로운 값으로 변수한다.
이 예에서는 각 개인 계산시트마다 제어변수적용 명령을 수신하면 곧 바로그 제어변수적용 명령에 포함되는 제어변수값을 반영시켜 광고의 우선순위를 계산하여, 그 계산후의 최초의 광고프레임에 그 광고프레임의 시간 동안에 표시할 수 있는 수의 광고를 상기의 계산으로 결정한 우선순위로 배신하고, 배신의 직후에 제어변수값을 원래의 제어변수값으로 되돌리고, 다시 우선순위의 계산을 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다른 구성으로서는 새롭게 제어변수적용 명령을 수신할 때까지 전회의 제어변수적용 명령에서 지시된 제어변수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광고 관리부(3), 명령부(5) 및 계산부(6)는 상기한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상기 E의 광고의 삭제에 관한 처리, 상기 F의 광고를 최우선으로 배신하는 것에 관한 처리 및 상기 G의 제어변수의 변경에 관한 처리는, 각각 필요에 따라 임의의 시에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상기 F 광고의 우선순위를 최우선으로 하는 처리는 긴급하게 광고주로부터 특정한 광고를 최우선으로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취지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행하여진다. 또 예를 들면 상기 G의 제어변수의 변경에 관한 처리를 새로운 이력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행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밀도가 높은 광고 배신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12, 도 13, 도 14, 도 15는 연속한 하나의 플로우차트이고,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서의 각 시청자에 대하여 광고의 배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각각의 시청자의 수신기에 배신하여 표시시키는 단계를 나타낸다.
H. 송신측에서의 각 시청자에 대하여 광고의 우선순위의 결정 및 각 수신기에의 배신단계
이하의 단계는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 등록된 모든 시청자에 대하여 개별로 행하는 것이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등록된 시청자 중 한사람의 시청자에 대하여 광고 데이터의 우선순위의 결정 및 그 시청자의 수신기에의 배신단계를 설명한다.
H1. 도 12의 단계 1에 있어서, 광고 배신장치(1)의 계산부(6)는 등록된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된 광고, 즉 그 시청자에 대응하는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광고 ID에 관련지어 기억된 평균 송신횟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광고의 평균 송신횟수에 관한 가중을 표시하는 값[도 2의 제어계수(Ka)]의 초기값을 결정한다. 제어계수 (Ka)는 평균 송신횟수에 도달하기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에 계수를 승산함으로써 구해진다(Ka = 나머지 송신횟수 ×계수). 예를 들면 제어계수(Ka)의 값을 나머지 송신횟수의 값과 동일하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나머지 송신횟수에 승산하는 계수를 1로 하고, 또한 적용되는 제어변수(X7)의 값을 1로 한다.
광고가 1회 송신될 때마다 나머지 송신횟수로부터 1이 감산된다. 나머지 송신횟수가 0이 되면 제어계수(Ka)가 0이 된다. 제어계수(Ka)가 0에 도달한 광고는 수신기에 송신되지 않게 된다.
도 1의 예에서는 CM1의 제어계수(Ka)의 값이 40이고, CM2가 100, CM3이 50, CM4가 40, CM5가 70, CM6이 30이다. 계산부(6)가 이 시점에서의 제어계수(Ka)의 값만을 기초로 하여 광고의 우선순위를 결정한 경우에는 높은 순으로부터, CM2, CM5, CM3, CM1 및 CM4, CM6이 된다.
H2. 단계 2에 있어서, 계산부(6)는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된 각 광고의 수신기에의 송신(배신), 즉 수신기에서의 표시의 순서를 예정하여 그 예정 송신순서에 대한 가중을 표시하는 값[도 2의 제어계수(Jn)]의 초기값을 결정한다.
초기의 예정 송신순서는, 적당한 임의의 방법으로 결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개인 계산시트에 먼저 기록된 것으로부터 순차로 상위의 예정 송신순서를 할당하는 방식이나, 각 광고 데이터에 부가되는 ID 번호의 알파벳이나 숫자의 순으로 예정 송신순서를 할당하는 방식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 나중에 이 시청자에 대하여 새롭게 광고가 할당된 경우에는 그 광고의 제어계수(Jn)의 값으로서, 도 1의 예정 송신순서 요소로 할당된 값(최저값)을 할당한다.
초기의 제어계수(Jn)의 할당에 있어서는, 예정 송신순서가 최하위인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를 소정의 최저값으로 하고, 예정 송신순서가 하나 오를때마다 소정의 증가분값을 부가한다. 도 2의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계수(Jn)의 최저값을 1000, 증가분값을 100에 설정하고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CM6이 예정 송신순서가 최하위이고, 따라서 그 제어계수의 값은 1000이다. CM5의 예정 송신순서는 밑으로부터 제 2위이고, 그 제어계수의 값은 1000 + 100, 즉 1100이다. CM4의 예정 송신순서는 밑으로부터 제 3위이고, 그 제어계수의 값은 1100 + 100, 즉 1200이다. 마찬가지로 하여 계산되는 CM1의 제어계수의 값은 1500이고, CM2는 1400, CM3은 1300이다.
각 광고의 제어계수(Jn)는 광고가 송신되면 갱신된다. 즉, 계산부(6)는 송신된 광고에 대하여 제어계수(Jn)의 값을 낮게 하고, 송신되지 않은 광고에 대하여 제어계수(Jn)의 값을 높게 한다. 제어계수(Jn)를 갱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의 H23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계산부(6)가 이 시점에서 제어계수(Jn)의 값만을 기초로 하여 광고의 우선순위를 결정한 경우에는, 높은 순으로부터, CM1, CM2, CM3, CM4, CM5, CM6이 된다.
H3. 단계 3에 있어서, 계산부(6)는 시청자에게 할당된 각 광고의 분야(광고속성)에 대하여 시청자의 기호를 반영시키는 값[제어계수(Fx)]에 초기값을 할당한다. 이 초기값은 광고 관리부(3)로부터 계산부(6)에 송신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시청자의 기호(Fx)의 값(기준값), 즉 도 1에 나타내는 제어계수(Fx)의 값이며, 이 예에서는 기준값은 50이다. 즉, 계산부(6)는 초기에는 모든 광고속성에 대하여 동일한 초기값을 할당하여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한다.
수신기(20)의 입력부(23)는 예를 들면 광고 배신장치(1)로부터 광고를 수신하여 시청자에 대하여 그 광고를 표시하고 있는 동안에 시청자가 그 광고에 관심이 있는지 또는 관심이 없는지를 의사표시(투표)하기 위한 투표버튼(「관심있음 버튼」및「관심없음 버튼」)을 구비한다. 시청자가 광고의 표시 중에「관심있음 버튼」을 누르면, 그 광고의 광고속성에 대하여 「관심있음」에 투표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수신기(20)의 기억부(22)에 기억되고, 「관심없음 버튼」을 누르면 그 광고의 광고속성에 대하여「관심없음」에 투표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수신기(20)의 기억부(22)에 기억된다. 수신기(20)의 제어부(21)는 이 투표결과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여 송신부(25)를 거쳐 광고 배신장치 (1)에 송신한다. 광고 배신장치(1)의 수신부(8)는 투표결과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계산부(6)에 전송한다. 계산부(6)는 그 투표결과의 데이터를 송신하여온 시청자(수신기)에 대응하는 개인 계산시트를 검색하여 판독하고, 그 개인 계산시트에 대하여 그 투표결과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관심있음」에 대한 투표가 있었던 광고속성 에 대해서는 그 광고속성과 동일한 광고속성을 가지는 모든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 (Fx)의 값을 증가시키고, 「관심없음」에 대한 투표가 있었던 광고속성에 대해서는 그 광고속성과 동일한 광고속성을 가지는 모든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Fx)의 값을 감소시킨다. 이 투표버튼에 관한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의 H25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계수(Fx)의 값은 지나치게 증가하지 않도록, 즉 특정한 광고속성을 가지는 광고의 우선도가 지나치게 올라가지 않도록 상한값을 설정하고, 또한 특정한 광고속성을 가지는 광고의 우선도가 지나치게 내려가지 않도록 하한값을 설정한다. 상기의 초기값은 이 예에서는 상한값과 하한값의 중간 값에 설정하고 있다. 또 제어계수(Fx)를 초기값에 설정하였을 때에 광고 배신장치(1)의 계시부(도시 생략)로부터 일시의 데이터를 획득하여 개인 계산시트에 관련지어 기억하여 둔다.
도 2의 예에서는 초기값이 50, 하한값이 0, 상한값이 100 이고, 투표버튼이 복수회 눌러진 후의 각 광고의 속성에 대한 제어계수(Fx)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광고(CM1, CM2, CM4)의 광고속성(F1)에 대한 제어계수(Fx)의 값은 70 으로, 「관심있음 버튼」이 많이 눌러진 것을 나타낸다. CM3, CM6의 광고속성 (F2)에 대한 제어계수(Fx)의 값은 20 으로, 「관심없음 버튼」이 많이 눌러진 것을 나타낸다. CM5의 광고속성(F3)에 대한 제어계수(Fx)의 값은 50 으로, 투표버튼이 눌러져 있지 않거나, 또는 「관심있음 버튼」 과 「관심없음 버튼」이 동일한 횟수만큼 눌러진 것을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의 제어계수(Fx)의 값만을 기초로 하여 광고의 우선순위를 결정한 경우에는 높은 순으로부터 CM1과 CM2와 CM4가 1위, CM3과 CM6이 2위, CM5가 3위가 된다.
H4. 단계 4에 있어서, 계산부(6)는 제어계수(Fx)를 초기값에 설정한 후, 소정기간[예를 들면 1 주일, 1 개월 등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광고 배신장치(1)의 계시부로부터 얻어지는 일시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판정하여, 소정기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 3으로 되돌아가, 모든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Fx)를 초기값으로 리세트한다. 소정기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5로 진행한다.
특정의 속성을 가지는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Fx)의 값이 소정의 기간에 걸쳐 높은 상태로 유지되면, 그 기간 중은 다른 광고가 송신(표시)되기 어렵게 된다. 또반대로 특정한 속성을 가지는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Fx)의 값이 소정의 기간에 걸쳐 낮은 상태로 유지되면 그 기간 중은 그 광고가 배신되기 어렵게 된다. 광고의 효율을 고려한 경우에 상기와 같은 시청자의 기호를 반영한 치우친 광고송신의 기간이 과잉으로 길게 계속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소정기간이 경과하였을 때에 모든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Fx)를 초기값으로 리세트한다.
또 어느 하나의 광고속성에 대한 제어계수(Fx)가 상한값 또는 하한값에 도달하였을 때에 모든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Fx)를 초기값으로 리세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하여 예를 들면 특정한 속성을 가지는 광고만에 대한 제어계수 (Fx)의 값이 높아져 우선도가 오름으로써 다른 광고의 배신을 지나치게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반대로 특정한 속성을 가지는 광고만에 대한 제어계수(Fx)의 값이 낮아져 우선도가 낮아짐으로써, 그 광고의 배신이 지나치게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H5. 단계 5에 있어서, 계산부(6)는 표시기간 데이터의 전 표시기간 데이터 (Tt) 및 나머지 표시기간 데이터(Tr)를 기초로 하여 기억된 각 광고의 표시기간에 관한 가중, 즉 나머지 표시기간에 관한 가중을 표시하는 값[도 2의 제어계수(Tx)]을 결정한다. 제어계수(Tx)는 아래와 같이 하여 계산한다.
i. 수신기에서의 표시의 최종 기한날짜와, 광고를 광고 배신장치(1)에 등록한 날짜[광고에 관한 데이터를 광고 관리부(3)에 입력한 날짜]를 기초로 하여 전 표시기간(Tt)을 구한다.
Tt = (최종 기한날짜) - (광고 등록날짜)
또한 Tt의 값은 광고 관리부(3)에서 계산되어, 상기의 개인 계산시트를 작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계산부(6)에 공급되고 있다.
ii. 표시의 최종 기한날짜와, 현재의 날짜를 기초로 하여 나머지 표시기간 (Tr)을 구한다.
Tr = (최종 기한날짜) - (현재의 날짜)
iii, 전 표시기간에 대한 나머지 표시기간의 비율을 구하여, 그 비율에 계수 (본 예에서는 1000)를 승산한 값(Tx")을 구한다.
Tx" = (Tr/Tt) ×1000
값 Tx"는 나머지 표시기간이 짧을 수록 작아진다.
iv. 소정의 계수(본 예에서는 1000)로부터 기간계수(Tx")를 감산하여 기간계수(Tx)를 구한다.
Tx = 1000 - Tx"
나머지 표시기간을 계산할 때의 일시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는 계시부에서 발생된다. 1일을 단위로 하여 표시기간을 계산하는 경우에는 1일 경과할 때마다(즉, 매일), 계산부(6)는 제어계수(Tx)를 계산하고, 그 값을 갱신한다(이하의 단계 8의 설명을 참조). 제어계수(Tx)는 나머지 표시기간이 0 이 되었을 때에 최대값(1000)이 된다.
또 광고에는 표시기간이 1일 뿐인 광고도 있어, 그와 같은 광고에서는 표시의 최종 기한날짜와 광고등록날짜(광고의 표시를 개시하는 날짜)가 동일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한 i 단계에서 행하여지는 전 표시기간(Tt)의 값이 0이 된다. Tt = 0인 경우에는 후속의 iii 단계의 계산식의 회답이 얻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계산부(6)는 상기한 i 단계의 직후에 Tt가 0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Tt가 0인 경우에는 상기한 ii 내지 iv의 단계를 행하지 않고 제어계수(Tx)에 최대값을 할당하고, Tt가 0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한 ii 내지 iv의 단계를 행하여 Tx를 계산한다.
도 2의 예에서는 CM1의 제어계수(Tx)의 값이 800이고, CM2가 700, CM3이 400, CM4가 300, CM5가 500, CM6이 100이다. 계산부(6)가 이 시점에서의 제어계수 (Tx)의 값만을 기초로 하여 광고의 우선순위를 결정한 경우에는 높은 순으로부터 CM1, CM2, CM5, CM3, CM4, CM6이 된다.
H6. 단계 6에 있어서, 계산부(6)는 각 광고에 대하여 Tr의 값(상기한 단계 5의 단계 ii에서 구해지는 값), 즉 최종 기한날짜로부터 현재 날짜를 뺀 값이 0보다도 작은 값으로 되어 있는 광고가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Tr < 0 으로 되어 있는 광고가 있었을 경우에는, 단계 7에 있어서 그 광고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를 개인 계산시트로부터 삭제한다.
또 Tr < 0 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검사는 광고 관리부(3)에서도 행하여져 Tr < 0 로 되어 있는 광고가 있었을 경우에는 광고 관리부(3)는 명령부(5)에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와 삭제명령을 입력하고, 명령부(5)는 계산부(6)에 그 광고 ID와 삭제명령을 송신한다(상기 E를 참조). 그러나 계산부(6)가 이미 그 광고 ID와 관련되는 데이터를 개인 계산시트로부터 삭제하고 있는 경우에는 명령부(5)로부터의 삭제명령은 무효가 된다. 광고 관리부(3)는 명령부(5)에 삭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와 삭제명령을 입력한 후에 그 광고의 데이터를 광고 관리부(3) 자체의 기억부로부터 삭제한다.
또한 표시기간이 만료(Tr < 0)한 광고에 관하여 이력부(7)에 기억된 해당 광고의 이력데이터는 그 광고에 대하여 나중의 마케팅이나 수익분배를 위함 등에 사용하는 통계 데이터의 작성이 종료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그 데이터의 작성이 완료하기까지 기억하여 둔다.
H7. 다음에 단계 8에 있어서, 계산부(6)는 계시부(44)로부터 얻어지는 일시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소정시간 예를 들면 1일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소정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계산부(6)의 동작은 단계 5로 되돌아가서, 다시 제어계수(Tx)를 계산한다. 소정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도 10의 단계 9로 진행한다.
H8. 도 13의 단계 9에 있어서, 광고 배신장치(1)는 광고송신요구신호를 대기한다. 광고송신요구신호는 광고 배신장치(1)에 대하여 광고의 배신을 명령하는 신호이다. 광고송신요구신호는 광고프레임의 길이를 지정하는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 광고의 송신을 요구한 수신기(20)를 식별하는 데이터, 즉 개인 ID 등을 포함한다.
송신측이 인터넷 등의 통신네트워크를 거쳐 가입자로서 등록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하여 콘텐츠를 공급하는 공급자나, 휴대전화 등의 통신서비스를 행하는 회사 등인 경우에는 광고송신요구신호는 수신기(20)로부터 광고 배신장치(1)에 송신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공급자에 접속하기 위함이나, 소정의 사이트에 엑세스하기 위하여 수신기(20)의 입력부(23)로부터 입력을 행하였을 때에 제어부(21)가 그 입력에 응답하여 광고송신요구신호를 발생하여 광고배신장치(1)에 자동적으로 송신하도록 수신기(20)를 프로그램하여 둔다. 이 프로그램은 미리 수신기(20)의 기억부(22)에 기억하여 둔다. 또 휴대전화 등의 경우에는 전화를 걸기 위하여 스위치를 온으로 하였을 때에 광고송신요구신호를 발생하여 광고 배신장치(1)에 자동적으로 송신하도록 프로그램하여 둘 수도 있다. 또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는 각 수신기별로 미리 설정하여 각각의 수신기의 기억부에 기억하여 둔다.
송신측이 예를 들면 CS, BS, 지상파, 케이블 등을 거쳐 유선이나 무선으로 가입자로 되어 있는 시청자의 수신기에, 미리 정한 채널에서 프로그램을 방송하는방송국이며, 방송 중인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광고프레임에 광고를 각 수신기에 배신하는 경우에는, 각 수신기가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 즉 각 시청자가 프로그램을 보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광고를 수신기에서 표시시킬 수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예를 들면 송신측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장치에, 광고프레임의 개시 시각의 조금 전에 수신기(20)가 그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신호를 각 수신기에 송신하는(예를 들면 확인신호를 프로그램신호에 중첩시킨다) 수단을 설치한다. 이 확인신호는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을 포함하여 이 확인신호 중의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는 프로그램 중의 광고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설정된다. 수신기(20)에는 상기한 확인신호를 수신하여 그 확인신호에 의거하여 광고송신요구신호를 작성하고, 작성한 광고송신요구신호를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에 광고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타이밍으로, 즉 광고 배신장치(1)가 광고송신요구신호를 수신하여 광고를 판독하여 수신기(20)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하는 시간을 고려한 타이밍으로 광고 배신장치(1)에 송신하는 수단을 설치한다. 이 수신기에서 작성되는 광고송신요구신호는, 그 수신기의 시청자의 개인 ID와, 확인신호로부터 판독한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 및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광고프레임 시간 중에 수신기의 전원을 넣은 경우에는, 그 광고프레임이 종료할 때까지, 도 4의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는 정지화상의 광고를 일시적으로 내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 구성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광고프레임 시간의개시로부터 종료까지, 광고프레임 시간 중임을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측으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하고, 수신기가 그 신호에 응답하여 정지화상의 광고를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여 표시하게 한다. 기억부(22)에 기억되는 소재, 즉 정지화상의 광고는 임의의 타이밍으로 수신기에 송신되어 기억된다. 이 정지화상의 광고는 어디까지나 수신기에서의 화면이 도중에 끊기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개인 계산시트에서 카운트되는 광고와는 별도로 취급된다. 이 정지화상의 광고 데이터는 광고 배신장치 (1)의 광고등록 입력부로부터 광고 관리부(3)에 입력되어 광고 데이터보관부(4)에 보관된다. 광고 데이터보관부(4)는 광고 관리부(3)로부터의 지시를 명령부(5)를 거쳐 수취하면 정지화상의 광고 데이터를 송신부(9)로부터 수신기에 송신한다. 수신기측에서는 이 정지화상의 광고 데이터를 기억부(22)에 기억하여 둔다. 수신기의 기억부 (22)에 기억된 정지화상의 광고 데이터는 새로운 정지화상의 광고 데이터가 입력되었을 때에 갱신된다.
광고 배신장치(1)의 수신부(8)가 광고송신요구신호를 수신하고 있지 않을 경우는 도 12의 단계 4로 되돌아가, 단계 4 이후의 동작을 반복한다. 광고 배신장치 (1)가 수신부(8)에서 광고송신요구신호를 수신하면, 동작은 단계 10으로 진행하여, 광고 배신장치(1)의 계산부(6)는 광고송신요구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들 데이터에 의거하여 처리를 행한다.
H9. 단계 10에 있어서, 광고 배신장치(1)의 계산부(6)는 광고송신요구신호에 포함되는 개인 ID를 기초로 하여, 그 개인 ID에 대응하는 개인 계산시트를 판독한다. 계산부(6)는 판독한 개인 계산시트를 복사하여 임시 개인 계산시트를 작성한다. 또한 판독한 개인 계산시트는 이하의 단계(H 24를 참조)에 있어서, 수신기 (20)에서 광고가 표시된 것이 확인된 경우에 파기되고, 임시 개인 계산시트가 새로운 개인 계산시트로서 기억된다.
H10. 단계 11에 있어서, 계산부(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를 검사하여 최우선으로 배신해야 할 광고가 그 시청자에게 할당되어 있는지의 여부, 즉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부가된 광고 ID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부가된 광고 ID가 없는 경우에는, 도 14의 단계 19(H14)로 진행한다.
H11.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부가된 광고 ID가 기록되어 있던 경우에는 제어계수에 의거하여 계산되는 그 광고의 배신의 우선순위에 관계없이 단계 12에 있어서 광고 데이터보관부(4)에 그 광고의 광고 ID 및 그 광고의 배신지가 되는 시청자(수신기)의 개인 ID를 최우선으로 송신한다. 이들 데이터를 수신한 광고 데이터보관부(4)는 광고 ID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판독하여 광고 ID 및 개인 ID와 함께 송신부(9)에 송신한다. 송신부(9)는 개인 ID로 식별되는 수신기(20)에 광고 ID 및 광고 데이터를 송신한다.
수신기(20)가 수신부(26)에서 광고 ID 및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기 (20)의 제어부(21)는 광고 데이터를 출력부(27)에 전송하여 광고를 재생하고, 재생한 광고의 광고 ID 및 그 광고의 표시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기억부(22)에 기억한다. 광고의 표시에 관련되는 데이터란, 예를 들면 광고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까지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콘텐츠)의 ID,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의 일시(날짜, 시각),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의 수신기의 소재지(지리적 위치), 광고표시중에 기록된 투표 데이터(「관심있음」또는「관심없음」을 나타내는 데이터) 등이다(이들 데이터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한다).
단계 13에 있어서, 계산부(6)는 최우선으로 송신한 광고의 광고 ID에 부가되어 있던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임시 개인 계산시트로부터 삭제한다.
H12. 단계 14에 있어서, 광고 배신장치(1)의 계산부(6)는 광고송신요구명령에 포함되는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가 나타내는 광고프레임의 길이로부터 최우선으로 배신한 광고의 표시시간(광고길이 데이터로 표시됨)을 감산하여 광고프레임의 시간이 나머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광고를 표시 가능한 시간이 나머지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동작단계는 도 14의 단계 27로 진행한다. 다른 광고를 표시가능한 시간이 나머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15에 있어서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를 나머지 시간을 표시하도록 갱신하여 단계 16으로 진행한다.
H13. 단계 16에 있어서, 광고 배신장치(1)의 계산부(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의 데이터 중, 최우선으로 배신된 광고의 나머지 송신횟수로부터 1을 감산하여, 그 나머지 송신횟수가 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나머지 송신횟수가 O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 17에 있어서, 그 광고의 광고 ID 및 부가 데이터를 임시 개인 계산시트으로부터 삭제한다. 단계 17에 있어서, 그 광고의 광고 ID 및 부가 데이터를 임시 개인 계산시트으로부터 삭제한 경우에는 동작단계는 도 14의 단계 19로 진행한다.
단계 16에 있어서, 나머지 송신횟수가 0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 계산부 (7)의 동작단계는 도 14의 단계 18로 진행하고, 단계 18에 있어서 그 광고에 대하여나머지 송신횟수에 관한 가중[제어계수(Ka)]을 계산하여 임시 개인 계산시트의 제어계수(Ka)의 값을 갱신한다.
다음에 단계 19에 있어서, 계산부(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각 광고의 예정 송신순서에 대한 가중을 표시하는 값[제어계수(Jn)]을 갱신한다. 계산부 (6)는 예정 송신순서가 단계 12에서 배신된 광고보다도 상위이었던 광고의 제어계수 (Jn)는 그대로 유지하여 단계 12에서 배신된 광고의 제어계수를 최저값으로 하고, 예정 송신순서가 단계 12로 배신된 광고보다도 하위이었던 각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에 증분값(100)을 가산하여 그들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Jn)의 값을 1위분씩 증가시킨다[제어계수(Jn)을 갱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의 H22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단계 12 내지 19는, 광고지정명령으로 지정된 광고가 송신되어 표시되어 있는 동안에 행할 수 있다.
H14. 단계 20에 있어서, 계산부(6)는 계시부로부터 현재시각을 판독한다. 다음에 계산부(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어 있는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에 있어서의 복수의 시간대(도 2의 H1 내지 H6)의 각각에 할당된 제어계수(Hx) 중, 현재시각이 속하는 시간대에 대하여 할당된 제어계수(Hx)를 판독한다.
도 2의 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시간대[H6(21시 내지 1시)]에 대하여 CM1은 0, CM2는 20, MC3은 0, MC4는 20, CM5는 30, CM6은 0이 할당되어 있다. 시간대 (H6)에 대하여 할당된 이들 제어계수는 1일 중 21시부터 1시의 사이에만 유효하게 되고, 이 시간대에 있어서의 CM2, CM4, CM5의 우선도를 올리게 된다. 이 제어계수(Hx)를 사용함으로써 광고주는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시켜 표시시키는 시간대를 어느 정도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현재시각이 22시이고, 계산부(6)가 그 시점에서의 제어계수(Hx)의 값만을 기초로 하여 광고의 우선순위를 결정한 경우에는 높은 순으로 1위가 CM5, 2위가 CM2와 CM4, 3위가 CM1과 CM3과 CM6이 된다.
H15. 다음에 단계 21에 있어서, 계산부(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의 각 광고에 대한 모든 제어계수[Tx, Cpq(Ca1, Cb1, Cc1, Cd3), Jn, Ka, Hx, Fx]를 판독한다.
H16. 단계 22에 있어서, 계산부(6)는 제어계수(Tx, Cpq, Jn, Ka, Hx, Fx)에 제어변수(Xn)를 적용하여 새롭게 제어계수를 결정한다. 즉 계산부(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제어변수(X1 내지 X9)를 판독하고, 각각을 대응하는 제어계수에 승산하여 새로운 제어계수의 값[Tx'( = Tx × X1), Cax'( = Cax ×X2), Cbx'( = Cbx ×X3), Ccx'( = Ccx ×X4), Cdx'( = Cdx × X5), Jn'( = Jn ×X6), Ka'( = Ka ×X7), Hx'( = Hx ×X8), Fx'(Fx ×X9)]을 계산한다. 또한 소정의 제어변수에 대한 제어변수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제어변수의 값은 변화하지 않는다.
이 단계는 일치도(Ct)의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모든 제어계수[Tx, Cpq(Ct), Ka, Jn, Hx, Fx)]의 값을 합계하는 단계의 전에 행한다. 각각의 제어계수에 대하여 개별로 결정된 제어변수를 적용함으로써, 광고 배신장치(1)에 있어서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는 계산요소 중의 어느 계산요소를 중시하는지를 제어하는 것이가능하게 된다.
H17. 단계 23에 있어서, 계산부(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기억된 각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과, 수신기(20)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정도에 대한 가중을 나타내는 값[일치도값(Ct)]을 결정한다.
일치도(Ct)는 도 1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ca1 내지 Cd3)의 전 카테고리 중으로부터 선택된 시청자가 속하는 카테고리와 일치하는 카테고리(이 예에서는 Ca1, Cb1, Cc1, Cd3)에 대하여 할당된 수치에 제어변수(X2, X3, X4, X5)를 적용한 수치를 합계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인 계산시트는 도 1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데이터로부터 Ca1, Cb1, Cc1, Cd3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복사하고 있다.
여기서는 Ca1, Cb1, Cc1, Cd3의 값에 대하여 상기 단계 22에서 적용된 제어변수(X2, X3, X4, X5)의 값이 모두 1이었던 것으로 한다. 이 경우 도 2 하단의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개인 계산시트에 대응하는 시청자의 CM1에 대한 일치도를 표시하는 수치 Ct(= Cal'+ Cb1'+ Cc1'+ Cd3')는 40 + 80 + 10 + 10 = 140이 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CM2에 대해서는 250, CM3에 대해서는 110, CM4에 대해서는 200, CM5에 대해서는 90, CM6에 대해서는 170이 된다.
계산부(6)가 이 제어계수(Ct)의 값만을 기초로 하여 광고의 우선순위를 결정한 경우에는 높은 순으로 CM2, CM4, CM6, CM1, CM3, CM5가 된다.
H18. 단계 24에 있어서, 계산부(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각 광고마다 제어계수(Tx', Ka', Jn', Hx', Fx', Ct)의 값을 합계하여 결정요소[도 2의 결정요소(Sum)]를 구한다. 다음에 단계 25에 있어서, 계산부(6)는 이 결정요소(Sum)를 기초로 하여 결정요소가 큰 순으로 각 광고의 최종적인 송신의 우선순위[도 2의 우선순위(N)]를 결정한다.
도 2의 예의 경우, 즉 개인 계산시트에 대응하는 시청자가 카테고리(Ca1, Cb1, Cc1, Cd3)에 속하고, 현재시각이 시간대(H6)에 속하고, 모든 제어변수[Xn(X1 내지 X9]가 1인 경우의 CM1 내지 CM6의 결정요소(Sum)의 값은, 2550, 2540, 1880, 1830, 1840, 1320이 되고, 결정요소(Sum)에 의거하는 우선순위[N(1위 내지 6위)]는 높은 순으로 CM1, CM2, CM3, CM5, CM4, CM6이 된다.
H19. 다음에 단계 26에 있어서, 계산부(6)는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를 판독하여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에서 나타낸 시간내에서 표시 가능(송신 가능)한 수의 광고를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있어서 결정된 우선순위의 순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광고의 광고 ID와, 이 개인 계산시트에 대응하는 시청자의 개인 ID를 우선순위의 순으로 광고 데이터보관부(4)에 송신한다.
광고 데이터보관부(4)는 계산부(6)로부터 수신한 광고 ID 및 개인 ID에 응답하여 광고 데이터보관부(4)의 기억부로부터 광고 ID에 대응하는 광고데이터를 판독하여 광고 ID 및 개인 ID와 함께 송신부(9)에 송신한다. 송신부(9)는 개인 ID에 대응하는 수신기(20)에 광고 데이터 및 광고 ID를 송신한다.
수신기(20)가 수신부(26)에서 광고 ID 및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어부 (21)는 실질적으로 실시간으로 광고 데이터를 출력부(27)에서 재생하고, 재생한 광고 데이터에 부수되는 광고 ID를 기억부(22)에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시간으로 광고를 재생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수신기(20)의 기억부(22)에 일단 기억하고 나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송신측이 프로그램(콘텐츠)신호에, 그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프로그램 ID 데이터를 부가하고 있는 경우에는, 수신기(20)의 제어부(21)는 광고 ID 및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에 그때까지 시청하고 있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ID를 수신한 광고 ID와 관련지어 기억부(22)에 기억한다. 또 광고 ID 및 광고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에 계시부(24)로부터 날짜 및 시각을 판독하여 광고 ID와 관련지어 기억할 수도 있다. 또 수신기(20)가 수신기의 장소(지리적인 위치)를 식별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광고의 수신장소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광고 ID와 관련지어 기억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기(20)의 제어부(21)는 시청자가 광고의 재생 중에 입력부(23)의「관심있음 버튼」을 누르는 즉 「관심있음」에 투표하면, 그 광고의 광고속성에 대하여 시청자가「관심있음」에 투표한 것을 나타내는 투표 데이터를 기억부(22)에 기억한다. 또 시청자가 「관심없음 버튼」을 누르는 즉 「관심없음」에 투표하면, 제어부(21)는 그 광고의 광고속성에 대하여 시청자가「관심없음」에 투표한 것을 나타내는 투표 데이터를 기억부(22)에 기억한다. 또 제어부(21)는 하나의 광고를 표시 중에 시청자가 복수회의 투표를 행하여도 1회의 투표만을 유효투표로서 기억부(22)에 기억한다.
수신기(20)의 제어부(21)는 나중에 기억부(22)에 기억한 광고 ID (즉, 재생된 광고의 광고 ID), 개인 ID, 광고표시 직전까지 시청하고 있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ID, 광고를 표시한 날짜 및 시각 데이터 및 투표 데이터를 판독하여 송신부(25)로부터 광고 배신장치(1)에 송신한다(H 24를 참조).
또 상기한 바와 같이(H8을 참조), 송신측이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방송회사이고, 방송프로 중 소정의 광고프레임에 광고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광고 배신장치(1)가 수신하는 광고송신요구신호에는 개인 ID와,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와,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광고 배신장치(1)는 광고송신요구신호로부터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 개시시간에 광고가 시청자의 수신기에서 방송되는 타이밍으로 광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광고송신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H20. 단계 27에 있어서, 광고 데이터보관부(4)는 송신한 광고의 광고 ID, 그 광고의 송신지가 되는 수신기의 시청자의 개인 ID, 송신한 일시 등의 데이터를 이력부(7)에 송신한다. 이력부(7)는 이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광고에 대하여 개별로 광고의 송신횟수, 광고의 수신자(어느 시청자에게 이 광고를 송신하였는지를 나타냄), 광고가 송신된 시간등의 이력 데이터를 작성하여 기억한다. 또한 이 이력 데이터는 수신기로부터 보내져오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이력 데이터와는 별도로 작성되어 보존되는 것이다. 이 계산부(6)로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이력 데이터는 유용하고, 예를 들면 이 이력 데이터와, 수신기로부터 보내져오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이력 데이터를 대조하여 확인함으로써 실제의 표시상황의 확인이 가능해져 이력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도 가능해지기 때문에, 보다 정밀도가 높은 이력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단계는 도 14의 단계 27로부터 도 15의 단계 28에 계속된다.
H21. 단계 28에 있어서, 계산부(6)는 송신한 광고에 대하여,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어 있는 그 광고의 나머지 송신횟수의 값으로부터 송신한 횟수의 값, 즉 수신기에서 표시하였다고 가정하는 횟수(통상 1)을 감산한다.
단계 29에 있어서, 계산부(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관련지어 기억하고 있는 각 광고의 나머지 송신횟수를 검사한다. O으로 되어 있는 광고가 있었던 경우에는 단계 30에 있어서, 그 광고의 광고 ID 및 해당 광고 ID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임시 개인 계산시트으로부터 삭제한다.
상기한 단계 29에서 나머지 송신횟수가 0이 아니다고 판정된 각 광고에 대하여 계산부(6)는 단계 31에 있어서 나머지 송신횟수에 관한 가중을 표시하는 값[제어계수(Ka)]을 계산하여 임시 개인 계산시트의 제어계수(Ka)의 값을 갱신한다.
H22. 단계 32에 있어서, 계산부(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각 광고의 예정 송신순서에 대한 가중을 표시하는 값[제어계수(Jn)]을 갱신한다.
예를 들면 계산부(6)가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광고 중의 예정 송신순서가 최상위의 광고만을 선택하여 수신기(20)에 송신한 경우에는 계산부(6)는 그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를 최저값(1000)에 설정하고, 제 2위 이하의 각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에 상기한 증분값을 가산하여 제어계수(Jn)의 값을 1위분씩 증가시킨다. 이 예에서는 CM1이 선택되어 송신된 경우에는 CM1의 제어계수가 최저값인 1000으로 변경되어 CM2∼CM6의 제어계수에 각각 100이 가산된다. 그 결과, CM2의 제어계수의 값은 1500이 되고, CM3은 1400, CM4은 1300, CM5는 1200, CM6은 1100이 된다. 이 갱신된 제어계수(Jn)만에 의거하는 다음번 송신의 우선순위는 높은 순으로부터 CM2, CM3, CM4, CM5, CM6, CM1이 된다.
또 예를 들면 광고프레임의 시간이 길고, 계산부(6)가 제어계수(Jn)에 의거하는 우선순위가 높은 순으로 복수의 광고를 연속하여 선택하여 수신기(20)에 송신한 경우에는 제어계수(Jn)를 정리하여 재계산한다. 예를 들면 제어계수(Jn)의 값이 높은 순으로부터 CM1, CM2, CM3, CM4, CM5, CM6의 순서로 되어 있고, CM1∼CM3이 그 순서로 연속적으로 선택되어 송신되었다고 한다. 이 경우에는 CM1∼CM3을 정리하여 그 순서대로 최하위측에 다음으로 밀려 상기와 같이 제어계수를 할당한다. 즉 CM1의 제어계수를 1200, CM2을 1100, CM3을 1000으로 한다. CM4, CM5, CM6은 각각 순서가 3위분만 오르기 때문에 각각의 원래의 제어계수에 3위분의 증분값(300)을 부가한다.
또 계산부(6)가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광고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에 복수의 결정요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결정요소(1 또는 복수)가 우선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제어계수(Jn)의 값이 높은 순으로부터 CM1, CM2, CM3, CM4, CM5, CM6의 순서로 되어 있더라도 중간의 제어계수값(Jn)을 가지는 광고, 예를 들면 CM3이 먼저 선택되어 송신되는 경우가 있다. 또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소정의 광고 ID에 최우선으로 송신할 것을 지시하는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CM3에 최우선을 지시하는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산부(6)는 어느 제어계수값도 고려하지 않고[따라서 CM3의 제어계수값(Jn)이 최고가가 아니더라도] CM3를 최우선으로 선택하여 수신기(20)에 송신시킨다. 이들과 같은 경우에는 계산부(6)는 CM3보다도 상위의 제어계수(Jn)를 가지는 광고, 즉 CM1 및 CM2의 제어계수(Jn)는 그대로 유지하고, CM3에 최저값 1000을 할당하여 CM3보다도 하위의 제어계수(Jn)를 가지는 광고, 즉 CM4, CM5, CM6의 제어계수(Jn)에 각각 증분값 1OO을 부가한다. 그 결과 이 제어계수(Jn)만에 의거하는 다음번 송신의 우선순위는 높은 순으로부터 CM1, CM2, CM4, CM5, CM6, CM3이 된다.
H23. 수신기(20)의 제어부(21)는 그 수신기에서 재생된 광고의 광고 ID 및 개인 ID, 및 광고표시 직전까지 시청하고 있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ID, 광고를 표시한 일시 데이터, 투표 데이터, 장소 데이터 등을 기억부(22)로부터 판독하여 이들 데이터를 송신부(25)로부터 광고 배신장치(1)에 송신한다.
단계 33에 있어서, 광고 배신장치(1)의 수신부(8)는 상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력부(7)에 송신한다. 이력부(7)는 수신한 데이터를 기억하여 그 데이터 중, 광고 ID, 개인 ID, 투표 데이터를 계산부(6)에 송신한다.
계산부(6)는 수신기(20)로부터 수신한 광고 ID에 대응하는 광고가 실제로 수신기(20)에서 표시된 것으로 판단한다.
각 수신기에 대하여 송신하는 광고의 우선순위의 계산의 정밀도를 높게 하기위해서는 각 개인 계산시트에 각 수신기에서의 표시상황을 신속하게 반영시킬 필요가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광고 배신장치(1)가 수신기(20)의 기억부(22)에 기억된 데이터 중, 적어도 광고 ID, 개인 ID 및 투표 데이터를 신속하게 수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들 데이터를 광고프레임의 종료시 또는 종료후의 단시간내에 광고배신장치(1)에 송신하도록 수신기(20)를 프로그램하여 둔다.
그러나 다른 구성으로서, 예를 들면 각 개인 계산시트에 반영시키는 데이터로서, 광고 배신장치(1)내에서의 광고 송신동작에 의거하여 작성한 이력 데이터만을 사용하는 구성과 같은, 각 수신기에서의 실제의 광고의 표시에 관하여 데이터를 반영시키지 않는 구성에서는 개인 계산시트에 있어서의 각 광고의 우선순위의 계산을 위해 수신기(20)의 기억부(22)로부터 이력 데이터를 수취할 필요는 없다. 단, 나중의 마케팅이나 수익분배를 위함 등에 사용하는 상세한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각 수신기에서의 실제의 광고표시에 관하여 데이터는 필요하므로, 그 데이터를 수신기(20)의 기억부(22)에 기억시켜 두고, 예를 들면 소정기간마다 송신측으로부터회수한다.
단계 34에 있어서, 계산부(6)는 수신한 광고 ID 에 의거하여 개인 계산시트를 정식으로 갱신한다. 먼저 계산부(6)는 수신기(20) 등 수신한 광고 ID와, 수신기 (20)에 배신한 광고의 광고 ID를 비교하여 완전히 일치한 경우에는 원래의 개인 계산시트 대신에 임시 개인 계산시트를 기억함으로써 개인 계산시트를 갱신한다.
수신기(20)로부터 수신한 광고 ID와, 수신기(20)에 배신한 광고의 광고 ID와의 일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면 3개의 광고를 배신한 경우에 있어서, 2개분의 광고의 광고 ID만을 수신기(20)가 반송하여 왔을 때나, 3개분의 광고 ID가 수신기(20)로부터 반송되어 왔으나, 그 중의 1개의 광고 ID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등)에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를 파기한다. 다음에 계산부(6)는 일치한 광고 ID에 대응하는 광고만이 표시된 것으로 판단하여 수신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원래의 개인계 산시트의 데이터를 갱신하고 기억한다.
또 임시 개인 계산시트를 파기한 경우에 있어서, 계산부(6)는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부가되어 있는 광고의 광고 ID를 수신기(20)로부터 수신한 경우 원래의 개인 계산시트의 그 광고의 광고 ID에 부가되어 있던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삭제한다. 최우선으로 표시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를 수신기(20)로부터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원래의 개인 계산시트의 그 광고의 광고 ID에 부가되어 있던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유지한다.
또 수신기(20)로부터 광고 ID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나, 수신기(20)로부터 수신한 광고 ID와, 수신기(20)에 배신한 광고의 광고 ID가 전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를 파기하고 원래의 개인 계산시트를 그대로 유지한다.
상기한 처리는 광고가 수신기(20)에서 확실하게 표시된 것을 확인하는 순서, 즉, 수신기에서 표시된 광고의 광고 ID를 수신기(20)로부터 수신하는 순서를 포함한다. 그러나 광고 배신장치(1)로부터 배신한 광고가 모두 수신기(20)에서 표시된 것으로 간주하는 경우, 즉 수신기(20)에서 확실하게 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지않은 경우에는 개인 계산시트의 데이터의 갱신은 광고 배신장치(1)내에서의 광고 송신동작에 의거하여 발생되어 기억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그 개인 계산시트에 대하여 직접으로 행하여진다. 즉 임시 개인 계산시트는 작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그 경우에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를 작성하는 처리나, 수신기(20)로부터 개인 ID 및 광고 ID를 수신하여 수신한 광고 ID와 배신한 광고의 광고 ID와의 대조를 행하는 처리등은 필요하지 않다.
H24. 단계 35에 있어서, 광고 배신장치(1)의 계산부(6)는 수신기(20)로부터 수신한 투표 데이터를 검사하여 그 투표 데이터가 「관심있음」에 투표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단계 36에 있어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광고 중의「관심있음」으로 투표된 광고의 광고속성과 동일한 광고속성을 가지는 모든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 (Fx)를 소정값만큼 증가시킨다. 반대로 투표 데이터가「관심없음」에 투표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계산부(6)는 단계 36에 있어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광고 중그 광고의 광고속성과 동일한 광고속성을 가지는 모든 광고에 대한 제어계수(Fx)를 소정값만큼 감소시킨다. 또 수신기(20)로부터 수신한 투표 데이터를 검사하여 그 투표 데이터에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12의 단계 4로 되돌아가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예를 들면 도 2의 예에서는 광고(CM1, CM2, CM4)의 광고속성이 F1(예를 들면 차), CM3, CM6의 광고속성이 F2(예를 들면, 식품), CM5의 광고속성이 F3(예를 들면, 화장품)이다. 또 제어계수(Fx)의 초기값이 50, 상한값이 100, 하한값이 0으로 설정되어 있다.
시청자가 차 광고인 CM1을 시청하고 있을 때에 수신기(20)의 입력부(23)로부터 「관심있음」으로 투표한 경우에는 광고 배신장치(1)의 계산부(6)가 그 투표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한 후에 CM1이 속하는 광고속성(F1)에 대하여 수치가 소정값만 큼 올라, 다른 광고속성을 가지는 광고에 대하여 우선도가 높아진다. 즉 차 광고의 우선도, 즉 CM1, CM2, CM4의 우선도가 CM3, CM5, CM6보다도 높아진다. 시청자가 식품광고인 CM3을 시청하고 있을 때에 「관심없음」으로 투표한 경우, 광고배신장치 (1)의 계산부(6)가 그 투표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CM3이 속하는 광고속성(F2)에 대하여 수치가 소정값만큼 내려가, 다른 광고속성을 가지는 광고에 대하여 우선도가 낮아진다. 즉 식품광고의 우선도, 즉 CM3, CM6의 우선도가 CM1, CM2, CM4, CM5보다도 낮아진다. 광고의 표시 중에 투표가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에는 투표 데이터는 생성되지 않고, 수신기(20)로부터 광고 배신장치(1)에 송신하는 데이터 중에 투표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으며, 따라서 그 광고의 광고속성에 대한 제어계수(Fx)는 변화하지 않는다.
또 계산부(6)는 개인 계산시트에 새롭게 기록된 광고에 대해서는 그 광고의 광고속성에 대응하는 그 개인 계산시트에 있어서의 현재의 제어계수(Fx)를 할당한다. 예를 들면 개인 계산시트에 새롭게 기록된 광고(CMX)의 광고속성이 F1이고, 그 개인 계산시트에 있어서의 광고속성(F1)에 대한 현재의 제어계수(Fx)의 값이 70인 경우에는 광고(CMX)의 광고속성(F1)에 대하여 70이 할당된다.
단계 36의 다음에 동작단계는 도 12의 단계 4로 되돌아가,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광고 배신장치(1)는 상기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도 16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서의 이력 데이터의 처리·제어단계를 나타낸다.
여기서는 수신기(20)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이력 데이터를 사용하여 광고 배신장치(1)에 기억된 광고에 관한 데이터를 갱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I. 송신측에서의 이력 데이터의 처리·제어단계
II. 광고 배신장치(1)의 이력부(7)는 광고 관리부(3)에 광고가 등록되었을 때에 그 광고의 광고 ID와, 부가 데이터(도 1에 나타내는 데이터 등)를 광고 관리부 (3)로부터 수신하여 그 광고의 이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장소를 준비하고 있다.
단계 1에 있어서, 광고 배신장치(1)의 수신부(8)는 수신기(20)로부터 상기 수신기(20)의 기억부(22)에 기억되어 있던 상기 수신기(20)에서 표시된 광고의 광고 ID 및 상기 수신기(20)의 시청자의 개인 ID, 및 광고표시 직전까지 시청하고 있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ID, 광고를 표시한 날짜 및 시각 데이터, 장소 데이터, 투표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력부(7)에 송신한다(상기 E1을 참조).
이력부(7)는 수신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광고의 표시횟수, 광고의 수신자(어떤 시청자가 이 광고를 시청하였는지를 나타냄), 광고가 시청된 일시, 광고표시 직전까지 시청하고 있던 프로그램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이력 데이터를 작성하여 그 광고에 대하여 할당된 기억위치에 광고 ID와 관련지어 기억한다. 이력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는 수신기(20)로부터 새롭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갱신된다.
각 광고의 이력 데이터는 모든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어느 광고의 이력 데이터에 포함되는 표시횟수의 데이터는 그 광고가 할당된 모든 수신기에서의 표시횟수의 합계를 나타내고, 어느 수신기로부터 새롭게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데이터에서 표시되는 표시횟수가 증가된다.
I2. 단계 2에 있어서, 이력부(7)는 광고의 표시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모든 수신기에서의 표시횟수의 합계)를 소정의 타이밍으로[예를 들면, 이력부(7)가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력 데이터가 갱신되었을 때], 광고 관리부(3)에 송신한다. 광고 관리부(3)는 이력부(7)로부터 수신한 표시횟수 데이터와, 광고의 수주시에 정해진 총 표시횟수(도 1의 KT)를 비교하여 각 광고의 나머지 표시횟수, 즉 총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를 구한다.
광고 관리부(3)는 상기 I2에서 구한 나머지 송신횟수를 기초로 하여 각 광고의 송신을 위한 제어용 데이터를 작성한다.
I3. 단계 3에 있어서, 광고 관리부(3)는 나머지 송신횟수를 검사하여 나머지 송신횟수가 0 이하가 된 경우에는, 단계 4에 있어서 그 광고에 대한 삭제명령을 작성하여 그 광고의 광고 ID와 함께 명령부(5)에 송신한다(상기 E를 참조).
상기한 단계 3에 있어서, 나머지 송신횟수가 0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5에 있어서 제어변수를 결정하여 그 제어변수를 포함하는 제어변수적용명령을 작성한다(상기 G를 참조).
광고 관리부(3)는 먼저 나머지 표시기간 동안에 총 표시횟수, 즉 총 송신횟수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하게 되는 단위시간당의 송신횟수를 구한다.
광고 관리부(3)는 어느 기간내의 광고의 표시된 횟수로부터 단위시간당의 표시횟수(실적 표시횟수)를 구한다. 예를 들면 광고의 배신의 개시일시(광고의 등록일)로부터 이력 데이터의 획득시점의 일시까지 모든 수신기에서 표시된 횟수를 단위시간(예를 들면 그 동안의 일수)으로 나누어 단위시간당의 표시된 횟수를 구한다. 다음에 그 실적 표시횟수의 값과, 총 송신횟수를 달성하기 위하여 단위시간당에 필요하게 되는 송신횟수(필요 송신횟수)의 값을 비교하여 필요 송신횟수의 값이 큰 경우에는 그 광고의 우선순위를 올리게 하기 위하여 제어변수(Xn)의 값을 결정하여 그 제어변수를 포함하는 제어변수적용명령을 명령부(5)에 송신한다.
어느 제어계수에 대한 제어변수(Xn)의 값을 어떻게 변경하는지를 광고 관리부 (3)에 자동적으로 결정시키는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제어변수값을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광고 관리부(3)에 기억하여 둔다. 그 프로그램에는 예를 들면 어떠한 경우에 어느 제어계수에 대하여 어떠한 제어변수값을 적용하면 좋은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경험적으로 작성하여 부가한다. 또 이 장치가 가동하여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얻어진 통계적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제어변수값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작성하여 부가한다.
또 상황에 따라 어느 제어계수에 어떠한 제어변수(Xn)를 적용하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외부명령 입력부로부터 광고 관리부(3)를 거쳐 명령부(5)에 입력한다.
예를 들면 도 2의 예에 있어서, 나머지 표시기간이 짧은 광고의 우선순위를 올리고 싶다고 하자. 그 경우에는 제어변수적용명령에 포함되는 제어변수(X1)의 값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도 2의 제어계수(Tx)에 적용하는 제어변수(X1)의 값을 10으로 한다. 제어계수(Tx)에 제어변수 10을 승산하면 CM1∼CM6의 결정요소(Sum)는 각각 9750, 8840, 5480, 4530, 6340, 2220이 된다. 이들 결정요소에 의거하는 우선순위는 위로부터 CM1, CM2, CM5, CM3, CM4, CM6이 된다. 이 예에서는 나머지 표시기간이 제일 짧은[즉, 제어계수(Tx)의 값이 가장 큰] CM1의 우선순위가 1위가 되고, 나머지 표시기간이 2번째로 짧은 CM2의 우선순위가 2위가 된다. 새롭게 결정된 CM1과 CM2의 우선순위는 원래의 우선순위가 동일하나, 나머지 표시기간이 짧은 순으로 되어 있다. 나머지 표시기간이 3번째로 짧은 광고 CM5의 우선순위가 4위로부터 3위로 1 랭크 오르고, 나머지 표시기간이 4번째로 짧은 광고 CM3의 우선순위가 3위로부터 4위로 1 랭크 내려가 있다. 나머지 표시기간이 짧은 광고를 더욱 중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보다 큰 제어변수를 승산하면 좋다.
우선순위의 오름방법은 승산하는 제어변수(Xn)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광고 관리부(3)의 이력부(7)는 상기한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도 17은 송신측, 즉 광고 배신장치(1)에서의 이력 데이터를 기초로 한 통계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다.
J. 송신측에서의 이력 데이터를 기초로 한 통계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J1. 단계 1에 있어서 이력부(7)는 명령부(5)로부터 광고 ID 및 삭제명령을 수신하면, 소정시간후(예를 들면 그 광고의 표시에 관한 모든 데이터를 모든 수신기로부터 수취하는 데 충분한 시간)에 이력부(7)에 기억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그 광고 ID에 대응하는 광고의 나중의 마케팅이나 수익분배의 위함 등에 사용하는 통계데이터의 작성을 개시한다. 이력부(7)에 기억된 데이터는 광고 관리부(3)로부터 복사한 광고의 초기 데이터(도 1에 나타내는 데이터), 수신기(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한 이력 데이터, 광고 데이터보관부(4)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한 이력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는 이력부(7)는 통계적 데이터를 작성할 때에 수신기(2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작성한 이력 데이터를 사용한다.
이력부(7)는 이력 데이터에 수신기(20)에서 광고를 시청하는 직전에 시청되고 있던 프로그램(콘텐츠, 사이트)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광고가 어느 프로그램에 관련되어 몇회 표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프로그램별 표시횟수의 데이터)를 작성한다.
작성되는 통계 데이터에는 광고에 대하여 광고 ID, 그 광고를 시청한 모든 시청자의 개인 ID, 표시된 일시, 모든 수신기에서 표시된 횟수, 프로그램별 표시횟수, 수신장소 등의 데이터 및 도 1에 나타낸 표시기간,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총 표시횟수, 우선 송신시간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 송신측이 프로그램을 소정의 채널에서 방송하는 방송회사이며, 방송 프로그램 중 소정의 광고프레임에 광고를 삽입하기 위하여 광고 배신장치(1)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 이력 데이터에 수신기(20)에서 광고를 시청하기 직전에 시청되고 있던 채널의 번호를 나타내는 프로그램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광고가 어느 채널에서 몇회 표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채널별 표시횟수의 데이터)를 작성하여 통계 데이터에 포함시킨다.
이력부(7)는 그 광고의 통계 데이터의 작성이 완료한 후에 그 광고에 관한 그 밖의 데이터(이력 데이터, 도 1에 나타내는 데이터의 복사 등)를 삭제한다.
J2. 단계 2에 있어서, 이력부(7)는 작성한 통계 데이터로부터 총 표시횟수 (KT)를 판독하여 각 프로그램별로 총 표시횟수와, 프로그램에 관련되어 표시된 횟수와의 비율을 구한다.
또 예를 들면 모든 수신기에서 표시된 총 표시횟수가, 광고 의뢰자가 정한 총 표시횟수보다도 많아진 경우나, 광고가 도중에 중단되는 등에 의하여 광고 의뢰자가 정한 총 표시횟수보다도 적어진 경우에는 모든 표시된 횟수와, 각 프로그램(콘텐츠, 사이트)에 관련되어 표시된 횟수와의 비율을 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송신측이 프로그램을 소정의 채널에서 방송하는 방송회사인 경우에는, 작성한 통계 데이터로부터 총 표시횟수(KT)를 판독하여 각 채널별로 총 표시횟수와, 채널에 관련되어 표시된 횟수와의 비율을 구한다.
J3. 단계 3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을 배급한 회사(콘텐츠를 제공한 회사, 사이트를 개설하고 있는 회사, 소정의 채널에서 방송을 행하는 방송회사)에 대하여 광고주가 지불한 광고료를 상기의 비율에 따라 분배한다. 통계 데이터는 판독된 후에 삭제된다.
광고 배신장치(1)의 이력부(7)는 상기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이상으로, 광고 배신장치(1)가 광고의 의뢰를 받아 각 수신기(20)에 광고를 송신하여 표시시키고, 광고의 표시완료후에 광고료를 각 프로그램 배급회사에 분배하기까지의 일련의 단계를 완료한다.
다음에, 제 2 광고 배신장치의 동작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광고의 배신의 우선순위의 계산요소로서, 표시기간[제어계수(Tx)]와,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제어계수(Cpq)]와, 예정송신순서[제어계수(Jn)]와, 상한 송신횟수[제어계수(Ku)]와, 우선 송신시간[제어계수(Hx)]과, 시청자의 기호(광고속성)(Fx)를 사용한다. 즉,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평균 송신횟수[제어변수(Ka)] 대신에 상한 송신횟수[제어계수(Ku)]를 사용한다.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평균 송신횟수는, 그 광고를 할당한 모든 시청자(수신기)에 대하여 동일한 값이다. 즉 각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에 대하여 가중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도 1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광고주는 CM3의 시청자층 특정요소의 분류(Cdx)로 카테고리(Cd1)에 80, 카테고리(Cd2)에 10, 카테고리(Cd3)에 10을 할당하고 있다. 이것은 카테고리(Cd1)에 속하는 시청자층과, 카테고리(Cd2)에 속하는 시청자층과, 카테고리(Cd3)에 속하는 시청자층을 80대 10대 10의 비율로 중요시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CM3이 중요시하고 있는 카테고리(Cd1)(취미 A)에 속하는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되더라도, 그다지 중요시하지 않는 카테고리(Cd3)(취미 C)에 속하는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되더라도, 각각의 시청자의 수신기에 대하여 평균 송신횟수, 즉 가중을 표시하는 제어계수(Ka)의 초기값은 같아진다. 따라서 중요시되고 있는 시청자도, 중요시되고 있지 않는 시청자도, 그 광고가 동등하게 송신되어 보여지게 된다. 이것은 광고의 효과 및 효율을 고려한 경우에는 부적당한 것이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각 광고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과, 각 시청자의 시청자층과의 일치도를 고려한 송신횟수, 즉 상한 송신횟수 [제어계수 (Ku)]를 평균 송신횟수[제어계수(Ka)] 대신에 사용한다. 즉 제 2 실시형태에서는각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과, 각 시청자의 시청자층과의 일치도를 고려한 수신기에의 송신횟수, 즉 상한 송신횟수[제어계수(Ku)]를 평균 송신횟수[제어계수(Ka)] 대신에 사용한다.
제 2 실시형태는 상한 송신횟수[제어계수(Ku)]를 평균 송신횟수[제어계수 (Ka)] 대신에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다. 따라서 광고송신의 우선순위의 결정방법의 개념을 표형식으로 나타낸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표와 유사하게 된다. 즉 도 2의 계산요소명 「평균 송신횟수」 및 제어계수명「Ka」의 부분을 「상한 송신횟수」및「Ku」로 치환한 표가 된다.
제 2 실시형태의 동작은, 제 1 실시형태의 광고 배신장치의 동작과 공통부분이 많으므로, 다른 부분만을 설명한다.
A'. 광고 배신장치(1)에서의 시청자 등록단계
A'의 단계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A에서 설명한 단계(도 5에 나타내는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A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광고 배신장치(1)의 고객 관리부(2)는 A'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B'. 송신측에서의 시청자의 개인 데이터 분석단계
B'의 단계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B에서 설명한 단계(도 6의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B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광고 배신장치(1)의 고객 관리부(2)는 B'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도 18은 도 7에 대응하는 도로서, 이하의 C'에서 설명하는 송신측에서의 광고에 관한 데이터의 준비단계를 나타낸다.
C'. 송신측에서의 광고에 관한 데이터의 준비단계
C'의 단계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C에서 설명한 단계(도 7의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C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광고 배신장치(1)의 광고 관리부(3)는 C'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D'. 송신측에서의 개인 계산시트 작성단계
D'의 단계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D에서 설명한 단계(도 8의 단계)에 대응한다. 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평균 송신횟수[제어계수 (Ka)] 대신에 상한 송신횟수[제어계수(Ku)]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상한 송신횟수의 계산에 관련되는 부분이 다르다.
D1'. 단계 1로서, 제 1 실시형태의 D1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D2'. 단계 2에 있어서, 광고 관리부(3)는 각 분류[도 1의 분류(Cax), 분류 (Cbx), 분류(Ccx), 분류(Cdx)]별로, 분류에 포함되는 모든 카테고리[예를 들면 분류 (Cax)의 경우에는 카테고리(Ca1∼Cam)]에 대하여 광고주가 할당한 수치의 합계를 계산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분류에 할당되는 값, 즉 하나의 분류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할당되는 값의 합계는 100이다.
광고 관리부(3)는 광고의 부가 데이터의 복사, 즉 표시기간 데이터, 시청자층특정용 분류 데이터,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의 카테고리마다의 시청자수 데이터, 총 표시횟수 데이터(총 송신횟수 데이터에 대응함),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 광고 속성데이터, 예정 송신순서 데이터, 시청자의 기호 데이터 및 광고길이 데이터의복사본을 계산부(6)에 전송한다. 광고 관리부(3)는 이 부가 데이터에 다시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의 각 분류에 할당된 값(이 예에서 100)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한다.
D3'. 단계 3, 4, 5로서, 제 1 실시형태의 D3, D3a, D3b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개인 데이터 중에 카테고리[Ca1(지역 A), Cb1(남성), Cc1(19세 이하), Cd3(취미 C)]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평균 송신횟수 대신에, 광고 ID에 이하의 단계(D4')에서 설명하는 상한 송신횟수에 관련되는 데이터, 즉 상한송신횟수(초기값)의 데이터와, 광고가 송신된 횟수(이 시청자에 대하여 이 광고의 송신횟수)의 데이터가 관련지어 기록되나, 개인 계산시트에는 상한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에 소정의 계수를 적용하여 얻어지는 계수값(Ku)을 기록한다.
D4'. 단계 6에 있어서, 계산부(6)는 상한 송신횟수[제어계수(Ku)의 기초가 되는 값]를 계산한다.
계산부(6)는 개인 계산시트에 관련지어 기억한 데이터 중, 총 표시횟수 데이터(KT)와,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이 예에서는 Ca1, Cb1, Cc1, Cd3)와,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에 관련지어 기억된 각 카테고리의 시청자수 데이터(Sa1, Sb1, Sc1, Sd3)를 기초로 하여 그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각 광고의 상한 송신횟수의 값을 구한다. 상한 송신횟수는 수신기(20)에서의 각 광고의 송신횟수의 상한을 나타내고, 상한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가 0이 되면 제어계수(Ku)가 0이 된다. 제어계수(Ku)가 0이 된 광고는 송신되지 않게 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각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과, 각 수신기의 시청자의 시청자층과의 일치의 정도를 고려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한 하나의 광고에 대한 상한 송신횟수의 계산단계를 설명한다. 이 계산단계는 계산부(6)에서 행하여진다.
D4' a. 개인 계산시트(도 2의 표와 유사한 표)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의 제어계수(Cpq)의 값을 판독한다. 여기서는 시청자가 카테고리(Ca1, Cb1, Cc1, Cd3)에 속하고, 개인 계산시트는 이들 제어계수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CM1에 있어서는 Ca1, Cb1, Cc1, Cd3에 할당된 제어계수(40, 80, 10, 10)를 판독한다.
D4'b. 개인 계산시트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의 각 카테고리에 대한 제어계수(Ca1, Cb1, Cc1, Cd3)를 그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분류에 포함되는 전 카테고리에 대하여 할당된 수치의 합계(본 실시예에서는 100)로 제산하여 할당된 수치의 가중을 비율(RCpq)로서 구한다. 여기서는 각 대분류에 있어서의 전 카테고리에 할당되는 수치의 합계가 100이므로 Cpq/100이 할당된 수치의 비율이 된다.
Rpq = Cpq/100
CM1에 대해서는 카테고리(Ca1)에 대하여 Ra1 = 0.4(= Ca1/100 = 40/100), 카테고리(Cb1)에 대하여 Rb1 = 0.8, 카테고리(Cc1)에 대하여 Rc1 = 0.1, 카테고리(Cd3)에 대하여 Rd3 = 0.1의 합계 4개의 비율의 값이 얻어진다.
D4'c. 광고의 수주한 총 표시횟수(총 송신횟수)(KT)에, 상기한 D4'b의 단계에서 구한 각 Rpq를 개별로 승산한다. 이 계산에 의하여 광고의 총 표시횟수(KT)에 그 광고에 대한 시청자의 일치정도를 관련지은 값(KRpq)이 얻어진다.
KRpq = K ×Rpq = K ×(Cpq/100)
예를 들면 CM1의 KT가 10000회인 경우에는, 4개의 KRpq의 값, 즉 KRa1 = 4000(= 10000 ×0.4), KRb1 = 18000(= 10000 ×0.8), KRc1 = 1000(= 10000 ×0.1), KRd3 = 1000(= 10000 × 0.1)이 얻어진다.
D4'd. 개인 계산시트의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의 각 카테고리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는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전 시청자수(또는 그 카테고리에 속하는 시청자의 수신기의 수)(Spq)를 판독한다.
이 예에서는 시청자가 카테고리(Ca1, Cb1, Cc1, Cd3)에 속하므로, Sa1, Sb1, Sc1, Sd3의 값이 개인 계산시트에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으므로, 이들 값을 판독한다.
D4'e. 상기한 D4'c의 단계에 있어서 시청자가 속하는 각 카테고리와의 일치정도와 관련하여 구한 각각의 KRpq의 값을, 각각의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상기 D4'd의 단계에서 추출한 Spq의 값으로 개별로 제산한다. 이 계산에 의하여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시청자수(수신기수)를 고려한 각 수신기에서의 광고의 송신횟수(Kc)가 복수개 구해진다.
Kc = KRpq/Spq = KT ×(Cpq/100)/Spq
이 예에서는 4개의 Kc의 값이 얻어진다. 예를 들면 Sa1이 500명이고, Sb1이 200명, Sc1이 1000명, Sd3이 5000명이라고 하면, 4개의 Kc의 값으로서, 8(= KRa1 /Sa1 = 4000/500), 40(= KRb1/Sb1 = 8000/200), 1(= KRc1/Sc1 = 1000/1000), 0.2(= KRd3/Sd3 = 1000/5000)이 얻어진다.
D4'f. 상기의 D4'e의 단계에서 계산된 복수개의 Kc 값 중, 가장 큰 값을 선택하고, 그 값을 최종적인 Kc의 값으로 한다. 상기한 예에서는 40을 Kc의 값으로 한다.
그 값에 적절한 계수(예를 들면 통계적으로 구한 여유를 나타내는 계수)를 승산함으로써 일치의 정도를 고려한 상한 표시횟수(Ku")를 산출한다.
Ku" = Kc ×계수 = (K ×(Cpq/100)/Spq) ×계수
또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는 제어계수(Ku)는 상기의 계산에서 구한 상한 송신횟수(Ku")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에 계수를 적용하여 구한 값이다. 상기의 계산과 동일한 계산이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모든 광고에 대하여 행하여진다.
또 새로운 시청자가 가입자로서 계약하여 고객 관리부(2)에 등록한 경우나, 어느 가입자가 계약을 해제하여 고객 관리부(2)로부터 등록을 말소한 경우에는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시청자의 수가 변화된다. 고객 관리부(2)는 시청자의 수가 변화될 때마다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의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시청자수를 갱신하여 시청자수를 갱신한 것을 계산부(6)에 통지한다. 계산부(6)는 가입자가 증가 또는 감소한 것을 통지받으면, 그 광고에 대한 상한 송신횟수를 재계산한다. 이 계산을 위하여 계산부(6)는 광고 관리부(3)에 그 광고의 총 표시횟수(KT)까지의 나머지 표시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의 각 카테고리에 속하는 시청자수(갱신된 시청자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요구하여 획득하여 새롭게 상한 송신횟수를 계산한다.
또 개인 계산시트는 시청자와 광고와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일치도값(Ct)과, 각 광고마다의 제어계수의 합계값(Sum)과, 그 합계값에 의거하여 부여되는 우선순위 (N)를 기록한다. 단,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개인 계산시트의 제어계수의 합계값(Sum)은, Tx ×X1 + Ct + Jn ×X6 + Ku ×X7 + Hx ×X8 + Fx ×X9로 구해지는 값으로(제 1 실시형태에서는 Ku ×X7의 부분이 Ka ×X7이다), 우선순위(N)는 이 합계값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광고 배신장치(1)는 새롭게 접수한 광고에 대해서도 상기의 단계를 행한다. 또 동일한 광고가 이미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광고를 새롭게 개인 계산시트에는 기록하지 않는다.
광고 배신장치(1)의 계산부(6)는 상기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E'. 송신측에서의 광고의 삭제에 관한 명령신호를 작성하는 단계
E'의 단계는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E에서 설명한 단계(도 9에 나타내는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E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광고 관리부(3), 광고 데이터보관부(4), 명령부(5), 계산부(6), 이력부(7)는 각각 E'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F'. 송신측에서의 광고의 최우선 배신에 관한 명령신호를 작성하는 단계
F'의 단계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F에서 설명한 단계(도 10에 나타내는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F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광고 관리부(3), 명령부(5), 계산부(6), 송신부(9)는 각각 F'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G'. 송신측에서의 제어계수에 적용되는 제어변수의 값의 변경에 관한 명령신호를 작성하는 단계
G'의 단계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G에서 설명한 단계(도 11에 나타내는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G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계수(Ka) 대신에 제어계수(Ku)를 사용하는 점이 다르다. 광고 관리(3), 명령부(5) 및 계산부(6)는 G'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상기 E'의 광고의 삭제에 관한 처리, 상기 F'의 광고를 최우선으로 배신하는 것에 관한 처리 및 상기 G'의 제어변수의 변경에 관한 처리는 각각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임의의 시에 행하여진다.
H'. 송신측에서의 각 시청자에 대하여 광고의 우선순위의 결정 및 각 수신기에의 배신단계
H'의 단계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H에서 설명한 단계 1∼36(도 12의 단계 1∼ 도 15의 단계 36)에 대응한다. 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평균 송신횟수[제어계수(Ka)] 대신에 상한 송신횟수[제어계수(Ku)]를 사용하기때문에 이 상한 송신횟수에 관련되는 부분이 다르다.
H1'. 단계 1은 H1의 단계 1(도 12의 단계 1)에 대응하나,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평균 송신횟수[제어계수(Ka)] 대신에, 상한 송신횟수[제어계수(Ku)]를 사용하는 점이 다르다.
단계 1에 있어서, 광고 배신장치(1)의 계산부(6)는 등록된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된 광고, 즉 그 시청자에 대응하는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광고 ID에 관련지어 기억된 상한 송신횟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광고의 상한 송신횟수에 관한 가중을 표시하는 값[제어계수(Ku)]의 초기값을 결정한다. 제어계수(Ku)는 상한 송신횟수에 도달하기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에 계수를 승산함으로써 구해진다(Ku = 나머지 송신횟수 ×계수). 예를 들면 제어계수(Ku)의 값을 나머지 송신횟수의 값과 동일하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나머지 송신횟수에 승산하는 계수를 1로 하고, 또한 적용되는 제어변수(X7)의 값을 1로 한다.
광고가 1회 송신될 때마다 나머지 송신횟수로부터 1이 감산된다. 나머지 송신횟수가 0이 되면 제어계수(Ku)가 0이 된다. 제어계수(Ku)가 0에 도달한 광고는 송신되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CM1의 제어계수(Ku)의 값이 40이며, CM2이 100, CM3이 50, CM4가 40, CM5가 70, CM6이 30이고, 계산부(6)가 이 시점에서의 제어계수(Ku)의 값만을 기초로 하여 광고의 우선순위를 결정한 경우에는 높은 순으로부터 CM2, CM5, CM3, CM1 및 CM4, CM6이 된다.
H2'. 단계 2는 H2의 단계 2(도 12의 단계 2)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2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3'. 단계 3은 H3의 단계 3(도 12의 단계 3)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3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4'. 단계 4는 H4의 단계 4(도 12의 단계 4)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4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5'. 단계 5는 H5의 단계 5(도 12의 단계 5)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5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6'. 단계 6, 7은 H6의 단계 6, 7(도 12의 단계 6, 7)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6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7'. 단계 8은 H7의 단계 8(도 12의 단계 8)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7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8'. 단계 9은 H8의 단계 9(도 13의 단계 9)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8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9'. 단계 10은 H9의 단계 10(도 13의 단계 10)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9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10'. 단계 11은 H10의 단계 11(도 13의 단계 11)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10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11'. 단계 12, 13은 H11의 단계 12, 13(도 13의 단계 12, 13)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12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12'. 단계 14, 15는 H12의 단계 14, 15(도 13의 단계 14, 15)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12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13'. 단계 16, 17, 18, 19는 H13의 단계 16, 17, 18, 19(도 13의 단계 16, 17, 도 14의 단계 18, 19)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13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16에서 검사되는 나머지 송신횟수는 상한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이며, 단계 16에서 나머지 송신횟수가 0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 계산부(7)는 단계 18에 있어서 그 광고에 대하여 나머지 송신횟수에 관한 가중[제어계수(Ku)]을 계산하여 임시 개인 계산시트의 제어계수 (Ku)의 값을 갱신한다.
H14'. 단계 20은 H14의 단계 20(도 14의 단계 20)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14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15'. 단계 21은 H15의 단계 21(도 14의 단계 21)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15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계수 (Ka) 대신에 제어계수(Ku)가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계산부(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의 각 광고에 대한 모든 제어계수[Tx, Cpq (Ca1, Cb1, Cc1, Cd3), Jn, Ku, Hx, Fx]를 판독한다.
H16'. 단계 22는 H16의 단계 22(도 14의 단계 22)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16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계수 (Ka) 대신에 제어계수(Ku)가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계산부(6)는 제어계수(Tx, Cpq, Jn, Ku, Hx, Fx)에 제어변수(Xn)를 적용하여 새롭게 제어계수를 결정한다. 즉 계산부(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제어변수(X1∼X9)를 판독하고, 각각을 대응하는 제어계수에 승산하여 새로운 제어계수의 값 Tx'(= Tx×X1), Cax'(= Cax ×X2), Cbx'(= Cbx ×X3), Ccx'(= Ccx ×X4), Cdx'(= Cdx ×X5), Jn' (= Jn ×X6), Ku'(= Ku ×X7), Hx'(= Hx ×X8), Fx'(Fx ×X9)을 계산한다.
H17'. 단계 23은 H17의 단계 23(도 14의 단계 23)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17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18'. 단계 24, 25는 H18의 단계 24, 25(도 14의 단계 24, 25)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18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계수(Ka) 대신에 제어계수(Ku)가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계산부 (6)는 임시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된 각 광고마다 제어계수 Tx'와, Ku'와, Jn'와, Hx'와, Fx'와 Ct의 값을 합계하여 결정요소[도 2의 결정요소(Sum)]를 구한다. 다음에 단계 25에 있어서 계산부(6)는 이 결정요소(Sum)를 기초로 하여 결정요소가 큰 순으로 각 광고가 최종적인 송신의 우선순위[도 2의 우선순위(N)]를 결정한다.
H19'. 단계 26는 H19의 단계 26(도 14의 단계 26)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19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20'. 단계 27은 H20의 단계 27(도 14의 단계 27)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20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21'. 단계 28, 29, 30, 31은 H21의 단계 28, 29, 30, 31(도 15의 단계 28, 29, 30, 31)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21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단계 28에서 갱신되는 나머지 송신횟수는 상한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이고, 단계 29에서 그 나머지 송신횟수가 0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 계산부(7)는 단계 31에 있어서 그 광고에 대하여 나머지 송신횟수에 관한 가중[제어계수(Ku)]을 계산하여 임시 개인 계산시트의 제어계수(Ku)의 값을 갱신한다.
H22'. 단계 32는 H22의 단계 32(도 15의 단계 32)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22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H23'. 단계 33, 34는, H23의 단계 33, 34(도 15의 단계 33, 34)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23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어계수(Ka) 대신에 제어계수(Ku)가 개인 계산시트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단계 34에 있어서 계산부(6)가 수신한 광고 ID 에 의거하여 개인 계산시트를 정식으로 갱신할 때에 제어계수(Ku)를 갱신하게 된다.
H24'. 단계 35, 36은 H24의 단계 35, 36(도 15의 단계 35, 36)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H24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단계 35에 있어서 검사한 투표 데이터에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12의 단계 4로 되돌아가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또 단계 36 다음에 단계 4로 되돌아가 상기와 동일한 동작을 행한다.
광고 배신장치(1)는 상기한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I'. 송신측에서의 이력 데이터의 처리·제어단계
I'의 단계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I에서 설명한 단계(도 16에 나타내는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I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단,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평균 송신횟수[제어계수(Ka)] 대신에,상한 송신횟수[제어계수(Ku)]를 사용하는 점이 다르다. 광고 관리부(3) 및 이력부 (7)는 각각에 I'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J'. 송신측에서의 이력 데이터를 기초로 한 통계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J'의 단계는 상기의 제 1 실시형태의 J에서 설명한 단계(도 17에 나타내는 단계)에 대응하는 단계이며, J에서 설명한 단계와 동일한 단계를 행한다. 광고 배신장치(1)의 이력부(7)는 J'의 단계를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이상으로, 광고 배신장치(1)가 광고의 의뢰를 받아 각 수신기(20)에 광고를 송신하고 표시시켜 광고의 표시완료후에 광고료를 각 프로그램 배급회사에 분배하기까지의 제 2 실시형태의 일련의 단계를 완료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송신측에 등록한 각 시청자에 대하여 적합한 광고를 선택하여 할당하고, 시청자에게 할당한 광고에 송신의 우선순위를 붙여 우선순위에 따라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였으나, 광고의 송신을 정밀하게 제어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한 광고에 우선순위를 붙이지 않고, 예를 들면 광고가 시청자에게 할당된 순이나, 광고에 부여된 광고 ID의 알파벳이나 숫자의 순으로, 광고를 순환적으로 선택하여 수신기에 송신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도 시청자에게 광고를 할당할 때에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를 선택하고 있으므로 광고의 효과 및 효율은 향상한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특정한 광고를 시청자의 수신기에 최우선으로 송신하여 표시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광고 배신장치(1)의 외부명령 입력부에서 광고 관리부(3)에 광고 지정명령을 입력한다(상기 F를 참조). 그러나 광고 지정명령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와, 최우선에서의 송신을 지시하는 명령을 포함함)을 다른 방법으로 광고 관리부(3)에 입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례로서 송신측이 가입자로 되어 있는 시청자의 수신기에 미리 정한 채널에서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방송국이며, 방송 중인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광고프레임에 광고를 각 수신기에 배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방송측에 각 수신기가 방송 중인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의 조금 전에, 수신기(20)가 그 방송을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 즉 그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신호를 작성하여 각 수신기에 송신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광고 배신장치(1)의 광고 관리부(3)에 수신기(20)가 확인신호에 의거하여 작성한 광고송신요구신호를 수취하고, 그 광고송신요구신호에 의거하여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수단을 설치한다. 방송측에서 작성하는 확인신호는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와,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또한 최우선으로 표시시켜야 할 광고가 있는 경우에는 광고지정명령을 포함하도록 한다.
수신기(20)에는 수신부(25)에서 수신한 확인신호에 의거하여 광고송신요구신호를 작성하는 수단과, 작성한 광고송신요구신호를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에 광고를 수신하고 표시할 수 있는 타이밍으로, 즉 광고 배신장치(1)가 광고송신요구신호를 수신하여 광고를 판독하고 수신기(20)에 송신하는 처리를 행하는 시간을 고려한 타이밍으로 광고 배신장치(1)의 수신부(8)에 송신하는 수단을 설치한다. 수신기에서 작성되는 광고송신요구신호는 그 수신기의 시청자의 개인 ID와, 확인신호로부터 판독한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 데이터를 포함하고, 또한 확인신호에 광고지정명령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것도 포함하도록 한다.
광고 배신장치(1)는 수신기(20)로부터 보내져 오는 광고송신요구신호를 수신부(8)에서 수신하여 광고 관리부(3)에 전송한다. 광고 관리부(3)는 광고송신요구신호로부터 개인 ID와 광고지정명령을 판독하여 명령부(5)에 보낸다. 명령부(5)는 개인 ID와 광고지정명령을 계산부(6)에 보낸다. 계산부(6)는 개인 ID에 대응하는 개인 계산시트를 검사하여 광고지정명령으로 표시된 광고 ID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 개인 계산시트에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의 광고 ID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개인 계산시트의 광고 ID에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록한다.
또 광고 관리부(3)에는 광고송신요구신호로부터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그 개시시간에 광고가 시청자의 수신기에서 방송되는 타이밍으로 광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광고송신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둔다. 광고 데이터를 수신기(20)에 송신할 때는 계산부(6)는 개인 계산시트에 있어서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부가된 광고 ID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광고 데이터보관부(4)에 그 광고 ID 및 그 개인 계산시트에 대응하는 시청자의 개인 ID를 최우선으로 송신한다. 광고 데이터보관부(4)는 광고 ID 및 개인 ID를 수신하면 그 광고 ID에 대응하는 광고 데이터를 최우선으로 판독하여 그 개인 ID에 대응하는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부(9)를 거쳐 최우선으로 배신한다. 또 개인 계산시트에 최우선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부가된 광고 ID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계산부(6)가 결정한 우선순위의 순으로 광고 데이터를 개인 ID에 대응하는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부(9)를 거쳐 배신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중의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의 조금 전에 수신기에 송신되는 확인신호에 광고지정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광고주는 프로그램과 관련지어 특정한 광고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시청자가 수신기(20)에서 광고가 재생되어 있는 동안에 입력부(23)의 「관심있음 버튼」또는「관심없음 버튼」을 누르는 즉 「관심있음」또는「관심없음」에 투표하면 이 광고의 광고속성에 대하여 시청자가「관심있음」 또는 「관심없음」에 투표한 것을 나타내는 투표 데이터가 기억부(22)에 기억되고, 그 기억된 투표 데이터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광고 배신장치(1)에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관심있음」 또는 「관심없음」에 관한 투표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청자가 어느 쟝르(여기서는 차로 한다)의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던 경우, 그 수신기는 방송 프로그램에 부가되어 있는 방송 프로그램의 속성 데이터(이 경우는 차라는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 함으로써, 자동적으로 그 쟝르에 관련되는 광고(이 경우, 차의 광고)의 속성에 대한 투표가「관심있음」이라는 형으로 행하여져 기억부(22)에 기억된다. 이 기억된 데이터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광고 배신장치(1)에 송신되게 된다. 한편 광고가 표시되었을 때에 최후까지 재생하지 않은 경우에 동일한 형태로 자동적으로 「관심없음」이라는 투표를 행할 수도 있다.
단,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되는 광고는, 광고 배신장치(1)에서 결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광고이다. 그 때문에 수신기에 송신되어 표시된 광고에 대하여 「관심있음」으로 투표되게 되면, 이미 우선순위가 높은 광고에 대하여 우선순위의 계산에 사용되는 시청자의 기호값(Fx)을 더욱 증가시키게 되어 광고 배신장치에서 대기 중인 광고(특히, 광고속성이 다른 광고)는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광고 배신장치에 있어서 우선순위의 계산시에 「관심있음」에 대한 투표 데이터에 의거하여 가산되는 가중값을 각 광고의 우선순위에 극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관심없음」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광고속성(즉, 광고에서 선전하는 상품이 속하는 분야)를 차, 의약품, 식품 등과 같이 큰 분류에 의거하여 설정하였으나, 광고속성을 세분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차의 경우에는 차량의 제조회사를 기초로 하여 포드사의 차, 크라이슬러사의 차, 제너럴·모터스사의 차라는 것 같은 광고속성을 설정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차량의 형을 기초로 하여 세단, 스포츠, 왜건 등과 같은 상세한 광고속성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수신기에서 광고가 표시되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송신측이 광고를 송신하고 싶을 때에 광고의 송신을 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방송국 등의 송신측으로부터 방송되는 프로그램 중에 설정된 광고프레임에 광고를 삽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그 프로그램을 시청자가 시청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즉 프로그램 중에 삽입되는 광고가 표시되었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는 광고송신요구신호를 송신측으로부터 광고 배신장치(1)에 송신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송신측에서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의 조금 전에 광고송신요구신호를 작성하여 광고 배신장치에 송신한다. 이 광고송신요구신호에는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을 나타내는 데이터, 광고프레임 시간데이터, 이 광고프레임이 설정되어 있는 채널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 등을 포함하도록 한다. 광고배신장치는 시청자의 개인 ID와, 시청자가 시청 가능한 채널번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억하여 두고, 광고송신요구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이 신호로부터 채널번호를 판독하고, 그 채널번호에 관련지어진 개인 ID를 판독하여 판독한 개인 ID에 대응하는 수신기에 각각 할당된 광고를 광고프레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해당 광고프레임에 삽입하는 타이밍으로 송신한다. 또 이 경우에는 각 개인 계산시트에 반영시키는 데이터로서 광고 배신장치내에서의 광고송신동작에 의거하여 작성한 이력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의 대분류 및 각 대분류의 소분류(카테고리)의 종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광고주가 각 카테고리에 대하여 수치(가중치)을 할당할 때의 제한 및 규칙에 대해서도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우선 송신시간의 시간대의 종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또 광고주가 각 시간대에 대하여 수치(가중치)를 할당할 때의 제한 및 규칙에 대해서도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또 광고의 배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어느 광고의 제어계수의 값과, 다른 광고의 제어계수의 값이 동일해져 우선순위가 같아지는 경우에는예를 들면 먼저 기억하고 있는 쪽을 먼저 송신하도록 하거나, 광고에 부가되는 ID 번호가 상위인 것을 먼저 송신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음성 및 화상(이미지 및 문자)의 양쪽의 신호를 수신기에 송신하여 재생시키는 것도, 음성 또는 화상 중 어느 한쪽만의 신호를 수신기에 송신하여 재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송신(방송)측에 복수의 광고 데이터를 기억하여 두고 송신측에 기억된 각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층과, 송신측에 등록된 각 시청자의 시청자층과의 일치의 정도에 의거하여, 각각의 시청자(시청자의 수신기)에 대하여 개별로 광고를 선택하여 할당하고, 할당한 광고 데이터를 송신측으로부터 그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주가 광고의 대상이 되는 시청자에 대하여 적합한 광고를 시청할 수 있도록 각각의 광고를 각각의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여 재생시킬 수 있어 광고주가 희망하는 광고효과를 올릴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각각의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된 광고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시청자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도에 관한 가중을 실행하고, 그 가중에 의거하여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광고 데이터를 할당된 광고 데이터 중에서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선택하고,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선택한 광고 데이터를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그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주가 광고 고유의 특성에 의거하여 광고에 가중할 수있어 해당 광고의 고유의 특성에 적합하게 일치한 조건으로 각각의 광고를 각각의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여 재생시킬 수 있어 광고주가 희망하는 광고효과를 올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고가 고정순서로 송신되는 종래의 광고송신기술에 비교하여 현저하게 광고의 선전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기술효과를 가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표시기간이 짧은 광고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하기 때문에, 표시기간이 짧더라도 소정의 표시횟수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기간내에 소정의 총 표시횟수(총 송신횟수)를 완료시키기 위하여 각 수신기에의 필요하게 되는 각 광고의 평균 송신횟수를 설정하여 각 광고의 평균 송신횟수까지의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은 광고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한다. 따라서 많은 표시횟수, 즉 송신횟수가 남아 있더라도 소정의 표시기간내에 소정의 송신횟수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특정한 수신기에서 어느 광고가 과다하게 표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정보와,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정보와의 일치도가 높은 광고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한다. 즉 시청자가 보고 싶으면 상정되는 광고가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되어 표시되므로, 시청자의 주의를 끌 수 있다. 따라서 광고의 효과 및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청자에게 있어서도 보고 싶은 광고나 흥미를 자아낼 것 같은 광고가 우선적으로 보이기때문에 안성마춤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광고의 예정 송신순서를 정하여 예정 송신순서의 상위로부터 순서대로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하여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하고, 또한 광고를 송신한 후에는 새로운 예정 송신순서를 정하고, 다시 예정 송신순서의 상위로부터 순서대로 높은 우선순위를 할당하여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한다. 따라서 동일한 순서로 반복적으로 광고가 수신기에 송신되어 표시되는 경우나, 동일한 광고가 연속하여 송신되어 표시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청자의 주의를 끌 수 있으므로 광고의 효과 및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각 광고를 그 광고가 대상으로 하고 있는 시청자의 생활에 맞춘 시간대 및 광고에서 선전되는 상품의 성질에 적합한 시간대에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한다. 따라서 시청자가 보고 싶다고 상정되는 광고가, 시청자가 시청하는 시간대에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되고 표시되어 시청자의 주의를 끌 수 있으므로 광고의 효과 및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수신기의 시청자가 그 시청자에 대하여 할당된 각 광고의 속성에 대하여 기호를 나타낼 수 있게 하고, 또한 시청자가 나타낸 광고의 속성에 대한 기호에 의거하여 각 광고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한다. 따라서 시청자에게 있어서는 해당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가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되어 표시되게 되기 때문에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가 많이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시청자와 해당 시청자에게 할당된 광고와의 일치정도를 반영하고, 또한 그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의 수신기가 서로 수신기에의 광고의 송신횟수의 부족분을 보충하여 소정의 총 송신횟수(총 표시횟수)를 달성하고, 또한 그 광고를 할당된 각 수신기에 소정의 광고가 과다하게 송신되지 않도록 하는 상한 송신횟수를 설정하여, 상한 송신횟수까지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은 광고에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우선적으로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킨다. 따라서 많은 송신횟수가 남아 있더라도 소정의 표시기간내에 소정의 송신횟수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특정한 수신기에 소정의 광고가 과다하게 송신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시청자가 보고 싶다고 상정되는 광고가 많이 수신기에 송신되고 표시되어 시청자의 주의를 끌 수 있으므로, 광고의 효과 및 효율이 현저하게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 시청자에게 있어서는 해당 시청자에게 적합한 광고의 송신횟수, 즉 수신기에서의 표시횟수가 많아져 적합하지 않은 광고의 송신횟수가 적어지므로 시청자가 원하는 정보가 많이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우선순위의 결정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함으로써 특정한 결정요소에 치우지지 않는 우선 순위부여를 행할 수 있으므로 각 광고에 부여되는 우선순위의 타당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송신측에서 수신기에서의 광고의 표시상황을 확인하여 표시상황에 따라 각 수신기에의 광고의 송신의 제어를 행한다. 즉 모든 수신기에 대하여 보다 정밀도가 높은 광고 배신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불측의 사태에 의하여 통상의 광고 송신동작에서는 광고주로부터 수주한총 표시횟수(총 송신횟수)를 소정기간에 달성할 수 없게 되는 경우에도 송신측에서 광고의 배신을 제어함으로써, 필요하게 되는 표시횟수(송신횟수)를 소정기간내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를 지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시청자에게 할당된 광고 중에 그 지정된 광고가 있는 경우에는 최우선으로 그 광고를 그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광고주가 광고를 표시하는 날짜, 시간대, 프로그램 등을 지정한 경우에 그 지정대로 또는 그 지정에 가까운 조건으로 광고를 수신기에 송신할 수 있으므로, 광고주를 만족시키는 효과가 있고, 또한 송신측은 광고프레임을 판매하기 쉽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어느 광고를 긴급하게 수신기에 송신하여 표시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그 광고를 원하는 광고프레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청자가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의거한 광고의 최우선 표시의 지정도 가능하고, 프로그램과 관련된 광고의 최우선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광고의 효과 및 효율이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광고 배신방법, 광고 배신장치 및 상기한 광고 배신방법과 동일한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록매체는 송신측에 등록된 각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측으로부터 광고를 송신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하는 데 적합하다.

Claims (36)

  1. 송신측에 등록된 각 시청자의 수신기에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광고 배신방법으로서,
    상기 송신측에 있어서,
    (1) 상기 등록된 각 시청자로부터 상기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를 얻는 단계와,
    (2) 상기 광고 데이터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관련짓는 단계와,
    (3) 상기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상기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와,
    상기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와의 일치정도에 의거하여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광고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여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하는 단계와,
    (4) 상기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송신측으로부터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한 상기광고 (제어계수 Ka)데이터를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상기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도에 관한 가중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가중에 의거하여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할당된 광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4)의 단계는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로부터 상기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선택한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 상기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1)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광고 데이터의 시청기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하는 단계와,
    (2) 상기 시청기간에 의거하여, 상기 광고 데이터의 나머지 시청기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3) 상기 나머지 시청기간이 짧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4)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의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1)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복수의 분류를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각 광고마다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분류를 선택하고,
    선택한 각 분류의 중요도가 클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할당하고,
    상기의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1 데이터와, 상기의 선택한 각 분류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와,
    (2) 상기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분류를 선택하여 상기의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2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와,
    (3) 상기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1 데이터 중, 상기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2 데이터와 일치하는 분류의 상기 할당된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4) 상기 일치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의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방법.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a)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광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하는 단계와,
    (2a) 상기 송신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광고 데이터의 나머지 송신횟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3a) 상기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4a)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의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a)의 단계에 있어서의 상기 송신횟수는, 상기 광고가 할당된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 그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여도 좋은 상한을, 정한 상기 광고가 할당된 모든 시청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할당되는 평균 송신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a)의 단계에 있어서의 상기 송신횟수는, 상기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상기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정도에 대응하여 각 시청자별로 정해진, 상기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의 수신기에 그 광고를 송신하여도 좋은 상한을 정한 송신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방법.
  8.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 중,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 송신된 광고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2) 상기 검출된 광고 데이터가,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대기의 다른 상기 광고 데이터보다 낮은 예정 송신순서가 되도록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를 상기 각각의 할당된 광고 데이터에 대하여 결정하는 단계와,
    (3)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 할당된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방법.
  9.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b) 광고를 우선적으로 상기 수신기에 송신해야 할 시각을 특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시간대 데이터를 포함하는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고를 우선적으로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고 싶은 시간대를 특정하기 위하여 시간대 데이터를 선택하고,
    시간대의 중요도가 클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선택한 상기시간대 데이터에 할당하고,
    선택한 상기 시간대 데이터와, 상기 시간대 데이터에 할당된 상기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와,
    (2b) 현재시각이 어느 시간대에 속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3b) 상기 단계(2b)에서 판별된 상기 시간대에 대응하는 시간데이터에 할당된 상기 계수의 값을 판독하는 단계와,
    (4b)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방법.
  10. 제 2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각 광고마다 광고에서 선전하는 대상물이 속하는 분야를 나타내는 광고 속성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와,
    (2)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에서 표시되는 분야에 대한 중요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을 할당하는 단계와,
    (3)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상기 시청자측에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는 단계와,
    (4)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방법.
  11. 제 2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계수의 값에 별도의 계수값을 적용하여 상기 계수의 값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데이터 중에서 광고프레임에 대응하여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 데이터를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 중에 상기지시된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광고프레임에서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 최우선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방법.
  13. 송신측에 등록된 각 시청자의 수신기에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광고 배신장치로서,
    (1) 상기 등록된 각 시청자로부터 상기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를 얻어 기억하는 수단과,
    (2) 상기 광고 데이터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3) 상기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상기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와, 상기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와의 일치정도에 의거하여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광고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는 수단과,
    (4) 상기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상기 시청자에 대하여 선택한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시청자에게 관련짓는 수단과,
    (5) 상기 시청자에게 관련지어진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A) 상기 시청자에게 관련지어진 상기 광고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도에 관한 가중을 행하여, 상기 우선도가 높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과,
    (B) 상기 시청자에게 관련지은 상기 광고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광고 데이터와, 상기 광고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계수의 값을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C)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단과,
    (D)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시청자에게 관련지어진 광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5)의 수단은 상기 (D)의 수단으로 선택한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 상기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A)의 수단은,
    (1)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광고 데이터의 시청기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2) 상기 시청기간에 의거하여 상기 광고 데이터의 나머지 시청기간을 결정하는 수단과,
    (3) 상기 나머지 시청기간이 짧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장치.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A)의 수단은,
    (1) 각 광고마다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복수의 분류를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제 1 선택된 분류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상기 제 1 선택된 분류에 할당되는 선택된 분류의 중요도가 클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와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2) 상기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상기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제 2 선택된 분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과,
    (3) 상기 제 1 선택된 분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중, 상기 제 2 선택된 분류를 나타내는 데이터와 일치하는 분류의 상기 할당된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의 정도가 높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일치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장치.
  17.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수단은,
    (1a)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광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2a) 상기 송신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광고 데이터의 나머지 송신횟수를 결정하는 수단과,
    (3a) 상기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1a)의 수단에 의하여 상기 광고 데이터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송신횟수는, 상기 광고가 할당된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여도좋은 상한을 정한, 상기 광고가 할당된 모든 시청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할당되는 평균송신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1a)의 수단에 의하여 상기 광고 데이터에 관련지어지는 상기 송신횟수는, 상기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상기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의 정도에 대응하여 각 시청자별로 정해진, 상기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의 수신기에 그 광고를 송신하여도 좋은 상한을 정한 송신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장치.
  20. 제 14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수단은,
    (1)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 중,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 송신된 광고 데이터를 검출하는 수단과,
    (2) 상기 검출된 광고 데이터가,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기대기의 다른 상기 광고 데이터보다 낮은 예정 송신순서가 되도록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를 상기 각각의 할당된 광고 데이터에 대하여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장치.
  21. 제 14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의 수단은,
    (1b) 광고를 우선적으로 상기 수신기에 송신해야 할 시각을 특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시간대 데이터를 포함하는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로부터 선택된, 상기 광고를 우선적으로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고 싶은 시간대를 특정하기 위한 시간대 데이터와,
    상기 시간대 데이터에 대하여 할당된 시간대의 중요도가 클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관련지어 기억하는 수단과,
    (2b) 현재시각이 어느 시간대에 속하는지를 판별하는 수단과,
    (3b) 상기 (2b)의 수단에 의하여 판별된 상기 시간대에 대응하는 시간대 데이터에 할당된 상기 계수의 값을 상기 (1b)의 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수단과,
    (4b)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 시청자에게 관련지어 기억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장치.
  22. 제 14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각 광고마다 광고에서 선전하는 대상물이 속하는 분야를 나타내는 광고 속성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선택한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수단과,
    (2)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에서 표시되는 분야에 대한 중요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을 할당하는 수단과,
    (3)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상기 시청자측에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과,
    (4)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 시청자에게 관련지어 기억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장치.
  23. 제 14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수단이, 상기 계수의 값에 다른 계수값을 적용하여 상기 계수의 값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장치.
  24. 제 13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데이터 중에서, 광고프레임에 대응하여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 데이터를 지시하는 수단과,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 중에 상기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 데이터가 있었던 경우에,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광고프레임으로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 최우선으로 송신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배신장치.
  25. 송신측에 등록된 각 시청자의 수신기에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송신측에 있어서,
    (1) 상기 등록된 각 시청자로부터 상기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를 얻는 단계와,
    (2) 상기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관련짓는 단계와,
    (3) 상기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상기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와, 상기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를 특징짓는 데이터와의 일치의 정도에 의거하여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광고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여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하는 단계와,
    (4) 상기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송신측으로부터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한 상기광고 데이터를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순서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가,
    상기 송신측으로부터 상기 등록된 각 시청자별로,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도에 관한 가중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가중에 의거하여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는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할당된 광고 데이터 중에서 상기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4)의 단계는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로부터 상기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선택한 상기 광고 데이터를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 상기 우선순위에 의거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가,
    (1)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광고 데이터의 시청기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하는 단계와,
    (2) 상기 시청기간에 의거하여 상기 광고 데이터의 나머지 시청기간을 결정하는 단계와,
    (3) 상기 나머지 시청기간이 짧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4)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의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8.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가,
    (1)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복수의 분류를 각각이 포함하는 복수의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각 광고마다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분류를 선택하고,
    선택한 각 분류의 중요도가 클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할당하고,
    상기의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1 데이터와, 상기의 선택한 각 분류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와,
    (2) 상기 시청자층 특정용 분류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을 특정하는 분류를 선택하고, 상기의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2 데이터를 기억하는 단계와,
    (3) 상기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1 데이터 중, 상기 선택한 분류를 나타내는 제 2 데이터와 일치하는 분류의 상기 할당된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의거하여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수신기의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4) 상기 일치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의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9. 제 26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가,
    (1a) 상기 광고 데이터에 상기 광고 데이터를 수신기에 송신하는 송신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하는 단계와,
    (2a) 상기 송신횟수에 의거하여 상기 광고 데이터의 나머지 송신횟수를 결정하는 단계와,
    (3a) 상기 나머지 송신횟수가 많을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결정하는 단계와,
    (4a)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의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1a)의 단계에 있어서의 상기 송신횟수는, 상기 광고가 할당된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 상기 광고 데이터를 송신하여도 좋은 상한을 정한, 상기 광고가 할당된 모든 시청자에 대하여 균등하게 할당되는 평균 송신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1a)의 단계에 있어서의 상기 송신횟수는, 상기 광고가 대상으로 하는 시청자층과 상기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가 속하는 시청자층과의 일치의 정도에 대응하여 각 시청자별로 정해진, 상기 광고가 할당된 시청자의 수신기에 그 광고를 송신하여도 좋은 상한을 정한 송신횟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2. 제 26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가,
    (1)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 중, 상기 시청자의 상기 수신기에 송신된 광고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2) 상기 검출된 광고 데이터가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대기의 다른 상기 광고 데이터보다 낮은 예정 송신순서가 되도록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를 상기 각각의 할당된 광고 데이터에 대하여 결정하는 단계와,
    (3)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 할당된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3. 제 26항 내지 제 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가,
    (1b) 광고를 우선적으로 상기 수신기에 송신해야 할 시각을 특정하기 위하여 복수의 시간대 데이터를 포함하는 우선 송신시간 데이터로부터, 상기 광고를 우선적으로 상기 수신기에 송신하고 싶은 시간대를 특정하기 위하여 시간대 데이터를 선택하고,
    시간대의 중요도가 클 수록 무거운 가중을 표시하는 계수의 값을, 선택한 상기시간대 데이터에 할당하고,
    선택한 상기 시간대 데이터와, 상기 시간대 데이터에 할당된 상기 계수의 값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와,
    (2b) 현재시각이 어느 시간대에 속하는지를 판별하는 단계와,
    (3b) 상기 단계에 (2b)에서 판별된 상기 시간대에 대응하는 시간대 데이터에 할당된 상기 계수의 값을 판독하는 단계와,
    (4b)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4. 제 26항 내지 제 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가,
    (1) 각 광고마다 광고에서 선전하는 대상물이 속하는 분야를 나타내는 광고 속성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를 상기 광고 데이터에 부가하는 단계와,
    (2)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에서 표시되는 분야에 대한 중요도를 나타내는 계수의 값을 할당하는 단계와,
    (3) 상기 광고 속성데이터에 할당된 계수의 값을 상기 시청자측에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는 단계와,
    (4) 상기 계수의 값에 의거하여 상기 할당된 각각의 광고 데이터의 상기 수신기에의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5. 제 26항 내지 제 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계수의 값에 다른 계수값을 적용하여 상기 계수의 값을 변화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36. 제 25항 내지 제 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서가,
    상기 광고 데이터 중에서 광고프레임에 대응하여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 데이터를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시청자에게 할당된 상기 광고 데이터 중에 상기 지시된 최우선으로 송신해야 할 광고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그 광고 데이터를 상기 광고프레임으로 상기 시청자의 수신기에 최우선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KR1020027015291A 2002-11-14 2000-05-15 광고의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57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5291A KR100657039B1 (ko) 2002-11-14 2000-05-15 광고의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5291A KR100657039B1 (ko) 2002-11-14 2000-05-15 광고의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671A true KR20030014671A (ko) 2003-02-19
KR100657039B1 KR100657039B1 (ko) 2006-12-12

Family

ID=4175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291A KR100657039B1 (ko) 2002-11-14 2000-05-15 광고의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0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325B1 (ko) * 2010-12-17 2013-07-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공지 사항 전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9644A (ko) * 2013-10-02 2015-04-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매체별 광고 송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29190A (ko) * 2015-09-07 2017-03-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781A1 (ko) * 2015-09-07 2017-03-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CN106055666B (zh) * 2016-06-02 2019-12-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媒体文件的投放方法和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325B1 (ko) * 2010-12-17 2013-07-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공지 사항 전송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9644A (ko) * 2013-10-02 2015-04-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매체별 광고 송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70029190A (ko) * 2015-09-07 2017-03-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039B1 (ko) 200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02461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of advertisement
AU20002332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of advertisement
US713687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electively displaying advertisements
Napoli Audience economics: Media institutions and the audience marketplace
EP1315110A2 (en) Method and systems for planning advertising campaigns
KR100842108B1 (ko) 광고분배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3701023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
US200701565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Planning, Ad Production, and Ad Placement For Television
US200800521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a Planning, Ad Production, and Ad Placement For Radio
US201402974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dia advertising campaign sales and allocation
US20030070167A1 (en) Advertisement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2763426A (zh) 推荐器系统中辅助媒体的自适应放置
JP2007515018A (ja) データ・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広告を行う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000149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dividualized targeted electronic advertising over a digital broadcast medium
CN102217301A (zh) 在第一多媒体内容项目的列表中分配第二多媒体内容项目的方法
JP2003067290A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20020129361A1 (en) Information service system, information supply terminal used in this system, information service method, and program for information supply terminal
JP2005196777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に係る情報媒体
KR100657039B1 (ko) 광고의 송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2297077A (ja) 広告の送信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02091262A1 (fr) Systeme et procede de gestion de la distribution de la publicite
TW536676B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dvertisement distribution
WO2003030011A1 (en) Advertisement management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000367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Goods and Services in Print Media
JP7260085B2 (ja) 枠交換評価システム、枠交換評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4